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515A -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515A
KR20090044515A KR1020070110641A KR20070110641A KR20090044515A KR 20090044515 A KR20090044515 A KR 20090044515A KR 1020070110641 A KR1020070110641 A KR 1020070110641A KR 20070110641 A KR20070110641 A KR 20070110641A KR 20090044515 A KR20090044515 A KR 2009004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fs
plp
frame
transmitted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990B1 (ko
Inventor
권환준
임연주
이현우
김재열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9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 H04L49/254Centralised controller, i.e. arbitration or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 구성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TFS PLP(Time Frequency Slicing PLP,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복수 개의 RF들을 통해 전송되는 PLP)들과 FF PLP(Fixed Frequency PLP,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RF를 통해서만 전송되는 PLP)를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FF PLP는 하나의 TFS 프레임 구성에 있어 마치 하나의 TFS PLP처럼 구성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FF PLP들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는 하나의 RF로만 전송되지만,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RF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성을 시그널링(상기 시그널링은 프리앰블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소정의 다른 위치에 전송될 수도 있다.)함에 있어 각 PLP 에 대해 TFS/FF 여부를 알려 주도록 하는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FF PLP가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RF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각 PLP 시그널링에 RF jumping across frames라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TFS, FF

Description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DATA IN WIRELESS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 복수 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자.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축은 시간 축, 세로 축은 주파수 축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102는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는 시간 축 상에서의 기본 단위이며, 상기 프레임을 단위로 스케줄링 또는 데이터 부호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스케줄링이란, 복수 개의 방송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을 주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함에 있어 각 서비스 스트림에 대한 자원 할당을 지칭한다. 상기에서 데이터 부호화가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 진다는 말은 시간적으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소정의 단위, 예를 들면 10,000 비트, 로 나누고 상기 각 10,000 비트마다 소정의 채널 부호화를 해 주는 것을 말한 다. 상기 채널 부호화의 일례로 LDPC(Low Dentisity Parity Check) 부호화 방법이 있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03, 104, 105, 106은 각각 주파수 대역 #1, 주파수 대역 #2, 주파수 대역 #3, 주파수 대역 #4를 가리킨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문서에서는 RF라는 용어를 상기 주파수 대역을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상기 주파수 대역들이 인접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상기 주파수 대역들은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주파수 대역들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인접하더라도 그 사이에는 소정의 guard 주파수가 존재하여 인접 주파수 대역들의 신호간의 간섭을 억제하기도 한다. 참조 부호 107은 프리앰블(Preamble)로서 일반적으로 각 프레임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프리앰블을 통해 수신기는 시간 및 주파수의 동기를 잡는다. 상기 프리앰블은 또한, 상기 프리앰블 뒤에 오는 데이터 스트림 전송 부분에 대한 전송 방식, 자원 할당 결과 등을 알려 준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추후 다시 하기로 한다. 참조 부호 111 ~ 116은 RF #1 에 대한 PLP(Physical Layer Packet) 전송을 나타낸다. 상기 PLP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특정 방송국이 복수 개의 방속 채널을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어, 드라마 채널과 스포츠 채널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드라마 채널은 상기 프레임에서 PLP #1(참조부호 111)으로 지시되어 전송되고, 상기 스포츠 채널은 상기 프레임에서 PLP #2(참조 부호 112)으로 지시되어 전송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11 과 112의 크기가 다른 데, 상기 크기는 데이터 양을 나타낸다. 이는 서로 다른 방송 채널들이 임의의 시간에서 전송해야 할 데이터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크기는 소정의 스케줄링에의해 결정된다. 도 1에서 서로 다른 PLP는 서로 다른 방송 채널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PLP 하나가 반드시 하나의 방송 채널에 매핑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서 하나의PLP를 보면 RF 1 ~ 4에 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나의 PLP를 전송함에 있어(예를 들면, 하나의 방송 채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복수 개의 RF들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RF를 묶어서 복수 개의 방송 채널 혹은 PLP들을 혼합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TFS(Time Frequency Slicing)이라 칭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TFS 방식을 취하는 이유는 상기 TFS 방식이 통계적 multiplexing 이득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의 RF를 통해 PLP 1, PLP 2, PLP 3을 서비스하고, 또 다른 RF 하나를 통해 PLP 4, PLP 5, PLP 6을 서비스하는 것 보다, 상기 두 개의 RF를 묶어서 PLP 1 ~ PLP 6을 서비스하는 것이 매 시점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각 PLP마다 다른 경우에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임의의 프레임에서 PLP 1, PLP 2, PLP 3의 데이터 양은 매우 크나, PLP 4, PLP 5, PLP 6의 데이터 양은 적은 경우, 상기와 같이 서로 합쳐진 두 개의 RF를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TFS 방식에서 프레임, 즉 복수 개의 묶여진 RF들을 통해 전송되는 PLP들의 묶음을 TFS 프레임이라 칭한다. 