KR20090046309A -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309A
KR20090046309A KR1020070112360A KR20070112360A KR20090046309A KR 20090046309 A KR20090046309 A KR 20090046309A KR 1020070112360 A KR1020070112360 A KR 1020070112360A KR 20070112360 A KR20070112360 A KR 20070112360A KR 20090046309 A KR20090046309 A KR 2009004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
front wall
wall
fill layer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56280B1 (en
Inventor
김대상
최찬용
이성혁
원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280B1/en
Publication of KR2009004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격하중에 의한 수직변위와 수평변위가 최소화되도록, 전면 강성형 벽체와 상기 벽체의 배면에 성토되는 성토부를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벽체형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using a rigid wall and a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front rigid wall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re minimized to minimiz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due to impact lo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shaped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for constructing a fill portion to be filled in one piece and a fill por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은 옹벽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체와, 성토부층이 상기 전면벽체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성토부로 구성되며; 상기 성토부를 이루는 성토부층은, 전면벽체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와, 상기 1차 토목섬유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의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과, 상기 기준틀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와, 상기 2차 토목섬유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ont wall which forms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fill portion in which the fill layer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The fill layer forming the fill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and on the ground to surround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an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civil fi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ference fram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the secondary geotextiles laid on the reference frame, and a filler filled in the space covered with the secondary geotextiles.

보강토 옹벽, 성토부, 전면벽체, 토목섬유, 기준틀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ill section, front wall, geotextile, reference frame

Description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Reinforced Wall

본 발명은 강성 벽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격하중에 의한 수직변위와 수평변위가 최소화되도록, 전면 강성형 벽체와 상기 벽체의 배면에 성토되는 성토부를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벽체형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using a rigid wall and a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pecifically, the front rigid wall and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are minimized to minimiz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 due to impact loa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shaped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for constructing a fill portion to be filled in one piece and a fill por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우회로가 없는 철도의 특성상 토공 구축 후의 재시공은 철도 운행에 막대한 불편을 끼치게 된다. 또한, 최근 콘크리트 궤도의 도입과 시공으로, 토공 구축 후의 유지·보수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잔류침하에 대하여 엄격한 품질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며, 이에 적합한 토공 형식이 요구되고 있다.Due to the nature of railroads without detours, reconstruction after earthwork has caused enormous inconvenience for railway operation.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tracks recently, maintenance and repair after earthwork are almost impossible. Accordingly, strict quality standards are to be applied for residual settlement, and a suitable earthwork type is required.

지중에 보강재 역할을 하는 부재를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은 도로나 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의 옹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보강토 옹벽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보강토 옹벽(200)은, 전면에 패널 또는 블록(201)을 한 개 또는 다수 개 쌓고, 그와 연결되도록 배면 토사 쪽으로 보강재(그리드 또는 스트립, 202)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202) 위에 배면 토사(203)를 포설한 후 다져서 옹벽 후방의 배면 지반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축조된다.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which are constructed by installing or inserting members that act as reinforcement materials in the ground, are frequently used as retaining walls such as slopes of roads or railways, slopes, river banks, and coastal roads in park areas. Figure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200, one or more panels or blocks 201 stacked on the front, and the reinforcement (grid or strip, 202) is disposed toward the rear soil to be connected to In, by laying the back soil 203 on the reinforcing material 202 is compacted and built by repeat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back ground behind the retaining wall.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경우, 옹벽 벽체 근처에 집중하중이 작용하거나, 배면 토사의 다짐 작업 시 다짐용 롤러에 의한 전압(다짐에 의해 옹벽의 전면벽체에 가해지는 수평 토압)에 의해 과도한 수평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전면벽체가 앞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막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전면벽체 바로 뒤쪽에서는 다짐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보강토 옹벽의 경우 전면벽체의 일부가 국부적으로 튀어나오는 배부름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위와 같은 다짐 작업시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며, 전면벽체가 배면 지반과 분리되어 쏟아져 내리는 붕괴 현상 역시 위와 같은 다짐 작업시의 한계로 인하여 보강재 인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구조형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 concentrated load acts near the retaining wall wall, or is excessively horizontal due to the voltage (horizontal earth pressure applied to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by the compaction) by the compacting roller during compaction of the back soil. The displacement does not prevent the front wall from being pushed forwar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perform the compaction operation immediately behind the front wal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part of the front wall protruding locally occurs frequently, which i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bove compaction work, and the collapse of the front wall separated from the back ground also falls down.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work, it is derived from the structural type that cannot fully utilize the reinforcement tension.

이러한 현상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강재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 길이에 걸쳐 팽팽함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전면벽체를 먼저 설치하는 현재의 보강토 옹벽의 구조 및 시공 방법으로는 이를 해결하기가 매우 곤란하다.In order to prevent such phenomena, the reinforcement must maintain tension throughout its length so that the reinforcement can function properl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by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which install the front wall first.

