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952A -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952A
KR20090044952A KR1020070138647A KR20070138647A KR20090044952A KR 20090044952 A KR20090044952 A KR 20090044952A KR 1020070138647 A KR1020070138647 A KR 1020070138647A KR 20070138647 A KR20070138647 A KR 20070138647A KR 20090044952 A KR20090044952 A KR 2009004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rol information
frame
specific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684B1 (ko
Inventor
임연주
이학주
김재열
권환준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75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16507B1/en
Priority to EP08846116.5A priority patent/EP2213095B1/en
Priority to PCT/KR2008/006330 priority patent/WO2009057920A2/en
Priority to US12/260,715 priority patent/US8730998B2/en
Publication of KR2009004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52A/ko
Priority to US14/280,966 priority patent/US91731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RF를 연동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를 시간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구성 정보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별도의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지 않고 전체 서비스 중에서 특정 서비스 트래픽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해당 특정 서비스 트래픽 이외의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수신기가 서비스를 변경하여도 변경된 서비스의 프레임내 위치 및 복조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제어 채널을 읽지 않고서도 서비스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Figure P1020070138647
방송, 시그널링, 서비스 변경, P2

Description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RECEPT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RF(Radio Frequency)로 연동되는 방송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서비스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Television)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방송 기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도 다양한 수신방식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상기 요구에 따라 유럽향 2세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에서는 수신방식을 종래의 가정용 디지털 수신안테나를 재활용하는 수신방식과, 용량증대를 위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는 수신방식, 그리고 휴대용 이동단말을 위한 수신방식의 3가지 방식에 대한 각각의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DVB-T2에서는 1세대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H이 고정형/이동형 수신 방식의 2가지만 고려하는데 비하여 다중안테나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한 고려가 추가된 것으로, 물리계층 구조 및 물리계층 구조에 따른 제어정보에 대한 변경을 주된 표준화 작업으로 고려하고 있다.
상기 물리계층 구조에서 제어 채널은 물리계층에서의 전송방식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채널로써, 전송되는 신호의 기본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한다면, 한 개의 프레임은 복수개의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인덱스, 위치 정보, 변조방식/부호율, 셀 아이디(cell ID)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채널은 프레임마다 서비스 구성 및 관련 정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매 프레임마다 데이터 채널과 별도로 전송된다.
도 1은 종래 1세대 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FF(Fixed Frequency) 모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에서는 복수개의 RF마다 각각 다른 방송 서비스들을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원하는 서비스가 담겨있는 RF로 튜닝(tuning)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서비스 1을 수신하고자 한다면 RF 1로 튜닝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서비스 1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변조/코딩 방식 등의 정보를 얻어 서비스 1을 복조한다.
도 2a는 종래 2세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송신기에서는 복수개의 RF들을 연동하여 기존의 긴 패킷 으로 구성된 서비스(도 1에서의 각 서비스)를 복수개의 짧은 서브슬롯으로 나누어 복수개의 RF 대역을 통해 전송한다. 수신기에서는 제어 정보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각 RF 대역에서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신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서비스 1을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수신기는 시간 영역에서 서브슬롯을 수신할 수 있는 순서대로 RF 1, RF 4, RF 3, RF 2의 순서로 해당 서비스를 복조한다. 따라서 종래 2세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은, 동일한 양의 서비스를 송신하더라도 서비스마다 고정된 RF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때 보다, 복수개의 주파수를 통해 작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시간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성 방식을 TFS(Time-Frequency Slicing)라 한다.
