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054A -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054A
KR20090044054A KR1020070109938A KR20070109938A KR20090044054A KR 20090044054 A KR20090044054 A KR 20090044054A KR 1020070109938 A KR1020070109938 A KR 1020070109938A KR 20070109938 A KR20070109938 A KR 20070109938A KR 20090044054 A KR20090044054 A KR 2009004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shaft
sleeve
anchor
grou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카스키 즈빅
안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054A/ko
Priority to US12/168,177 priority patent/US7761035B2/en
Publication of KR2009004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감광드럼과 샤프트 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감광체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감광체는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와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혀서 고정되는 앵커부를 구비하여 감광드럼과 샤프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한다. 접지장치의 앵커부는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상태에서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태로 이동하며 감광드럼에 고정된다.

Description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 방법{PHOTORECEPT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OF PHOTORECEPTOR}
본 발명은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드럼과 샤프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지장치를 가지는 감광체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및 팩스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광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감광층을 가지는 감광체를 구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 후,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체 상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급지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전사된다. 이후 감광체 표면의 잔류 전위가 제거되어 감광체 표면이 초기화되고, 다음 사이클의 현상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위와 같은 현상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으려면 감광체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감광체는 외주면에 감광층이 마련된 감광드럼과, 감광드럼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샤프트와, 감광드럼과 샤프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지장치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74052호에는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공을 가지는 플레이트형 몸체와, 샤프트공 주위에 마련되어 샤프트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1접지편과, 플레이트형 몸체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감광드럼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2접지편을 가지는 접지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접지부재에서 제1접지편은 샤프트가 샤프트공에 삽입될 때 샤프트에 의해 변형되면서 샤프트의 외면에 탄성 접촉된다. 또 제2접지편은 플랜지가 감광드럼에 결합될 때 그 단부가 감광드럼에 의해 꺾이면서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탄성 접촉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접지장치에서는 제2접지편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만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2접지편을 감광드럼에 강하게 접촉시켜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특히 감광드럼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우에는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산화막이 형성되므로 접지장치가 이러한 산화막을 파괴할 수 있을 정도로 감광드럼에 강하게 접촉되지 않으면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접지장치에서는 감광체가 회전할 때 샤프트와 마찰하는 제1접지편이 마모되어 접지장치와 샤프트 간의 접속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드럼과 샤프트 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감광체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와,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혀서 고정되는 앵커부를 구비하여 상기 감광드럼과 샤프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상태에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감광드럼에 고정된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슬리브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와 연결된 부분이 벤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그 중앙부가 벤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상태에 있는 앵커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앵커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익스팬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히는 뾰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감광체는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도전성 베어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샤프트와 감광드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제1슬리브와, 상기 제1슬리브의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복수의 앵커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익스팬딩 툴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히는 뾰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제1슬리브에 연결된 일측 단부가 벤딩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앵커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슬리브와 마주하는 제2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그 중앙부 및, 상기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에 각각 연결되는 그 양측 단부가 벤딩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익스팬딩 툴은 상기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제1슬리브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샤프트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제1슬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마련된 샤프트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는 상기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도전성 베어링을 구비하고,상기 제1슬리브는 상기 베어링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의 조립 방법은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를 가지는 접지장치를 플랜지에 고정시키고, 상기 플랜지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감광드럼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앵커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부를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감광체의 조립 방법은 상기 감광드럼 조립체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감광드럼 조립체에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접지장치는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히는 앵커부를 통해 감광드럼에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접지장치와 감광드럼 간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감광드럼과 샤프트 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베어링을 통해 접지장치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접지장치와 샤프트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게 되며, 감광체를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감광체를 안정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접지장치는 그 슬리브가 플랜지에 고정되고, 그 앵커부가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됨으로써 플랜지를 감광드럼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접착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플랜지를 감광드럼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지장치(20),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배지장치(70)가 설치된다.
급지장치(20)는 인쇄매체인 용지(S)를 현상장치(40) 쪽으로 공급한다. 급지장치(20)는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4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장치(40)는 감광체(100), 대전롤러(41), 현상롤러(42) 및 공급롤러(43)를 구비한다. 대전롤러(41)는 감광체(100)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광주사장치(30)가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00)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주사하면 감광체(100)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공급롤러(43)는 현상장치(40) 내부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롤러(42)에 공급한다. 현상롤러(42)는 정전잠상 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100)의 표면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100)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100)와 마주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전사롤러(51)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사롤러(51)는 감광체(100) 표면의 가시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감광체(100) 쪽으로 가압한다.
