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01B1 -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9701B1 KR102369701B1 KR1020200029845A KR20200029845A KR102369701B1 KR 102369701 B1 KR102369701 B1 KR 102369701B1 KR 1020200029845 A KR1020200029845 A KR 1020200029845A KR 20200029845 A KR20200029845 A KR 20200029845A KR 102369701 B1 KR102369701 B1 KR 102369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backfill
- deformation
- buffer
- integr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뒤채움과 완충부를 선시공하고, 구조물의 측벽부와 상판을 후시공하는 구조물 접속부 시공에 있어, 뒤채움과 상기 구조물 측벽부와 상판 사이의 완충부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구조물 접속부의 측벽과 완충부를 분리시킴으로서, 완충부의 효과적인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며, 연직방향으로 함께 완충부가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뒤채움; 상기 뒤채움과 완충부의 양 측방으로 형성된 측벽; 및 상기 뒤채움의 전면에 일체화된 측벽부와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단부와 서로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backfill and the buffer part are pre-constructed, and the side wall part of the structure and the top plate are post-constructed, the buffer part between the backfill and the structure side wall part and the top plate more effectively absorbs the de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By separating the side wall and the buffer of the buffer,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effectiv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ettlement reduction of the buffer par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nd the backfill formed so that the buffer part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idewal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fill and buffer; and a structure including a side wall unit and a top plat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side w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형흡수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뒤채움과 완충부를 선시공하고, 구조물의 측벽부와 상판을 후시공하는 구조물 접속부 시공에 있어, 뒤채움과 상기 구조물 측벽부와 상판 사이의 완충부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구조물 접속부의 측벽과 완충부를 분리시킴으로서, 완충부의 효과적인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reducing settling by strain absorp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backfill and the buffer part are pre-constructed, and the side wall part and the upper plate of the structure are post-constructed, the backfilling and the above-mentioned It relates to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buffer part by separating the buffer 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while more effectively absorbing the de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 by the buffer part between the side wall part of the structure and the top plat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도 1a는 종래 교량구조물의 교량접속부 시공도이다. 1A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bridge connection part of a conventional bridge structure.
즉, 철도가 통행하는 교량구조물에 있어 교량받침과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That is, the construction diagram shows a state in which a bridge bearing and an expansion joint device are installed in a bridge structure through which railroads pass.
이때 상기 교량받침은 거더와 교량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고, 신축이음장치는 교대부와 거더 단부 사이에 각각 별도 시공된다.At this time, the bridge bea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bridge substructure, and the expansion joint device is separately constructed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end of the girder.
이에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에 의한 초기 건설비와 유지관리비의 과다 소요될 수 밖에 없고,Accordingly,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due to expansion joint devices and bridge bearings are inevitably excessive.
콘크리트교 등 교량구조물의 경간장 증가 시 온도 및 열차 종방향 시제동하중 증가에 따른 교량접속부 응력이 증가할 수 밖에 없고, 나아가, 교량받침에서의 과도한 응력 발생하기 때문에 교대기초에 시공되는 말뚝기초 등 교대 기초에 과도한 하중 전달로 기초 건설비용 증대할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When the span length of a bridge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bridge increases, the stress at the bridge connection part inevitably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and the longitudinal braking load of the train. It can be seen that the cost of foundation construction is inevitably increased due to excessive load transfer.
도 1b는 종래 라멘구조물에서의 교량접속부 시공도이다.1b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bridge connection part in a conventional Ramen structure.
이와 같이, 상판과 측벽부가 서로 일체화 시공되는 라멘구조물(50)은 교량접속부(20)와 토공부(10)에서 측벽부(41)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에는 측벽부과 상판이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 수평변위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상판으로부터의 온도 및 교통하중에 의하여 사용 중 다양한 변형모드를 경험하게 되어 상기 라멘구조물 (50)의 측벽부(51) 역시 역시 비대하게 설계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됨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또한, 종래 측벽부(41)을 선시공하고 뒤채움(10)을 후시공하는 교량접속부 시공 순서로는 측벽부(41)은 강성체인 철근콘크리트, 뒤채움(10)은 시멘트 처리된 자갈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재료의 압축성의 큰 차이로 인하여 침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nection part in which the conventional
도 1c 및 도 1d는 종래 강성 구조체인 교량구조물의 측벽부과 토공부 사이의 교량접속부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시공도를 예시한 것이다.1c and 1d illustrate a reinforcement construction diagram for preventing subsidence of the bridg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earthwork part and the side wall part of a bridge structure, which is a conventional rigid structure.