도 2b는 종래 TFS의 전송 프레임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서는 4개의 RF에 10개의 서비스 패킷(packet)이 전송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TFS 프레임은 한 개의 RF에 모든 서비스 패킷들을 할당하고, 인접 RF에는 모든 서비스 패킷들에 대하여순환 시프트(cyclic shift)된 형태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4개의 RF 대역을 사용한 경우에는 하나의 서비스가 4개의 RF들을 통해 전송되므로 각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4개의 서브슬롯으로 구성되지만, 서비스 3과 같이 순환 시프트 수행으로 인해 5개의 서브슬롯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b에서 P1은 시간 동기를 맞추기 위한 프리앰블(preamble)로 사 용될 수 있으며, P2는 현재 또는 다음 프레임에서 각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각 서비스가 프레임내에서 어느 시점에서 시작되고 어느 시점에서 끝나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의 각 서비스 위치 정보는 P2에 포함되지 않고 각 서비스 트래픽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동일한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는 동안에는 P2를 읽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다가 수신기가 서비스 채널을 바꾸게 된 경우, 수신기는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야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프레임 내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을 수신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매 프레임마다 전송될 전체 서비스들 중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특정 서비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 각각에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과,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한 프레임을 수신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에 관련된 제1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2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는, 매 프레임마다 전송될 전체 서비스들 중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특정 서비스를 결정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및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및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특정 서비스 트래픽 및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생성하는 서비스 트래픽 생성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일반 서비 스 제어 정보 삽입기와,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과,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기와, 상기 구성한 프레임을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기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기와,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신호 복조기와,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복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기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기와,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에 관련된 제1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고,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2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 비스 복조기를 포함한다.
한 개 또는 복수개의 RF를 연동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 변경시에도 변경된 서비스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P2 신호는 프레임마다 전송되고, P2에 포함된 프레임 구성 정보는 현재 프레임, 다음 프레임, 또는 P2 신호에서 일정 구간 떨어진 지점에서 한 프레임 길이까지에 대한 프레임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에서와 같이 한 프레임에서 4개의 RF를 사용한다고 하면, 각 프레임마다 4개의 서브슬롯들을 수신해야 한다.
이하, P2 신호가 현재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고 가정하여,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변경된 서비스(이하, 타켓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레임 n-1에서 서비스의 세번째 서브슬롯을 수신하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일어났다면, 수신기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P2 신호(두 번째 P2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프레임에서의 타겟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프레임 n에서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레임 n의 첫번째 서브슬롯에서 서비스 변경이 일어났다면, 프레임 n+1에서의 P2 신호(세번째 P2 신호)를 읽어서 프레임 n+1에서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변경이 일어난 시점부터 변경된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재핑(zapping) 타임이라고 정의를 할 때, P2 를 지나자마자 서비스 변환이 일어난 경우의 재핑 타임(zapping time 2)이 P2 신호가 수신되기 직전에 서비스 변환이 일어난 경우(zapping time 1)보다 재핑(zapping) 타임이 길게 된다.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의 P2 신호는 특히 임펄스 잡음과 같은 간섭에 취약하여 복조에 실패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다음 프레임에서의 P2 신호의 복조를 시도해야 하며 복조에 성공할 때까지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P2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제어 정보의 송수신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P2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프레임 구성을 제안한다. 한 개의 전송 프레임은 실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2와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방송 서비스가 시분할되어 전송된다. 그리고 각 방송 서비스는 특정 서비스 (Primary service)와 일반 서비스 (non-primary service)로 분류된다. 특정 서비스의 경우 실제 방송 데이터와 함께 자신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방송되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반면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 외에 일반(non-primary) 서비스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특정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할 총 서비스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각 그룹을 대표하는 특정 서비스 트래픽은 자신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각 그룹에 속하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 이외의 그룹내 일반(non-primary) 서비스 트래픽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자신이 속한 그룹의 특정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어 정보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인덱스, 위치 정보, 변조방식/코딩율 등을 말한다. 이 때, FF 모드에서의 서비스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는 RF 정보를 포함한다.