또한, 기존 보강토 옹벽의 경우, 전면벽체 상부에는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는 구조 형식이 아니어서 전선주, 소음벽 등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wire line, noise wall, etc. is difficult because the structure is not a structure that can be built on the front wall.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열차 개통 후 추가되는 하중 즉,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에 의한 동하중 및 높은 하중의 화물열차 운행 시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의하여 옹벽의 배면 지반에 발생하는 수직변위와 수평변위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열차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loads added after the train opening, that is, when operating a dynamic load and a high load freight train by a high-speed tra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running safety of the train by minimiz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s generated on the back ground of the retaining wall due to the impact load generated in the wall.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옹벽의 전면벽체와 그 배면에 시공되는 성토부를 일체형으로 시공함으로써 성토부에 대한 구속압을 증가시키고, 기존 보강토의 다짐 부족으로 인한 배부름 현상을 극복하며, 성토부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인장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restraint pressure on the filling part by constructing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filling part installed on the rear thereof integrally, overcomes the filling phenomenon due to the lack of compaction of the existing reinforcement soil, and is used for the filling part. The objective is to make the best use of the tensile power of.

또한, 전면벽체가 휨 강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토압 작용시 성토부의 수평변위를 최대한 제어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control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fill portion at the time of the horizontal earth pressure action, the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by configuring the front wall to have bending rigidity.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철도 등 큰 동하중이 상시 작용하는 토공 구간으로 복선화 등에 따른 용지 확보가 어려운 곳이나 원지반이 취약하여 파일기초가 필요한 곳 또는 교대부와 같이 기초 지지강성이 변화하는 곳에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과 옹벽 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earthwork section where large dynamic loads such as railroads always work,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aper due to double-tracking, or where the foundation is vulnerable due to weak ground, or where the basic support stiffness changes, such as a shift p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and a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retaining wall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옹벽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체와, 성토부층이 상기 전면벽체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성토부로 구성되며; 상기 성토부를 이루는 성토부층은, 전면벽체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와, 상기 1차 토목섬유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의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과, 상기 기준틀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와, 상기 2차 토목섬유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fill portion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backing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The fill layer forming the fill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and on the ground to surround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an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in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civil fiber. By providing a reference fram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the secondary geotextiles laid on the reference frame, and th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ler filled in the space covered with the secondary geotextile.

또한, 상기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는 성토부층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성토부층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면 토사에 매립되고; 최하부층에 배치되는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는 전면벽체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전면벽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성토부층의 상면을 덮도록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of the fill layer is embedded in the back soil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fill layer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fill layer;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of the fill layer is disposed in the bottom layer also extends in the front wall direction, the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wall direction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 layer layer provides a retaining soil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면벽체의 후방으로는 노출철근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철근은 상기 기준틀과 일체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xposed reinforcing bars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front wall, and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provid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s, which are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reference frame.

이외에도, 상기 전면벽체에는 상기 전면벽체의 뒷채움부로 유입된 물이 전면벽체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벽체를 관통하여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ront wall is provided with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is formed through the front wall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ack filling portion of the front wall can be drained to the front of the front wall.

또한, 상기 기준틀은 지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수평부와, 상기 전면벽체의 배 면으로 설치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의 기준틀 내측 각도는 예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frame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placed in parallel to the ground, and a vertical portion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of the inner side of the reference frame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is acute angl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의 전면벽체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의 구조로서, 상기 성토부는 성토부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성토부층은, 전면벽체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와, 상기 1차 토목섬유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에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과, 상기 기준틀의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와, 상기 2차 토목섬유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전면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ructure of the fill portion formed behind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made of concrete, the fill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l layer is laminated in sequence; The fill layer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and the ground of the front wall to cover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and the ground layer is located on the back wall on the front wall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civil fiber layer Filling behind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having a structure comprising a reference frame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and the secondary geotextiles laid on the reference frame, and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econdary geotextiles Provide a substructure.

또한, 상기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는 상기 성토부층의 하단 또는 상기 전면벽체의 배면을 감싸도록 포설되고, 최하부층에 배치되는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는 전면벽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전면벽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성토부층의 상면을 덮도록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전면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of the fill lay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ll layer or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wall,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of the fill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layer extends in the front wall direction, The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wall direction provides a fill portion structure behind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which is installed to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fill layer.

또한, 옹벽을 설치할 위치에 보강토 옹벽의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기초 위에 전면벽체의 최하단부를 설치하는 단계;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를 상기 최하단부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포설한 뒤,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을 설치하고, 2차 토목섬유를 상기 기준틀 위에 포설한 후에 채움재를 채워서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최하부의 성토 부층 위로, 1차 토목섬유의 배치, 기준틀의 배치, 2차 토목섬유의 배치 및 채움재의 충진 작업을 통한 성토부층 형성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 높이가 되도록 성토부층을 적층하여 성토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성토부의 전면으로 전면벽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founda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n the position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Installing a bottom end of the front wall on the foundation;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covering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is laid over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lower end, and then, a reference frame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and the second geotextile is laid on the reference frame. Filling the gap to form a bottom fill layer; On top of the bottom fill layer, the fill layer layer is formed to repeat the fill layer layer by arranging the first geotextile, the reference frame, the second geotextile, and the filling of the filling material, and the fill layer is formed to have a retaining wall height. Making; And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wall toward the front of the fill portion.