즉, 강성 구조체인 교량의 측벽부(30)이 시공될 위치의 후방에서 토공부(10)의 선침하를 유도하기 위하여 토공부(10)를 먼저 형성하고;That is, the
상기 토공부(10)의 경사면(좌측)에는 상기 교량의 측벽부(21)의 배면에 접하게 될 수직부와 지면에 나란한 수평부로 구성된 보강재(22)를 설치하고, On the inclined surface (left side) of the
상기 보강재(22)의 수평부 상면으로는 토목섬유(23)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섬유(23)의 상면은 채움재(24)로 채워 접속부층(21)을 형성하며;a
상기 접속부층(21)은 보강재(22) 설치, 토목섬유(23)의 포설 및 채움재(24)의 충진 작업을 반복하여 측벽부(30)의 높이가 되도록 적층하여 교량 접속부(20)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때, 도 1d와 같이, 보강재(22)의 수직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철근(25)을 상기 보강재(22)에 연결 설치하며,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d, the exposed
상기 노출철근(25)이 상기 측벽부(30)에 매립되도록 측벽부(3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측벽부(30)가 상기 교량 접속부(20)와 일체가 되도록 한 것이다.By installing a formwork (not shown) for the formation of the
이에 교량 접속부(20)와 토공부(10)를 먼저 시공하여 잔류침하를 수렴시킨 후 측벽부(30)를 연결 시공하여 부등침하를 최소화함으로서 이동하중이나 기타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 구조체 접속부의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이에 교량 접속부(20)와 토공부(10)를 먼저 시공하는 공법으로 교량 접속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교량 접속부(20)에서 측벽부(30)으로 가해지는 수평토압, 지진하중등에 의한 신축(수평변형, 변위)가 고려되지 않아 실제 측벽부(30) 단면은 단면이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Accordingly, although the
이에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의 상판, 거더, 교대부로터 전달되는 변형을 완충부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량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량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uffer part to more effectively absorb the de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the girder, and the abutment of the bridge structur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install an expansion joint installed on the bridge structure, thereby constructing a faster and more economical bridge structure. It is a technical task to solve the structural connection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absorb deformation and reduce settl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완충부를 구조물 접속부의 측벽과 분리(비일체화)시켜 완충부의 변형을 보다 월활하게 함으로서 완충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침하저감에 효과적인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buffer part by separating (non-integrating) the sidewall of the buffer 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to make the deformation of the buffer part smoother, and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that can effectively absorb deformation and reduce settlement and its construction Provide a method a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또한, 상기 완충부는 구조물 접속부의 측벽을 이용하여 교량구조물의 측벽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교량구조물이 변형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완충부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변형흡수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part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part of the bridge structure by using the side wall of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bridge structure can respond more efficiently to de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buffer part construction. It is a technical task to solve the provis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또한, 완충부와 완충부 후방의 뒤채움은 서로 다른 재료적 구성으로 시공함으로서 교량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buffer part and the backfilling of the buffer part with different material configurations, it is a technical solution to provide a structural connection part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lateral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make it a task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은, 연직방향으로 함께 완충부가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뒤채움; 상기 뒤채움과 완충부의 양 측방으로 형성된 측벽; 및 상기 뒤채움의 전면에 일체화된 측벽부와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단부와 서로 연결된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뒤채움의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완충부는 구조물의 교대부와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되, 상기 뒤채움는 측벽과 일체화되고, 상기 완충부와는 분리되도록하여 완충부가 구조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모두 흡수하도록 하게 된다.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 backfill formed so that the buffer part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idewal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fill and buffer; and a structure that includes a side wall part and a top plat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wall, and a buffer part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is delivered from the alternating part of the structure and the top plate To absorb the deformation due to the load, the backfill is integrated with the sidewall and separated from the buffer so that the buffer absorbs both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eformations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교량구조물의 상판, 교대부, 거더를 일체화 하여 교량구조물과 구조물 접속부 침하저감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settlement reduc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are improved by integrating the upper plate, abutment part, and girders of the bridge structure.