프레임마다 사용되는 그룹의 수(즉, 특정 서비스의 수)를 변경한다면 그룹 수에 대한 시그널링이 제어 정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그룹 수에 대한 종류만큼의 비트 수(예를 들어 4종류의 그룹 수를 사용한다면 2비트 사용)를 사용하던가, 이전 프레임에서 사용된 그룹 수에 대비하여 상향/하향 조정을 지시하는 1비트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기지국과 단말이 고정된 하나의 그룹 수를 사용하고, 송신 가능한 총 서비스들이 각 그룹으로 미리 결정된(pre-determined) 패턴으로 매핑되어 있다면 별도의 시그널링이 필요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그룹핑 및 특정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총 40개의 서비스가 있고, 한 프레임 내에 2개의 그룹을 사용하기로 한다면, 서비스 인덱스 순서대로 서비스들을 나열하여 처음 20개의 서비스들(서비스 0에서 19)을 그룹 1에, 다음 20개의 서비스들(서비스 20에서 39)을 그룹 2에 매핑시킬 수 있다. 이 때, 특정 서비스는 각 그룹에서 서비스가 될 수도 있으며 고정 서비스 인덱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각 그룹 중 가장 낮은 서비스 인덱스를 갖는 서비스(서비스 0, 서비스 20)를 특정 서비스로 사용하는 경우, 서비스를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 인덱스에 따라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특정 서비스를 알 수 있다. 즉, 서비스 2를 수신하다가 서비스 30으로 변경이 일어날 경우, 2개의 특정 서비스들 중에서 더 높은 서비스 인덱스(도 4에서는 서비스 인덱스가 20인 서비스)를 갖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복조를 통해 서비스 30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좀 더 확장된 예로, 20개의 서비스 단위로 그룹핑하여 총 4개의 그룹이 있다면, 상기와 동일한 서비스 변환(서비스 2- > 서비스 30)을 수행할 경우에 4개의 특정 서비스들 중에서 두 번째로 낮은 서비스 인덱스를 갖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복조가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설명한 특정 서비스를 적용한 시그널링 과정을 보여준다. 이 때, 특정 서비스 트래픽은 추가적으로 다른 특정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프레임 n-1에서 서비스 변경이 일어나면, 먼저 기존 서비스가 속한 그룹의 특정 서비스(primary 서비스 0)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프레임 n-1에서 얻는다. 이 때, 변환하고자 하는 타겟 서비스가 상기 특정 서비스와 같은 그룹에 속하지 않다면 상기 특정 서비스 0를 통해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프레임 n에서는 특정 서비스 0을 복조하여 특정 서비스 1에 대한 제2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프레임 n+1에서의 특정 서비스 1의 수신을 통해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3 제어 정보를 얻은 후에 프레임 n+2에서부터 타겟 서비스 수신을 시작한다. 즉, 타겟 서비스가 기존 서비스와 동일 그룹내에 속한다면 프레임 n+1에서부터 타겟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타겟 서비스를 포함하는 그룹의 특정 서비스 1에 대한 제2 제어 정보 획득이 필요하여 프레임 n+2에서부터 타겟 서비스 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n-1에서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면, 계속해서 해당 서비스 서브슬롯들을 수신하여 프레임 n에서 수신할 특정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은 해당 그룹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그룹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서의 제2 실시 예와 달리 각 특정 서비스 트래픽은 다른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이 다른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직접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해당 일반 서비스가 속한 그룹의 특정 서비스를 항상 복조하고 난 후에 변경된 타겟 서비스를 위한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는 경우보다 재핑(zapping) 타임을 한 프레임 길이만큼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이 나타내는 시그널링 기법은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면 바로 타겟 서비스와 연관된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여 그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스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프레임 n-1을 수신하여 프레임 n에서 복조할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인덱스와 변조/코딩율, 그리고 위치 정보를 얻어내고, 프레임 n에서는 상기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여 프레임 n+1에서의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타겟 서비스 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 예들은 그룹의 개수가 1인 경우, 즉 한 개의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비스 변경을 위한 제어 정보 시그널링이 동일한 방식이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들은 서비스 변경을 지원하기 위해서 P2 신호를 읽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P2를 매 프레임마다 삽입할 필요 없다. 따라서, P2는 한 프레임 길이보다 더 큰 주기를 가지고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P2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임펄스 잡음과 같은 간섭 채널뿐만 아니라 어떠한 채널 환경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신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방송 시스템에서는 수신 성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변경을 위한 시그널링 방식은 상기 P2에 의존하지 않는(즉, P2를 읽지 않는) 인밴드(in-band)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방송 시스템에서 인밴드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경우, P2는 제어 정보를 두 가지 섹션으로 나누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P2는 기존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부분(시그널링 부분)과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별도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부분(프리(pre) 시그널링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프리 시그널링 부분은 수신기가 시그널링 부분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로써 시그널링 부분의 정보량과 변조 방식 및 코드율 등을 포함한다.