상기 TFS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하나의 RF에 대해 PLP 구성을 정의하고(스케줄링하고) 나머지 RF들에 대해서는 상기 RF 1에 대해 구성된 PLP 구성을 cyclic shift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RF 1 ~ 4의 PLP 구성은 서로 임의의 양만 큼 cyclic shift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프레임 길이에서 프리앰블에 해당하는 양을 제외하고서 그 결과를 1/(RF 개수)로 나눈 양을 상기 shift 값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쓰이며 도 1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TFS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PLP들을 통해 상기와 같은 하나의 TFS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고 말하며, 상기 스케줄링은 방송국 데이터 송신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스케줄링 결과, 즉, TFS 프레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라는 정보가 통상적으로 상기 프리앰블에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기는 우선 상기 프리앰블을 통해 보고자 하는 PLP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알아내고 상기 PLP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FS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의 장점은 위에서 언급한 통계적 multiplexing 이득뿐 아니라, 주파수 및 시간 축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즉,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PLP는 복수 개의 RF 대역을 거치며, 시간 축에서도 퍼져 있는 형태를 위하므로 시간 및 주파수에 대해 채널 응답이 다른 특징을 갖는 무선 채널에서보다 robust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상기 TFS 프레임을 통한 방송 데이터 전송 방식은 고정형 방송, 즉 수신기가 고정되어 있는 전통적인 방식의 방송에 널리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TFS 프레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TFS 프레임은 모바일(Mobile) 방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상기에서 모바일 방송은 공간적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수신기를 타켓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모바일 방송의 중요한 요구 조건 중의 하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 수 신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방송 수신기가 portable 배터리에의해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상기 TFS 프레임을 통한 방송 전송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복수 개의 RF를 뛰어다녀야 하기 때문에 이는 RF tuning 및 여러 번에 걸쳐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 전력 소모를 많이 요구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의 RF 대역을 통해 고정형 및 이동형 방송을 모두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어진 프레임에서 전송할 TFS PLP들과 FF PLP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여러 RF들에 대한 TFS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TFS 프레임에 대한 구성 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TFS 프레임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송신 버퍼와, 매 프레임마다 TFS 프레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상기 데이터 송신 버퍼에 있는 방송 데이터를 TFS 프레임으로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 버퍼에 있는 방송 데이터를 TFS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TFS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 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TFS 프레임 구성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해야 할 방송 데이터가 TFS로 수신되는지 FF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TFS 프레임을 통해 TFS 방식 또는 FF 방식으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할 PLP가 TFS 프레임 내의 어느 위치에 어떻게 전송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 프리엠블 신호 해석부와, 주어진 TFS 프레임에서 원하는 PLP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어진 TFS 프레임에서 원하는 PLP를 추출하는 TFS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추출된 신호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 구성 방식을 통해 복수 개의 RF 대역을 이용해 고정형 및 이동형 방송을 모두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 구성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TFS PLP(Time Frequency Slicing PLP,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복수 개의 RF들을 통해 전송되는 PLP)들과 FF PLP(Fixed Frequency PLP,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RF를 통해서만 전송되는 PLP)를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FF PLP는 하나의 TFS 프레임 구성에 있어 마치 하나의 TFS PLP처럼 구성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FF PLP들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는 하나의 RF로만 전송되지만,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RF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성을 시그널링(상기 시그널링은 프리앰블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소정의 다른 위치에 전송될 수도 있다.)함에 있어 각 PLP 에 대해 TFS/FF 여부를 알려 주도록 하는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FF PLP가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RF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각 PLP 시그널링에 'RF jumping across frames'라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성방식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20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축은 시간 축, 세로 축은 주파수 축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02는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참조 부호 203, 204, 205, 20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4 개의 RF가 존재하며, 각각 주파수 대역 #1, 주파수 대역 #2, 주파수 대역 #3, 주파수 대 역 #4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207은 프리앰블(Preamble)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프리앰블은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잡기 위한 신호와 함께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구성 정보가 전송되는 부분으로 도 2에서는 프레임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프레임 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의 PLP 구성을 보면, 참조 부호 211, 222, 234, 245는 각각 FF PLP 1, FF PLP 2, FF PLP 3, FF PLP 4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PLP 식별자가 다르다는 말은 서로 다른 contents를 전송하고 있다는 말로써, 예를 들면, FF PLP 1은 스포츠 채널, FF PLP 2는 드라마 채널 등과 같다는 말이다. 이는 하나의 방송 채널이 상기 프레임에서 하나의 RF만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음을의미한다. 