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980A -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980A
KR20090044980A KR1020080046733A KR20080046733A KR20090044980A KR 20090044980 A KR20090044980 A KR 20090044980A KR 1020080046733 A KR1020080046733 A KR 1020080046733A KR 20080046733 A KR20080046733 A KR 20080046733A KR 20090044980 A KR20090044980 A KR 2009004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goods
digital
site
goods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414B1 (ko
Inventor
양진호
Original Assignee
양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554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4498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진호 filed Critical 양진호
Priority to PCT/KR2009/0002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42379A1/ko
Publication of KR2009004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 사이트에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게재하고, 해당 타 사이트가 활성화될 때 실시간으로 저작물의 거래를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이 제공하는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에서, 저작권이 등록되지 않고 판매되던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부여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저작권의 부여에 따른 디지털 상품 가격, 수수료 요율 등의 판매정책의 변화를 적용하는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46733
인터넷 디지털 상품 판매; 인터넷 디지털 상품 판매

Description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A Method for Assigning Copyright to Digital Goods and Applying New Selling Policy to Digital Goods}
도 1 은 종래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홍보 방법의 일 실시 형태.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디지털 상품 쇼핑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지.
도 3 은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될 HTML 코드를 생성하고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HTML 코드.
도 4 는 타 사이트에 삽입되는 HTML 코드의 일 실시예.
도 5 는 동적으로 DB를 조회하고, 선택된 필드를 가져오는 웹페이지의 일 예.
도 6 은 타 사이트에 디스플레이 되는 판매용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의 일 실시예.
도 7 은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 구현된 관심 분양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의 일 실시예.
도 8 은 인터넷 쇼핑몰 내의 DB에서 조회될 필드의 선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을 위한 전체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중계를 위한 각 주체를 기준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업체의 저작권 등록의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업체, 소비판매자 및 소비자들이 서로 연관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거래 사이트에서 저작권이 미적용된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거래 사이트에서 저작권이 미적용된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거래 사이트에서 판매정책의 변경에 따라 디지털 상품에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을 적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 사이트에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게재하고, 해당 타 사이트가 활성화될 때 실시간으로 저작물의 거래를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이 제공하는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에서, 저작권이 등록되지 않고 판매되던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부여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저작권의 부여에 따른 디지털 상품 가격, 수수료 요율 등의 판매정책의 변화를 적용하는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은 사용자들이 직접 상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회사의 컴퓨터 또는 집에 있는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으로 상품을 선택하고, 주문, 결제 및 배송까지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쇼핑 시간이 절약되고, 손쉽게 여러 가지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등 많은 잇점이 있다. 이러한 잇점에 힘입어 많은 인터넷 쇼핑몰이 생겨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넷 쇼핑몰 사이의 경쟁이 심화되어 경쟁력이 약한 인터넷 쇼핑몰이 도태되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쇼핑몰은 다른 많은 인터넷 쇼핑몰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방안의 일부로서 상품 가격을 최소화하고, 배송을 편리하게 하고, 가입자 유치를 위한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를 다른 방송 매체에 홍보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중에서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자사의 인터넷 쇼핑몰을 홍보하는 것인데, 홍보 방법으로는 라디오나 TV 등의 대중 매체를 이용하거나, 야후나 구글 등의 포탈 사이트에 홍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을 홍보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인터넷 쇼핑몰 외의 타 사이트에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상품을 링크 버튼 방식으로 홍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운영되는 종래 상품 페이지 이미지 링크 버튼 방식의 대표적인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쇼핑몰은 해당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상품에 대한 이미지(10)와 해당 상품을 설명하는 간단한 텍스트 문장(12)을 하나의 이미지 버튼(14)으로 변환한 후, 생성된 이미지 버튼과 버튼을 클릭할 때 연결되는 웹 페이지 링크 주소를 포함한 URL 형태로 임시공간(50)에 저장된다. 저장된 디지털 상품 페이지 홍보 URL을 회원이 복사하여 타 사이트 웹페이지(200) 상의 인터넷 공간에 노출시키고, 디지털 상품 페이지 이미지 링크 버튼(14)을 누군가 클릭하게 되면 이미지 버튼에 포함된 디지털 상품 페이지로 링크해 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페이지 방문을 위한 웹페이지 링크 주소만을 가지고 있는 종래 이미지 링크 버튼(14) 방식은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에게 단편적인 이미지 정보만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특정 웹 페이지의 방문을 유도하기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이미지 링크 버튼 방식은 해당 상품의 현재 판매 여부, 가격 변동, 재고의 수량 등 그 어떠한 상품과 직접적인 구매 관련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상품 홍보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홍보 방법은 타 사이트에 링크된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홍보하고 이를 클릭할 경우 해당 인터넷 쇼핑몰으로의 가입을 유도하는 방식으로서 해당 인터넷 쇼핑몰 가입자를 유치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상품의 판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가공하여 인터넷 공간에 판매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페이지가 액세스(액세스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마우스 버튼 클릭 혹은 키보드의 임의 키를 입력받았을 때 웹 페이지 접근 하거나, 웹 페이지의 새로고침을 진행하였을 경우 해당 페이지를 다시 출력할 때를 의미하기도 한다.)될 때마다 상기 인터넷 쇼핑몰 데이터베이스(DB)와 실시간 연동하여 액세스 발생 시점의 최신 쇼핑몰 데이터베이스(DB)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소비자가 구매에 필요한 실시간 정보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상품 구매가 진행되는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은, 다수 개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DB, 다수 개 디지털 상품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지털 상품 DB 및 디지털 상품을 공급하는 소비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소비판매자 DB 를 구비하고 인터넷상으로 디지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에서 해당 디지털 상품의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의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제공될 상기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DB 내의 필드를 선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필드를 동적으로 조회하는 웹페이지 및 디지털 상품 메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될 HTML 코드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상기 타 사이트로부터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받는 제 3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DB를 조회하고, 상기 DB로부터 상기 필드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상기 타 사이트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실시간으로 상기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내의 DB 내용을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제공하고,
상기 저작권 DB 에 저장되는 디지털 상품의 저작권 정보는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의 행사권한을 가지는 저작권업체에 의해 저장되고,
