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709A -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709A
KR20090044709A KR1020070110927A KR20070110927A KR20090044709A KR 20090044709 A KR20090044709 A KR 20090044709A KR 1020070110927 A KR1020070110927 A KR 1020070110927A KR 20070110927 A KR20070110927 A KR 20070110927A KR 20090044709 A KR20090044709 A KR 2009004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unit
knitted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4557B1 (en
Inventor
김원중
이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염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염직
Priority to KR102007011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55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6Singeing of fabric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의 염색 전 편물에 대한 염색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염색 전처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 전처리 공정에 이용되는 시스템은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는 원단 모소부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는 원단 개폭부와;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부와;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탄성사가 포함된 편물에 대한 염색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원단에 대한 전처리 효과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편물의 접혀진 부분(에지부)에 대한 모소공정의 수행을 가능하여, 편물의 전체 영역에 대한 균일한 모소 처리 상태를 이루는 한편, 편물 원단에 대한 씨피비 염색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10927

편물, 모소, 염색, CPB, 원단, 개폭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eing pretreatment system, a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nd a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to improve the dyeing state for the pre-dye knitted fabric.

The system used in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shaping portion for removing fine hairs on the unfolded surface and the folded edge portion of the elastic yarn mix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wide cylindrical width by being braided in a cylindrical shape; A fabric opening part which cuts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in which the patterning on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the folded surface is flat; Fabric mercerizing unit for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give the adsorption or gloss of the dye; In order to impart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bric pre-setting portio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uniformly dyed state for the knitted fabric containing the elastic yarn, the pre-treatment effect for the fabric can be made uniform, the pattern of the process for the folded portion (edge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It is possible to perform a uniform patterning process for the entire area of the knitted fabric, while enabling the performance of Caviby dyeing on the knitted fabric.

Figure P1020070110927

Knitting, Moso, Dyeing, CPB, Fabric, Opening

Description

염색 전처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Dyeing Pretreatment System,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nd Dyeing Process Using Them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물의 염색 전 편물에 대한 염색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염색 전처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 공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eing pretreatment system, a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nd a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to improve the dyeing state for the pre-dye knitted fabric.

일반적으로, 염색을 위해서는 염색 전 원단에 대한 물성 등의 개선하여 염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염색의 전처리과정은 원단의 재질(소재 등)에 따라 처리과정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for the dyeing, it is possible to make the dyeing well by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before dyeing. The pretreatment of the dyeing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material, etc.) of the fabric.

원단은 직물과 편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사를 원단으로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직물은 직조 방식의 특성에 의해 평면 형태로 제조되고 있고, 편물은 환형의 구조, 즉 원통 형상의 구조로 편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원단은 가공하고자 하는 직물 또는 편물 제품의 디자인(색상)에 따라 염색이 행하여지는데, 염색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직물 또는 편물에 대한 전처리 과정이 달리 수행되고 있다. The fabric is divided into woven and knitted fabric, which is known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yarn into the fabric as is well known. The woven fabric is manufactured in a flat form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ving method, and the knitted fabric has an annular structure, that is, It is braid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The fabric thus produced is dyed according to the design (color) of the fabric or knitted product to be processed. In order to perform the dyeing process, a pretreatment process for the fabric or knitted fabric is performed differently.

특히, 편물의 경우, 잔털로 인하여 제품의 염색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 생하기 때문에 편물 표면의 잔털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 중 모소공정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모소공정은 편물이 원통 형상의 구조(일반적으로 환편물이라 불려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물의 전체 면에 대한 전처리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탄성사를 혼합하여 편물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특히 접혀진 부분에 대한 모소공정의 수행이 어렵기 때문에 염색 후 접혀진 부분에 염색하고자 하는 색상과 다른 색상의 줄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knitting, sinc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dyeing quality of the product due to the hair is generated, a small process is includ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removing the hair from the surface of the knitting. Since this knitting process is made of a cylindrical structure (generally called a circular knitted fabri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is not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ducing knitted fabrics by mixing elastic yarns,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a small process for the folded part, and thus, a problem arises in that a line having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to be dyed is formed on the folded part after dyeing.

이러한 문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모소공정에 이용되는 원단 모소부(1)가 구성되어 모소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하면, 상기 원단 모소부(1)는 원단 투입부(10)를 통해 원단(60)이 제공되고, 제공된 원단(60)은 원단 모소부(30)로 이송되어 원단(60)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털을 제거하고 있다. This problem is because, as shown in FIG. 1, the original fabric element 1 used in the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process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n more detail, the fabric moss part 1 is provided with a fabric 60 through the fabric input part 10, and the fabric 60 provided is transferred to the fabric moss part 30 to fabric ( 60) The fine hairs existing on the surface are removed.

이 경우, 상기 원단 모소부(1)는 제공되는 원단(60)의 전체 면에 대한 모소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단정리부(20)를 구비하여 원단(60)이 폭 방향으로 잘 펴진 상태로 상기 원단 모소부(30)로 이송되도록 하기도 한다. In this case, the fabric moss part 1 is provided with a fabric trimming part 20 so that the fabric process for the entire surface of the fabric 60 is provided, the fabric 60 in the width direction well stretched the fabric It may also be transferred to the patterning unit (30).

상기 원단 모소부(30)는 원단(60)이 복수의 이송 롤러(31,33)를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나도록 구성되어 원단(60)의 앞면과 뒷면이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단(60)의 앞면과 뒷면이 순차적으로 노출되는 위치에 각각 토치부(32,34)를 배치하여 노출된 면에 잔털을 제거하고, 원단 배출부(40)를 구성하는 배출기(41)를 통해 이송부(42)를 지나 원단 적재부(500)에 적재되고 있다. 상기 미설명된 도면부호 "35"는 연소가스 배출기이다. 그리고, 상기 원단 적재부(50) 는 스윙부(52)가 구비되어 원단(60)이 적재함(51)에 포개지는 상태로 적재되도록 하고 있다. The fabric source portion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fabric 60 pass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1 and 33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bric 60 can be sequentially exposed. As such, the torch parts 32 and 34 are disposed at positions wher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bric 60 are sequentially exposed to remove the remaining hair on the exposed surface, and the ejector 41 constituting the fabric discharge part 40. Passed through the transfer part 42 is being loaded on the fabric loading part 500.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35 denotes a combustion gas exhauster. In addition, the fabric load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swing unit 52 so that the fabric 60 is stacked in the stacking box 51.

이러한 원단 모소부(1)는 편물이 원통형의 상태에서 모소공정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원단(60)의 접혀진 부분에 대한 모소 공정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소 공정 이후 수행되는 다른 전처리 공정이 원단(60)의 접혀진 부분에 대한 처리상태와 모소 공정이 수행된 앞면 및 뒷면에 대한 처리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Since the fabric woolen portion 1 is subjected to a patterning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knitted fabric is cylindrical, the patterning process for the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60 is not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ther pretreatment process performed after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not uniformly processed for the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6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n whic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더욱이 염색공정에서 모소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원단(60)의 접혀진 부분에 대한 염색 상태와 모소 공정이 수행된 원단(60)의 앞면 및 뒷면에 대한 염색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원단(60)의 접혀진 부분에는 에지 마크(edge-mark)가 발생하게 되어 편물 원단을 개폭하여 펼쳤을 때, 원단의 사용가능한 면적이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yeing state of the folded part of the fabric 60, which is not carried out in the dyeing process, and the dyeing state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fabric 60, in which the dyeing process is performed, are not uniform. have. That is, an edge mark is generated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60, so that when the knitted fabric is opened and unfol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able area of the fabric is limited.

따라서, 원단에 대한 염색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염색 전처리 공정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있어, 염색 전처리 공정에 이용되고 있는 원단의 모소공정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ing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so that the dyeing state for the fabric can be made uniform.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fabrication of fabrics used in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염색 전처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a conventional dye pretreatment system, a dye pretreatment process using the same, and a need or problem occurring in the dye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편물은 물론 탄성사가 포함된 편물에 대한 염색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niform dyeing state for the knitted fabric, as well as the knitted fabric including the elastic yarn.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편물의 염색을 위한 전처리 공정을 개선하여 원단에 대한 전처리 효과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dyeing the knitted fabric so that the pretreatment effect on the fabric can be made unifor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편물의 접혀진 부분(에지부)에 대한 모소공정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처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retreatment efficiency to be improved by performing a small process on the folded portion (edge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편물의 전체 영역에 대한 균일한 모소 처리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form and uniform treatment state for the entire area of the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편물 원단에 대한 씨피비(CPB : Cold Pad Batch) 염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BP (Cold Pad Batch) dyeing on knitted fabrics.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염색 전처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dye pretreatment system, a dye pretreatment process and a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편물의 펼쳐진 부분과 접혀진 부분에 대한 모소 공정 의 수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allowing uniform performance of the process of spreading and folded portions of the knitted fabric.

