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129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129A
KR20090043129A KR1020070108815A KR20070108815A KR20090043129A KR 20090043129 A KR20090043129 A KR 20090043129A KR 1020070108815 A KR1020070108815 A KR 1020070108815A KR 20070108815 A KR20070108815 A KR 20070108815A KR 20090043129 A KR20090043129 A KR 2009004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of
building
box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166B1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7010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1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부재를 현장에서 간편하고 빠르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비숙련공이라도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공기단축으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블록; 상기 각각의 바닥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사각형 박스형태의 중간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지붕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삼각형 박스형태의 지붕블록; 상기 지붕블록 상부에 결합되어 방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해주는 지붕덮개판; 상기 중간블록의 외측면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블록; 상기 바닥블록과, 중간블록, 지붕블록들을 층간으로 연결해주는 층간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인 요지로 한다.
바닥블록, 중간블록, 지붕블록, 지붕덮개판, 벽체블록, 층간결합부재 프리캐 스트, 조립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The building which uses the precast concrete assembly box}
본 발명은 간편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서 누무비 절약은 물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은 인간을 비ㅇ바람이나 추위 ㅇ더위와 같은 자연적 피해와 도난 ㅇ파괴와 같은 사회적 침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건물로서, 근대 주택은 가족구성의 핵가족화와 순수한 가정생활의 장소로서 소형화 ㅇ단순화가 이루어져 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주택은 목조주택, 스틸하우스주택, 조적조주택, 철근콘크리트주택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주택들은 보통 착공에서 완성까지 수개월에 기간이 걸리고 착공, 기 초공사에서부터 기둥이나 벽쌓기 지붕공사, 내장, 외장, 창호, 부대시설 등의 공사를 진행하여 주택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주택들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현장에서 제작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정밀도에 의한 하자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자재의 손실도 다량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목조 주택인 경우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며, 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라서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며, 건조수축에 따른 구조체의 변형을 유의해야 하며, 화재, 방부, 방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틸하우스 주택인 경우 비교적 고가에 해당하며, 신기술공법이기 때문에 기술자수급이 어려운 편이며, 방음,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적조 주택인 경우 지진발생시 횡력에 약하다는 구조적인 단점, 습도 조절능력이 떨어지고, 벽체가 두꺼워 실 면적이 같은 평수의 주택보다 줄어들 수 있으며, 시공을 잘못했을 경우 벽이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주택인 경우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 행하는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재를 현장에서 간편하고 빠르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비숙련공이라도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공기단축으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블록; 상기 각각의 바닥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사각형 박스형태의 중간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지붕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삼각형 박스형태의 지붕블록; 상기 지붕블록 상부에 결합되어 방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해주는 지붕덮개판; 상기 중간블록의 외측면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블록; 상기 바닥블록과, 중간블록, 지붕블록들을 층간으로 연결해주는 층간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현장에서 설계조건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골조부의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골조부의 품질 또한 균일하게 향상되어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부재들의 조립을 기계화 할 수 있어 시공성의 향상으로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숙련공이라도 안전하게 시공함은 물론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현장에서 공기단축 및 노무비를 절약으로 경제성이 뛰어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건축물은 지면에 설치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블록(100)과, 상기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을 골격을 형성하는 사각형 박스형태의 중간블록(200)과, 상기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삼각형 박스형태의 지붕블록(300)과, 상기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방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지붕덮개판(400)과, 상기 중간블록(200) 및 지붕블록(300)의 외측면으로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블록(500)과, 상기 바닥블록(100), 중간블록(200), 지붕블록(300)들을 층간으로 연결해주는 층간결합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바닥블록(100)은 지면에 설치되어 기초를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바닥판(110)과, 상기 블록바닥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120)과, 상기 바닥블록(100)이 지면에 설치될 경우, 설치된 바닥블록(100)의 유동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 지지판(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130)와, 상기 일측 지지판(120)의 마주보는 지지판(120) 외측면에 상기 돌기부(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블록(100)은 지면에 배열될 경우 상기 바닥블록(100)의 지지판(120)에 