상기 소비판매자는 디지털 상품을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에 업로드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상품이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와 연계된 저작권 DB 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저작물인지를 먼저 확인하여, 등록저작물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상품을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 2 단계의 HTML 코드에는 상기 타 사이트 웹페이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하는 명령어가 구비되고,
상기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타 사이트 웹페이지의 폭 크기가 상기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의 폭 크기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계가, 변수를 정의하는 제 2-1 단계; 상기 변수에 상기 타 사이트에 제공할 HTML 코드를 저장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변수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타 사이트 운영자 시스템의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2-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정보에는 디지털 상품 코드가 포함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은, 다수 개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작권 DB, 다수 개 디지털 상품의 파일 저장하는 디지털 상품 DB 및 디지털 상품을 공급하는 소비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소비판매자 DB 를 구비하고 인터넷상으로 디지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에서 해당 디지털 상품의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으로서,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상품을 소개하는 웹페이지로서,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상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HTML 형태로 삽입하기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을 구비하는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지를 구비하고,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제공될 상기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DB 내의 필드를 선정하고, 상기 필드를 동적으로 조회하는 웹페이지 및 디지털 상품 메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될 HTML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클립보드에 복사하고,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상기 타 사이트로부터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받고,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DB를 조회하고, 상기 DB로부터 상기 필드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상기 타 사이트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실시간으로 상기 저작물중계 거래사이트 내의 DB 내용을 상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제공하고, 상기 저작권 DB 에 저장되는 디지털 상품의 저작권 정보는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의 행사권한을 가지는 저작권업체에 의해 저장되고,
상기 소비판매자는 디지털 상품을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에 업로드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상품이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와 연계된 저작권 DB 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저작물인지를 먼저 확인하여, 등록저작물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디지털 상품을 상기 저작권중계사이트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용어의 정의
-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 인터넷상으로 디지털 상품 (컴퓨터 파일화된 영화, 음악 등이 해당됨) 을 소개하거나 또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공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타 사이트 : 출원인이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외의 다른 사이트를 총칭한다.
- 디지털 상품 코드 :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에서 취급되는 여러 개의 디지털 상품들 중에서 개별적인 디지털 상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 코드를 의미한다.
- 회원 코드 : 인터넷 디지털 상품 쇼핑몰 시스템상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을 개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원 간의 식별 코드를 의미한다.
-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서 분양 중인 디지털 상품 중에서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서 판매하기 위해 제공되는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 디지털 상품 메타 정보 : 타 사이트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디지털 상품이 지닌 본질적인 성질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조화 또는 부호화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MP3 파일을 재생하면 노래 제목, 가수, 앨범 제목 등이 MP3 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러한 정보가 해당 MP3에 대한 메타정보인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타 사이트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해당 디지털 상품의 이미지뿐인데 해당 HTML에는 그 디지털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 마이 페이지 : 인터넷 디지털 상품 쇼핑몰 시스템상에 가입된 회원과 관련된 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인터넷 디지털 상품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 : 인터넷 디지털 상품 쇼핑몰 시스템에 제공된 디지털 상품 중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제공해 두는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 타 사이트 웹페이지의 활성화 :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액세스(액세스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마우스 버튼 클릭 혹은 키보드의 임의 키를 입력받았을 때 웹 페이지 접근하거나, 웹 페이지의 새로 고침을 하였을 때 해당 페이지를 다시 출력할 때를 의미하기도 한다.)되는 것을 의미한다.
2.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 및 삽입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 지(30)의 상단에는 해당 디지털 상품 명칭(31)이 제공되고, 좌측에는 디지털 상품 이미지(32), 우측에는 구매 정보(33)가 디스플레이 되며, 우측 하단에는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이 부여된다. 디지털 상품 명칭(31), 디지털 상품 이미지(32), 판매 정보(33)는 통상의 디지털 상품 소개 페이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은 타 사이트에 해당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복사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버튼이다.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HTML 코드는 헤더부(①), 스크립트부(②), 및 바디부(③)로 구성된다. 이중 바디부의 “img src =" 명령어 라인(③-1)은 도 3의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의 이미지 소스에 대한 정보와 폭, 높이 등의 정보를 나타내며, 바디부의 “img src =" 명령어 라인(③-1)을 익스플로러 등의 html 해석기로 실행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양 정보 버튼(35)이 생성된다.
사용자가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을 클릭하면 바디부의 자바 스크립트 명령어 라인(③-2)이 실행되며, 해당 명령어 라인은 copy_clip이라는 함수를 호출하고, 세 개의 변수(③-2-1, ③-2-2, ③-2-3)를 넘겨주게 된다.
이때 넘겨주는 세 개의 변수 중에서 첫 번째의 변수(③-2-1)는 디지털 상품 코드에 해당하는 것이고, 두 번째(③-2-2) 변수는 회원 코드에 해당하는 것이며, 세 번째 변수(③-2-3)는 디지털 상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변수이다. 도 2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첫 번째의 변수(③-2-1)는 “영화 밀양”의 디지털 상품 코드가 되며, 두 번째 변수(③-2-2)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의 회원으로서 도 2의 웹페이지를 보고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을 누른 회원의 회원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며, 세 번째 변수(③-2-3)는 “영화 밀양”의 디지털 상품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copy_clip 함수는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될 HTML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클립 보드에 복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opy_clip 함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할 변수를 정의한다(②-1). copy_clip 함수에서는 클립보드에 복사되는 변수로서 product Info라는 변수명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클립 보드에 복사될 내용을 product Info라는 변수에 저장한다(②-2). 변수에 저장되는 HTML 문서에는 디지털 상품 코드(②-2-1), 회원 코드(②-2-2)에 대한 메타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DB를 동적으로 조회하는 웹페이지(②-2-3)가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해당 내용을 클립보드에 복사하고(②-3), 클립보드에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가 복사되었음을 알려준다(②-4). 상기와 같이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35)를 클릭하면, 타 사이트를 통해서 판매할 디지털 상품 소개 HTML 문서가 클립보드에 복사된다. 사용자는 타 사이트에 붙여넣기 하면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된 HTML 문서가 해당 타 사이트에서 구현 가능하게 된다.