이와 같은 염색 전처리 시스템의 일 예는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는 원단 모소부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는 원단 개폭부와;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부와;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e example of such a dyeing pretreatment system includes a fabric moiety that removes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of the elastic yarn mix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pread in the width direction; A fabric opening part which cuts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in which the patterning on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the folded surface is flat; Fabric mercerizing unit for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give the adsorption or gloss of the dye; In order to impart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bric pre-setting portio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여기서, 원단 모소부는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제공하는 투입부와; 원통형의 편물 원단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의 잔털을 태우는 잔털 제거부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원단 모소부로부터 배출하는 원단 배출부와; 배출된 원단을 적재하는 원단 적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단 전처리 시스템은 원단 정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fabric shaping unit and the input unit for providing a fabric for the work for the shaping for the knitted fabric fabric cylindrical; A fine hair removal unit for burning fine hair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old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A fabric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olded surfaces are carried out from the fabric material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abric loading portion for loading the discharged fabric. In this case, the fabric pretreatment system may further comprise a fabric organizer.

한편, 잔털 제거부는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의 면에 대한 모소부와; 원단의 접혀진 양단의 에지부에 대한 모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ne hair removal portion and the pattern part for th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fabric cylindrical;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include a curvature for the edges of the folded ends of the fabric.

다른 한편, 편물 원단의 면에 대한 모소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토치부와; 토치부에 대하여 편물 원단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순차적으로 노출되도록 편물 원단을 이송시키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iety for the face of the knitted fabric is at least two torch portio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for conveying the knitted fabric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knitted fabric relative to the torch portion is sequentially exposed.

그리고, 편물 원단의 양단 에지부에 대한 모소부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원통형의 원단 내부로 삽입되어 원단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지도록 하여 원단이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원단 안내부와; 원단 안내부에 이송력을 제공하여 원단이 넓게 펴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원단 이송부와; 원단 안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원단의 양단 에지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염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토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And, the base portion for both edge portions of the knitted fabric and the base portion; A fabric guide par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fabric so that the fabric is spread out in the width direction; A fabric convey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conveying force to the fabric guide unit so that the fabric is conveyed in a wide open state;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rch disposed to provide a flame to remove fine hairs on both edges of the fabric conveyed along the fabric guide.

이 경우,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는 서로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 고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위치 고정부에 의해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수평 방향의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서로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고정부 및/또는 위치 조절부는 자력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abric guide portion and the fabric conveyance por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fabric guide portion and the fabric conveyance portion are mainta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fixing portion and / or position adjust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force member.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는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 조절부가 각각 구비되어 위치 조절부에 의해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수직 방향의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서로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원단 안내부는 폭 조절부가 구비되어 각 원단 안내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abric guide portion and the fabric conveyance por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fabric guide portion and the fabric convey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constant vertical gap is mainta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And, the fabric gu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ay be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portion to adjust the distance of each fabric guide.

한편, 원단 이송부는 베이스의 양측에 배치된 각 원단 이송부가 서로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r-end transfer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so that each far-end transfer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to narrow or widen each other.

그리고, 토치부는 원단의 에지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거리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orch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istance adjuster to move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edge of the fabric.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염색 전처리공정은 원통형으로 편조되 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여 개폭하는 단계와;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 단계와;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a woolen yarn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of the elastic yarn mix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by being widened in the cylindrical direction; Cutting and opening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flat; Fabric mercerizing step of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impart adsorption or gloss of dye; In order to impart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it may be made by including a fabric presetting step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염색공정은 탄성사가 혼합된 편물 원단을 편조하는 단계와; 염색을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전처리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처리 단계는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여 개폭하는 단계와;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 단계와;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Dye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braiding the knitted fabric mixed with elastic yarn; Pretreating the knitted fabric for dyeing; It can be made, including the step of dyeing the pretreated fabric. In this case, the pretreatment step may include: performing a moss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portion of the elastic yarn mix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the cylindrical direction and widened in the width direction; Cutting and opening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flat; Fabric mercerizing step of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impart adsorption or gloss of dye; In order to impart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it may be made by including a fabric presetting step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

이 경우, 모소 수행 단계는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투입하는 단계와; 원통형의 편물 원단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의 잔털을 태워 제거하는 단계와;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 행된 편물을 원단 모소부로부터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된 원단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tep of performing the woolen is a step of injecting the fabric for the work on the knitting fabric knit in the cylindrical; Burning off and removing the hair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Discharging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olded surfaces are carried out from the original fabric section; It may also comprise the step of loading the discharged fabric.

그리고, 잔털을 제거하기 전에 투입되는 원단이 감기지 않도록 펼쳐지게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잔털을 제거하는 단계는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전면 및 후면의 잔털 제거가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양단 에지부의 잔털 제거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양단 에지부의 잔털 제거는 원단의 규격에 따라 토치가 에지부에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the fabric to be unfolded so as not to wind up before removing the fine hairs.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removing the fine hair may be made before or after the removal of the hair on both edge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for the folded knitted fabric. On the other hand, the removal of fine hairs at both edges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torch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edg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abric.

한편, 염색단계는 씨피비(CPB : Cold Pad Batch) 염색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yeing step may be performed by CPB (Cold Pad Batch) stain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물은 물론 탄성사가 포함된 편물에 대한 염색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yeing state of the knitted fabric, as well as the knitted fabric including the elastic yarn may be made unifor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편물에 대한 전체 염색 대상 영역에 대한 염색 전처리의 수행이 가능한 공정 및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rocess and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the dye pretreatment for the entire dyeing target area for the knitted fabric using the existing dye pretreatment process and system.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물의 염색을 위한 전처리 공정을 개선하여 원단에 대한 전처리 효과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the dyeing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made uniform pre-treatment effect on the fabric.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물의 접혀진 부분(에지부)에 대한 모소공정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처리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treatment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nabling a small process to be performed on the folded portion (edge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물의 전체 영역에 대한 균일한 모소 처리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form patterning treatment state for the entire area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achieved.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물 원단에 대한 씨피비 염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nd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CBB dyeing for knitted fabrics.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공정 개선을 위한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dye pretreatment process and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for process improvem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염색 전처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at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편물은 물론 탄성사가 혼합된 편물 의 펼쳐진 부분과 접혀진 부분에 대한 모소 공정의 수행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uniformity of the knitting process for the unfolded and folded portions of the knitted fabric as well as the knitted knitted fabric.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 전처리 공정을 통해 원사에서부터 염색된 원단이 가공되는 과정에 대한 편물 생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시된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 생성공정(1001)은 원사를 편조하여 편물 형태의 원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 공정(1001)은 이미 기존에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공정을 통해 수행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원사는 탄성사가 혼합되어 탄성사 혼합의 원단(편물)의 생성이 가능하다. Figure 2a schematically shows a knitted production process for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dyed fabric from the yarn through the dye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it is as follows. The fabric generating process 1001 generates the knitted fabric by braiding the yarns. This process 1001 can be carried out through a process that is already generally performed in this case, wherein the yarn is mixed with the elastic yarn is capable of producing a fabric (knitted) of the elastic yarn mixture.

상기 원단은 염색가공을 위하여 염색 전처리 공정(1002)을 거쳐 원단의 물리적인 특성을 개선한 후 원단 염색공정(1003)을 통해 원단을 염색하게 되다. 상기 염색공정(1003)은 씨피비(CPB : Cold Pad Batch) 염색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씨피비 염색은 염료에 강 알카리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염색으로 롤링 후에 배칭(Batching) 및/또는 에이징(aging)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염색은 상온에서 진행될 수 있고, 원단에 기계적인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염색된 원단의 광택과 촉감이 개선될 수 있다. The fabric is dyed through the fabric dyeing process 1003 afte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through the dye pretreatment process 1002 for dyeing processing. The dyeing process 1003 may be carried out by cold pad batch (CPB) dyeing. Said CIBBY dyeing may be carried out through batching and / or aging after rolling with dyeing performed by adding strong alkali to the dye. This dyeing can b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and because the mechanical friction does not occur in the fabric, the gloss and feel of the dyed fabric can be improved.

씨피비 염색은 편물의 표면에 잔털을 제거함으로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방식으로 염색 전처리 공정이 수행된 경우에는 편물 원단 에지부의 잔털이 제거되지 않아 염색 후 원단에는 에지-마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편물에 대한 씨피비 염색을 적용하지 않고 있었다. Cpivi staining is made possible by removing the hair on the surface of the knit fabric. In other words, when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was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since the hair was not removed from the edges of the knit fabric, edge-marks were generated after the dyeing, and thus the Caviby dyeing was not applied to the knit fabric.

그러나,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 전처리 공정(1002) 에 의해 편물 원단에 대한 씨피비 염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However, by dyeing pretreatment process 10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possible to enable the dyeing of CPI for the knitted fabric.

이와 같이 염색이 수행된 원단은 원단 가공공정(1004)을 통해 의복 또는 다른 편물제품으로 제조된다. The dyeing is performed in this way is manufactured into a garment or other knitted product through a fabric processing process (1004).

원단(편물)의 특성에 따라, 상기 염색 전처리 공정(1002)은 원단 모소 공정(1100-1), 원단 개폭 공정(1200), 원단 머서라이징 공정(1300) 및 원단 프리세팅 공정(1400) 중 일부 공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knitted fabric),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1002 may be a part of a fabric shaping process 1100-1, a fabric opening process 1200, a fabric mercerizing process 1300, and a fabric presetting process 1400. It can consist of a combination of processes.