또한, 구조물 접속부의 측벽과 뒤채움, 완충부의 분리 및 일체화를 통해 교량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완충부 제공이 가능한 완충부의 변형이 용이한 구조물 접속부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lateral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through the sidewall and backfilling of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and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buffer part. will do
또한,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에 의하면 교량구조물의 교대부에 있어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완충부가 흡수해주기 때문에 교대부와 교대부기초의 슬림화가 가능하여 공사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expansion joint device in the abutment part of the bridge structure, and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eformations are absorbed by the buffer p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making it possible to slim the abutment part and the abutment part foundation.
도 1a는 종래 교량구조물의 교량접속부 시공도,
도 1b는 종래 라멘구조물에서의 교량접속부 시공도,
도 1c 및 도 1d는 종래 강성 구조체인 교량구조물의 측벽부과 토공부 사이의 교량접속부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의 시공개념도 및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의 순서도 및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a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bridge connection part of a conventional bridge structure;
1b is a construction view of a bridge connection part in a conventional Ramen structure;
1c and 1d are reinforcing construction diagrams to prevent subsidence of the bridg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ide wall part and the earthwork part of a bridge structure, which is a conventional rigid structure;
Figures 2a and 2b is a construction conceptual diagram an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a flow chart and construction diagram of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100)의 시공개념도 및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show a construction conceptual diagram and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먼저, 상기 구조물 접속부(100)는 예컨대, 도로, 철도를 횡단하는 교량구조물(20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교량구조물(200)과 접속되는 뒤채움(110)을 포함하는 토공부 사이의 경계구간을 의미한다.First, the
또한, 구조물 접속부(100)에서 도 2a와 같이, 교량구조물(200)과 뒤채움(110) 사이에는 완충부(120)가 시공되며, 상기 완충부(120)와 뒤채움(110)은 서로 종방향으로 일체화 시공되도록 하되 양 측방(횡방향)으로 측벽(140)이 시공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a in the
또한, 상기 완충부(120)는 도 2b와 같이, 교량구조물(200)의 측벽부(210)와 상판(220)이 일체로 시공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고, 연결재(24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키게 되며, 완충부(110)는 교량구조물(200)의 온도하중, 열차하중등에 의한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측벽(140)은 도 2b와 같이, 완충부(120)와 뒤채움(110) 양 측방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수용하도록 하고, 교량구조물의 측벽부(210)와 서로 측방연결재(141)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 the
이에 상기 교량구조물(2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 측벽부(210) 상부 내측 사이에 상판(220)이 일체화 시공되며 상판(220)은 슬래브로서 상면에 포장층이 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러한 교량구조물(2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콘크리트로 시공하기 때문에 온도에 의하여 종방향 및 횡W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변형은 도 1a를 참조하면 주로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에 의하여 상쇄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since the
하지만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은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을 설치하지 않고,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온도에 의한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후술되는 완충부(120)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bridge bearing require a lot of maintenance cos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bridge support, and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due to the temperature of both
이로서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200)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교량구조물의 단면을 슬림화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교량구조물(200)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측벽부(2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일종의 수직판 구조물로서 현장타설콘크리트등에 의하여 시공 될수 있으며 측벽부(210) 사이에는 교각부가 적어도 1개 이상 일체로 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first, the
다음으로 상판(220)은 상면에 포장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양 측벽부(210) 상부 내측 사이에 일체로 시공되도록 하게 된다.Next, the
이에 상기 교량구조물(200)은 온도하중, 교통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 배면에 일체화시공된 구조물 접속부(100)의 완충부(120)를 이용하여 흡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구조물 접속부(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뒤채움(110), 완충부(120), 기준틀(130), 측벽(140)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먼저, 상기 뒤채움(11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 배면(A)쪽으로 연직방향으로 자립성토 되도록 시공된 것으로서, 양 측벽부(210) 배면(A)으로부터 이격되어 완충부(120)가 양 측벽부(210) 배면(A)과 뒤채움(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시공되는 토공체이다.First, the