형성된 돌기부(130)와 삽입부(140)가 서로 결합되도록 지면에 설치함으로서 미끄러짐이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판(120)의 관통홀(121)을 통해 결합볼트(150)를 체결하여 이웃하는 두개의 바닥블록(100)을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상기 중간블록(20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사각형 프레임(211)과 상기 한 쌍의 사각형 프레임(211)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여 박스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연결바(213)로 이루어진 사각박스형 몸체(210)와,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과 상기 제1연결바(213)를 결합시켜주는 제1조인트부재(220)와,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을 이루는 각 프레임 및 상기 제1연결바(213)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부(240)와, 상기 사각박스형 몸체(210) 일측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중간블록(200)은 상기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놓여져 상기 층간결합부재(60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설치부(240)를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250)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중간블록(200)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의 모서리에는 다수의 결합핀(2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바(213)의 양단으로는 핀홀(214) 및 결합핀(2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의 결합핀(212)에 제1연결바(213)의 핀홀(214)이 끼워져 결합되어 사각박스형 몸체(210)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의 결합핀(212) 및 제1연결바(213)의 결합핀(212)을 통해 제1조인트부재(220)를 설치한 후 상기 결합핀(212)에 너트(260)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중간블록(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간블록(200)은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시공시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다른 중간블록(200)을 적층하여 다층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지붕블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붕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상기 지붕블록(30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삼각형 프레임(311)과 상기 한 쌍의 삼각형 프레임(311)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여 박스형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연결바(312)로 이루어진 삼각박스형 몸체(310)와,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과 상기 제2연결바(312)를 결합해주는 제2조인트부재(320)와,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을 이루는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연결바(312)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부(240)와, 상기 삼각 박스형 몸체(310)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판(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붕블록(300)은 상기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놓여져 상기 층간결합부재(60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설치부(240)를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250)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지붕블록(30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의 모서리에는 다수의 결합핀(2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바(312)의 양단으로는 핀홀(2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의 결합핀(212)에 제2연결바(312)의 핀홀(214)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삼각박스형 몸체(310)를 형성한다.
이렇게 삼각박스형 몸체(310)가 형성되면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의 결합핀(212)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2조인트부재(320)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핀(212)에 너트(260)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지붕블록(3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붕블록(300)에는 삼각박스형 몸체(310)의 양측으로 지붕덮개판 걸이부(420)를 더 설치하여 상기 지붕덮개판 걸이부(420)을 통해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지붕덮개판(400)을 고정한다.
한편 상기 중간블록(200) 및 지붕블록(300)에 형성되는 설치부(240)는 상기 연결부재(2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설치홈(241)과, 상기 설치홈(241)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볼트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50)는 상기 볼트부(2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끼움홀(2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250)는 상기 볼트부(242)에 끼워진 후 너트(260)를 상기 볼트부(242)에 체결함으로써 이웃하는 블록들을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에 중간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의 상부에 지붕블록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b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블록을 층간조인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바닥블록(100)과, 중간블록(200), 지붕블록(300)은 층간결합부재를 통해 상하로 결합되는데, 이 층간결합부재(600)는 일측단은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에 볼트 결합되는 결합판(611)과, 상기 결합판(611)의 중심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블록(500)을 받쳐주게 되는 2개의 수직판(6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층간조인트(610)와, 도 80과 같이 일측단은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에 끼워져 층간으로 위치하는 블록들을 고정해주는 층간연결핀(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블록(100)의 상부면과, 중간블록(200)의 상하부면 및 지붕블록(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층간연결핀(6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층간연결핀 삽입홈(16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블록(200)과 지붕블록(300)의 제1조인트부재(220) 및 제2조인트부재(320)를 통해 형성되어 금속재질인 제1,2조인트부재(220)(320)에 의해 층간연결핀(620)이 