3. 타 사이트 웹페이지의 활성화
도 4는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된 HTML 소스 코드를 보여준다.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되면, 해당 웹페이지에 보여질 “영화 밀양"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해당 이미지를 클릭할 때 링크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웹페이지를 정의하고, 생성된 이미지 아래 부분에는 메타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 넘겨준 후,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변동 정보가 반영된 DB를 송부받아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되면, 이미지 소스(⑥)가 보여지면서, 이미지 소스(⑥)를 클릭했을 때 href(hyper reference)로 참조될 웹페이지(product_view.jsp, ⑤)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iframe을 이용하여(⑦)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 내의 일부 영역에 삽입될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웹페이지를 정의한다. 도 4에서는 삽입할 경로상의 웹페이지로 product_detail_info.jsp가 정의되었으며(⑧), 이때 변수로서 디지털 상품 코드(⑧-1) 및 회원 코드(⑧-2)를 넘겨주게 된다. iframe의 호출 시에 호출되는 웹페이지의 폭(width)과 높이(height)가 각각 200 픽셀(⑨-1)과 60 픽셀(⑨-2)로 정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웹페이지 product_detail_info.jsp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DB를 조회하고 필요한 내용을 추출하는 동적 페이지이다. HTML, XML, WML 등에 의해 표현되는 언어를 정적인 언어라 할 때, JSP(Java Server Page)는 자바를 기반으로 한 동적인 내용을 처리하는 언어라 할 수 있다. 동적 페이지는 JSP외에도 ASP 또는 PHP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서 수행되는 동적 웹페이지 product_detail_info.jsp의 소스 코드이다. 우선 변수를 정의하고(⑩),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디지털 상품 DB를 연결한다(⑪). 다음으로 sql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상품 코드(product_id)에 대한 가격 등의 디지털 상품 속성을 가져오고(⑫), 이를 변수에 저장한다(⑬).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디지털 상품 DB와의 연결을 해제하고(⑭), 적어도 하나의 DB를 조회하여 필요한 정보(도 7의 경우에는 제품명, 제품가격, 공급원)를 테이블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⑮). 이때 제공되는 테이블의 크기는 폭이 “200” 픽셀로 정의하였는데(⑮-1), 이는 도 4의 iframe에서 정의한 삽입되는 웹페이지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게 유지하여야 제공되는 디지털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도 5의 경우에는 디지털 상품명, 가격, 공급원가)가 깨어져서 보이는 경우가 없게 된다.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되면 도 6과 같은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의 웹페이지에는 '많이팔자' 라는 회원의 블로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블로그에는 여러 가지 관심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특히 해당 회원이 영화 밀양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여러 가지 영화를 비교하는 내용으로 블로그를 작성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자신이 '영화 밀양'를 본 경험이 있다면 해당 경험담을 블로그에 기록하고, 해당 디지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버튼을 도 6과 같은 형태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는 디지털 상품 판매용 이미지(210)와 해당 디지털 상품에 대한 "디지털 상품명, 상품가격, 공급원"에 대한 실시간 DB 연동 정보(220)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디지털상품명, 가격, 공급원"에 대한 정보는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마다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의 적어도 하나의 DB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가져와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4. 디지털 상품 판매용 이미지(210) 클릭
도 6의 디지털 상품 판매용 이미지 (210) 을 클릭하면 이와 링크된 도 3의 href에 링크된 product_view.jsp 웹페이지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으로는 디지털 상품 코드와 회원 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은 전송받은 회원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상품을 판매한 타 사이트의 운영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5. 마이 페이지의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상에 가입된 회원과 관련된 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마이 페이지 내에서는 회원이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상품을 보관하는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한 명의 회원의 이러한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의 구성 일 례를 도시하며, 이러한 정보는 회원 DB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보관함(500)에는 관심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생성한 발급일자, 현재 디지털 상품의 판매 상황, 디지털 상품명, 판매자 정보, 디지털 상품 분양 HTML, 저작권업체와 소비판매자 사이에서 협약된 인센티브 조건, 거래건 수, 디지털 상품 판매 금액, 메모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디지털 상품 분양 HTML을 클릭하면, 새로운 웹페이지가 활성화되면서 해당 디지털 상품에 대한 판매용 정보(510)가 HTML로 복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7에서는 이러한 판매 정보용 HTML이 세 가지 형태로 제공됨을 도시하였다. 첫 번째 형태(513)는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와 함께 실시간 연동된 DB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방식이며, 두 번째 형태(515)는 실시간 연동된 DB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고 "구입하기" 버튼이 제공되는 방식이며, 세 번째 형태(517)는 실시간 연동된 DB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만 제공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두 번째 형태(515) 및 세 번째 형태(517)는 첫 번째 형태(513)의 변형 예이므로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세 번째 형태(517)의 경우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해당 텍스트를 클릭하면,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지(도 3의 ②-2의 웹페이지)로 이동하게 구현하면 가능하다.
또한 메모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디지털 상품의 판매 정보용 HTML을 복사한 타 사이트의 URL 주소와 날짜를 기록함으로써 판매 정보용 HTML을 제공한 이력을 기록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판매 정보용 HTML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타 사이트 운영자인 소비판매자가 입력하는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6. DB 필드의 선정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상품명, 가격, 공급원(일반적으로 저작권업체가 이에 해당한다) 의 필드가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보여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의 구현시 회원의 선택에 의해 조회될 DB 내의 필드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필드가 있을 경우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을 원하는 회원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상품 가격, 회원 이름, 상점 등급"으로 조회될 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것은 DB 내의 필드의 선정이라는 것은 (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이 해당 필드는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2) 도 5의 HTML 소스 코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내에서 선정되는 것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7.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구성도의 일 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은 회원과 관련된 개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인 회원 DB, 등록된 모든 디지털 상품 정보를 관리하는 디지털 상품 DB, 디지털 상품을 공급하는 디지털 상품 공급자 (소비판매자) 정보를 관리하는 DB 등의 다수의 DB 들(120) 를 구비한다.