이외에도,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1차 토목섬유를 전면벽체 방향으로 연장시켜, 그 연장된 부분이 채움재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후속하는 성토부층이 상기 최하부 성토부층의 상면에 덮인 1차 토목섬유 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성토부를 형성하는 단계에는, 각각의 성토부층을 형성한 후에 그 후방으로 배면 토사를 성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 토사의 성토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1차 토목섬유를 성토부층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된 부분이 성토부층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면 토사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forming the bottom fill layer,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and a subsequent fill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ll layer. Further comprising forming over the covered primary geotextile; The forming of the fill por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positing the back soil after forming the respective fill portion layer;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when performing the backing work of the back soil, so that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fill layer,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is embedded in the back soil formed behind the fill layer. Provide construction method of

또한, 전면벽체의 최하단부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상기 최하단부의 후방으로는 노출철근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노출철근을 상기 최하단부 내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노출철근과 기준틀을 일체로 체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는, 노출철근을 설치하여 상기 노출철근이 성토부층과 일체가 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The installing of the lowermost end of the front wall further includes installing the exposed rebar in the lower end such that the end of the exposed reinforcing bar protrudes behind the lower end; Forming the bottom fill layer further includes fastening the exposed reinforcing bar and the reference frame integrally; The form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wall provides an installa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exposed reinforcement so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is integrated with the fill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벽체와 배면 토사 사이에, 토목섬유와 기준틀을 이용한 성토부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후방의 배면 토사를 충분히 다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면 토사의 불충분한 다짐으로 인하여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보강재의 이완현상 및 그로 인한 전면벽체의 배부름 현상과 전면벽체의 이탈이나 붕괴 현상 등을 막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fill layer using a geotextile and a reference frame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back soil,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mpact the back soil behind it. Therefore, due to insufficient compaction of the back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loosening of the reinforcement, which is frequently generated in the retaining wall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soil, and the resulting phenomenon such as the fullness of the front wall and the detachment or collapse of the front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면벽체와 그 배면의 성토부층이 강결된 구조로 결합되므로, 성토부층에 사용되어 보강재로서 기능하는 부재의 인발파괴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토압에 대한 수직·수평 응력에 더욱 안정적으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성토부층에 사용되는 토목섬유 등이 지니는 인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전면벽체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면벽체의 변위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all and the backfill layer on the back are combined in a rigid structure,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the breakdown of the member used as the backfill layer and functioning as a reinforcing material, and more stabl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resses against the earth pressure. Be able to act. In particular, 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geotextiles used in the fill layer can be fully utilized, not only the front wall construction is possible in a narrow space, but also the displacement control of the front wall is possible.

특히, 전면벽체의 철근과 성토부층에 사용되는 부재를 이어주는 경우, 성토부층에 사용되는 부재의 인장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부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connecting the members used in the reinforcement of the front wall and the fill lay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ensile capacity of the member used in the fill 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use of such members.

상기한 효과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기준틀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성토부를 시공함으로써, 채움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effect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fill portion using a member such as a reference frame,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oss of the filler material is exhibited.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0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00)은, 옹벽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체(110)와, 성토부층이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성토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토부(120)의 후방으로는 배면 토사(40)가 다짐 작업에 의해 성토되어 있다.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ont wall 110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fill portion 120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ground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have. The rear side soil 40 is piled up by the compaction operation to the rear of the fill portion 120.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성토부층은, 전면벽체(110)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20)와, 상기 1차 토목섬유(2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30)과, 상기 기준틀(30)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21)와, 상기 2차 토목섬유(21)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ll layer is surrounded by the primary geotextile 20 and the primary geotextile 20, which is disposed over the back and the ground of the front wall 110 to surround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sublayer A reference frame 3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in an inner spac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a secondary geotextile 21 disposed on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geotextile ( 21)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ller (2) to be filled in the space wrapped.