우선, 원단 모소 공정(1100-1)은 편물 원단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털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하 설명되는 원단 모소부(1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소 공정(1100-1)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음 원단 투입공정(100-1)에서는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 투입된 원단은 원통형 상태로 넓게 펼쳐져 투입되기 때문에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접혀진 테두리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의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에 존재하는 잔털은 잔털 제거공정(300-1)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원단의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에 존재하는 잔털의 제거는 이하 설명되는 원단 모소부(1100)를 구성하는 잔털 제거부(30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First, the fabric shaping process 1100-1 is a process for removing fine hairs existing on the surface of a knitted fabric, and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abric shaping unit 1100 described below. The woolen process 1100-1 is to insert the fabric for the work to mock the fabric knit in the cylindrical in the first fabric input process (100-1), as shown in Figure 2b. Since the input fabric is spread out wide in a cylindrical state, it can b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and edge portions (folded edge portion). Remnants of hair present on the front, back and edge portions of the fabric may be removed through the hair removal process 300-1. In this case, the removal of fine hairs existing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edge of the fabric may be removed by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constituting the original fabric portion 1100 described below.

이와 같이, 상기 잔털이 제거되는 원단의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는 균일하게 잔털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는 잔털의 제거와 함께 평활감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잔털 제거공정(300-1)이 수행될 수 있다. As such, the front, back, and edge portions of the fabric from which the residual hair is removed may be uniformly removed. Meanwhile, the hair removal process 300-1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the back surface, and the edge portion may be smoothly formed with the removal of the hair.

이와 같이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에 잔털이 제거된 원단은 원단 배출공정(400-1)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원단은 이하 설명되는 원단 모소 부(1100)를 구성하는 원단 배출부(40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된 원단(600)은 원단 적재공정(500-1)에 의해 적재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abric is removed from the front and back and the edge por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fabric discharge process (400-1). In this case, the fabric may be discharged by the fabric discharge unit 400 constituting the fabric patterning unit 1100 described below. The discharged fabric 600 may be loaded by the fabric loading process (500-1).

한편, 상기 원단 모소공정(1100-1)은 원단의 앞면과 뒷면 및 에지부의 잔털을 제거하기 전에 투입되는 원단이 감기지 않도록 원단이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투입될 수 있도록 원단 정리 단계(200-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bric shaping step (1100-1) is a fabric cleaning step so that the fabric is introduced in the unfolded stat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abric is not wound before removing the remaining hair on the front and back and the edge of the fabric (200- It may further include 1).

이와 같이 원단 모소 공정(1100-1)이 수행된 원통 형상의 환편물 원단은 폭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질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원단 개폭 공정(120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단 개폭 공정(1200)은 환편물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기 위하여 원형의 커터를 이용한 커팅작업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r circular fabric of the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original fabric process 1100-1 is performed may b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circular knitted fabric to be fully unfold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abric opening process 1200 may be performed through a cutting operation using a circular cutter to cu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ircular knitted fabri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원단 개폭 공정(1200)을 거쳐 원통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된 원단은 머서라이징 공정(1300)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머서라이징 공정(1300)을 통해, 고농도의 가성소다용액 등과 같은 강 알카리에 원단을 침지하여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에 대한 변형을 일으켜 섬유를 팽윤, 수축시켜 광택을 부여하고, 염료의 흠착성이 증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mercerizing process 1300 may be performed on the original fabric having a cylindrical shape to a planar shape through the original fabric opening process 1200. Through the mercerizing process (1300), the fabric is immersed in a strong alkali such as caustic soda solution of high concentration to cause deformation of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constituting the fabric to swell, shrink the fibers to give gloss, dy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cratchability of the.

한편, 상기 편물 원단에 탄성사가 혼합된 경우에는 고열의 열 처리를 과정을 거쳐 탄성사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원단 프리세팅 공정(1400)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yarn is mixed in the knitted fabric, a fabric pre-setting process 1400 for imparting thermal stability of the elastic yarn through a high heat treatment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상기 원단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털은 염색 전처리 공정(1002)을 구성하는 원단 머서라이징 공정(1300)과 원단 프리세팅 공정(1400), 그리고, 원단 염색 공 정(1003)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원단 모소 공정(1100-1)을 먼저 수행하여 원단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털을 제거하고, 원단의 표면에 대한 평활성을 더 부여할 수도 있다. The remaining hairs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may affect the fabric mercerizing process 1300, the fabric presetting process 1400, and the fabric dyeing process 1003 constituting the dye pretreatment process 1002. Therefore, by performing the fabric lattice process (1100-1) firs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emaining hair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and may further impart smoothness to the surface of the fabric.

상기 원단 모소 공정(1100-1)의 수행을 위한 염색 전처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염색 전처리 시스템은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단 모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단 모소부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dyeing pretreat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fabric mosquito process 1100-1 may be configured.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may be provided with a fabric patterning part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portion of the elastic yarn blend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widen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abric moiety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그리고, 상기 원단 모소부(1100)에 의해 표면에 잔털이 제거된 원단은 원통 형상의 구조에서 평면 형상의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원단의 어느 일 면 중앙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원단 개폭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abric in which the fine hair is removed from the surface by the fabric patterning unit 1100 may be provided with a fabric opening portion such that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abric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form a planar structure in a cylindrical structure. .

상기와 같이 평면 구조로 개폭된 원단에 대하여,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강 알카리를 이용한 머서화 가공을 수행하는 원단 머서라이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merceriz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bric mercerizing unit for performing mercerization process using strong alkali to impart dye adsorption or gloss by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have.

또한, 상기 염색 전처리 시스템은 편물 원단이 탄성사가 혼합된 원단인 경우, 탄성사에 대한 열적 안정성과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단에 대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단 프리-세팅부에 의해 이후 공정 및/또는 최종 제품에 대한 원단의 안정성이 부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abric pre-setting unit for heat treatment at high heat to the fabric in order to give the thermal stability and properties for the elastic yarn when the knitted fabric is a fabric mixed with elastic yarn. The fabric pre-settings may impart stability of the fabric to subsequent processes and / or final products.

상기 원단 모소부(1100)는 기본적으로 원단 투입부(100), 잔털 제거부(300), 원단 배출부(400) 및 원단 적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 기 원단 모소부(1100)는 원단 정리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abric moss part 1100 may basically include a fabric input unit 100, a fine hair removing unit 300, a fabric discharge unit 400, and a fabric loading unit 500. In this case, the original fabric moiety 1100 may further include a fabric organizer 200.

상기 원단 모소부(11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원단 모소부(110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fabric source unit 11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3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the original fabric portion 1100.

상기 원단 투입부(100)는 롤 형태로 준비되는 원단(600)이 원단 모소부(1100)의 본체에 구비된 롤러(101)를 통해 잔털 제거부(3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단 투입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원단(600)은 가이드부(102)를 통해 잔털 제거부(3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2)는 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abric input unit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abric 600 prepared in a roll form is provided to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through the roller 101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fabric patterning unit 1100. The fabric 600 provided through the fabric input unit 100 may be provided to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through the guide unit 102. The guide portion 102 may be composed of a roller.

이때, 상기 원단 투입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원단(600)은 원통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폭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겹쳐진 상태로 제공된다. At this time, the fabric 600 provided through the fabric input unit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is provided in an overlapping state to unfol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잔털 제거부(300)는 상기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600)에 대하여 양단 에지부(테두리 영역)에 대한 잔털의 제거를 위하여 에지 모소부(300a)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원단(600)의 상부면(앞면)과 하부면(뒷면)에 대한 잔털의 제거를 위하여 면 모소부(300b)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n edge patterning portion 300a to remove fine hairs on both edge portions (border regions) with respect to the fabric 600 transported in the overlapped state. The surface patterning part 300b may be provided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pper surface (front side) and the lower surface (back side) of the 600.

상기 면 모소부(300b)는 복수의 이송 롤러(361,362)가 구비되고, 상기 각 이송 롤러(361,362)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송 롤러(361,362)의 방향을 하여 화염(불꽃)을 발생시키는 토치부(363,36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원단(600)은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361,362)를 엇갈리는 방향으로 지나게 되고, 이때, 상기 각 이송 롤러(361,362)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토치부(363,364)로부 터 화염이 발생하여 상기 원단(600)의 앞면과 뒷면의 잔털을 제거하게 된다. The surface chamfer 300b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61 and 362, and a torch unit generating flame (flam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rollers 361 and 362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transfer rollers 361 and 362 ( 363 and 364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abric 6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361 and 362 in a crossing direction, and at this time, a flame is generated from the torch parts 363 and 364 disposed at adjacent positions of the feed rollers 361 and 362. The hair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fabric 600 are removed.

상기 에지 모소부(300a)는 원단(600)이 상기 면 모소부(300b)를 지나기 전 또는 후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 상에서, 상기 에지 모소부(300a)는 면 모소부(300b)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The edge patterning portion 300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efore or after the fabric 600 passes the surface patterning portion 300b. In the illustration, the edge recess 300a is shown to be disposed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face recess 300b.

상기 에지 모소부(300a)는 기본적으로 원단(600)이 납작하게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원단의 에지부에 대하여 화염이 제공되도록 하여 잔털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dge patterning portion 300a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flame with respect to the edge portion of the fabric while the fabric 600 is basically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fabric 600 is flatly overlapped so that the remaining hair may be removed.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에지 모소부(300a)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면, 원통형의 원단(600) 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원단 안내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각 원단 안내부(310)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각 원단 이송부(320)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원단 안내부(3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각 원단 이송부(320)는 베이스(34)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베이스(340)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우측으로 배치되는 원단 이송부(320)의 간격은 원단(600)의 폭과 상응하는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dge portion 300a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a pair of fabric guide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fabric 600 is pro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fabric guides 31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interval is maintained with each fabric conveying unit 320 providing a transfer force. Each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f the fabric guides 31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ase 34,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base 340.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disposed to the left and the right may be arranged to form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abric 600.