또한,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상품을 소개하는 웹페이지로서,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HTML 형태로 삽입하기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생성 버튼을 구비하는 디지털 상품 소개 웹페이지(30)를 구비하고,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제공될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DB 내의 필드를 선정하고, 필드를 동적으로 조회하는 웹페이지 및 디지털 상품 메타 정보를 포함하며,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삽입될 HTML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클립보드에 복사하고,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타 사이트로부터 상기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받고, 디지털 상품에 대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DB를 조회하고, DB로부터 상기 필드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상기 타 사이트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서버(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디지털 상품 공급자에 제공되는 디지털 상품 등록, 판매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저작물 거래의 중계시스템,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의 운영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운영 시스템, 디지털 상품 구입에 따른 결재를 처리하는 결재 시스템, 타 사이트에 판매할 디지털 상품의 디지털 상품 판매용 HTML 문서를 생성하는 홍보 정보 발급 시스템, 저작권업체와 타 사이트 운영 회원 (소비판매자) 사이에 협약된 인센티브에 따라 인센티브 지급 및 관리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및 회원에게 회사의 서버 보수 등의 상황을 공지하거나 구매 중인 상황 등의 이력을 이메일로 고지하고, 회원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일을 처리하는 메일 시스템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성은 저작물을 중계하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100)의 회원의 규모 가 많은 경우에는 각 구성 모듈을 서버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로 회원 규모가 적은 경우에는 각 구성 모듈을 몇 개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중계를 위한 전체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은, 음악파일, 영화파일 등의 디지털 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거래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업체가 운영하고, 인터넷을 통한 저작물 중계의 가상공간인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특정한 디지털 상품에 대한 법적인 사용권한(상업적)을 보유한 회사 등으로, 특정한 영화, 음악 또는 그림, 사진 등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저작권자 또는 저작권 보유업체 (610), 저작권자 또는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클라이언트 PC 를 소유하고, 클라이언트 PC 는 인터넷으로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와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상에서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를 통하여, 저작물을 판매하고자 디지털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활동을 겸하는 소비판매자 (630) (클라이언트 PC 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으로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와 연결되어 있음),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서 저작물을 실제로 구매하는 구매자 (640) (클라이언트 PC 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으로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와 연결되어 있음) 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비구매자 (640) 는 디지털 상품을 일정 한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소비자로서, 본인의 클라이언트 PC의 하드디스크 또는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에서 제공하는 웹하드 등의 인터넷 저장공간을 저작물 구매자 저장공간 (602) 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와 연결된 웹서버에는 회원인 사용자 DB,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컴퓨터 파일화된 저작물인 영화, 음악, 사진 등의 디지털 상품이 저장되는 디지털 상품 DB, 저작권자 (610) 가 본인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물 제목, 등을 등록한 저작권 DB, 중계코드 (MC) DB, 결제, 인센티브 DB 등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DB 에는 회원 기본 정보. 등록 콘텐츠. 판매 내역. 구매 내역. 수수료내역. 중계코드 내역 등이 저장되고, 디지털 상품 DB 에는 판매 리스트 등록 정보, 디지털 상품 거래 내역, 소유권한 내역, 디지털 상품 권한 회원정보 등이 저장되고, 저작권 DB 에는 저작권 입점 업체, 저작권 판매 가격 정보, 보유저작권 리스트, 판매내역 등이 저장되고, 중계코드 DB 에는 중계코드 발급 내역, 중계코드 거래 내역, 인센티브 내역, 중계코드 노출 사이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중계를 위한 각 주체를 기준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가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 보유 업체 (610) 로부터 저작권 거래(판매)를 위한 입점을 받는다. 저작권 보유 업체 (610) 가 자신의 저작권 디지털 상품의 판매를 위해 특정 디지털 상품에 대해 저작권이 있음을 등록하는 형태이다. (디지털 상품 오픈마켓)
종래에는 디지털 상품을 저작권 보유 업체 (610) 가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직접 저작물의 데이터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을 가지는 저작권 업체 (610) 가 직접 저작물을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판매자 (630) 가 음악파일, 영화파일 등의 디지털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업로드시켜 등록시 해당 저작권 보유업체 (610) 에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상품임을 확인(설정) 후 소비판매자 (630) 가 직접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디지털 상품의 거래가 가능한 형태로 저작물을 디지털화 하여 업로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판매자 (630) 는 거래하고자 하는 디지털화된 저작물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업로드시,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입점한 (저작권이 있음을 등록한) 디지털 상품의 저작권 업체 (610) 의 디지털 상품인 저작물만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저작권 보유업체 (610) 의 디지털 상품인 음악파일, 영화파일 등이 소비판매자 (630) 를 통해서 업로드될 경우, 소비구매자 (640) 의 해당 음악파일, 영화파일 등의 판매 (다운로드) 에 따른 저작권 비용은 해당 디지털 상품에 대해 저작권이 있는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그 거래에 따른 저작권 비용을 받게 되며, 소비판매자 (630) 및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는 판매에 따른 일정 금액을 지급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판매자 (630) 는 디지털 콘텐츠 상품의 저작권 업체 (610) 를 선택 후 디지털 상품을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의 디지털 상품 DB 에 업로드하여 저장한 후,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내 방문 회원을 통한 판매 활동 및 해당 디지털 상품의 판매 중개코드 (MC) 를 발급받아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이외의 인터넷공간(홈페이지, 미니홈피, 블로그, 게시판, 댓글 등)에 중계코드 (MC) 를 등록하고 적극적인 노출과 판매 활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거래 수수료를 지급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의 거래를 통하여, 디지털 상품의 저작권 보유업체 (610) 는 자신의 업체의 디지털 상품의 판매에 관련된 저작권의 거래에 따른 판매 금액의 일부를 저작권료로 지급받게 되고, 소비판매자 (630) 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상품의 업로드 저장 등록 및 판매 활동을 진행하고 이에 따른 판매가 진행될 경우 일정 수수료를 지급 받고,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는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 보유 업체 (610) 의 저작권 입점 및 소비판매자 (630) 가 업로드한 디지털 상품의 컴퓨터화된 파일의 보관 및 거래, 결재 시스템 등 모든 거래에 필요한 시스템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인터넷 공간(홈페이지, 미니홈피, 블로그, 게시판 등)에 판매활동이 가능토록 상품중계 코드(MC)를 발급/관리 할 수 있는 환경 및 디지털 콘텐츠 상품에 대한 저작권 보유 업체 (610), 소비판매자 (630) 및 디지털 상품의 거래와 관련된 수익을 재분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는 디지털 상품의 판매활동에 참여하는 소비판매자 (630) 의 커뮤니티 환경을 함께 제공하여, 판매활동을 하는 소비판매자 (630) 가 저작권 침해에 따른 감시 활동을 저작권 업체 (610) 와 연계 하여 추진토록 구성하며, 이에 따른 활동비를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소비자에게 재 지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을 구매한 (즉, 다운로드 받은) 소비구매자 (640) 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서 디지털 상품별로 결정된 판매가격에 따라 디지털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디지털 상품은 그 종류 (자유사용, 한시성, 배경용, 횟수제한, 복사의 제한 등)에 따라 적용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디지털 상품의 저작물 사용권이 소비구매자 (640) 에게 제공된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업체의 저작권 등록의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특정한 디지털 상품 (예를 들어, 영화, 음악 등) 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한 저작권 업체 (610) 는 보유한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의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을 신청한다 (700).