P2 전체에 대해 고정된 FECMOD(FEC code rate & modulation level) 값을 적용하는 대신, 상기와 같이 P2를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는 가장 큰 이유는, 시그널링 부분(약 몇백 비트에서 일만 비트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정보량을 갖는 프리 시그널링(약 60여 비트)은 수신기에서 바로 디코딩 가능하여 매우 작은 디코딩 레이턴시(latency)를 갖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P2를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면 스케쥴링 정보 등을 포함한 주된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시그널링 부분에 대해서 변경 가능하고 효율적인 FECMOD를 적용하게 되면 좀더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프리 시그널링 부분은 매우 높은 수신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열악한 채널 상황을 가정한 경우의 FECMOD 값을 고정으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1/4 코드율과 QPSK)
한편, 서비스 변경이 동일한 T2 신호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DVB-T 또는 DVB-T2)으로부터 해당 DVB-T2 신호로의 서비스 변경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효율적으로 서비스 변경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다른 시스템에서 해당 시스템으로의 서비스 변경을 위해서는 해당 T2 신호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P2 프리엠블의 수신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즉, 실질적인 서비스 채널 변경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므로, P2을 구성하고 있는 두 가지 섹션 모두에 대한 복조가 성공해야 한다. 그러나, 채널이 열악할 경우에는 두 번째 섹션인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수신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복조가 성공할 때까지 다음 프레임에서의 P2 수신을 계속 시도해야 하므로, 서비스 채널 변경 발생시점부터 실질적인 타겟 서비스의 수신시까지 소요되는 재핑 타임은 2개 프레임 길이 이상의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P2 전송에 있어서 두 가지 섹션에 대해 서로 다른 FECMOD가 적용되므로, 좋지 않은 채널 환경에서도 프리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복조 성공은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프리 시그널링 부분에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그리고/또는 FECMOD 값을 포함한 제어 정보를 추가 삽입하게 되면, 시스템간의 채널 변경시에도 타겟 시스템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P2의 프리 시그널링 부분을 통해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는 P2의 전송 주기가 예를 들어 한 개의 프레임 길이이고, 즉 매 프레임마다 P2가 전송되고, P2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된다고 할 때의 서비스 변경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임 n-1에서 수신기가 서비스 채널을 바꾸게 되면, 프레임 n에서의 P2 프리엠블 복조를 시도하게 된다. 이 때, 채널 상황이 좋지 못하여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복조가 실패하더라도 매우 높은 확률로 프리 시그널링 부분에 대한 복조는 성공하게 되므로,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프리 시그널링 복조를 통해 획득한다. 그리고, 프레임 n에서 특정 서비스 복조를 통해 타겟 서비스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특정 서비스의 프레임내에서의 위치는 랜덤할 수도 있고(이 경우, 프리 시그널링 부분은 특정 서비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해야 함), 미리 고정된(pre-determined) 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타 시스템 또는 타 T2 신호로부터의 서비스 채널 변경시, 해당 T2 신호의 가장 낮은 RF 인덱스를 갖는 RF 주파수에서 P2 수신을 시도하게 되므로, 미리 고정된 위치, 즉 예를 들어 T2 신호를 구성하는 가장 낮은 RF 인덱스를 갖는 RF 주파수의 첫 번째 서브슬롯에서부터 특정 서비스가 시작한다고 하면, P2 수신 후에 바로 동일한 RF 주파수상에서 특정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n에서의 특정 서비스 복조를 통해 타겟 서비스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프레임 n+1에서부터 타겟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가 수신중인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로 변경할 경우, 수신기가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송신기는 데이터 채널과 별도의 채널인 P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기는 810 단계에서 재핑(zapping) 타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매 프레임마다 P2 신호를 삽입한다. 그리고 830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 P2 신호가 삽입된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910 단계에서 수신기는 프레임 인덱스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그리고 930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n을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950 단계로 진행하고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910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상기 950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P2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그리고 970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복조된 P2 신호로부터 타겟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스 m이 전송되는 위치에서 상기 서비스 m을 수신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는 P2 신호 중 일부를 서비스 복조에 필요한 제어 정보로 취하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P2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할 필요는 없다.