한편,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베이스(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우측에 배치되는 원단 이송부(320)는 원단(600)의 폭에 따라 원단 이송부(320) 간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bric transfer unit 320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340. In this case,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have a width adjusted between the fabric conveying units 32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abric 600.

그리고,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어느 일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는 토치 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시 상에서, 상기 토치부(130)는 원단 이송부(320)의 일 측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방향을 향하여 화염(불꽃)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일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토치부(130)는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방향에 대한 화염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그 배치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torch unit 13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distal guide 310. In the figure, the torch unit 130 is shown in one example is arranged to generate a flame (flame) in the direction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is coupled to one side position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However, if the torch unit 130 is configured to provide a flame in the direction of the distal guide unit 310, the torch unit 130 is not limited in its arrangement.

상기 에지 모소부(300a)는 원단(600)의 접힌 부분(즉, 에지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편물 원단(600)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수단은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edge pattern part 300a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part (means) for conveying the knitted fabric 600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to remove fine hairs on the folded portion (ie, the edge portion) of the fabric 600. The convey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mad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guide portion 310 and the distal conveyance unit 320.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원단 이송부(320)로부터 이송력을 제공받아 원단(60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원단(6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원단이 좌,우로 펼쳐져 납작하게 겹쳐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abric guide 310 is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while being supplied with the transfer force from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as shown in Figure 5a to 5c, the fabric 600 is transferred, the fabric is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flat state of unfolding to the left, right.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원단 안내부(310)는 그 바디(311)가 일정한 폭을 가지는 긴 막대와 같은 외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311)는 상부와 하부 바디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중앙부가 벌어진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311)에는 이하 설명되는 원단 이송부(320)에 의해 이송력을 전달받아 투입되는 원단을 이송할 수 있도록 종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or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abric guide 310 may have an appearance such as a long rod whose body 311 has a predetermined width. The body 311 may be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or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late having a central portion. The body 3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riven means so as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is received by the transfer force by the raw material conveying unit 32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종동수단의 일 예로는 상기 바디(311)의 양단부에 종동롤러(312)가 구비되고, 상기 종동롤러(312)에 벨트(312a)가 감기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송부(320)의 이송력이 상기 종동롤러(312) 또는 벨트(312a)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롤러(312)와 벨트(312a)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종동롤러(312)와 벨트(312a)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일 측면 위치에 벨트(312a)가 항상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가 제공되므로 원단(600)이 상기 벨트(312a)에 의해서 상기 벨트(312a)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driven means, a driven roller 3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311, and a belt 312a may be wound around the driven roller 312.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veying force of the conveying part 320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roller 312 or the belt 312a so that the driven roller 312 and the belt 312a are rotatable. Since the belt 312a always moves in on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roller 312 and the belt 312a, the fabric 600 moves to the belt ( 312a) may be mov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elt 312a.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단 이송부(320)가 상기 원단 안내부(310)에 대하여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이송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바디(32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롤러(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321)는 상기 구동롤러(322)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롤러(322)가 원단 안내부(310)의 종동롤러(312) 또는 벨트(312a)와 직접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6a to 6d is shown a configuration that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can provide a transfer force to the fabric guide 310.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iving roller 322 in the body 321 to provide a conveying force. The body 321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the drive roller 322, the driving roller 3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is driven roller 312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Or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belt 312a.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면, 상기 원단 이송부(320)에 의해 발생하는 이송력의 전달을 위해 원단 이송부(320)에 상기 구동롤러(322)가 상기 종동롤러(312)와 직접 접하게 되어 상기 구동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롤러(312)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벨트(312a)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구동롤러(322)가 벨트(312a)와 직접 접하게 되어 상기 구동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벨트(312a)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is structure, the drive to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for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force generated by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The roller 32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riven roller 312 so that the driven roller 31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322, and thus the belt 312a may be configured to rotate. Unlike this, the driving roller 322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elt 312a so that the belt 312a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322.

상기 예시된 구성 이외에도, 동력(원단에 대한 이송력)이 제공되어 상기 원 단 안내부(310)가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원단(6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단(600)이 상기 원단 안내부(310)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이송될 수 있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power (feeding force to the fabric) is provided so that the fabric 600 is the fabric guide in the state that the fabric guide 310 is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Other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that can be conveyed in a state guided by 310.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구동롤러(3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6)는 상기 구동롤러(322)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접 구동롤러(322)와 결합하거나, 또는 기어부(326a)를 더 구비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322)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롤러(322)는 하나의 구동부(326)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벨트(322a)에 의해 각 구동롤러(322)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326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roller 322. The drive unit 326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rive roller 322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roller 322, o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provide a rotational force by further comprising a gear unit 326a. 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driving rollers 322 are provided, the driving rollers 322 may be connected to each driving rollers 322 by a belt 322a to receive power from one driving unit 326. It may be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상기 구동롤러(322)가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벨트(312a) 또는 종동롤러(312)와 접하게 되어 구동력(예를 들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roller 322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elt 312a or the driven roller 312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to receive a driving force (for example, rotational force). Will be.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구동롤러(322)가 원단 안내부(310)의 벨트(312a)에 접하여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조의 경우, 상기 원단 안내부(310)에는 구동롤러(322)에 대한 상기 벨트(312a)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3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롤러(313)는 구동롤러(322)에 상기 벨트(312a)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312a)가 회전하는 경우 슬립 형상이 발생하기 않도록 벨트(312a)가 구동롤러(322)로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가압롤러(313)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롤럭(322)가 가압롤러(31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므로, 가압력(밀착 력)을 높일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roller 322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in contact with the belt 312a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to provide a feed force, the fabric guide unit 310 has a driving roller 322 for the fabric conveying unit 310. One or more pressing rollers 313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belt 312a. The pressing roller 313 is a belt 312a so that the slip shape does not occur when the belt 312a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322 while the belt 312a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roller 322. ) Serves to support the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roller 322. In this case, as shown, a pair of pressure rollers 313 are provided so that the driving rollers 322 are disposed between the pressure rollers 313, thereb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adhesive force).

한편,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상기 벨트(312a)가 원단 안내부(310)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작동(회전)시 다른 구성부 및/또는 원단(600)과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314a,314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istal guide 310 may prevent the belt 312a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distal guide 310 or caus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and / or the distal fabric 600 during operation (rotation). At least one guide roller 314a, 314b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구동롤러(322)로부터 이송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원단(600)의 내부로 원단 안내부(310)가 삽입되어 원단(600)이 펴진 상태로 이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to enable the provision of the transfer force from the drive roller 322, at the same time the fabric guide 310 is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the fabric 600 In order to be transported in an unfold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다시 말해서, 상기 베이스(340)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각 원단 안내부(310)가 상기 원단(600)의 접혀지는 양단부 위치에서 원단(6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접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원단(600)의 접혀지는 양단부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원단(600)의 양단부는 각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사이를 지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each fabric guide 31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340 is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at both ends of the fabric 600 that are folded, and the fabric guide 310 Each fabric conveying unit 320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disposed outside the folded ends of the fabric 600 so that both ends of the fabric 600 may pass between each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t can be configured to b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원단(600)이 넓게 펴진 상태로 정리되어 이송 가능하게 되며, 원단(600)의 접혀지는 양단부의 영역이 이하 설명되는 토치부(130)를 향하여 노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fabric 600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can be arranged and transported in a wide open state, and the areas of both ends of the fabric 600 being folded can be exposed toward the torch unit 130 described below. Can be.

여기서,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일 단부 위치에는 이하 설명되는 토치부(130)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원단(600)의 에지부(접힌 부분)의 배치를 위하 여 가이드부(31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316)는 원단의 에지부에 대한 잔털의 제거 영역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두께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잔털이 제거된 원단(600)의 에지부 영역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또는 뒤틀어짐)되지 않는 상태로 면 모소부(300b)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guide portion 316 at one end position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for the arrangement of the edge portion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6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rch portion 130 described below. May be further provided. The guide part 316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that can sufficiently secure the removal area of the hairs on the edge of the fabric, and the edge area of the fabric 600 from which the hairs are removed is moved to another area (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guided to be moved to the surface pattern portion 300b in a non-twisted state.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원단(600)의 양단부가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사이의 간격을 지날 수 있는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서로 접하는 위치에 각각 위치고정부(315,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315,325)의 구성의 일 예로, 상기 위치고정부(315,325)는 자력부재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자력부재의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서로에 대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so that both ends of the fabric 600 can pass the gap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to the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position fixing parts 315 and 325 at posi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15,325),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15,325) can be configured as a magnetic force member. That is,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member,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can be maintained a bonding forc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원단 안내부(310)가 상기 원단 이송부(320)에 대한 간격의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폭 조절부(3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폭 조절부(350)는 그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340)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각 원단 안내부(3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자력에 의해 각 원단 안내부(310)가 각각의 원단 이송부(32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상기 폭 조절부(3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원단 이송부(320)와의 거리(간격)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portion 350 in order to form a gap with respect to the fabric conveying portion 320. The width adjusting unit 350 is coupled to each of the fabric guides 310, the both ends of which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base 340, so that each fabric guide 310 by each of the fabric guides 320, respectively Can be controlled to move in the ()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distal guide 310 is limited by movement of the width adjusting part 350 to maintain a distance (interval) from the distal conveyance part 320.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각각 위치 조절부(317,32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위치 조절부(317,327)는 자력부재로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바디(321)의 양단부가 원단 안내부(310)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연장된 바디(321)에 상기 위치조절부(327)가 구비되도록 하여 원단 안내부(310)와의 거리(간격)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unit (317, 327). Each of the position adjusting parts 317 and 327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members, thereb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part 320. In this case,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of the body 321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so that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is provided in the extended body 321. The distance (interval) with the part 310 may be adjusted.