정착장치(60)는 용지로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60)는 내부에 열원이 설치되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소정 압력으로 가압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지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배지장치(70)는 일련의 배지롤러들(71)를 구비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용지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감광체에서 감광드럼, 플랜지 및 접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00)는 외주면에 감광층(111)이 형성된 감광드럼(110)과, 감광드럼(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120)와, 감광드럼(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드럼(110)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감광드럼(110)은 도전 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또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드럼(110)의 감광층(111)에는 대전, 노광, 현상 및 제전 등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현상 프로세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려면 감광드럼(110)을 접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감광체(100)에는 감광드럼(110)과 샤프트(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장치(160)가 구비된다.
플랜지(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샤프트(140)가 관통되는 축공(121)과, 감광드럼(110)의 일단부에 압입되는 감광드럼 결합부(122)를 가진다. 감광드럼 결합부(122)의 외측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감광체 기어(123)가 마련된다. 감광체(100)가 감광체 기어(123)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감광체(100)는 샤프트(14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샤프트(140)는 플랜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일단부는 플랜지(120)의 축공(121)을 관통하여 플랜지(1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14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플랜지(1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샤프트(140)의 단부는 본체(10)에 마련되는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장치(160)는 도전성 물질(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고, 샤프트(140)가 관통되는 슬리브(161)와, 샤프트(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와, 감광드럼(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광드럼 연결부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감광드럼 연결부는 슬리브(16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가 감광드럼의 내주면(112)에 박혀서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부(162)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앵커부(162)의 단부에는 앵커부(162)가 감광드럼(110)에 잘 박힐 수 있도록 뾰족부(1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앵커부(162)가 감광드럼의 내주면(112)에 박히도록 하면 접지장치(160)를 감광드럼(110)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앵커부(162)가 감광드럼의 내주면(112)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층을 뚫고 감광드럼(110)에 접촉하게 되므로 감광드럼(110)과 접지장치(160)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복수의 앵커부(162)는 슬리브(16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고, 컷팅 라인(16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복수의 앵커부(162)는 도 2와 같이, 감광드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상태(가상선 참조)에서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상태로 이동하며 감광드럼의 내주면(112)에 고정된다. 앵커부(162)를 감광드럼(110)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접지장치(160)의 샤프트 연결부는 샤프트(14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샤프트 접촉부(16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감광체에서 샤프트 접촉부와 샤프트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접촉부(165)는 슬리브(16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65a)와, 연장부(165a)에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접지편(165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두 접지편(165b)은 그들 사이에 샤프트(1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두 접지편(165b)은 샤프 트(140)가 결합될 때 샤프트(140)에 의해 밀려 변형되면서 샤프트(140)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0)의 축공(121)에는 접지장치(1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24)이 마련된다. 접지장치(160)의 슬리브(161)는 플랜지(120)의 축공(121)에 삽입되고, 슬리브(161)의 일부분이 고정홈(124)에 압입됨으로써 접지장치(160)는 플랜지(120)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에서 익스팬딩 툴을 사용하여 접지장치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플랜지(120)의 축공(121)에 접지장치(160)의 슬리브(161)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플랜지(120)를 감광드럼(110)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감광드럼 조립체(100', 도 5 참조)를 형성한다. 이 때 접지장치(160)의 샤프트 접촉부(165)는 축공(121)의 내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앵커부(162)는 플랜지(1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감광드럼(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 복수의 앵커부(162)는 감광드럼(110)에 고정되지 않은 최초 상태에서 감광드럼(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2의 가상선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은 익스팬딩 툴(200)을 준비한다. 