도 3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강토 옹벽(10)의 최하부를 이루는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와, 그 배면에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상기 성토부층에 구비된 기준틀(3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각각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와 그 배면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form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10 and a state in which a fill lay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re shown in FIG. 3A. 3b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ference frame 30 provided in the fill layer. 4A to 4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steps of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the bottom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and the fill layer on the back thereof,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서, 옹벽은 단계적으로 시공되는데, 우선 옹벽을 설치할 위치에 보강토 옹벽(100)의 기초를 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4a에 도 시된 것처럼, 지중에 매립되도록 기초(11)를 시공하고, 상기 기초(11) 위에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최하단부(12)의 상면으로는 최하단부(12) 내에 매립된 보강철근(13)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최하단부(12)의 위쪽으로 시공될 전면벽체(110)의 상부(16)에 구비된 보강철근(13)과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 배면으로는 노출철근(14)이 돌출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기준틀(30)과 상기 노출철근(14)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전면벽체와 기준틀(3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stages, and first, the foundation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1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4A, the foundation 11 is constructed so as to be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lowest end 12 of the front wall 110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11.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ll 110 to be constructed above the lowest end 12 by expos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3 embedded in the lower end 1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12.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13 provided in. In addition, the lower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protruded, the front frame and the reference frame 30 by connecting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esirable to allow this to be integrally coupled.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를 형성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으로는 1차 토목섬유(20), 기준틀(30) 및 2차 토목섬유(21)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1차 토목섬유(20)는 지면 위에 포설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전면벽체(110) 최하단부(12)의 배면과 접하게 되는데, 최하단부(12)의 배면과 접한 부분보다 더 연장된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연장된 부분은 편의상 우선 상기 최하단부(12)의 상면에 임시로 걸쳐 놓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is formed to hav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rface thereof includes a primary geotextile 20, a reference frame 30, and a secondary geotextile. 21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continuously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end 12 of the front wall 110, there is a portion extending further tha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end (12). This extended portion may first be temporarily over the top of the lower end 12 for convenience.

이와 같이 상기 1차 토목섬유(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1차 토목섬유(20) 위로는 기준틀(30)이 설치된다. 도 3b에는 상기 기준틀(3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준틀(30)은 지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수평부(31)와,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으로 설치되는 수직부(3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수직부(32)는 수평부(31) 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제작되어 수평부(31)와 수평부(32)가 완전히 직각을 이루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준틀(30)은 상기 1차 토목섬유(20)와 후술하는 2차 토목섬유(21)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의 성토부층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기준틀(30)은 횡방향 철근과 종방향 철근이 엮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판 형상의 강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 형상은 도 3b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1·2차 토목섬유(20, 21) 사이에 설치되어, 배면 토사의 다짐 작업 시, 쇄석 등과 같은 채움재(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전면벽체(110) 설치 전에, 성토부층을 이루는 채움재(2)가 전면 방향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기준틀(30)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primary geotextile 20 in the state where the primary geotextile 20 is installed. FIG.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ference frame 30. The reference frame 30 has a horizontal portion 31 plac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a vertical portion 32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FIG. It consists of 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32 is preferably manufactured to be inclined slightly toward the horizontal portion 31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31 and the horizontal portion 32 are not complete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reference frame 30 is installed between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upport each soil layer. The reference frame 30 may be made of lateral reinforcing bars and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or may be made of a steel plate, etc.,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ure 3b. That is, it is installed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0, 21,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ller material 2, such as crushed stone during the compaction of the back soil, and before the front wall 110 is installed, forming a fill layer The reference frame 3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o prevent the filling material 2 from pouring in the front direction.

위와 같이 기준틀(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틀(30) 상면에는 2차 토목섬유(21)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2차 토목섬유(21) 역시 상기 1차 토목섬유(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의 배면와 지면 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최하단부(12)의 배면과 접한 부분보다 더 연장된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연장된 부분도 편의상 우선 상기 최하단부(12)의 상면에 임시로 걸쳐 놓을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frame 3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geotextiles 2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geotextiles 21 may also have the front surface similar to the primary geotextiles 20.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end 12 of the wall 110 is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ground, and there is a portion that extends more tha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end 12. This extended portion may also be temporari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12 for convenience.

위와 같이 배치된 상기 1차 토목섬유(20)와 2차 토목섬유(21), 그리고 기준틀(30)은, 그 내부에 쇄석 등과 같은 채움재(2)가 채워져서 성토부층을 형성하게 되며, 성토부층에 가해지는 수평·수직 응력에 저항하는 구조체로서 거동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기준틀(3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성토부층의 상부에서 다짐 등의 작업 시에, 전동 롤러 등에 의한 측압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상기 기준틀(30)이 강재로 이루어진 경우, 성토부층 자체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and the second geosynthetic fiber 21, and the reference frame 30 arranged as described above is filled with a filler 2 such as crushed stone to form a fill layer layer, fill layer layer It acts as a structure that resist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esses applied to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fill layer. In particular, when the reference frame 30 is installed, when the compaction or the lik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 sublayer, it can effectively resist the side pressure by the electric roller, etc., when the reference frame 30 is made of steel, The stiffness of the sublayer itself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2차 토목섬유(21)는 그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2)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촘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료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로 포설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상기 1차 토목섬유(20), 기준틀(30) 및 2차 토목섬유(21) 사이의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is preferably to use a dense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lling material (2) is filled therein, it can be installed in a minimum length that can prevent the material loss. . At this time, the position between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may be fixed using a fixing pin.