한편, 참조 부호 212, 223, 235, 246은 TFS PLP 2를 전송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213, 224, 236, 241은 TFS PLP 3를 전송을 나타내며, 나머지 PLP들로 TFS PLP 전송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TFS PLP는 하나의 PLP가 복수 개의 RF를 통해서 전송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FF PLP들, 즉, FF PLP 1, FF PLP 2, FF PLP 3, FF PLP 4 들은 상기 하나의 전체 프레임에서 보면 마치 하나의 TFS PLP처럼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다른 TFS PLP 등과 묶여져 동일하게 syclic shift 관계에 있다는 말이다. 이런 제한을 가하는 이유는 상기 프레임 마치 모두 TFS PLP들만 포함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함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성에 대한 시그널링이 매우 간단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시그널링 방법을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F PLP가 복수 프레임에 걸쳐 RF jumping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에서 RF jumping이란 하나의 PLP가 다른 시점에서 다른 RF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FF PLP 1(참조 부호 311)은 프레임 k에서는 RF 1을 통해서 전송되지만, 프레임 k+1에서는 RF 2를 통해서 전송되고 있다(참조 부호 322). 상기와 같은 RF jumping을 통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RF jumping이 인접 프레임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상기 RF jumping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단위로, 예를 들면, 2 프레임마다 한 번씩,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자.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RF jumping pattern으로 하나의 PLP가 복수 개의 주어진 RF를 순차적으로, 즉, RF 1 -> RF 2 -> RF 3 -> RF 4 -> RF 1 …(편의상 jumping pattern 1이라 칭함)로 뛰어다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임의의 다른 pattern이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자. 즉, RF 1 -> RF 3 -> RF 2 -> RF 4 -> RF 1 …(편의상 jumping pattern 2이라 칭함)와 같은 jumping pattern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 방식에 대한 시그널링 방법으로 다음 표 1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Field Bits(example)
(0) […]
(1) RF jumping indicator for FF PLPs 1 bit
(2) RF jumping pattern 1 bit
(3) PLP 개수 N bits
(4) TFS PLP ID X bits
(5) TFS/FF indication 1 bit
(6) FF/TF duration X bits
(7)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0)은 본 표에서 나타내지 않은 기타 정보로써 PLP마다 정의되지 않고 해당 프레임에 공통적으로 정의되는 필드를 나타낸다.
(1) "RF jumping indicator for FF PLPs"은 도 3을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RF jumping across frames"이 FF PLP들에 적용되는지를 가리키는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상기 비트 값이 '0'이면 FF PLP들에 대해 RF jumping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비트 값이 '1'이면 FF PLP들에 대해 RF jumping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2) "RF jumping pattern"은 복수 개의 jumping pattern이 정의되는 경우, 어떤 jumping pattern을 사용하는지를 가리키는 식별자이다. (3) "PLP 개수"는 프레임 내에 몇 개의 PLP가 정의되는지를 가리키는 필드이다. (4) - (7)은 상기 PLP 개수만큼 존재하며 각 PLP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4) "TFS PLP ID"는 어떤 PLP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PLP 식별자이다. (5) "TFS/FF indication"은 상기 PLP가 TFS PLP인지 FF PLP인지를 가리키는 식별자이다. (6) "FF/TF duration"은 각 PLP의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외에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타 다른 정보들이 각 PLP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방송 데이터 전송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401 단계에서 방송국 송신기는 주어진 프레임에서 전송할 TFS 및 FF 프레임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402 단계에서, 여러 RF들에 대한 TFS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TFS 프레임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FS PLP들과 FF PLP들이 공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403 단계에서 상기 TFS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구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404 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TFS 프레임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에서는 403이 404 보다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도 있음에 유의하자. 위 과정(401-404)은 프레임 단위로 반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방송 데이터 수신 절차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501 단계에서 수신기는 TFS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수신하고자 하는 PLP(예를 들면, 특정 방송 채널)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FF PLP 형태로 전송되는지, TFS PLP 형태로 전송되는지 등의 정보를 얻어낸다(502 단계). 상기 정보에 따라 TFS 프레임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503). 위 과정(501-503)은 프레임 단위로 반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601은 복수 개의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가리킨다. 즉, 드라마 채널, 스포츠 채널 등 다양한 contents에 대한 정보열을 나타낸다. 상기 정보열은 참조 부호 602로 도시되는 데이터 송신 버퍼에 저장된다. 상기 송신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스케줄러(603)는 매 프레임마다 TFS 프레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스케줄링한다. 이 과정에서는 각 방송 채널에 대한 버퍼 양, 우선권 등 구현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고려될 수 있다. 참조 부호 606의 제어부는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상기 데이터 버퍼에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가지고 TFS 프레임 구성부(603)가 실제로 TFS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제어한다. 참조 부호 604는 일반적인 OFDM 신호 생성부로서, 데이터 부호화, 변조, 부반송파 매핑, IFFT(Inverse FFT), CP(Cyclic Prefix) adder 등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701은 일반적인 OFDM 신호 수신부로서, FFT 블록, CP 제거기 등으로 구성된다. 참조 부호 702는 프리앰블 신호 해석부로서 수신기가 수신해야 할 PLP가 TFS 프레임 내 어느 위치에 어떻게 전송되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는 블록이다. 상기 702의 출력은 703의 제어부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704의 TFS 데이터 수신부를 제어하여 주어진 TFS 프레임에서 원하는 PLP를 뽑아내도록 한다. 상기 704의 출력은 705의 데이터 복조부로 입렵되며 상기 데이터 복조부는 채널 복조(demodulation), 채널 역 부호화(decoding) 등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복수 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성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F PLP가 복수 프레임에 걸쳐 RF jumping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방송 데이터 전송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방송 데이터 수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장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Claims (4)