견고히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층간결합부재(600)는 상기 층간연결핀(620)을 통해 상하로 이웃하는 블록들을 결합해주고 상기 층간조인트(61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하에 위치하는 블록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0a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고정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고정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상기 중간블록(200)에는 사각형 프레임(211)의 내측으로 창문고정 프레임(27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창문고정 프레임(270)은 사각형 프레임(211)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건축시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중간블록(200)에 설치하여 창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1a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b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의 결합브래킷 고정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벽체블록(500)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층간결합부재(600)의 수직판(612)에 상하단이 고정되고,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으로는 상기 제1조인트부재(220) 및 제2조인트부재(32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조인트부재(220) 및 제2조인트부재(320)에는 외측면에는 상기 벽체블록(5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결합브래킷(221)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블록(500)의 설치시, 벽체블록(500)이 상기 중간블록(200) 상부 의 제1조인트부재(220)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1조인트부재(22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벽체블록(500)은 상,하단이 볼트(340)를 통해 상기 결합브래킷(221)에 결합되거나, 또는 벽체블록(500)의 하단부는 볼트(340)로 결합되고, 상단부는 고정핀(350)을 통해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지붕블록(300)이 결합될 경우 상기 제2조인트부재(320)와 제1조인트부재(220)의 결합브래킷(221)을 통해 볼트(340)나 고정핀(350)을 설치하여 벽체블록(500)의 상부를 고정함으로써 볼트(340)나 고정핀(350)을 통해 중간블록(200)과 지붕블록(300)을 연결해줌과 동시에 벽체블록(500)을 연결해주게 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지붕덮개판(400)은 도 13 과 같이 상지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놓여지고 양측단이 상기 지붕덮개판 걸이부(420)를 통해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붕덮개판(400)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부에 미끄럼방지턱(410)이 형성되어 상기 지붕블록(300)에 미끄럼방지턱이 걸려지도록 한 후 상기 지붕덮개판 걸이부(420)를 통해 볼트를 결합하여 지붕덮개판(400)을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고정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보조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보조블록의 응용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설계형상에 따라 지붕블록(300)이 설치되지 않은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붕 역할을 하거나, 또는 지붕블록(300)의 설치시 이웃하는 지붕블록(300)과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설치되어 지붕블록(300)들 간의 높이를 맞춰주는 지붕보조블록(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6 는 본 발명의 의한 난방용 바닥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바닥판 및 덮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판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중간블록(200)에 설치되는 제1바닥판(230)은 건축물의 일반적인 바닥을 형성하고 난방이 필요 없는 장소에 설치되는 비난방용 바닥판과, 내부에 난방배관(233)이 매립되어 있는 난방용 바닥판(2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난방용 바닥판(231)은 내부에 난방배관(233)이 매립되고, 인접하는 난방용 바닥판(231)과의 난방배관(233)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서리부분에 난방배관(233)이 노출되도록 개방홈(234)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몸체(232)와, 상기 개방홈(234)을 통해 노출된 난방배관(233)을 인접하는 난방용 바닥판(231)의 난방배관(233)과 연결된 다음 개방홈(234)을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덮개판(2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판(235)의 하부에는 외부로 노출된 난방배관(233)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배관홈(2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의 바닥블록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중간블록을 다층으로 설치하며, 중간블록의 상부에 지붕블록을 설치하며, 지붕블록의 상부에 지붕덮개판을 설치한다. 또한 지붕블록이 설치되지 않은 중간블록의 상부에는 지붕보조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지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 는 본 발명의 지붕블록들을 이용한 지붕결합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지붕블록들을 이용한 지붕결합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지붕블록(301)(302)는 지붕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붕블록(301)(302)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단면의 구조가 상부에서 제2바닥판(330)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인접하는 다른 지붕블록(301)(302)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상기 설치부(240)가 형성되어 연결부재(2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록들은 건축물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크기로 규격화 하여 공장에서 생산한 후 현장으로 이동시켜 조립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물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을 기초다짐하고 설계조건을 따라 다수의 바닥블록(100)을 배열한다.
이때 바닥블록(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130)와 삽입부(140)가 결합되도록 하여 바닥블록(100)을 배열하고, 바닥블록(100)의 지지판(12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121)을 통해 결합볼트(150)를 삽입하여 이웃하는 다른 바닥블록(100)의 관통홀(121)로 노출시켜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바닥블록(100)을 견고히 결합한다.
이렇게 바닥블록(100)이 설치되면 상기 바닥블록(100)의 지지판(120) 다수의 층간연결핀(620)을 설치하고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상기 층간연결핀에(620) 연결되도록 하여 중간블록(200)을 설치한다.