1차 토목섬유(20), 기준틀(30) 및 2차 토목섬유(21)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노출철근(14)을 절곡하여 상기 기준틀(30)에 걸리게 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틀(30)과 용접함으로써, 상기 최하단부(12)와 상기 기준틀(30)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철근(14)은 기준틀(30) 또는 1차 토목섬유(20), 2차 토목섬유(21)와 연결되어 성토 구조물과 거푸집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노출철근(14)에 의하여 전면벽체(110)의 배면이 성토부층과 직접 닿게 함으로써, 별도의 배면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In installing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as shown in FIG. 4C,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bent and caught in the reference frame 30, or By welding with the reference fram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st end portion 12 and the reference frame 30 to be integrated. The exposed rebar 14 may be connected to the reference frame 30 or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to serve as a spac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to the fill structure and the formwork. . By exposing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directly with the fill layer by the exposed rebar 14,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back formwork.

1·2차 토목섬유(20, 21)와 기준틀(30)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2차 토목섬유(21) 상면에 쇄석 등의 채움재(2)를 채우게 된다. 채움재(2)를 채우는 과정에서 상기 기준틀(30)의 수직부는 채움재(2)의 타설로 인한 측압에 의해 전면벽체(110) 방향으로 기울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틀(30) 제작 시에, 수직부(32)와 수평부(31) 사이의 각도가 직각보다 작도록 만들면, 채움재(2)가 타설된 후에, 수직부(32)와 수평부(31)가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fter the primary and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0 and 21 and the reference frame 30 are installed, the filler 2 such as crushed stone is fi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2,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eference frame 30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110 by the side pressure due to the pouring of the filling material 2, as described above, when manufacturing the reference frame 30, If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32 and the horizontal portion 31 is made smaller than the right angle, after the filling material 2 is poured, the vertical portion 32 and the horizontal portion 31 can achieve an angle close to the right angle. do.

상기 채움재(2)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 부분 다짐시 롤러에 의한 전압 등에 저항할 수 있도록 쇄석 등의 단단한 재료를 채움재(2)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성이 우수한 쇄석 등을 채움재(2)로 사용하게 되면, 옹벽(100)의 배면 토사(40)를 통하여 우수 등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옹벽의 전면벽체(110) 방향에 형성된 성토부층을 통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성토부층의 후면부는 현장에서 발생한 토사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할 수 있다.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as the filler 2,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hard material such as crushed stone as the filler 2 so as to resist the voltage caused by the roller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wall 110 is compacted. When the crushed stone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drainage is used as the filler 2, even if rain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back soil 40 of the retaining wall 100, smooth drainage is provided through the fill layer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110 of the retaining wa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fill layer can be compacted by using the earth and sand generated in the field.

한편, 상기 전면벽체(110)에는 상기 전면벽체(110)의 뒷채움부로 유입된 물이 전면벽체(110)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벽체(110)를 관통하여 배수공(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wall 110 is formed with a drain hole 15 penetrating through the front wall 110 so that water introduced into the back filling portion of the front wall 110 can be drained to the front of the front wall 110. It is preferable.

채움재(2)를 채운 후에는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2차 토목섬유(21)의 연장부로 상기 채움재(2)의 상면을 덮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1차 토목섬유(20)의 연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2차 토목섬유(21)의 상면을 추가로 덮을 수도 있다. After filling the filler 2,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er 2 is covered with an extension of the secondary geotextile 21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may be further covered by using an extension of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이와 같이, 최하단부(12)의 배면 방향으로 기준틀(30)이 설치되고, 상기 1·2차 토목섬유(20, 21)가 채움재(2)를 감싼 형태로 설치되어 성토부층을 형성한 후에는 성토부층의 후방으로 배면 토사(40)를 다짐·성토한다. 이 때, 후술하는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1차 토목섬유(20)를 연장하여 배면 토사(40)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way, the reference frame 30 is install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lowermost end 12,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0 and 21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wrapping the filling material (2) to form the fill layer after filling The back soil 40 is compacted and piled up behind the sublay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extend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to be embedded in the rear soil sand 40, as shown in Figure 5a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전면벽체(110)와 배면 토사(40) 사이에 성토부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성토부층은 기준틀(3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1·2차 토목섬유(20, 21)가 채움재(2)를 감싼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 단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성토부층은 1차 토목섬유(20), 기준틀(30), 2차 토목섬유(21) 및 채움재(2)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복합적인 구조를 이루며, 서로 간의 마찰과 그로 인한 전단력 증가 및 수직·수평 응력에 대한 안정적 거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ront wall 110 and the back soil sand 40 as described above, the fill layer is supported by the reference frame 30, so the primary and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0, 21 are filled with Form (2) can be kept constant, thereby strengthening the overall intelligence. That is, the fill layer is composed of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the reference frame 30, the second geosynthetic fiber 21 and the filler material (2)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mplex structure, the friction between each other and the resulting shear force It is an effect that enables stable behavior against increase and vertical and horizontal stresses.