이러한 뒤채움(110)은 일정한 높이를 가진 토공체이기 때문에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토압에 저항하면서 연직 자립을 위해 보강재(111)를 이용하여 측벽부(210) 배면(A)과 이격되어 연직 자립되도록 시공하게 된다.Since this
이때 상기 뒤채움(110)이 양 측벽부(210) 배면(A)쪽에 연직으로 자립성토되도록 시공하는 이유는 뒤채움(110)을 양 측벽부(210)보다 먼저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시 자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뒤채움(110)의 자립 및 연직도 향상 및 완충부(120)를 함께 시공하기 위하여 보강재(111)를 이용하여 전면부(B)를 보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constructing the
이러한 뒤채움(110)은 시멘트 처리된 토사 또는 자갈을 일정높이 포설, 다짐하여 적층시켜 가면서 일정한 높이(H)로 시공하게 되는데 1회 적층 시 마다 상면에 보강재(111, 지반보강용 지오그리드등)를 포설하여 다수 적층된 뒤채움(110)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This
이에 상기 뒤채움(110)은 양 측벽부(210)의 배면(A) 쪽으로 연직으로 자립성토 되도록 하되, 양 측벽부(210)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판(220)까지 연직으로 자립된 저면폭이 상면폭 보다 큰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시공되며 보강재(111)도 다층으로 시공되며, 작용 토압에 대응하여 상부로 갈수록 수평 연장길이가 짧아지도록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시멘트 처리되어 후술되는 측벽(140)과 서로 구속되기 때문에 측벽 내측에서 변형을 흡수하는 완충부(12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벽(140)과 접하는 부위는 뒤채움(110)이 일체화되지만, 후술되는 완충부(120)는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되므로 완충부(120)의 횡방향 변형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cemented and is constrained with the
다음으로 상기 완충부(12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뒤채움(110)과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 배면(A) 사이에 연직으로 형성된 공간(S)에 형성되도록 하되, 뒤채움(110)의 전면부(B)에 함께 연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기준틀(130)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S)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Next, the
이러한 완충부(120)는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하중, 온도하중등에 의한 양 측벽부(210)의 변형을 흡수하면서, 뒤채움(110) 시공에 의하여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지진하중등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이 부담하는 토압, 하중을 감소시켜 단면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이러한 완충부(120)는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지 않고, 교량구조물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즉,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 배면과 뒤채움(110) 사이에 토사 또는 자갈연직층인 완충부(120)를 형성시켜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 배면 쪽 신축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between the
또한, 시멘트 처리되지 않게 되어 후술되는 측벽(140)과도 서로 구속되지 않으면서 측벽 내측에 수용되기 때문에 교량구조물(200)의 횡방향 변형이 발생함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treated with cement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side wall without being constrained to each other with the
이에 본 발명과 달리 상기 완충부(120)를 두지 않게 되면 종래와 같이 상기 신축에 저항하는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을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단면강성 확부를 위한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교량구조물 시공비용과 품질관리가 어려워지게 되므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완충부(120)를 뒤채움(110)과 함께 시공하게 된다.Therefore, unlike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또한 보강재(111)는 도 2b와 같이, 뒤채움(110)의 적층 상면과 완충부(120)의 저면에 포설되도록 하면서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배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뒤채움(110)과 완충부(120)의 측면을 감싸도록 ㄷ자 형태로 배치시키게 되며, 상기 뒤채움(110), 완충부(120)와 보강재(111)의 배치 위치를 사전에 표시하여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기준틀(130)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이에, 상기 기준틀(13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내부철근(230)과 연결시켜 외부로 노출시킨 수평연결재(240)에 연결된 ㄴ자형태의 철근망을 이용하면 되는데, 수직부가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배면에 접하도록 하고, 수평부가 완충부(120)쪽으로 연장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rame of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면에 보강재(111)를 포설하고, 완충부(120)를 적층한 후, 뒤채움(110)도 함께 적층하고, 수직부를 기준으로 뒤채움(110)과 완충부(120)의 측면을 감싸 보강재(111)가 완충부(120) 상면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ㄷ자형태의 보강재로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fter laying the reinforcing
이러한 기준틀(130)은 교량구조물(200)의 양 측벽부(210)와 상판(220) 배면에 1층의 뒤채움(110)과 완충부(120)와 보강재(111)를 시공함에 있어 사용되므로 다층으로 설치되며 도 1d와 같은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This frame of
다음으로 상기 측벽(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뒤채움(110)과 완충부(120)가 양 측방으로 접하도록 하면서 뒤채움(110)과 완충부(120)가 내측에 수용하도록 하는 벽체로 형성된다. 구조물 접속부(100)를 감싸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수직벽체로서 뒤채움(110)과는 일체화되고, 완충부(120)와는 분리되도록 하여 완충부(120)가 교량구조물(200)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특히, 상기 측벽(140)은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배면 외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L형 형강과 같은 측벽연결재(141)을 이용하여 위치 세팅되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수직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는 예측하지 못한 지진하중등에 의한 충격등에 있어 보강수단의 역할을 함으로서 보아 안정적인 구조물 접속부(100)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stable