등록 신청된 저작권에 대한 정보 (영화제목, 노래제목 등 저작물을 인식하게 하는 키워드 등) 는 저작권 DB 에 저장된다. 등록신청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후, 웹상에서 저작권 등록 신청서를 작성한 후, 확인버튼 등을 눌러서 저작권 DB 에 등록 신청된 저작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게 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저작권 등록신청을 위해 접속을 하고, 보유한 디지털 상품의 저작권 등록할 분류 (예를 들어, 영화, 음악 등) 를 결정하고 (710), 판매할 디지털 상품의 판매 형태를 결정한다 (720). 디지털 상품의 판매 형태로는 다운로드 혹은 링크 사용, 사용기간별 판매, 배경음악 사용 등의 소비구매자 (640) 가 구입 후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진다.
그리고, 소비판매자 (630) 에 대한 인센티브 적용여부를 결정한다 (730).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상품을 소비판매자 (630) 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판매 및 타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상품이 판매되면 이에 따른 판매금액은 저작권 업체 (610) 가 가지며, 거래에 따른 수수료를 소비판매자 (630) 및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제공한다.
저작권 보유업체 (610) 는 소비 판매자 (630) 에게 제공할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740), 판매의 대상이 되는 저작물을 저작권 디지털 상품 리스트에 등록하여 저작물 DB 에 저장하게 한다 (750).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고자 등록하는 소비판매자 (630) 가 컴퓨터 파일화된 디지털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저작권 디지털 상품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저작권업체 (610) 는 직접적으로 컴퓨터 파일화된 디지털 상품 파일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업로드하여 등록할 수 있다 (760). 소비판매자 (630) 에 의한 디지털 상품의 판매등록이 아닌, 저작권 보유 업체 (610) 가 직접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판매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상품 리스트 등록이 된다 (770)
개인의 UCC 는 카테고리를 '개인 UCC' 로 등록하며, 개인 UCC의 경우 판매에 따른 금액 유예기간 (본인 제작 자료가 아닐 경우) 1개월 후 지급 되도록 규정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업체, 소비판매자 및 소비자들이 서로 연관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저작권의 행사권한을 가지는 저작권업체 (610) 는 도 12 에서 설명된 저작권등록 프로세서에 의해 정당한 권한이 있는 저작권에 대한 사항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최근에 개봉된 한국영화 괴물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행사권한을 가지는 저작권업체 (610) 는 영화의 제목, 영화의 포스터 사진 등 상기 영화에 대한 주요사항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신청을 한 후, 저작권 DB 에 저장되게 한다.
디지털화된 저작물 (디지털 상품, 예를 들어, 영화 괴물의 동영상 파일이 이에 해당한다.) 을 판매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판매자 (630)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디지털 상품 등록신청을 하고 (800),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를 통하여 등록된 저작권인지를 저작권 DB 로부터 검색하여 등록저작권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810)
해당 디지털 상품의 판매에 따른 인센티브를 확인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한다. 해당 디지털 상품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업로드하여 웹서버의 디지털 상품 DB 에 저장되게 한다. 디지털 상품의 업로드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의 디지털 상품 판매 리스트에 등록이 된다. (840)
소비판매자 (630) 는 디지털 상품중계코드의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850), 상품중계코드 (MC) 를 발급받고 (860), 상품중계코드 보관함 (860) 에 디지털 상품중계코드 (MC) 를 보관한다. (860) 소비판매자 (630) 는 개인 블로그 등의 타인터넷 사이트에 디지털 상품중계코드를 입력하여 노출시켜서 상기 디지털 상품의 판매를 노출시킨다. (870)
디지털 상품의 구매자에 해당하는 소비구매자 (640)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서 직접적으로 디지털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등록된 디지털 상품을 확인하고 (900), 디지털 상품을 구입하고 (910),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서 제공하는 개인 디지털 상품구입함에 구매한 디지털 상품 (예를 들어, 영화파일, 음악파일 등) 을 저장하여 보관하고 (920), 디지털 상품을 사용한다. (930)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판매자 (630) 가 다른 인터넷 공간에 노출시킨 디지털 상품의 중계코드를 접하고, 디지털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구매자 (640) 는 인터넷 서핑 등으로 소비판매자 (630) 가 발급받아 타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진 디지털 상품중계코드 (MC) 를 통하여 디지털 상품을 확인한다 (905). 소비구매자 (640) 는 디지털 상품을 구입하고 (915), 소비구매자 (640) 의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서 제공하는 저장공 간에 구매한 디지털 상품을 보관하고 (925), 디지털 상품을 사용한다 (935).