익스팬딩 툴(200)은 복수의 앵커부(16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샤프트(210)와, 이 가이드 샤프트(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확장되는 가압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익스팬딩 툴(200)의 가이드 샤프트(210)를 복수의 앵커부(162)의 내부로 삽입한 후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A방향)으로 가압하면, 도 6과 같이 앵커부(162)에서 슬리브와 연결되는 부분(162a)이 벤딩되면서 각각의 앵커부(162)가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진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앵커부(162)를 좀 더 가압하면, 도 2와 같이 각 앵커부(162)의 뾰족부(163)가 감광드럼(110)의 내주면(112)에 박히면서 고정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앵커부(162)가 감광드럼(110)에 고정되면, 익스팬딩 툴(200)을 빼낸 후, 플랜지(120)의 축공(121)에 샤프트(140)를 끼워 넣는다. 그러면 도 2과 같은 감광체(100)가 완성된다. 이 때 축공(121)의 내부에 위치된 접지장치(160)의 샤프트 접촉부(165)는 샤프트(140)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샤프트(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익스팬딩 툴(200)의 가압부(220)가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지장치(160)의 앵커부(162)를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는데 적합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는 접지장치(160)의 앵커부(162)를 익스팬딩하는데 있어 별도의 익스팬딩 툴을 사용하는 대신에 샤프트(150)에 익스팬딩부(151)를 일체로 형성한 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감광체(100)를 조립할 때 접지장치(160)의 앵커부(162) 를 익스팬딩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 없으며, 감광드럼 조립체(100')에 샤프트(150)를 A방향으로 끼워 넣을 때 샤프트(150)에 형성되어 있는 익스팬딩부(151)에 의해 앵커부(162)가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감광체에서 샤프트를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접지장치의 구성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과 공통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00a)의 접지장치(170)는 샤프트(150)가 관통하는 제1슬리브(171) 및 제2슬리브(172)와, 이 두 슬리브(171)(17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부(173)를 구비한다. 도 8과 같이, 앵커부(173)는 최초 상태에서 감광드럼(110)의 길이 방향, 다시 말해 샤프트(15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복수의 앵커부(173)는 제1슬리브(171)와 제2슬리브(17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고, 컷팅 라인(17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각 앵커부(173)의 일단부는 제1슬리브(17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슬리브(172)에 연결된다. 각 앵커부(173)의 중앙에는 접지장치(170)가 샤프트(150)에 의해 가압될 때 벤딩되는 벤딩 라인(175)이 형성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각각의 앵커부(173)는 벤딩 라인(175) 근처에서 화살촉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뾰족부(176)를 가진다. 이 뾰족부(176)는 앵커부(173)가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감광드럼(110)의 내주면(112)에 박혀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접지장치(170)의 제1슬리브(171)를 플랜지(120)의 축공(121)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플랜지(120)를 감광드럼(110)에 결합한다.
그런 다음 도 9와 같이, 샤프트(150)의 일단을 제2슬리브(172)의 내부로 삽입한 후, 플랜지(120)의 축공(121) 쪽으로 샤프트(150)를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샤프트(150)를 밀어 넣으면, 샤프트(150)의 익스팬딩부(151)가 접지장치(170)의 제2슬리브(172)에 간섭되고, 이에 따라 접지장치(170)가 축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각 앵커부(173)에서 벤딩 라인(175)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 각 앵커부(173)가 제1슬리브(171)와 연결되는 부분(171a), 그리고 각 앵커부(173)가 제2슬리브(172)와 연결되는 부분(172a)이 벤딩되면서 각각의 앵커부(173)는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진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샤프트(150)를 좀 더 밀어 넣으면, 도 10과 같이 각각의 앵커부(173)가 감광드럼(110)의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지고, 각 앵커부(17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뾰족부(176)가 감광드럼(110)의 내주면에 박히면서 접지장치(170)가 감광드럼(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플랜지(120)의 축공(121)의 내부에 위치된 접지장치(170)의 샤프트 접촉부(177)는 샤프트(15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접지장치(170)는 샤프트(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에서 샤프트와 접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서는 편의상 감광드럼과 플랜지를 생략하였고, 익스팬딩부를 가지는 샤프트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접지장치에서 샤프트 접촉부를 변형한 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하며, 도 3 및 도 4와 공통되는 구성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도 4와 같은 샤프트 접촉부(165)에서 접지편(165b)은 감광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140)와 마찰하여 마모될 수 있다. 접지편(165b)이 마모되면 샤프트(150)와 접지장치(160)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접지장치(160)의 샤프트 접촉부(165')는 도 11과 같이, 샤프트(150)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부(166)를 구비한다.
샤프트 접촉부(165')는 연장부(165a)와 일체로 형성되는 두 지지편(167)을 가진다. 두 지지편(167) 사이에는 샤프트(150)가 위치된다. 두 지지편(167)에는 도전성 베어링부(166)가 각각 설치된다. 도전성 베어링부(166)는 지지편(16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베어링 롤러(166a)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접지장치에 베어링부를 설치하는 대신에 별도 의 베어링을 플랜지에 설치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00b)는 플랜지(130)에 설치되는 도전성 베어링(190)을 구비한다. 플랜지(130)는 도전성 베어링(190)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131)을 가진다.