상기 위치 조절부(317,327)의 구성은 상기 원단 안내부(310)가 원단 이송부(320)와 측면 방향의 간격(즉, 측면 방향에서 접하는 상태의 간격) 및 뒤틀림(즉,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측면의 조절이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연장된 바디의 위치(321a)에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위치 조절부(327)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바디(317)에도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조절부(327)와 상응하도록 각각의 위치 조절부(317)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조절부(327) 사이에 원단 안내부(310)의 바디(311)가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32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abric guide unit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n a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lateral direction) and distorted (ie, fabric guide 3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wo sides so that the and the distal conveying unit 320 can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the position (321a) of the extended body of the distal conveying unit 320.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is disposed at all, and the respectiv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of the distal conveying unit 320 in the body 317 of the distal guide unit 310.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body 311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10 is floating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327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다시 말해서,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조절부(317)와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조절부(327) 간의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상기 원단 인송부 바디(321)의 연장부(321a)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접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of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acts so that the fabric guide 310 is the fabric conveying unit body 321.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s 321a, and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조절부(317)와 원단 이송부(320)의 위 치 조절부(327) 간의 인력은 상기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고정부(315)와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고정부(325) 간의 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폭 조절부(350)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원단 안내부(310)는 상기 위치 조절부(317,327) 간의 인력으로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간에 간격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the position fixing unit 315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It may be to act as a resistance to the attraction betwee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25 of 320. In other words, even when there is no width control unit 350, the fabric guide 310 is a gap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section (317,327). You may.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 간의 간격 형성을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단 이송부(320)에 구비되는 위치 고정부(32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어부(135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5a)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스크류 또는 리니어 모터 등과 같은 전동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고정부(325)가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고정부(315)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여 인력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form a gap between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as shown in Figure 7a, the control unit 135a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unit 325 provided in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 May be further provided. As the control unit 135a is generally known, the position fixing unit 325 is moved away from or near the position fixing unit 315 of the distal guide unit 310 by using an electric method such as a screw or a linear motor.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attraction.

다른 한편,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원단 이송부(320)에 구비되는 위치 조절부(327)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조절부(327)는 상기 바디의 연장부(321a)에 연장 단부(327b)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 단부(327b)에 가변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32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조절부(327)가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조절부(317)에 대한 거리가 가변 가능하게 되므로 각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 조절부(327)와 원단 안내부(310)의 위치 조절부(317) 간의 인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b, may be configured to vary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provided in the far-end conveying unit 320. In this cas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end 327b at the extension portion 321a of the body, and 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327a vari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end 327b. May be In this configura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variable in distance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of the fabric guide unit 310, so that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27 of each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variable. Strength of the attraction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17 of the fabric guide 310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단 안내부(310)는 상기 원단 이송부(320)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으로 원단(600)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abric guide part 310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fabric conveying part 3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abric 600 may be conveyed at an interval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o.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distal guide 310 and the distal conveying unit 320 may be adjust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베이스(340)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단 안내부(3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실제에 있어서,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설명된 위치 고정부(315,325), 폭 조절부(350) 및/또는 위치 조절부(317,327)에 의해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결합력을 가지게 되며, 다만, 원단(600)의 이송을 위하여 원단 안내부(310)의 종동롤러(312) 및/또는 벨트(312a)가 상기 원단 이송부(320)의 구동롤러(322)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maintained on both sides of the base 340, the fabric guide 310 is maintained in a state that is maintained in a stat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n practice, the far end guide 310 and the far end conveyance part 32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osition fixing parts 315 and 325, the width adjusting part 350 and / or the position adjusting parts 317 and 327 as described above. It has a bonding force in a state where a constant interval is maintained, except that the driven roller 312 and / or the belt 312a of the fabric guide part 310 drives the fabric conveying part 320 to convey the fabric 600. Embodiments that have been configured to contact the roller 322 have been described.

이와 같은 구성에 더불어, 상기 베이스(340)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원단 이송부(320)는 그 폭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340)의 폭 방향(도시 상에서는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340)에는 상기 각 원단 이송부(320)가 베이스(34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원단 이송부(320)에는 상기 베이스(3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340)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air of far-end conveyance units 3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340 may be narrowed or wide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340 (left in the figure).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right direction). For this configuration, the base 340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respective fabric conveying unit 32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340,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s the base 340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ving along the base 340 may be provided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상기 구성에 관한 일 예로, 상기 구동력은 스크류 기어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베이 스(340)에 스크류 또는 벨트가 구비되는 동력부(모터 등) 등의 구성을 가지는 이송부(343)가 구비되고,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상기 이송부(343)에 의해 상기 베이스(340)에서 활주하여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e driving force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screw gear.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is, the base 34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343 having a configuration such as a power unit (motor, etc.) provided with a screw or belt, the fabric transfer unit 320 is the transfer unit 343 By sliding in the base 340 may be made to be adjustable in width.

상기 구성의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원단 이송부(320)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321)의 어느 일 위치에 베이스의 이송부(343)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343)에 의해 직선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부 홀더(3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더(324)에 대한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341)의 어느 일 위치에는 구동부(344)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343)가 구동부(344)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송부 홀더(324)가 이송부(343)를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344)는 작동력의 크기 및/또는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어부(344a)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이송부(343)는 상기 기어부(344a)를 통해 구동부(344)로부터 작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the fabric transfer unit 320 is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343 of the base at any position of the body 321, as shown in Figure 6c and 6d is a straight line by the transfer unit 343 Transfer part holder 324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order to provide an operating force to the holder 324, a driving unit 344 is provided at one position of the base body 341, and the transfer unit 343 may include a driving unit ( Receiving an operating force from 344, the transfer holder 324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along the transfer 343.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344 may further include a gear unit 344a to adjust the size and / or speed of the operating force, and the transfer unit 343 is the driving unit 344 through the gear unit 344a.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operating force from).

한편, 상기 베이스(340)에는 상기 원단 이송부(320)가 직선(왕복)운동이 가능 하도록 원단 이송부(320)가 베이스(340)에 대한 활주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로는, 도 8a 및 도 8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베이스의 바디(341)에 가이드 레일(342)이 더 구비되고, 도 6c 및 도 6d의 도시와 같이, 상기 원단 이송부 바디(321)의 어느 일 위치에는 가이드 홀더(323)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홀더(323)가 가이드 레일(3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원단 이송부(320)가 베이스(340)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활주 가능하게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3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ar end conveyance unit 320 can slide on the base 340 so that the far end conveyance unit 320 can perform a straight line (round trip) movement.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8A and 8B, a guide rail 342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dy 341 of the base, and as shown in FIGS. 6C and 6D, the fabric transfer unit body ( A guide holder 323 is provided at one position of the 321, and the guide holder 323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342 so that the fabric conveying part 320 is not separated from the base 340. Can be slidable.

한편, 상기 베이스(340)에 대한 원단 이송부(320)의 왕복운동을 위한 다른 구성의 예로는 상기 원단 이송부의 바디(321)와 상기 베이스의 바디(341) 사이에 리니어 모터 등을 배치하여 원단 이송부(320)가 상기 베이스(340)에 대한 왕복 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원단 이송부(320)와 베이스(340)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왕복운동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340) 상에서 원단 이송부(320)의 폭에 대한 조절 가능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another configuration for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with respect to the base 340 is a fabric conveying unit by placing a linear motor or the like between the body 321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and the body 341 of the base. 32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reciproca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340. That is, a generally known reciprocating mea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and the base 340 to form an adjustable configuration for the width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on the base 340.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340)에는 원단 투입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원단(600)이 상기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의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안내롤러(34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3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345 so that the fabric 600 flowing from the fabric input unit 100 can be transported to the position of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You may.

또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340)의 어느 일 위치에는 원단(600)에 손상(예를 들어 구멍 또는 찢어진 부분)이 존재하는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출부(34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검출부(346)는 예를 들어 안내롤러(345)와 인접한 위치 또는 이송되는 원단(600)을 양측 위치에서 검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출부(346)는 포토 센서 등과 같은 검출수단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t one position of the base 3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346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ition where damage (for example, holes or torn portions) exist in the fabric (600). have. The detection unit 346 may be provided to detect, for example,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roller 345 or a distal end 600 to be transported at both positions. Such a detection unit 346 can be configured as a detection means such as a photo sensor.