본 발명에서 비회원으로 디지털 상품를 구입할 경우에는 구입 후 개인공간 액세스에 필요한 코드를 발급하고 (화면 출력 및 e-mail 발송) 이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등의 개인공간에 저장하고 디지털 상품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 거래 사이트에서 저작권이 미적용된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판매자 (630) 에 의해 저작물 중계 거래사이트 (600) 를 통하여 판매를 원하는 디지털상품 중에서 저작권에 대한 권원없이 디지털상품 데이터베이스 (605) 에 업로드 한 후 판매하고 있는 디지털 상품 (607) 에 대하여 저작권 보유업체 (610) 에 의한 저작권 적용 후에 저작권이 적용이 등록된 디지털 상품 (606) 으로 업데이트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 디지털상품 (영화, 음악 등) 의 저작권이 있음을 등록하기 전에 거래되는 디지털 상품은 (606) 소비구매자 (640) 의해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 소비구매자 (640) 는 저렴한 비용으로 해당 디지털 상품 (607) 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 디지털상품 (영화, 음악 등) 의 저작권이 있음을 등록을 하면 저작 권이 있는 디지털 상품으로 업데이트 (606) 되고, 다운로드 가격에 저작권 비용이 추가되어 다운로드 비용이 증가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 거래 사이트에서 저작권이 미적용된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저작권이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여 저작권이 미등록된 디지털 상품에 저작권이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작권등록: 저작권 보유업체 (610) 는 특정한 디지털 상품,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음악에 대한 저작권이 있음을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 거래 사이트 (600) 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후 등록신청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보유업체 (610) 는 저작권이 있는 자 혹은 원 저작권자에게 저작권 유통 권한을 위임 받은 자에 해당한다.
(2) 저작권 보유사실 확인/증명: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 (600) 는 해당 디지털상품에 대한 저작권 보유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혹은 기타 증빙자료 제출(온라인 방식 포함) 요구한다. 예를 들어 저작권 등록시 저작권 등록에 관한 웹페이지에 해당 컴퓨터 서류파일을 첨부하라고 할 수 있다.
(3) 사실증명자료: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로 해당 저작권을 보유하거나 위임 받은 사실 증명 서류를 제출하거나 전송한다. (온라인 방식 포함)
(4) 저작권 코드 발급: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의 운영자는 해당 디지 털상품에 대해 저작권이 있음을 확인 후 해당 디지털상품에 저작권 코드(ID) 를 발급한다.
(5) 저작권자 보유 디지털상품 등록 요청: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는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한 디지털상품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등록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영화의 경우에는 영화제목, 제작사 등이 되고, 음악의 경우에는 노래제목, 가수명 등이 이에 해당된다.
(6) 디지털상품 리스트 등록 및 정책: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한 디지털상품에 구체적 사항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하고, 등록된 디지털 상품정보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605) 에 저장된다. 해당 디지털 상품의 판매금액 등의 판매와 관련 정책 정보도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605) 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해당 디지털 상품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판매금액이 저작권보유업체 (610) 의 요청에 의해 영화 1편의 다운로드당 1000원으로 책정되고, 다운로드 횟수도 총 3회로 제한되는 등의 새로운 판매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상품을 등록할 때 저작권보유업체 (610)는 해당 디지털 상품의 전자지문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를 통하여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작권보유업체 (610) 의 저작권등록 디지털 상품이 영화 "디워" 인 경우에는,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하는 영화 "디 워" 의 동영상파일의 전자지문 (해시값) 을 영화제목과 함께 매칭되게 디지털 상품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7) 등록 디지털상품 전자지문 추출: 본 발명의 운영자는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한 개별 디지털상품들에 대해 개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전자지문 (해시값 등) 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소비판매자 (630) 가 저작권이 부여되지 않은 영화 "디워" 의 동영상 파일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를 통하여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하면, 영화제목 "디워" 를 키워드로 하여 전자지문 (해시값)이 본 발명의 운영자에 의해 추출되고, 디지털상품데이터베이스에 동영상파일과 함께 저장된다.
다만, 동일한 영화 "디워"라 할지라도 동영상 파일이 다른 경우에는 전자지문 (해시값) 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영화 "디워" 에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해시값이 동일한 영화 제목과 매칭되어 저장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시 알고리즘(hash algorithm)은 임의의 데이터로부터 일종의 짧은 "전자 지문"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다. 해시 함수는 데이터를 자르고 치환하거나 위치를 바꾸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 결과를 만들어 내며, 이 결과를 흔히 해시 값(hash value)이라 한다. 전자지문는 해시값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한 식별 적용이 가능하다.
다른 추출방법으로는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의 특징값을 검출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오디오 파일의 경우에는 정규화된 부밴드 주파수 무게 중심값이 특징값이 되고, 비디오 파일의 경우에는 장면전환 검출, 에지정보 또는 색상정보의 블록별 세부 속성을 추출하여 동일한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인지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8) 디지털상품 DB 에서 신규로 저작권 등록된 디지털상품 추출: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작권 없이 거래되는 디지털상품들에서 추출한 전자지문을 통해 신규로 저작권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리스트를 확보한다.
예를 들어,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제공한 영화 "디워" 에 대한 동영상파일의 전자지문 (해시값) 와 일치되는 전자지문을 가지는 동영상파일을 검색한다. 검색된 동영상 파일과 함께 매칭되는 다른 동영상 파일도 함께 추출되어 검출시킨다.
(9) 추출된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을 적용: (8)항을 통해 추출된 신규로 저작권 등록이 된 디지털상품에 대해 (6)항에서 결정한 판매 정책을 적용한다.