도전성 베어링(190)은 샤프트(150)가 관통하는 축공(191a)을 가지는 베어링 하우징(191)을 구비한다. 베어링 하우징(191)의 내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베어링 볼(192)이 설치되는데, 베어링 볼(192)의 일부분은 축공(191a)으로 노출되어 축공(191a)에 끼워지는 샤프트(150)와 접촉하며, 베어링 볼(192)의 다른 일부분은 베어링 하우징(191)과 접촉한다. 베어링 하우징(191)과 베어링 볼(192)은 모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접지장치(180)는 도 3에 도시된 접지장치와 유사하게 슬리브(181)와 복수의 앵커부(182)를 구비한다. 복수의 앵커부(182)가 감광드럼(110)에 고정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장치(180)는 샤프트(150)와 직접 접촉하는 샤프트 접촉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신에 접지장치(180)의 슬리브(181)가 도전성 베어링(190)에 결합되어 샤프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베어링 하우징(191)의 전면에는 슬리브(181)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93)이 형성된다. 접지장치(180)의 슬리브(181)는 결합홈(193)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191)과 전 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베어링 하우징(191)은 샤프트(150)와 접촉하는 베어링 볼(192)을 통해 샤프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장치(180)는 샤프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접지장치가 복수의 앵커부를 구비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앵커부만을 사용하여 접지장치를 감광드럼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감광체에서 감광드럼, 플랜지 및 접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감광체에서 샤프트 접촉부와 샤프트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에서 익스팬딩 툴을 사용하여 접지장치를 가압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감광체에서 샤프트를 조립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광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에서 샤프트와 접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100a, 100b : 감광체 100' : 감광드럼 조립체
110 : 감광드럼 120, 130 : 플랜지
140, 140 : 샤프트 151 : 익스팬딩부
160, 170, 180 : 접지장치 190 : 베어링
200 : 익스팬딩 툴

Claims (20)

  1.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와,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혀서 고정되는 앵커부를 구비하여 상기 감광드럼과 샤프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상태에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감광드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슬리브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리브와 연결된 부분이 벤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그 중앙부가 벤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상태에 있는 앵커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앵커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익스팬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히는 뾰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도전성 베어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도전성 베어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10.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샤프트와 감광드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제1슬리브와, 상기 제1슬리브의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앵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복수의 앵커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익스팬딩 툴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박히는 뾰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상기 제1슬리브에 연결된 일측 단부가 벤딩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앵커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슬리브와 마주하는 제2슬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앵커부는 그 중앙부 및, 상기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에 각각 연결되는 그 양측 단부가 벤딩되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딩 툴은 상기 샤프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제1슬리브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하는 샤프트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장치는 상기 제1슬리브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마련된 샤프트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는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도전성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슬리브는 상기 베어링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를 가지는 접지장치를 플랜지에 고정시키고,
    상기 플랜지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감광드럼 조립체를 형성 하고,
    상기 앵커부가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감광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부를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광체의 조립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 조립체에 샤프트를 결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감광드럼 조립체에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의 조립 방법.