도 10를 참조하면, 1010 단계에서 송신기는 최소 한 프레임 주기를 포함하여 P2 신호에 대한 한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전송 주기를 결정하게 되면, 상기 전송 주기에 맞춰서 P2 신호를 전송할 프레임에서는 P2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1030 단계에서 송신기는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해야 할 특정 서비스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될 전체 서비스들 중에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프레임마다 사용되는 특정 서비스의 수가 달라지면 이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1050 단계에서 송신기는 특정 서비스로 지정된 서비스 트래픽에 그룹내의 나머지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는 자신이 속한 그룹의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를 삽입하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각 특정 서비스 트래픽은 다른 특정 서비스들의 제어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각 일반 서비스 트래픽은 다른 그룹들의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1070 단계에서 송신기는 상기와 같이 모든 서비스 트래픽에 서비스 변환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를 삽입한 후에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1 단계에서 수신기는 프레임 인덱스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그리고 1103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n을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1105 단계로 진행하고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1101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상기 1105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프레임내에서 서비스 n을 끝까지 복조하여 1107 단계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수신기는 TFS 모드로 서비스를 수신하는데 있어서, 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브슬롯들 단위로 인터리빙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모든 서브슬롯들을 수신해야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 서브슬롯 단위로 데이터 인터리빙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변환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서브슬롯만 복조해도 특정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서비스의 전체 서브슬롯들 단위로 인터리빙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1의 1109 단계에서 수신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타겟 서비스가 수신중이었던 이전의 서비스와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두 개의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복조가 필요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한 번의 특정 서비스 복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도 11의 1107 단계(특정 서비스 제어정보 획득 단계) 및 1109 단계(특정 서비스 복조 단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두 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1111 단계에서 수신기는 특정 서비스 복조를 통해 변경될 타겟 서비스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1113 단계에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스가 수신되는 위치에서 타겟 서비스 m을 복조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1 단계에서 수신기는 프레임 인덱스에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그리고 1203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서비스 n을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여,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1205 단계로 진행하고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1201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서비스 n을 수신한다.
상기 1205 단계에서 수신기는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P2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그리고 1207 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복조된 P2 신호로부터 프리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했는지를 확인하여 프리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한 경우 1209 단계로 진행하고, 복조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 1205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에서의 P2 프리엠블에 대한 수신을 다시 시도한다.
상기1209 단계에서 수신기는 두 번째 섹션에 해당하는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했는지를 확인하여,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한 경우 타겟 서비스에 m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되므로, 1211 단계에서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 스를 수신한다.