(10) 저작권 디지털상품 DB 및 판매리스트 등록: (9)항의 정책적용 후 소비구매자 (640) 에게 노출되어 거래되는 디지털저작물 판매리스트에 바뀐 판매가격, 다운로드 회수 등의 신규정책을 적용하고, 저작권 디지털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신규정책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여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상품의 내용을 등록 관리한다.
(11) 디지털상품 판매정책 변경 전달: 저작권 보유업체 (610) 및 기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업로드를 한 소비판매자 (630) 에게 해당 적용사항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공지를 하거나 이메일로 저작권이 신규로 적용된 디지털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이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12) 등록된 디지털상품 검색: 소비구매자 (640) 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원하는 디지털상품을 검색한다.
(13) 디지털상품 내려받기: 소비구매자 (640) 가 원하는 디지털상품을 내려받기를 요청한다.
(14) 요청 디지털상품 전송: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가 내려받기 요청한 소비구매자 (640) 의 PC 혹은 기기로 해당 디지털상품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한다.
(15) 저작권 판매 관리: 거래된 디지털상품의 판매를 관리한다.
(16) 판매된 디지털상품 정산: 판매된 저작권이 부여된 디지털상품에 대해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저작권 보유업체 (610),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및 소비판매자가 정산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 거래 사이트에서 판매정책의 변경에 따라 디지털 상품에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판매정책이란 저작권 보유업체 (610) 는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상품의 거래와 관련하여 실거래를 위하여 디지털 상품을 등록하는 소비판매자 (630) 또는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와 진행이 가능한 판매가격 할인, 다운로드 회수 등의 다양한 이벤트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를 진행하여 수수료를 아래와 같이 조정할 수 있다
저작권보유업체 중계사이트 소비판매자
기존수수료 50% 40% 10%
이벤트 1 40% 40% 20%
이벤트 2 40% 50% 10%
상기의 수수료 정책변경은 하나의 예시이며, 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판매정책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를 통한 디지털 상품의 거래에 적용할 수 있다.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디지털 상품의 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변경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실시간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6 을 참조하여 판매정책 변경에 따른 디지털 상품 적용과정을 설명하면,
(1) 판매정책 수정: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상에서 판매정책 수정을 요청한다.
(2) 저작권보유업체 보유 디지털 상품 확인: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를 통하여 저작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하는 디지털상품들을 확인한다.
(3) 디지털 상품 판매정책 수정폼 제공: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가 제공하는 판매정책 수정폼을 클라이언트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4) 판매정책 수정폼 입력: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판매정책 수정폼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판매정책을 입력한다.
(5) 디지털상품 판매정책 변경 확인: 변경된 판매정책 정보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및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
(6) 해당 디지털 상품 판매정책 수정 적용:
(7) 디지털상품 판매정책 변경 전달: 저작권 보유업체 (610) 및 기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업로드를 한 소비판매자 (630) 에게 해당 적용사항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공지를 하거나 이메일로 저작권이 신규로 적용된 디지털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이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8) 저작권 디지털상품 DB 및 판매리스트에 적용: 새로운 판매정책 적용 후 소비구매자 (640) 에게 노출되어 거래되는 디지털저작물 판매리스트에 바뀐 판매가격, 다운로드 회수 등의 신규정책을 적용하고, 저작권 디지털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신규정책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여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상품의 내용을 등록 관리한다.
(9) 등록된 디지털상품 검색: 소비구매자 (640) 가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원하는 디지털상품을 검색한다.
(10) 디지털상품 내려받기: 소비구매자 (640) 가 원하는 디지털상품을 내려받기를 요청한다.
(11) 요청 디지털상품 전송: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가 내려받기 요청한 소비구매자 (640) 의 PC 혹은 기기로 해당 디지털상품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한다.
(12) 저작권 판매 관리: 거래된 디지털상품의 판매를 관리한다.
(13) 판매된 디지털상품 정산: 판매된 저작권이 부여된 디지털상품에 대해 판매에 따른 수수료를 저작권 보유업체 (610),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및 소비판매자가 정산한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을 적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7 을 참조하면,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디지털 상품의 파일을 업로드 하는 소비판매자 (630) 는 저작물중계사이트 (600) 에만 디지털 상품을 업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로부터 상품중계코드 (일명 "MC 코드" 라 한다.) 를 발급받은 후, 인터넷 공간의 타사이트 (200) 에서 해당 디지털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작권이 없이 판매를 목적으로 영화, 음악 등의 디지털상품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 등에서 업로드된 디지털 상품에 대하여 후에 저작권 보유업체가 저작권 등록을 한 경우에, 저작권이 미등록된 디지털 상품에 저작권을 등록시켜 새로운 판매정책에 의해서 디지털 상품에 거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작권 보유업체에서 직접 자료를 등록하고 판매하는 범 위를 확대시켜서 저작권 업체는 해당 저작권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고, 디지털 환경에서 소비자는 단편적인 제공 콘텐츠를 구입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접 다양하고 놀라운 산출물 생산능력을 활용 및 장려하게 되고 이를 공동의 수익모델로 활용하고 공유하는 이상적인 디지털 콘텐츠 중개거래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시스템에 등록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이하 DB)를 필요한 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실시간으로 타 사이트의 웹페이지에 노출할 수 있는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고, 인터넷 디지털 상품 판매 데이터가 노출된 웹페이지의 액세스가 발생될 시 해당 디지털 판매 데이터 정보를 인터넷 디지털 상품 쇼핑몰 DB에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해당 디지털 상품의 판매 데이터가 노출된 웹페이지의 액세스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최신의 디지털 상품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를 통한 실시간 디지털 상품 DB의 전달은 디지털 상품 판매에 있어 소비자에게 구매 결정에 필요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디지털 상품의 판매 조건을 직접 반영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웹 페이지 클릭 발생으로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저하시키지 않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달로 인한 구매의욕 발생 즉시 디지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판매 증진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작권자 또는 저작권의 권한을 위탁받은 저작권업체는 본인들의 저작물의 정당한 판매를 촉진하여, 1차적 저작물을 통한 수익 이외에도 컴퓨터 파일화 된 2차적 저작물의 판매를 통하여 더 많은 수익을 달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구현 설명에서는 JSP 형식 설명을 위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ASP, PHP 형식등의 모든 동적 웹페이지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특정한 디지털 상품에 대한 저작권이 있음을 저작물 중계 거래 사이트 (600) 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후 등록신청하는 1 단계;
    상기 저작물 중계거래 사이트 (600) 가 상기 디지털상품에 대한 저작권 보유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혹은 기타 증빙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2 단계;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로 해당 저작권을 보유하거나 위임받은 사실 증명 서류를 전송하는 3 단계;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의 운영자는 해당 디지털상품에 대해 저작권이 있음을 확인 후 상기 디지털상품에 저작권 코드(ID) 를 발급하는 4 단계;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가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한 디지털상품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5 단계;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한 상기 디지털상품에 구체적 사항을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하고, 등록된 디지털 상품정보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605) 에 저장되는 6 단계;