이렇게 중간블록(200)이 설치되면 이웃하는 중간블록(200)들의 설치홈(241)에 형성된 볼트부(242)에 연결부재(250)를 설치하고 너트로 조여 중간블록(200)들을 상호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블록(2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사각형 프레임(211)과 제1연결바를 결합하여 사각박스형 몸체(2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의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핀(212)에 제1연결바(213)의 핀홀(214)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사각박스형 몸체(21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각형 프레임(211)과 제1연결바(213)의 결합부분에 상기 결합핀(212)에 결합되도록 제1조인트부재(220)를 설치하고 너트로 조여주고, 상기 사각박스형 몸체(210)의 일측면으로 제1바닥판(230)을 설치함으로써 중간블록(20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간블록(200)이 결합되면 상기 층간조인트(610)를 이용하여 상기 바 닥블록(100)과 중간블록(200)을 결합해줌으로써 중간블록(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층간조인트(610)의 결합판(611) 일측단은 바닥블록(100)에 볼트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위에 위치한 중간블록(200)에 볼트 결합되어 상하 블록들을 결합해 주게 된다.
또한 여기서 중간블록(200)은 설계조건에 따라 1개단 이상 적층하여 다양한 높이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블록(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지붕블록(300)을 설치하고, 지붕블록(300)이 설치되지 않은 중간블록(200)의 상부에는 지붕보조블록(700)을 설치하여 중간블록(200)의 상부를 덮어준다.
상기 지붕블록(300)은 중간블록(200)과 층간연결핀(620)을 통해 가조립된 상태에서 지붕블록(300)과 중간블록(20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는 층간조인트(610)를 설치하여 완전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지붕블록(300)은 상기 중간블록(200)의 결합과 같이 설치홈(241) 및 볼트부(242)를 통해 연결부재(250)를 설치하여 이웃하는 지붕블록(300)들을 상호 연결해준다.
한편 상기 지붕블록(3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삼각형 프레임(311)과 제2연결바(312)를 결합하여 삼각박스형 몸체(3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핀(212)에 제2연결바(312)의 핀홀(214)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서 삼각박스형 몸체(310)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 삼각형 프레임(311)과 제2연결바(312)의 연결부분에 상기 결합핀(212)에 결합되 도록 제2조인트부재(320)를 설치하고 너트로 조여 준 다음 상기 삼각박스형 몸체의 일측면으로 제2바닥판을 설치함으로써 지붕블록(30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지붕블록(300)의 설치시 인접하는 지붕블록(300)과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않으면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지붕보조블록(70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지붕블록(300)을 설치하여 지붕블록(300)들의 높이를 맞춰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붕블록(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지붕블록(300)의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지붕덮개판(4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붕덮개판(400)은 하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턱(410)을 통해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지붕블록(3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붕덮개판 걸이부(420)를 통해 설치되는 볼트에 의해 지붕블록(3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붕덮개판(400)은 지붕블록(30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지붕덮개판(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조인트부재(220)에 형성된 결합브래킷(221) 및 층간조인트(610)에 형성된 수직판(612)에 상하단이 결합되도록 하여 벽체블록(500)을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건축물의 시공시 창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한 중간블록(200)의 사각형 프레임(211) 내측으로 창문고정 프레임(270)을 더 설치하고 창문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보조블록(700)이 설치된 부분으로는 발코니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내부 및 천정 마감 시공을 하여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중간블록(200) 설치시, 중간블록(2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바닥판(230)이 난방용 바닥판(231)일 경우에는, 중간블록(200)의 설치 및 고정이 완료된 후 상기 바닥판 몸체(232)의 개방홈(234)으로 노출된 난방배관(233)과 이웃하는 다른 중간블록(200)에 설치된 난방용 바닥판(231)의 난방배관(233)과 연결 하거나, 보일러실의 배관과 연결한 후 덮개판(235)을 이용하여 덮어줌으로써 난방용 바닥판(231)의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중간블록(200)은 바닥에서 상호 조립하여 하나의 층을 형성한 후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지붕블록(300)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면에서 먼저 조립한 후 상기 중간블록(2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비숙련공이라도 시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노무비 절약은 물론 공기단축으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블록(100)에 의해 전체적으로 균등한 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에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부재 하나 하나씩의 조합으로 완성된 평면을 이루어 내므로 내진에 강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건축물을 완벽하게 조립식으로 축조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구조적인 노 후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 한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지붕블록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붕블록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블록에 