  1.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어진 프레임에서 전송할 TFS PLP들과 FF PLP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여러 RF들에 대한 TFS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TFS 프레임에 대한 구성 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TFS 프레임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전송 방법.
  2.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송신 버퍼와,
    매 프레임마다 TFS 프레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스케줄링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상기 데이터 송신 버퍼에 있는 방송 데이터를 TFS 프레임으로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신 버퍼에 있는 방송 데이터를 TFS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TFS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전송 장치.
  3.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TFS 프레임 구성정보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해야 할 방송 데이터가 TFS로 수신되는지 FF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TFS 프레임을 통해 TFS 방식 또는 FF 방식으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4.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할 PLP가 TFS 프레임 내의 어느 위치에 어떻게 전송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 프리엠블 신호 해석부와,
    주어진 TFS 프레임에서 원하는 PLP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어진 TFS 프레임에서 원하는 PLP를 추출하는 TFS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추출된 신호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070110641A 2007-10-31 2007-10-31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10134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641A KR101349990B1 (ko) 2007-10-31 2007-10-31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641A KR101349990B1 (ko) 2007-10-31 2007-10-31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515A true KR20090044515A (ko) 2009-05-07
KR101349990B1 KR101349990B1 (ko) 2014-01-15

Family

ID=4085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641A KR101349990B1 (ko) 2007-10-31 2007-10-31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732A1 (en) * 2008-03-03 2009-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81869A1 (en) * 2010-12-13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broadcast system
WO2012081868A1 (en) * 2010-12-13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broadcas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648A (ja) 1999-01-26 2000-08-11 Telefon Ab L M Ericsson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EP1199834B1 (en) 2000-10-21 201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67178B1 (ko) 2003-12-02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및 억세스 방법
KR20060034079A (ko) * 2004-10-18 200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732A1 (en) * 2008-03-03 2009-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01776B2 (en) 2008-03-03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80252B2 (en) 2008-03-03 2018-05-22 S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99253B2 (en) 2008-03-03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95305B2 (en) 2008-03-03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52700B2 (en) 2008-03-03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22345B2 (en) 2008-03-03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81869A1 (en) * 2010-12-13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broadcast system
WO2012081868A1 (en) * 2010-12-13 201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broadcast system
US9462208B2 (en) 2010-12-13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broadca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990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9125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JP5940094B2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ストリームの送受信装置及び方法
KR10180310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위한 시그널링
TWI513222B (zh) 在多載波廣播系統中用以接收資料的解映射設備與方法
US10985852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9462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broadcast system
KR101752434B1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TWI504206B (zh) 多載波廣播系統中用於接收資料之解映射裝置及方法
EP20939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and frame includ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KR101407196B1 (ko)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 구성 방법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US10079649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101349990B1 (ko)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WO2019161228A1 (en) Fm system modes for hd radio
RU2603840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потока данных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KR20090044952A (ko)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CN1898887B (zh) 无线广播网络中的局域和广域传输
KR101403799B1 (ko) 복수 개의 채널이 연동된 tdm 시스템에서의 패킷 할당장치 및 방법
KR20120068705A (ko)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