    상기 저작권 보유업체 (610) 가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에 등록한 개별 디지털상품들에 대해 개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전자지문 (해시값 등) 을 추출하는 7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작권 없이 거래되는 디지털상품들에서 추출한 전자지문을 통해 신규로 저작권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로 저작권 등록이 된 디지털상품에 대해 새로운 판매 정책을 적용하는 9 단계;
    소비구매자 (640) 에게 노출되어 거래되는 디지털저작물 판매리스트에 바뀐 판매가격, 다운로드 회수 등의 신규정책을 적용하고, 상기 저작권 디지털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신규정책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는 10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유업체 (610) 및 기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업로드를 한 소비판매자 (630) 에게 해당 적용사항을 전송하는 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공지를 하거나 이메일로 저작권이 신규로 적용된 디지털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로 적용된 판매정책은 상기 디지털상품을 다운로드 하는 비용 및 다운로드 하는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5.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상에서 판매정책 수정을 요청하는 1 단계;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상기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를 통하여 저작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가 보유하는 디지털상품들을 확인하는 2 단계;
    상기 저작권보유업체 (610) 는 상기 저작물중계거래 사이트 (600) 를 통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판매정책을 입력하는 3 단계;
    상기 변경된 판매정책 정보는 저작권 데이터베이스 및 디지털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4 단계; 및
    상기 새로운 판매정책 적용 후 소비구매자 (640) 에게 노출되어 거래되는 디지털저작물 판매리스트에 바뀐 신규정책을 적용하고, 상기 저작권 디지털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신규정책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보유업체 (610) 및 기 등록한 디지털상품의 업로드를 한 소비판매자 (630) 에게 해당 적용사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중계거래사이트 (600) 상에서 공지를 하거나 이메일로 저작권이 신규로 적용된 디지털상품에 대한 판매정책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KR1020080046733A 2007-10-30 2008-05-20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KR10110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270 WO2009142379A1 (ko) 2008-05-20 2009-01-19 인터넷을 통한 상품 거래 시스템 및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562 2007-10-30
KR20070109562 200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80A true KR20090044980A (ko) 2009-05-07
KR101103414B1 KR101103414B1 (ko) 2012-01-06

Family

ID=408554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33A KR101103414B1 (ko) 2007-10-30 2008-05-20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KR1020080048218A KR20090044981A (ko) 2007-10-30 2008-05-23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디지털 상품판매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102143A KR20100119849A (ko) 2007-10-30 2010-10-19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218A KR20090044981A (ko) 2007-10-30 2008-05-23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디지털 상품판매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102143A KR20100119849A (ko) 2007-10-30 2010-10-19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디지털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103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147A (ko) * 2016-07-20 2018-01-30 안강석 사용자 맞춤식 가치 정보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011A (ko) * 2017-11-14 2019-05-22 안강석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식 콘텐츠 관련 객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98685A1 (ko) * 2017-11-14 2019-05-23 안강석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식 콘텐츠 관련 객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787A (ja) * 1996-09-27 1998-04-24 Mitsubishi Corp 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20030078412A (ko) * 2002-03-29 2003-10-08 박재선 디지털 컨텐츠의 재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147A (ko) * 2016-07-20 2018-01-30 안강석 사용자 맞춤식 가치 정보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55011A (ko) * 2017-11-14 2019-05-22 안강석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식 콘텐츠 관련 객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98685A1 (ko) * 2017-11-14 2019-05-23 안강석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맞춤식 콘텐츠 관련 객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81A (ko) 2009-05-07
KR20100119849A (ko) 2010-11-11
KR101103414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2897B2 (en) Method of community purchasing through the internet
JP5746330B2 (ja) デジタルアイテムの紹介、貸し出し、および再販
US20070174341A1 (en) E-commerce and investment system and method
US20040098313A1 (en) Detection of fraudulent associate-based transactions
US2013004656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nancing and marketing a creative work
US20100121735A1 (en) Affiliate selling system
US68683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artist-buyer transactions
JP2004528631A (ja) デジタルオンライン交換
US20030120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digital content for sale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10915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products
US20070282714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e-commerce interface on a web page to facilitate e-commerce involving digital assets
CN102782713A (zh) 用于提供和销售广告发布的方法和系统
KR20090029870A (ko)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판매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KR101103414B1 (ko) 저작권 미등록 디지털상품의 저작권 적용방법 및 디지털상품에 판매정책 변경의 적용방법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500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57004A (ja) アフィリエイトシステム
KR20130113569A (ko)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3207A (ko) 받기창을 이용한 디지털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9416A (ja) 情報取得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情報送信装置、保存期限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文字情報表示構造、商品検索装置、配送料算定装置、紹介装置
KR101034497B1 (ko)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 상품 판매 정보 제공 방법
JP2005196347A (ja) 電子店舗取引システム
JP2003331189A (ja) バナー広告掲載システム、及びバナー広告掲載プログラム
JP4165548B2 (ja) 利用条件販売型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電子モールシステム
JP2002203138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商品の販売システムおよび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305

Effective date: 201310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13

Effective date: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