상기 검출부(346)의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600)에 손상 여부가 확인 가능하게 되며, 상기 손상 여부의 확인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원단(600)의 양측 위치(접혀지는 부분)에 구멍이 발생한 경우에는 원단(600)이 이송 중 에지 모소부(300a) 또는 다른 위치에 감기게 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장비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346)에 의해 원단(600)의 손상을 검출한 경우, 전체 시스템의 구동을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방지 및/또는 시스템의 보호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346,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abric 600 is transport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checking the damage. For example, when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folded portions) of the fabric 600, the fabric 600 is wound on the edge pattern part 300a or another position during transportation to cause a fire, or Damage may occur and this may result in personal injury. In this case, when the damage of the far-end 600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346, the driving of the entire system may be stoppe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nd / or to protect the system.

상기 원단 이송부(320)에는 원단 가이드부(32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원단 가이드부(328)는 상기 베이스(340)의 양측으로 장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는 두 원단 이송부 바디(321)의 연장 단부(32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단부(321a)에 구비되는 원단 가이드부(328)는 양측으로 배치되는 원단 안내부(310)에 의해 넓게 펴진 상태로 이송되는 원단(600)이 다른 구성요소들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리고/또는 원단(600)이 잘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어 원단(600)의 접혀진 양단 에지부와 상부 및 하부면에 대한 잔털의 제거가 원단(600)의 전체 외부면에 대하여 원할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fabric conveyance unit 3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abric guide unit 328. The fabric guide part 328 may be provided at the extended ends 321a of two fabric transfer part bodies 321 which are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base 340 and face each other. The fabric guide portion 328 provided at the extension end 321a may prevent the fabric 600 from being conveyed in a wide open state by the fabric guides 31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abric guide portion 328 to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And / or the fabric 600 is conveyed in an unfolded state so that the removal of fine hairs on both the folded edges of the fabric 60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abric 600. You may.

이 경우, 상기 원단 가이드부(328)는 상기 원단 이송부 바디(321)의 두 연장 단부(321a)의 간격 보다 좁은 위치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으로 원단 가이드부(328)가 구비되는 경우, 원단(600)과 상기 원단 가이드부(328) 간의 마찰 등으로 인한 원단(6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단 가이드부(328)는 롤러(328a)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롤러(328a)가 원단(600)과의 접촉 각 등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원단 가이드부(328)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결합부(328b)에 의해 상기 연장 단부(32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abric guide part 328 may be provided to have a position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xtending ends 321a of the fabric conveying part body 321. When the fabric guide part 328 is provided at the same interval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guide part 328 is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fabric 600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abric 600 and the fabric guide 328. It may be composed of a roller 328a. On the other hand, the roller 328a may be coupled to the extended end 321a by a coupling portion 328b having a bent portion in order to adjust the contact angle with the fabric 600, and the like. have.

한편,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단 이송부(320)에는 검출부(32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329)는 원단(600)이 유입되 는 원단 이송부(320)의 초기 위치에서 원단(600)의 손상을 검출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검출부(329) 또한, 포토 센서 등과 같은 검출수단으로 구성이 가능하고, 상기 검출부(329)의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600)에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사고의 예방 및/또는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6a to 6d, the far-end transfer unit 3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or 329. In this case, the detector 329 may be arranged to detect damage of the fabric 600 at an initial position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into which the fabric 600 is introduced. The detection unit 329 may also be configured by a detection means such as a photo sensor, and the like may be used to detect damage to the fabric 600 transferr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etection unit 329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 or damage the system. Can be prevented.

원단 안내부(310)와 원단 이송부(320)에 의해 접혀진 상태로 넓게 펼쳐져 이송되는 원단(600)의 양단부의 접혀진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는 원단의 에지부(접혀진 부분의 영역)에 대한 잔털의 제거를 위하여 토치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치부(330)는 원단 이송부(32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원단 안내부(310) 방향으로 화염(불꽃)의 방출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원단(600) 양단부의 에지부(접혀진 부분의 영역)에 대한 잔털의 제거가 가능한 위치면, 상기 토치부(330)는 장착 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At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folded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abric 600 which are widely spread and conveyed in the folded state by the fabric guide 310 and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removal of fine hairs on the edge portion (area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fabric is removed. Torch portion 33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torch unit 33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abric conveying unit 320 so as to enable the emission of a flame (flame) in the direction of the fabric guide 310. That is, as mentioned above, the torch portion 330 is not attached to the mounting position when the positional surface of the edge 600 (the area of the folded portion) at both ends of the fabric 600 can be removed.

한편, 상기 토치부(33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잔털의 제거를 위하여 불꽃(화염)을 방출하는 경우에만, 원단(600)의 에지부로 향하도록 하거나, 그리고/또는 원단(600)에 대한 화염(불꽃)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는 토치부(330)가 원단 이송부 바디(321)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torch unit 330 is directed to the edge of the fabric 600, and / or to the fabric 600 only when emitting a flame (flame) to remove the fine hair, as shown in Figure 10 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flame (flame).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the torch unit 33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mounted on the fabric transfer unit body 321.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상기 원단 이송부 바디(321)의 일 위치에는 원단(600) 에지부의 잔털을 제거하기 위한 화염(불꽃)을 방출하는 토치(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잔털의 제거를 위하여 불꽃(화염)을 방출하는 경우에만, 토치(331)가 원단(600)의 에지부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토치(331)는 베이스(332)에 의해 상기 원단 이송부 바디(321)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상기 베이스(332)에는 제1 구동부(333)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333)에 회전축(331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331a)의 다른 일 단부에 상기 토치(331)가 결합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토치(331)와 인접한 위치에는 점화부(33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o illustrate a specific example, a torch 311 may be provided at one position of the fabric conveying body 321 to emit a flame (flame) for removing the remaining hair on the edge of the fabric 600. In this case, in order to direct the torch 331 to the edge of the fabric 600 only when the flame (flame) is discharged for the removal of fine hair, the torch 331 is moved by the base 332 to the fabric conveying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to the body 321. Specifically, the base 332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er 333, the rotation shaft 331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river 333,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331a. The torch 33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Meanwhile, an ignition unit 335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orch 331.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구동부(333)는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절곡부가 구비되는 회전축(331a)의 단부가 힌지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31a)의 다른 일 단부에 토치(331)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31a)은 베이스(3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31a)의 일 단부에 힌지 결합된 제1 구동부(333)의 로드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31a)의 다른 일 단부에 결합된 토치(331)가 회전하게 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drive unit 333 can be configured using a cylinder, etc., the end of the rotary shaft 331a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on the rod of the cylinder is hinged, the other one of the rotary shaft 331a Torch 331 may be configured to engage the end. In this case, when the rotation shaft 331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332, when the rod of the first driving unit 333 hing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331a is operated, the rotation shaft ( The torch 331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331a is rotated.

이러한 토치부(330)의 회전 가능한 구성에 의해, 원단(600)이 상기 토치부(330)의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토치(331)는 제1 구동부(3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원단(600)의 에지부에 잔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토치(331)의 방출구(즉, 화염이 방출되는 입구)가 원단(600)의 에지부를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치(331)의 화염(불꽃)은 점화부(335)에 의해 회전 전 또는 후에 점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원단(600)의 에지부에 대한 잔털 제거를 위한 작업이 종료하거나, 중간에 멈추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3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토칭(331)가 회전하게 되어 토치(331)의 방출구로부터 화염(불꽃)이 원단(600)의 에지부를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By the rotatable configuration of the torch unit 330, when the fabric 600 is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torch unit 330, the torch 331 is opera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333. Rotation to remove the remaining hair at the edge portion of the) may be dispos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torch 331 (that is, the inlet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to the edge of the fabric 600. In this case, the flame (flame) of the torch 331 may be configured to be ignited before or after the rotation by the ignition unit 335. In addition, when the work for removing the remaining hair on the edge portion of the fabric 600 is terminated or stopped in the middle, the torch 331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333 torch 3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e (flame)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toward the edge of the fabric (600).

한편, 상기 토치부의 베이스(332)는 제2 구동부(334)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되는 가동부(334a)에 의해 상기 원단 이송부의 바디(32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구동부(334)는 원단 이송부의 바디(320)의 어느 일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334a)는 상기 제2 구동부(3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치부 베이스(332)는 상기 가동부(334a)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부(334a)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332 of the torch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ody 320 of the distal conveyance portion by the movable portion 334a which is slidably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portion 334. In this case, the second driving unit 334 may be coupled to any one position of the body 320 of the far-end transfer unit, and the movable unit 334a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334. The torch part base 332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part 334a to be slidable together with the movable part 334a.

이 경우, 상기 가동부(334a)는 제2 구동부(334)의 작동에 의해 원단(600)의 에지부에 대하여 상기 토치(331)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은 리니어 모터 또는 스크류 기어 등의 구성을 통해 직선 왕복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부(334)에 의한 가동부(334a)의 구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왕복 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vable part 334a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close to or away from the edge part of the far end 600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part 334. The sliding drive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a configuration such as a linear motor or a screw gear. Accordingly, the driving of the movable part 334a by the second driver 334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having a generally known reciprocating configuration.

한편, 상기 제2 구동부(334)에는 조절부(334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부(334b)는 상기 제2 구동부(334)에 의해 가동부(334a)가 왕복 운동을 하도록 작동시키는 레버 또는 로터리 레버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한편, 상기 조절부(334b)는 상기 가동부(334b)의 이동거리를 나타낼 수 있는 게이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iving unit 33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djusting unit 334b. The adjusting unit 334b may be configured as a lever or a rotary lever for operating the movable unit 334a to reciprocate by the second driving unit 334, and the adjusting unit 334b may include the movable unit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auge that can indicate the movement distance of 334b).