KR1020070109938A 2007-10-31 2007-10-31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KR2009004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38A KR20090044054A (ko) 2007-10-31 2007-10-31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US12/168,177 US7761035B2 (en) 2007-10-31 2008-07-07 Photosensitive body,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of photosensitiv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938A KR20090044054A (ko) 2007-10-31 2007-10-31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054A true KR20090044054A (ko) 2009-05-07

Family

ID=405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938A KR20090044054A (ko) 2007-10-31 2007-10-31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1035B2 (ko)
KR (1) KR200900440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468B2 (en) 2006-12-22 2015-11-03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9477201B2 (en) 2008-06-20 2016-10-2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9678471B2 (en) 2006-12-22 2017-06-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703257B2 (en) 2007-03-23 2017-07-1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0192B2 (ja) * 2010-03-24 2014-10-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アース構造、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191407B2 (en) * 2015-04-15 2019-01-29 Hp Indigo B.V. Applying a corrective volt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131A (ja) * 1997-11-29 1999-06-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07205B2 (en) * 2002-05-31 2005-06-14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 and flange
KR100574052B1 (ko) 2003-10-13 200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광드럼 조립체
US7020410B2 (en) * 2003-11-21 2006-03-28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Grounding plate assembly for a drum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391B2 (en) 2006-12-22 2020-03-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772602B2 (en) 2006-12-22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10209670B2 (en) 2006-12-22 2019-02-19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9746826B2 (en) 2006-12-22 2017-08-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551793B2 (en) 2006-12-22 2020-02-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36021B2 (en) 2006-12-22 2017-12-0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41729B2 (en) 2006-12-22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877433B2 (en) 2006-12-22 2020-12-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41728B2 (en) 2006-12-22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changeable relative positioning of a coupling member and another part of the process cartridge
US9841727B2 (en) 2006-12-22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845756B2 (en) 2006-12-22 2020-11-24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9857765B2 (en) 2006-12-22 2018-01-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1156956B2 (en) 2006-12-22 2021-10-26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9846408B2 (en) 2006-12-22 2017-12-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733614B2 (en) 2006-12-22 2017-08-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678471B2 (en) 2006-12-22 2017-06-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671018B2 (en) 2006-12-22 2020-06-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57764B2 (en) 2006-12-22 2018-01-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1237517B2 (en) 2006-12-22 2022-02-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64333B2 (en) 2006-12-22 2018-01-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64331B2 (en) 2006-12-22 2018-01-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69960B2 (en) 2006-12-22 2018-01-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74846B2 (en) 2006-12-22 2018-01-2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874854B2 (en) 2006-12-22 2018-01-2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539923B2 (en) 2006-12-22 2020-01-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539924B2 (en) 2006-12-22 2020-01-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9176468B2 (en) 2006-12-22 2015-11-03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11720054B2 (en) 2006-12-22 2023-08-0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unit
US10429794B2 (en) 2006-12-22 2019-10-01 Canon Kabushiki Kaish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part
US9841724B2 (en) 2007-03-23 2017-1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having changeable relative positioning of a coupling member and another par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US11675308B2 (en) 2007-03-23 2023-06-1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520887B2 (en) 2007-03-23 2019-12-3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939776B2 (en) 2007-03-23 2018-04-1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86002B2 (en) 2007-03-23 2018-02-0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57766B2 (en) 2007-03-23 2018-01-0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51688B2 (en) 2007-03-23 2017-12-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51685B2 (en) 2007-03-23 2017-12-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620582B2 (en) 2007-03-23 2020-04-1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36015B2 (en) 2007-03-23 2017-12-0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712710B2 (en) 2007-03-23 2020-07-1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712709B2 (en) 2007-03-23 2020-07-1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788789B2 (en) 2007-03-23 2020-09-2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788790B2 (en) 2007-03-23 2020-09-29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795312B2 (en) 2007-03-23 2020-10-0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0816931B2 (en) 2007-03-23 2020-10-27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817333B2 (en) 2007-03-23 2017-11-1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703257B2 (en) 2007-03-23 2017-07-1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11204584B2 (en) 2007-03-23 2021-12-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US9477201B2 (en) 2008-06-20 2016-10-25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10901360B2 (en) 2008-06-20 2021-01-2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11209772B2 (en) 2008-06-20 2021-12-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y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10545450B2 (en) 2008-06-20 2020-01-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10095179B2 (en) 2008-06-20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US9594343B2 (en) 2008-06-20 2017-03-1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mount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nd disassembling method for coupl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1035B2 (en) 2010-07-20
US20090110438A1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4380B2 (ja)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1212294B1 (ko) 화상형성장치
US840664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power supply and a photoconductive drum in an image forming device
KR20090044054A (ko) 감광체,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감광체의 조립방법
US7529508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249659B1 (en) Toner cartridge with conductive drive hub
US9176415B2 (en) Charg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harging unit support member
JPH1121902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で使用される軸受支え、プリント装置で使用さ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プリント装置
US7103297B2 (en) Robust apparatus and method of grounding a drum photoreceptor assembly
US7603070B2 (en) Heat roller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45840B1 (ko) 정착장치
JP5092856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6365789B2 (ja) 像担持体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507695B2 (ja) ドラムの導通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3217229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129944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568520B2 (ja) 感光ドラ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805819B1 (ko) 정착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476778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대전롤러 접지장치
JP2005037917A (ja) ドラムフランジ
JP2001117405A (ja) 加熱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343179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접지장치
KR101214156B1 (ko) 정착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0075641A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69025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