[ 본 발명의 변형흡수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 ][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reducing deformation absorption sett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변형흡수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100) 시공방법의 시공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3a and 3b show a construction flow diagram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상기 구조물 접속부(100) 시공은 도 3a와 같이, 뒤채움(110)과 완충부(120) 및 측벽(140)을 선시공하여 발생된 침하를 수용하면서, 측벽부(210)를 기준틀(130)을 이용하여 완충부(120)에 연결시키는 후시공을 하게 되며, 측벽부(210) 상부 내측 사이에 상판(220)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측벽(140)은 완충부(120)와는 분리시키고, 뒤채움(110)과는 일체화시켜 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도 3a에 의하면, 먼저 기준틀(130)을 이용하여 보강재(111)를 적층하면서, 완충부(120)와 함께 뒤채움(110)을 역시 적층 형성시키되, 최종 뒤채움(110) 상면에는 포장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뒤채움 배면도 성토층으로서 역시 함께 시공하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FIG. 3A, first, while laminating the
이에 상기 포장층 상면이 상판(220)의 상면과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하되, 양 측벽부(210)의 내부철근(230)에 연결되어 측벽부(210)와 상판(220) 배면(A) 사이에 연직으로 형성된 공간(S)에 노출시킨 수평연결재(240)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완충부(120)와 측벽부(210)를 서로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시공하게 되며 최종 상판(220)은 측벽부(210) 상부 내측 사이에 일체화 시공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pavement layer is made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측벽연결재(141)를 이용하여 측판(140)과 측벽부(210) 및 상판(220)을 서로 일ㅊ화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로서 도 3b와 같이, 교량구조물(200)이 최종 완성되면 교량구조물(200)의 온도하중, 차량하중등에 의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변형(신축)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완충부(120)에서 흡수하게 되며, 구조물 접속부(100)의 침하도 완충부와 뒤채움에 의하여 보강재(111)을 통해 저감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3b , when the
이로서 교량구조물(200)에는 달리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이 설치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어 교량구조물(200)의 단면 슬림화, 측벽부(210) 기초부의 말뚝 시공과 단면 슬림화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특히 양 측벽부(210) 사이의 경간장이 증가함에 따른 변형(신축)이 증가되더라도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단면 효율성 증대로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철도차량에 의한 시제동하중에도 효과적으로 신축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even if the deformation (contraction) is increased as the span length between the both
또한, 완충부(120)의 종방향 변형과 횡방향 변형은 측벽(140)과의 분리에 의하여 달리 구속되지 않도록 하면서, 측벽(140)과 측벽부(210)를 연결시공함으로서 안정적인 시공관리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table construction management is possible by connecting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완충부의 변형이 용이한 구조물 접속부
110: 뒤채움 120: 완충부
130: 기준틀
140: 측벽 141: 측벽연결재
200: 구조물
210: 측벽부 220: 상판
230: 내부철근 240: 연결재
A : 교량구조물의 배면 B: 완충부의 전면부100: structure connection part with easy deformation of the buffer
110: backfill 120: buffer part
130: frame of reference
140: side wall 141: side wall connector
200: structure
210: side wall 220: top plate
230: internal reinforcing bar 240: connecting material
A: Back side of bridge structure B: Front part of buffer part
Claims (10)
상기 뒤채움(110)과 완충부(120)의 양 측방으로 형성된 측벽(140); 및
상기 뒤채움(110)의 전면에 일체화된 측벽부(210)와 상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140)의 단부와 서로 연결된 구조물(200);을 포함하며,
상기 뒤채움(110)의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완충부(120)는 구조물(200)의 측벽부(210)와 상판(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되,
상기 뒤채움(110)은 측벽(140)과 일체화되고, 상기 완충부(120)와는 분리되도록하여 완충부(120)가 구조물(200)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모두 흡수하도록 하며, 상기 측벽(140)은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배면 외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L형 형강을 포함하는 측벽연결재(141)을 이용하여 위치 세팅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Backfill 110 formed so that the buffer unit 120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idewalls 1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fill 110 and the buffer unit 120; and
It includes a structure 200 that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210 and a top plate 220 integr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110,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ide wall 140 with each other;
The buffer part 120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110 absorbs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ide wall part 210 and the top plate 220 of the structure 200,