상기 토치부(330)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 상기 토치(331)에는 연료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이 결합되고, 점화부(335)에는 점화를 위한 전기의 공급 및/또는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When the torch unit 330 h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supply pipe for supplying fuel is coupled to the torch 331, and an ignition unit 335 supplies electricity for ignition and / or supply of fuel. It may be done.

상기 잔털 제거부(300)에 의해 원단(600)의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공된 화염 등의 연소 가스는 에지 모소부(300a) 및/또는 면 모소부(300b)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소가스 배출기(35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ombustion gas such as a flame provided to remove fine hairs of the fabric 600 by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may be a combustion gas discharger disposed above the edge hairs 300a and / or the cotton hairs 300b. 35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through.

이와 같이 원단(600)의 에지부에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잔털 제거부(300)로 원단(600)을 투입하는 경우, 잔털 제거부(300)로 투입되는 원단(600)이 꼬이거나 뒤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투입될 수 있도록, 원단 투입부(100)의 전 및/또는 후의 위치에 원단 정리부(2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s such, when the fabric 600 is introduced into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to remove fine hairs at the edge of the fabric 600, the fabric 600 that is introduced into the fine hair removing unit 300 is not twisted or twisted. The fabric organizer 20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before and / or after the fabric input unit 100 so as to be input in a state.

상기 원단 정리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단 모소부(1110)의 바디에 가이드(21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2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20)에는 원단(6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안내부재(223)가 제1 고정구(221) 및 제2 고정구(222)에 의해 걸려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구(222)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간격을 통해 원단(600)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223)는 상기 원단(600)에 삽입되어 제1 고정구(221)와 제2 고정구(222)에 의해 걸려있는 상태가 되며, 원단(600)은 상기 안내부재(223)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구(221)와 제2 고정구(222)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221)는 힌지부(221a)의 구성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재(223)에 대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fabric organizer 200 includes a guide 210 provided on a body of the fabric moiety 1110 and movably coupled along the guide 210. It may be provided. The slider 2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guide member 223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is hung by the first fixture 221 and the second fixture 222. In this case, the first fixing part 221 and the second fixing device 222 ar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abric 600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interval. Therefore, the guide member 223 is inserted into the fabric 600 to be hung by the first fixture 221 and the second fixture 222, the fabric 600 is the guide member 223 It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fastener 221 and the second fastener 222 to pass through the gap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xing part 221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to the slider 20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221a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guide member 223.

상기와 같이 잔털 제거부(300)를 거쳐 원단(600)의 전체 외부면에 대한 잔털 이 제거된 원단은 배출기(410)와 이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단 배출부(40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from which the hair is removed from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abric 600 through the hair removal unit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fabric discharge unit 400 including the discharge unit 410 and the transfer unit 420. It may be configured to.

이와 같이 배출되는 원단(600)은 적재함(510)이 배치되는 원단 적재부(500)로 이송되어 적재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원단 적재부(500)에는 스윙부(520)가 구비되어 이송되는 원단(600)이 지그재그 형태로 포개지도록 적재시킬 수도 있다. The fabric 600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ported and loaded into the fabric loading unit 500 in which the loading box 510 is disposed.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fabric loading part 500 may be loaded so that the fabric 600 to be transported with the swing part 520 is stacked in a zigzag form.

상기와 같이 설명된 염색 전처리 시스템, 이를 이용한 염색 전처리 공정 및 염색공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described above,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nd the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are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Or som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도 1은 종래의 원단 모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abric moiety.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생성에서 염색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Figure 2a is a process chart showing the dyeing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염색 전처리 공정의 일 실시예에 관한 공정도이다. FIG. 2B is a process diagram relat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ye pretreatment process shown in FIG. 2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 전처리 공정을 구성하는 원단의 잔털을 제거하기 위한 원단 모소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bric moss portion for removing the fine hairs of the fabric constituting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모소부를 구성하는 에지 모소부에 관한 일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n edge trimming portion constituting a fabric cut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모소부를 구성하는 원단 안내부에 관한 일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far-end guide forming an edge pattern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원단 안내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r-end guide shown in FIG. 5A.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원단 안내부의 정면도이다. 5C is a front view of the far-end guide shown in FIG. 5A.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원단 안내부에 대하여 이송력을 제공하는 원단 이송부와 원단의 에지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는 토치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A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fabric conveying unit that provides a conveyance force to the fabric guide unit illustrated in FIG. 5A and a torch unit that removes fine hairs on an edge of the fabric.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원단 이송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bric conveyance unit shown in FIG. 6A.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원단 이송부의 정면도이다. 6C is a front view of the far-end feeder shown in FIG. 6A.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원단 이송부의 저면도이다. FIG. 6D is a bottom view of the fabric conveying part shown in FIG. 6A.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Figure 7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bonding state of the fabric guide portion and the fabric convey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의 위치 고정을 위한 위치 조절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7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fixing a position of a distal guide and a distal conveyanc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모소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8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base configuring an edge patter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FIG. 8B is a front view of the base shown in FIG. 8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단 이송부에 구비되는 원단 가이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abric guide unit provided in the fabric transport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원단의 에지부에 잔털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토치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rch unit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fine hairs at an edge portion of a fabric.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단 모소부에 구비되는 원단 정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osing end of the disposing end disposed in the disposing end of the disposing en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0 ... 편물 생산공정 1001 ... 원단 생상공정1000 ... Knit Production Process 1001 ... Fabric Production Process

1002 ... 염색 전처리 공정 1003 ... 원단 염색공정1002 ... dyeing pretreatment process 1003 ... fabric dyeing process

1004 ... 원단 가공공정 1100-1 ... 원단 모소공정1004 ... Fabric Fabrication Process 1100-1 ... Fabric Fabrication Process

1200 ... 원단 개폭공정 1300 ... 원단 머서라이징공정1200 ... fabric opening process 1300 ... fabric mercerizing process

1400 ... 원단 프리세팅공정 100-1 ... 원단 투입공정1400 ... Fabric Presetting Process 100-1 ... Fabric Feeding Process

200-1 ... 원단 정리공정 300-1 ... 잔털 제거공정200-1 ... Fabric finishing process 300-1 ... Hair removal process

400-1 ... 원단 배출공정 500-1 ... 원단 적재공정400-1 ... Fabric Discharge Process 500-1 ... Fabric Discharge Process

1100 ... 원단 모소부 100 ... 원단 투입부1100 ... fabric mosobu 100 ... fabric feed

200 ... 원단 정리부 210 ... 가이드200 ... Fabric Organizer 210 ... Guide

220 ... 슬라이더 300 ... 잔털 제거부220 ... slider 300 ... fine hair removal unit

300a ... 에지 모소부 310 ... 원단 안내부300a ... edge moss 310 310 ... fabric guide

311 ... 원단 안내부 바디 312 ... 종동롤러311 ... fabric guide body 312 ... driven roller

312a ... 벨트 313 ... 가압롤러312a ... Belt 313 ... Pressure Roller

314a,314b ... 가이드 롤러 315,325 ... 위치 고정부314a, 314b ... Guide rollers 315,325 ... Position fixing