도 5a 내지 도 5c에는, 후속하여 성토부층을 적층하여 성토부(120)를 시공하고, 그 전면으로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시공하여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100)을 완성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보듯이,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를 설치하고, 그 배면으로 성토부층을 형성한 후에는, 새로운 성토부층을 적층하여 시공한다. 이때, 1차 토목섬유(20), 기준틀(30) 및 2차 토목섬유(21)를 설치하여 새로운 성토부층을 시공하는 과정은 최하단부(12)의 배면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성토부층의 경우와 같으나, 2층 이상의 성토부층을 시공할 때에는 최하부에 위치한 성토부층과는 달리, 1차 토목섬유(20)의 길이가 반드시 성토부층의 상면을 감쌀 정도로 길 필요는 없으며, 상기 성토부층의 바닥을 감싸는 정도의 길이로만 포설되거나 또는 성토부층의 전면을 감쌀 수 있는 길이 정도로만 포설되어도 무방하다. 즉, 최하단의 성토부층은, 1차 토목섬유(20)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최하단의 성토부층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전단파괴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토목섬유의 사용량을 최소화기 위하여 최하단 이후에 적층되는 성토부층에서는, 1차 토목섬유(20)가 성토부층의 바닥 또는 바닥과 전면만 감싸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5A to 5C, the filling layer 120 is subsequently stacked to construct the filling portion 120, and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is construct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o complete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 section is shown showing the process step by step. As shown in FIG. 5A, after the lowest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is provided, and a fill lay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 new fill layer is laminated and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ew fill layer by installing the first geotextile 20,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 geotextile 21 is the same as the case of the fill layer alread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12 When constructing more than two layers, the length of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long enough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 layer, unlike the fill layer located at the bottom. It may be installed only in the length of or to the extent that can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l layer. That is, the bottom fill layer is preferred to ensure sufficient length of the primary ground fiber 20 so as to cover the entire bottom fill layer so that it is sufficiently resistant to shear failure, but minimizes the amount of civil fiber used. In order to cover the bottom layer after the bottom end,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may cover only the bottom or bottom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 layer.

도 5b에는 성토부층을 시공 높이까지 차례로 적층하여 성토부(120)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도 5b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거푸집(60)을 설치하여 전면벽체(110)의 상부를 일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 portion 12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ll layer to a construction height, and in FIG. 5C, the form 60 is installed after the step shown in FIG. 5B.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ollectively constru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wall 110 is shown.

본 발명에서는 성토부층을 단계적으로 적층 시공하면서 그와 병행하여 전면벽체(110)도 단계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성토부층을 적층하여 성토부(120)를 원하는 높이까지 축조한 뒤에,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일괄 시공하여 보강토 옹벽(100)을 완성할 수도 있다. 즉, 최하단부(12) 위로 돌출된 보강 철근(13)에 전면벽체(110)의 상부(16) 내에 구비될 보강 철근(13)을 이음하여 배치한 후에 거푸집(60)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최하단부(12)와 연속하여 상부(16)를 형성하여 전면벽체(110)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벽체(110) 내부에는 보강 철근(13)이 배치되어, 벽체 자체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벽체에 발생하는 측압과 수평변위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construction of the fill layer in a step-by-step parallel to the front wall 110 may also be constructed step by step,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by stacking the fill layer layer as shown in Figure 5a and the desired height 120 After the construction up to, the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100 may be completed by collectively constructing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That is, after placing the reinforcing bar 13 to b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to the reinforcing bar 13 protruding above the bottom end 12 by placing the formwork 60 to pour concrete In order to form the upper part 16 in succession with the lower end part 12, the front wall 110 can be constructed. The reinforcing bar 13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wall 110, and the wall itself may have rigidity, thereby effectively resisting side pressure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wall.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시공할 때, 노출철근(14)을 설치하여, 상기 노출철근(14)이 성토부층에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상부(16)를 시공할 수도 있지만, 성토부층을 적층할 때, 미리 성토부층에 기준틀(30)과 일체로 체결된 노출철근(14)을 설치한 뒤에 상부(16)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노출철근(14)이 상부(16)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전면벽체(110)와 성토부층이 노출철근(14)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constructing the upper part 16 of the front wall 110, an exposed reinforcing bar 14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art 16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coupled to the fill layer. When stacking the sublayer, after installing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frame 30 in advance in the fill layer, the concre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part 16 is poured into the upper reinforcing bar 14. By embedding in th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wall 110 and the fill layer by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또한, 상기 전면벽체(110)의 상부(16) 콘크리트가 타설될 위치에 미리 배수관 등을 설치하여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공(15)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hole 15 may be formed by installing a drainage pipe or the like in advance at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is to be poured.

본 발명에서는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시멘트 밀크 등이 상기 1차 토목섬유(20) 및 2차 토목섬유(21)를 통하여 흡수되어 채움재(2) 사이에 채워짐으로써, 상기 성토부층이 더욱 견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면벽체(110)와 성토부층의 일체화가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to the site-cast concrete, cement milk, etc. of the concrete is absorbed through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 21 and filling material By filling in between (2), not only the fill layer is more firm but also the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integration of the front wall 110 and the fill layer is exerted.