반면, 1209 단계에서 수신기는 시그널링 복조가 성공하지 않은 경우, 상기 1207 단계에서 프리 시그널링 복조를 통해 획득한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1213 단계에서 특정 서비스를 복조한다. 상기 1213 단계에서 수신기는 특정 서비스를 복조함으로써 획득하게 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통해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여, 1215 단계에서 다음 프레임에서 타겟 서비스 m이 전송되는 위치에서 타겟 서비스 m을 수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2 전송 주기 제어기(1301)는 P2 신호를 전송할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데, 한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예를 들어 다섯개의 프레임들마다 한 번씩 전송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P2 신호 생성기(1303)는 상기 결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P2를 전송해야 할 프레임 인덱스에서 해당 프레임에 대한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P2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특정 서비스 결정기(1305)는 매 프레임마다 또는 일정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전체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 서비스를 결정한다. 이 때, 사용되는 특정 서비스의 개수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전체 서비스들에 대한 그룹핑이 이루어지며, 각 서비스가 그룹에 매핑되는 방식은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미리 결정된 (pre-determine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특정 서비스의 개수 즉 그룹의 개수에 대한 시그널링을 위해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 및 삽입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7)에서 생성된 한 개(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또는 복수개(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특정 서비스 및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비스 트래픽 생성기(1309)는 특정 서비스 및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특정 서비스 트래픽 및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생성한다.
일반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1)는 상기 서비스 트래픽 생성기(1309)에서 생성된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7)에서 생성된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일반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1)는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3)는 상기 서비스 트래픽 생성기(1309)에서 생성된 각 일반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1307)에서 생성된 한 개(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또는 복수개(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특정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한다. 그리고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1313)는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FF/TFS 프레임 구성기(1315)는 상기 서비스 제어 정보가 삽입된 모든 서비스들(특정 및 일반 서비스들)의 트래픽을 상기 생성된 P2 전송 주기에 따라 P2 신호와 함께 또는 P2 신호가 없이 FF 또는 TFS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프레임 전송기(1317)은 상기 구성된 FF 또는 TFS 프레임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수신기(1407)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P2 신호를 P2 신호 복조기(1403)에 전달하고, 서비스의 데이터를 서비스 복조기(1405)에 전달한다.
서비스 변환 판단기(1401)는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변경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P2 신호 복조기(1203)는 상기 서비스 변환 판단기(1401)에서 서비스 변경으로 판단한 경우, 서비스 변환 시점에서 프레임 수신기(1407)로부터 전달받은 P2 신호를 복조한다.
서비스 복조기(1405)는 상기 복조된 P2 신호에서 획득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여기서, 서비스 복조기(140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조된 P2신호로부터 프리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했는지를 확인하여, 프리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한 경우 두 번째 섹션에 해당하는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했는지에 대해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 복조기(1405)는 상기 시그널링에 대한 복조가 성공한 경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수신기(1415)는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 복조기(1213)에 전달한다.
서비스 변환 판단기(1401)는 해당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비스 복조기(1413)는 현재 프레임에서의 서비스를 복조하고,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복조기(1413)는 상기 획득한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복조한 후,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복조기(1413)는 상기 획득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한다. 상기 설명한 서비스 복조기(141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해당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해서는 두 번의 특정 서비스 복조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설명한 동작을 한 번 더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1세대 방송시스템을 나타내는 FF(Fixed Frequency) 모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2세대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종래 TFS의 전송 프레임 규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그룹핑 및 특정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변경시 기존 서비스에서 타겟 서비스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

Claims (15)

  1.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상기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을 수신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3.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 서,
    매 프레임마다 전송될 전체 서비스들 중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특정 서비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 각각에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과,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한 후, 상기 구성한 프레임을 수신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신호에 대한 전송 주기를 한 프레임 길이 보다 길도록 결정하고, 상기 전송 주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신호를 전송할 프레임에 상기 신호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7.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에 관련된 제1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2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상 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련된 제2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3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제3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복조한 제2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9.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 프레임마다 전송될 전체 서비스들 중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특정 서비스를 결정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및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어 정보 생성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및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특정 서비스 트래픽 및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생성하는 서비스 트래픽 생성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일반 서비스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일반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와,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 상기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와,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과,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기와,
    상기 구성한 프레임을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신호에 대한 전송 주기를 한 프레임 길이 보다 길도록 결정하는 신호 전송 주기 제어기와,
    상기 전송 주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신호를 전송할 프레임에 상기 신호를 삽입하는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는,
    상기 특정 서비스 트래픽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 제어 정보 삽입기는,
    상기 일반 서비스 트래픽들에 상기 프레임 및 다른 프레임에 포함되는 다른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송신 장치.