The backfill 110 is integrated with the side wall 140 and separated from the buffer unit 120 so that the buffer unit 120 absorbs both longitudinal and lateral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200, and the side wall 140 is a structure connecting portion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ing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rear of the side wall portion 210 and the upper plate 220 so as to be positioned using a side wall connecting member 141 including an L-shaped steel.
상기 완충부(120)는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지 않고, 교량구조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unit 120 is
By using cement-free soil or gravel so that it can be deformed by horizontal force and load, the constituent particles are bound to each other and do not act as a rigid body, and th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ettlement to absorb longitudinal and lateral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Structural connections that can be reduced.
상기 측벽(140)은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구속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도록 하여 구조물 접속부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140 is
By using soil or gravel that uses cement to restrain deformation by horizontal force and load, the constituent particles bind to each other and act as a rigid body to absorb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connecting part.
상기 완충부(120)는
뒤채움(110)와 구조물(200)의 측벽부와 상판의 배면(A) 사이에 연직으로 형성된 공간(S)에 형성되도록 하되, 뒤채움(110)의 전면에 함께 형성되도록 기준틀(130)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S)에 위치하도록 형성시키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The method of claim 1,
The buffer unit 120 is
To be formed in the space (S)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backfill 110 and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tructure 200 and the back surface (A) of the upper plate, the frame of reference 130 is formed together on the front side of the backfill 110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ing that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space (S) by using it.
(b) 상기 뒤채움(110)과 완충부(120)의 양 측방으로 형성된 측벽(140)을 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뒤채움(110)의 전면에 일체화된 측벽부(210)와 상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140)의 단부와 서로 연결된 구조물(20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뒤채움(110)의 전면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완충부(120)는 구조물(200)의 측벽부(210)와 상판(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되, 상기 뒤채움(110)는 측벽(140)과 일체화되고, 상기 완충부(120)와는 분리되도록하여 완충부(120)가 구조물(200)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모두 흡수하도록 하며, 상기 측벽(140)은 측벽부(210)와 상판(220)의 배면 외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L형 형강을 포함하는 측벽연결재(141)을 이용하여 위치 세팅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a) constructing the backfill 110 formed so that the buffer unit 120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 constructing sidewalls 1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fill 110 and the buffer unit 120; and
(c) including the side wall portion 210 and the top plate 220 integr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110, and constructing a structure 20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wall 140 with each other; and ,
The buffer part 120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fill 110 absorbs deformation due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ide wall part 210 and the top plate 220 of the structure 200, but the backfill 110 ) is integrated with the sidewall 140 and separated from the buffering part 120 so that the buffering part 120 absorbs both longitudinal and lateral deformations of the structure 200, and the sidewall 140 is a sidewall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nection part for a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ing so that the part 210 and the upper plate 220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and set the position using the side wall connection member 141 including an L-shaped steel.
상기 (a)단계의 완충부(120)는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지 않고, 교량구조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buffer unit 120 of step (a) uses soil or gravel that does not use cement to be deformable by horizontal force and load, so that the constituent particles are bound to each other and do not act as a rigid body,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structure and a structural connection part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ing to absorb lateral deformation.