또한,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와 마찬가지로, 상부(16)의 배면으로 노출철근(14)을 돌출시켜 성토부층의 기준틀(30)과 상기 노출철근(14)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constructing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as in the lowermost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protrud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6, the frame of the fill layer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30 and the exposed rebar 14 to be connected.

도 1은 종래 보강토 옹벽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최하부를 이루는 전면벽체의 최하단부와, 그 배면에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ttom portion of a front wall forming a bottom portion of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fill layer is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성토부층에 구비된 기준틀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erence frame provided in the fill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벽체의 최하단부와 그 배면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4A to 4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the bottom end portion of the front wall and the fill layer i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순서대로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를 완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a to 5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for comple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옹벽 110 전면벽체 120 성토부100 Retaining wall 110 Front wall 120 Fill

20 1차 토목섬유 21 2차 토목섬유 30 기준틀20 Primary geotextile 21 Secondary geotextile 30 Reference frame

Claims (10)

옹벽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체(110)와, 성토부층이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성토부(120)로 구성되며; A front wall 110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and a fill layer 120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back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상기 성토부(120)를 이루는 성토부층은, 전면벽체(110)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20)와, 상기 1차 토목섬유(2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110)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30)과, 상기 기준틀(30)의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21)와, 상기 2차 토목섬유(21)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fill layer forming the fill portion 120 is disposed over the rear surface and the ground of the front wall 110 to cover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ll layer, and the primary ground fiber 20 A reference frame 3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ill layer in the inner space enclosed by the second frame, a secondary geotextile 21 disposed on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ling material (2) filled in the space wrapped with the geotextile (21).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20)는 성토부층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성토부층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면 토사(40)에 매립되고;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of the fill sublayer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fill sublayer and embedded in the rear soil 40 formed at the rear of the fill sublayer; 최하부층에 배치되는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20)는 전면벽체(110)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전면벽체(110)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성토부층의 상면을 덮도록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The 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of the fill layer disposed in the lowermost layer also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110, and the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11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 layer.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면벽체(110)의 후방으로는 노출철근(14)이 돌출되어 있으며,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protruded to the rear of the front wall 110, 상기 노출철근(14)은 상기 기준틀(30)과 일체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reference frame (3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면벽체(110)에는 상기 전면벽체(110)의 뒷채움부로 유입된 물이 전면벽체(110)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벽체(110)를 관통하여 배수공(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The front wall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15 is formed through the front wall 11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ack filling portion of the front wall 110 can be drained to the front of the front wall 110.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기준틀(30)은 지면에 평행하게 놓이는 수평부(31)와,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으로 설치되는 수직부(3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 사이의 기준틀(30) 내측 각도는 예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The reference frame 3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31 plac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a vertical portion 32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the horizontal portion 31 and the vertical portion 32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frame 30 inside the acute angle.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옹벽의 전면벽체(110) 후방에 형성되는 성토부(120)의 구조로서,As the structure of the fill portion 120 formed behind the front wall 110 of the retaining wall made of concrete, 상기 성토부(120)는 성토부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The fill portion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l portion layer is sequentially stacked; 상기 성토부층은, 전면벽체(110)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20)와, 상기 1차 토목섬유(2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전면벽체(110)에 배면에 위치하여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30)과, 상기 기준틀(30)의 위에 포설되는 2차 토목섬유(21)와, 상기 2차 토목섬유(21)로 감싸인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전면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 The fill layer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and the ground of the front wall 110,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to surround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and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geotextile 20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1 installed on the reference frame 30, and the secondary geosynthetic fibers 21 A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filler (2) filled in the enclosed spac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20)는 상기 성토부층의 하단 또는 상기 전면벽체(110)의 배면을 감싸도록 포설되고,Primary geotextiles 20 of the fill lay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ll layer or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wall 110, 최하부층에 배치되는 성토부층의 1차 토목섬유(20)는 전면벽체(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전면벽체(110)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성토부층의 상면을 덮도록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전면벽체 후방의 성토부 구조.Primary geosynthetic fiber 20 of the fill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layer extends in the front wall 110 direction, and the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 wall 110 direction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 layer. A fill section structure behind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옹벽을 설치할 위치에 보강토 옹벽(10)의 기초(11)를 시공하는 단계; Constructing the foundation 11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10 in a position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상기 기초(11) 위에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를 설치하는 단계; Installing the lowest end portion (12) of the front wall (110) on the foundation (11); 성토부층의 전면과 하면을 감싸게 되는 1차 토목섬유(20)를 상기 최하단부(12)의 배면과 지면 위에 걸쳐서 포설한 뒤, 성토부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준틀(30)을 설치하고, 2차 토목섬유(21)를 상기 기준틀(30) 위에 포설한 후에 채움재(2)를 채워서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After installing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covering the front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 layer over the bottom and the ground of the bottom end 12, and installing a reference frame 30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ll layer, secondary civil engineering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2) after laying the fibers (21) on the reference frame (30) to form a bottom fill layer; 상기 최하부의 성토부층 위로, 1차 토목섬유(20)의 배치, 기준틀(30)의 배치, 2차 토목섬유(21)의 배치 및 채움재(2)의 충진 작업을 통한 성토부층 형성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 높이가 되도록 성토부층을 적층하여 성토부(120)를 형성하는 단계; 및 On top of the bottom fill layer, by repeat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the arrangement of the reference frame 30, the second geosynthetic fiber 21 and the filling of the fill material (2) by repeating Stacking the fill layer to a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form the fill portion 120; And 상기 성토부(120)의 전면으로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 portion (120).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1차 토목섬유(20)를 전면벽체(110) 방향으로 연장시켜, 그 연장된 부분이 채움재(2)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후속하는 성토부층이 상기 최하부 성토부층의 상면에 덮인 1차 토목섬유(20) 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고; In the step of forming the bottom fill layer,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all 110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material 2 so that the subsequent fill layer is form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formed on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covered on the uppermost subsurface layer; 상기 성토부(120)를 형성하는 단계에는, 각각의 성토부층을 형성한 후에 그 후방으로 배면 토사(40)를 성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The step of forming the fill portion 120, after forming each fill portion lay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work to fill the back soil (40) to the rear; 상기 배면 토사(40)의 성토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1차 토목섬유(20)를 성토부층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된 부분이 성토부층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면 토사(40)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When carrying out the fill work of the back soil 40, the first geosynthetic fiber 20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fill layer,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soil 40 to the rear of the fill lay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o be buried.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전면벽체(110)의 최하단부(12)를 설치하는 단계에는, 상기 최하단부(12)의 후방으로는 노출철근(14)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노출철근(14)을 상기 최하단부(12) 내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고;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lowermost part 12 of the front wall 110,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installed in the lowermost part 12 such that the end of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lowermost part 12. More steps are included; 상기 최하부의 성토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에는, 상기 노출철근(14)과 기준틀(30)을 일체로 체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Forming the bottom fill layer further includes fastening the exposed rebar 14 and the reference frame 30 integrally; 상기 전면벽체(110)의 상부(16)를 형성하는 단계에는, 노출철근(14)을 설치하여 상기 노출철근(14)이 성토부층과 일체가 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Forming the upper portion 16 of the front wall 110, reinforcement so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stalling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14 is integral with the fill layer.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20070112360A 2007-11-05 2007-11-05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56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60A KR100956280B1 (en) 2007-11-05 2007-11-05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60A KR100956280B1 (en) 2007-11-05 2007-11-05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309A true KR20090046309A (en) 2009-05-11
KR100956280B1 KR100956280B1 (en) 2010-05-10