  13.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기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기와,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신호 복조기와,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하여 상기 변경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비스 복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제어 정보 수신 장치.
  14.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프레임 수신기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 서비스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변경 판단기와,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타겟 서비스에 관련된 제1 특정 서비스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고, 상기 제1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제2 제어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 비스 복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복조기는,
    상기 서비스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복조하여 상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련된 제2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제3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3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특정 서비스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한 제2 특정 서비스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획득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장치.
KR1020070138647A 2007-10-30 2007-12-27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KR10145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5337.3A EP3716507B1 (en) 2007-10-30 2008-10-27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dvb-t2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EP08846116.5A EP2213095B1 (en) 2007-10-30 2008-10-2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6330 WO2009057920A2 (en) 2007-10-30 2008-10-2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12/260,715 US8730998B2 (en) 2007-10-30 2008-10-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14/280,966 US9173195B2 (en) 2007-10-30 2014-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876 2007-10-30
KR20070109876 200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52A true KR20090044952A (ko) 2009-05-07
KR101457684B1 KR101457684B1 (ko) 2014-11-04

Family

ID=4085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647A KR101457684B1 (ko) 2007-10-30 2007-12-27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730998B2 (ko)
EP (2) EP3716507B1 (ko)
KR (1) KR101457684B1 (ko)
WO (1) WO20090579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30B1 (ko) * 2008-01-08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8517B1 (ko) * 2010-10-19 2014-04-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심볼 인터리버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20278849A1 (en) * 2011-04-28 2012-11-01 Gholmieh Ralph A Cross carrier mlc scheduling for multi-carrier networks in the presence of multiple operators
CN110636346B (zh) * 2019-09-19 2021-08-03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码率自适应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931A (ja) * 2002-10-09 2004-04-30 Kenwood Corp Dab放送受信装置
KR101002908B1 (ko) * 2003-07-14 201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생성 방법 및 장치
CN1674455A (zh) * 2004-03-25 2005-09-2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tdd cdma通信体系中用于实现下行链路联合检测的方法和装置
KR100651939B1 (ko) * 2004-08-18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CN1302686C (zh) * 2004-09-30 2007-0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广播/组播业务中小区信息变化的通知方法
CN1285194C (zh) * 2004-11-01 2006-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播业务资源指示的方法
GB0426911D0 (en) * 2004-12-08 2005-01-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4589711B2 (ja) *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100689440B1 (ko) * 2005-04-26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6507B1 (en) 2024-05-01
WO2009057920A2 (en) 2009-05-07
US20140254463A1 (en) 2014-09-11
US8730998B2 (en) 2014-05-20
US9173195B2 (en) 2015-10-27
EP2213095A4 (en) 2012-08-15
KR101457684B1 (ko) 2014-11-04
EP2213095A2 (en) 2010-08-04
WO2009057920A3 (en) 2009-06-18
US20090116512A1 (en) 2009-05-07
EP3716507A1 (en) 2020-09-30
EP2213095B1 (en)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9125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CN101682445B (zh) 用于通过传输系统调度和传送数据的系统和方法
CN107771382B (zh) 发射机和接收机以及发射和接收方法
US201201889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treams in wireless system
CN101779409A (zh) 无线多载波通信系统中多个数据流的多路复用及传输
US91731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EP2540007B1 (en) De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pt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KR101407196B1 (ko)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 구성 방법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US96282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and frame includ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JPH11145929A (ja) 伝送制御信号送信方式と送受信装置
US201300642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wireless system
JP4896263B2 (ja) 放送通信システムで制御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349990B1 (ko) 무선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101403799B1 (ko) 복수 개의 채널이 연동된 tdm 시스템에서의 패킷 할당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