316 ... 가이드부 317,327 ... 위치 조절부316 ... guide part 317,327 ... positioning part

320 ... 원단 이송부 321 ... 원단 이송부 바디320 ... fabric feed 321 ... fabric feed body

322 ... 구동롤러 323 ... 가이드 홀더322 ... drive roller 323 ... guide holder

324 ... 이송부 홀더 326 ... 구동부324 ... Feeder holder 326 ... Drive part

326a ... 기어부 328 ... 원단 가이드부326a ... gear section 328 ... fabric guide section

329,346 ... 검출부 330 ... 토치부329,346 ... detector 330 ... torch

331 ... 토치 331a ... 회전축331 ... torch 331a ... axis of rotation

332 ... 토치부 베이스 333 ... 제1 구동부332 ... torch part base 333 ... first drive part

334 ... 제2 구동부 334a ... 가동부334 ... 2nd drive part 334a ... movable part

334b ... 조절부 335 ... 점화부334b ... control section 335 ... ignition section

340 ... 베이스 341 ... 베이스 바디340 ... Base 341 ... Base Body

342 ... 가이드 레일 343 ... 이송부342 ... guide rail 343 ... feed section

344 ... 구동부 344a ... 기어부344 ... drive part 344a ... gear part

345 ... 안내 롤러 350 ... 폭 조절부345 ... guide roller 350 ... width adjustment

300b ... 면 모소부 400 ... 원단 배출부300b ... cotton wool 400 ... fabric discharge

500 ... 원단 적재부 600 ... 원단500 ... fabric loading part 600 ... fabric

Claims (23)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는 원단 모소부와; A fabric shaping portion for removing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portion of the elastic yarn mix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pread in the width direction;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는 원단 개폭부와; A fabric opening part which cuts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in which the patterning on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the folded surface is flat;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부와; Fabric mercerizing unit for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give the adsorption or gloss of the dye;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Dyeing pre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bric pre-setting portion that is subjected to a high heat treatment to give a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모소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bric sheet portion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제공하는 투입부와; An input unit for providing a fabric for a small work on the knitted fabric knitted in a cylindrical shape; 원통형의 편물 원단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의 잔털을 태우는 잔털 제거부와; A fine hair removal unit for burning fine hair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old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상기 원단 모소부로부터 배출하는 원단 배출부와; A fabric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olded surfaces are discharged from the fabric seed part; 상기 배출된 원단을 적재하는 원단 적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Dyeing pre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bric loading portion for loading the discharged fabric. 제 2 항에 있어서, 원단 정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abric arrang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털 제거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ne hair removing unit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의 면에 대한 모소부와; A hair part for the face of the knit fabric knitt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원단의 접혀진 양단의 에지부에 대한 모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A dyeing pre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ir portion for the edge of the folded ends of the fabric.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원단의 면에 대한 모소부는 5. The patterning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ttern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knitted fabric is 적어도 둘 이상의 토치부와; At least two torch portions; 상기 토치부에 대하여 편물 원단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순차적으로 노출되도록 편물 원단을 이송시키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And a roller for conveying the knitted fabric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knitted fabric are sequentially exposed with respect to the torch.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원단의 양단 에지부에 대한 모소부는 5. The patter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ttern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knitted fabric are formed. 베이스부와; A 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원통형의 원단 내부로 삽입되어 원단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지도록 하여 원단이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원단 안내부와; A fabric guide part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base part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fabric so that the fabric is spread out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원단 안내부에 이송력을 제공하여 원단이 넓게 펴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원단 이송부와; A fabric convey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conveying force to the fabric guide unit so that the fabric is conveyed in an unfolded state; 상기 원단 안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원단의 양단 에지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염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토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And a torch portion disposed to provide a flame to remove fine hairs on both edges of the fabric conveyed along the fabric gu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는 서로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 고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위치 고정부에 의해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수평 방향의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서로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tal guide and the distal convey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portion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guide and the distal conveying portion constant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position fixing portion; Dyeing pre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maintained st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자력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8.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osition fixing part is composed of a magnetic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는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 조절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위치 조절부에 의해 원단 안내부와 원단 이송부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수직 방향의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서로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tal guide portion and the distal convey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guide and the distal convey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constant with each other by the position adjusting portion; Dyeing pre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maintained st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자력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10.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s recited in claim 9, wherein said position adjus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magnetic force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원단 안내부는 폭 조절부가 구비되어 각 원단 안내부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7.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bric guid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are provided with width adjusting portions to control the distance of each fabric gu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이송부는 베이스의 양측에 배치된 각 원단 이송부가 서로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7.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bric conveying unit is movably mounted so that each fabric conveying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is narrowed or widened with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부는 원단의 에지부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거리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시스템. 7. The dyeing pretreatment system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torch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tance adjuster to move closer to or away from an edge of the fabric.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Performing a patterning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of the elastic yarn blend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pread in the width direction;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여 개폭하는 단계와; Cutting and opening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flat;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 단계와; Fabric mercerizing step of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impart adsorption or gloss of dye;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공정. Dyeing pretreatment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bric pre-setting step of heat treatment at high heat in order to gi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소 수행 단계는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performing said parent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투입하는 단계와; Injecting the fabric for the small work on the knitted fabric knitt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원통형의 편물 원단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의 잔털을 태워 제거하는 단계와; Burning the hairs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상기 원단 모소부로부터 배출하는 단계와; Discharging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carried out from the original fabric section; 상기 배출된 원단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공정. A dyeing pretreatment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loading the discharged fabric.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잔털을 제거하기 전에 투입되는 원단이 감기지 않도록 펼쳐지게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공정. 16.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rranging the fabric to be unfolded so as not to be wound before removing the fine hair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잔털을 제거하는 단계는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전면 및 후면의 잔털 제거가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양단 에지부의 잔털 제거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공정. 16.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removing of the fine hairs is performed before or after removing the fine hairs of both ends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with the front and rear fine hair removal with respect to the folded knitted fabric. 제 15 항에 있어서,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양단 에지부의 잔털 제거는 원단의 규격에 따라 토치가 에지부에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공정. 16.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removal of fine hairs at both ends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torch to be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edg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abric. 탄성사가 혼합된 편물 원단을 편조하는 단계와; Braiding the knitted fabric mixed with the elastic yarn; 염색을 위하여 상기 편물 원단을 전처리하는 단계와; Pretreating the knit fabric for dyeing; 상기 전처리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It comprises a step of dyeing the pretreated fabric, 상기 전처리 단계는 The pretreatment step 원통형으로 편조되어 폭 방향으로 넓게 펴져 제공되는 탄성사 혼합 편물 원단의 펼쳐진 면과 접혀진 에지 부에 대한 잔털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Performing a patterning to remove fine hairs on the unfolded side and the folded edge of the elastic yarn blended knitted fabric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spread in the width direction;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평면 상태로 펼치기 위하여 편물 원단을 절개하여 개폭하는 단계와; Cutting and opening the knit fabric in order to unfold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flat; 원단을 이루는 원사의 단면 및 물성을 변형시켜 염료의 흡착성 또는 광택을 부여하는 원단 머서라이징 단계와; Fabric mercerizing step of modifying the cross-sec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forming the fabric to impart adsorption or gloss of dye; 원단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열로 열처리를 하는 원단 프리세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공정. Dye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bric pre-setting step of heat treatment at high heat in order to giv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abric.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단계는 씨피비(CPB : Cold Pad Batch) 염색으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공정. 20. The dyeing process of claim 19, wherein the dyeing step is performed by cold pad batch (CPB) staining.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소 수행 단계는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arenting step is 원통형으로 편조된 편물 원단에 대한 모소 작업을 위해 원단을 투입하는 단계와; Injecting the fabric for the small work on the knitted fabric knitt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원통형의 편물 원단에 대하여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의 잔털을 태워 제거하는 단계와; Burning the hairs of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knitted fabric; 전면 및 후면과 접힌 면에 대한 모소가 수행된 편물을 상기 원단 모소부로부터 배출하는 단계와; Discharging the knitted fabric on which the front and rear and the folded surfaces are carried out from the original fabric section; 상기 배출된 원단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공정. Dyeing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loading the discharged fabric.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잔털을 제거하기 전에 투입되는 원단이 감기지 않도록 펼쳐지게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 전처리 공정. 20. The dyeing pre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9, further comprising arranging the fabric to be unfolded so as not to be wound before removing the fine hairs.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잔털을 제거하는 단계는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전면 및 후면의 잔털 제거가 접혀진 편물 원단에 대한 양단 에지부의 잔털 제거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공정. 20. The dyeing proces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removing of the fine hairs is performed before or after removing the fine hairs at both ends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in front and rear of the folded knitted fabric.
KR1020070110927A 2007-11-01 2007-11-01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0914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27A KR100914557B1 (en) 2007-11-01 2007-11-01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27A KR100914557B1 (en) 2007-11-01 2007-11-01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09A true KR20090044709A (en) 2009-05-07
KR100914557B1 KR100914557B1 (en) 2009-09-02

Family

ID=4085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927A KR100914557B1 (en) 2007-11-01 2007-11-01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07B1 (en) 2015-08-31 2016-02-18 한국섬유소재연구원 Pretreatmenting method of the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5921A (en) * 1977-06-03 1978-11-21 Wakayama Iron Works, Ltd. Apparatus for gas-singeing knitted fabrics
KR100756108B1 (en) * 2006-09-11 2007-09-05 장익순 Edge burner for a singe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07B1 (en) 2015-08-31 2016-02-18 한국섬유소재연구원 Pretreatmenting method of the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557B1 (en)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682B2 (en)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 and method for sewing large-area sewing material
TWI452190B (en) Production method of warp knitted fabrics, warp knitted fabrics and work clothes
TWI383078B (en) Sewing machine with conveyor
US6425430B1 (en)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sheet
KR20090044710A (en) Apparatus for singeing edge portion of knitted work and singe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914557B1 (en) Preconditioning system for dyeing, preconditioning process using the same and dyeing process using the same
US2464823A (en) Folding machine
US6779471B2 (en) Apparatus for finishing pieces cut from a length of textile material, particularly for closing the leading edge of a tubular piece
NL8020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TREATMENT OF FABRIC
ITMI20071743A1 (en) STRAIGHT-LINKING MACHINE FOR KNITTED PRODUCTS, HIGHLY VERSATILITY OF USE.
WO2012125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ng tubular fabrics
KR102633979B1 (en) Op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reating open and variable-width webs
EP10579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setting a knitted fabric in tubular form
US11885067B2 (en) Warp transferring machine
KR101312664B1 (en) Both sides polishing apparatus for textile fabric
KR20010069776A (en) The double polishing device for the pile
NO127510B (en)
CN109572175A (en) Warp thread transfer interpreter
US20050126460A1 (en) Apparatus for hot applying strips or films on textile or non textile supports
US4123920A (en) Apparatus for feeding filling threads to a warp knitting machine
KR102068780B1 (en) A fabric width expansion device that can be fabricated so that the width of the fabric is expanded by the tensile force
CN103998670B (en) Sewing machine and the operation sheets of fabric that at least two is overlapping being sewed together by described sewing machine
KR101652892B1 (en) Fabric supply apparatus for tenter machine
KR20110104721A (en) Cutter grinding actuator and shear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3737438B (en) Weft knitting sued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