Family

ID=4085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360A KR100956280B1 (en) 2007-11-05 2007-11-05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2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385A (en) * 2017-04-12 2017-06-27 广州粤科工程建设监理咨询有限公司 A kind of armoured type lightweight doc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94B1 (en) 2010-06-09 2012-08-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l-Up Structure for Back-Area of Rigid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06671A (en) 2017-07-11 2019-01-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tructural continuatio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nd earth transitional zone
KR102019193B1 (en) * 2018-06-05 2019-09-06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914A (en) * 1990-08-28 1992-04-09 Tokyu Constr Co Ltd Structure for reinforced banking body
JP2924432B2 (en) * 1992-04-02 1999-07-26 三井石化産資株式会社 Embankment structure, forming method and forming material
JP3862667B2 (en) * 2003-04-14 2006-12-27 前田工繊株式会社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385A (en) * 2017-04-12 2017-06-27 广州粤科工程建设监理咨询有限公司 A kind of armoured type lightweight doc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280B1 (en)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004B1 (en) Retaining Wall with Panels
KR10100690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Fill-Up Structure for Back-Area of Rigid Structure
CN102966119B (en) Geogrid reinforce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7524159B (en) A kind of hybrid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KR102554314B1 (en) Structure of Self-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0956280B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84673B1 (en) Hybrid Wall for Supporting Reinforced Base of Rail Tra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70102B1 (en) Cast-in-place type top-pile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ame
KR100939311B1 (en) Prestressed qua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85423B1 (en)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KR10060388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abutment in post tensioning system
KR102369701B1 (en)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KR10046803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Anchoring
KR20090043625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using asymmetric girder
KR20090130904A (en) Framework and retaining wall using such framework
KR100919921B1 (en) Retaining Wall us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17127B1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Foundation an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028095A (en)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panel and anchor
KR101149038B1 (en)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poor subsoil by horizontal geogrid and vertical geogrid
KR101057168B1 (en) Method for reinforceing abutment back zone forbridge
KR10097627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ecological Retaining wall using pipe anchor and precast block
CN221052662U (en) Multi-stag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th composite panel
JP2007197954A (en)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0884391B1 (en) Abreast wall having enhanced supply function on the top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3321826A (en) Earthquake resisting property reinforced structure of levee body such as earth filling dam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