상기 (b)단계의 측벽(140)은 수평력 및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구속되도록 시멘트를 사용하는 토사 또는 자갈을 이용함으로서, 구성 입자들이 서로 결속되어 강성체로 작용하도록 하여 구조물 접속부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de wall 140 in step (b) uses soil or gravel using cement so that deformation is constrained by horizontal force and load, so that the constituent particles are bound to each other and act as a rigid body to absorb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connec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nection part for a structure that can absorb deformation and reduce settling.
상기 (c) 단계의 구조물(200)은 측벽부(210)와 상판이 서로 일체로 형성된 교량구조물로 시공되는 변형흡수 및 침하저감이 가능한 구조물 접속부 시공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ucture 200 of step (c) is a structure connection part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absorbing deformation and reducing settlement in which the side wall part 210 and the upper plate are constructed as a bridge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45A KR102369701B1 (en) | 2020-03-10 | 2020-03-10 |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45A KR102369701B1 (en) | 2020-03-10 | 2020-03-10 |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4296A KR20210114296A (en) | 2021-09-23 |
KR102369701B1 true KR102369701B1 (en) | 2022-03-04 |
Family
ID=7792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845A Active KR102369701B1 (en) | 2020-03-10 | 2020-03-10 |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97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2385B1 (en) * | 2021-10-22 | 2023-08-0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Protrusive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CN115217026B (en) * | 2022-07-28 | 2023-03-14 | 石家庄铁道大学 | Integral flexible abutment and abutment-roadbed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1452A (en) * | 2006-06-01 | 2007-12-13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its bridg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1004B1 (en) | 2008-02-29 | 2010-07-2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using a wall panel and a rigid wall structure |
KR101006900B1 (en) * | 2008-06-16 | 2011-01-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nstruction method of backf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rigid structure |
KR101177394B1 (en) * | 2010-06-09 | 2012-08-2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Fill-Up Structure for Back-Area of Rigid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175098B1 (en) | 2011-10-25 | 2012-08-21 | 주식회사 한화건설 | Fill-up structure for back-area of rigid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896403B1 (en) * | 2016-08-16 | 2018-09-07 | 한국토지주택공사 | Integral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90006671A (en) * | 2017-07-11 | 2019-01-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tructural continuatio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nd earth transitional zone |
-
2020
- 2020-03-10 KR KR1020200029845A patent/KR1023697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1452A (en) * | 2006-06-01 | 2007-12-13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its bridg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4296A (en) | 2021-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690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ackf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rigid structure | |
KR100971004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using a wall panel and a rigid wall structure | |
KR101507523B1 (en) | Slab track structure for railway with lattice approach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20190006671A (en) | Structural continuatio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and earth transitional zone | |
KR102369701B1 (en) |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
KR102097122B1 (en) | Precast mold for platform on piles system and concrete slab track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653606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integral abutment bridge | |
KR10206370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he rahmen bridge using reinforced wall and approach slab | |
CN111705576A (en) | A steep-slope and high-fill roadbed structure using high-density EPS fillers | |
KR101198286B1 (en) |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20210007420A (en) | Intergrated structure transitional zone using damping se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CN104213500B (en) | Based on the jointless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arrange domes after platform | |
KR101973657B1 (en) | Inverted Arcuate Structure to prevent Lateral Flow of the Bridge Abutments and Repa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56280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rigid soil structure behind retaining wall using rigi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562385B1 (en) | Protrusive transitional zone available deformation absorption and subsidence redu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
JP4987828B2 (en) | Rapid restoration method for damaged embankments using large sandbags and bar reinforcement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102377895B1 (en) | Hinge-type abutment embankment transition for monent reduction and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733110B1 (en) | Roadbed reinforcement stiffnes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 |
KR102562383B1 (en) | Bridge abutment embankment transition for horizontal earth pressure reduction and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CN212983933U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fferential settlement of roadbed at edge of linear underground structure | |
KR10202748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he rahmen bridge using facing of geosynthetics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 |
CN210315650U (en) | Anchor rod reinforced composite retaining wall | |
KR20090130904A (en) | Reinforcement frame to improve compaction, Retaining wall with backfill reinforcement structure | |
KR102490879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H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3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