중간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의 상부에 지붕블록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b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블록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블록을 층간조인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고정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고정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1a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b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 설치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블록의 결합브래킷 고정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붕덮개판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보조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보조블록의 응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는 본 발명의 의한 난방용 바닥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바닥판 및 덮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판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지붕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 는 본 발명의 지붕블록들을 이용한 지붕결합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의 지붕블록들을 이용한 지붕결합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닥블록 (110) : 블록바닥판
(111) : 통공 (120) : 지지판
(121) : 관통홀 (130) : 돌기부
(140) : 삽입부 (150) : 결합볼트
(160) : 층간연결핀 삽입홀
(200) : 중간블록 (210) : 사각박스형 몸체
(211) : 사각형 프레임 (212) : 결합핀
(213) : 제1연결바 (214) : 핀홀
(220) : 제1조인트부재 (221) : 결합브래킷
(230) : 제1바닥판 (231) : 난방용 바닥판
(232) : 바닥판 몸체 (233) : 난방배관
(234) : 개방홈 (235) : 덮개판
(236) : 배관홈 (240) : 설치부
(241) : 설치홈 (242) : 볼트부
(250) : 연결부재 (251) : 끼움홀
(260) : 너트 (270) : 창문고정 프레임
(300) : 지붕블록 (310) : 삼각박스형 몸체
(311) : 삼각형프레임 (312) : 제2연결바
(320) : 제2조인트부재 (330) : 제2바닥판
(340) : 볼트 (350) : 고정핀
(400) : 지붕덮개판 (410) : 미끄럼방지턱
(420) : 지붕덮개판 걸이부 (500) : 벽체블록
(600) : 층간결합부재 (610) : 층간조인트
(611) : 결합판 (612) : 수직판
(620) : 층간연결핀 (700) : 지붕보조블록

Claims (12)

  1. 지면에 설치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수의 바닥블록;
    상기 각각의 바닥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되,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수의 사각형 박스형태의 중간블록;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지붕형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삼각형 박스형태의 지붕블록;
    상기 지붕블록 상부에 결합되어 방수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해주는 지붕덮개판;
    상기 중간블록 및 지붕블록의 외측면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블록;
    상기 바닥블록과, 중간블록, 지붕블록들을 층간으로 연결해주는 층간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블록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바닥판;
    상기 블록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상기 바닥블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지지판의 외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닥블록 지지판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다른 바닥블록을 결합해주는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사각형 프레임의 각 모서리를 연결해주는 제1연결바로 이루어지는 사각박스형 몸체;
    상기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제1연결바를 고정해주는 제1조인트부재;
    상기 사각형 프레임을 이루는 각 프레임 및 상기 제1연결바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설치부;
    상기 사각박스형 몸체 일측면으로 설치되어 중간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바닥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블록은 측면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중간블록과의 결합시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은 비난방용 바닥판 또는 난방용 바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난방용 바닥판은, 내부에 난방배관이 매립되고 매립된 난방배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모서리에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몸체와, 상기 개방홈을 통 해 노출된 난방배관이 인접하는 다른 난방용 바닥판의 난방배관과 연결되면 개방홈 및 난방용 바닥판의 사이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노출된 난방배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부에 배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인트부재의 외측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블록을 받쳐주고 고정시주는 결합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블록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삼각형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삼각형 프레임의 각 모서리를 연결해주는 제2연결바로 이루어지는 삼각박스형 몸체;
    상기 삼각형 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바를 고정해주는 제2조인트부재;
    상기 삼각형 프레임을 이루는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연결바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설치부;
    상기 삼각박스형 몸체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지붕블록의 바닥면을 형성 하는 제2바닥판;
    상기 삼각박스형 몸체의 상부면 양측으로 설치되고 볼트를 통해 지붕덮개판을 고정시켜주는 지붕덮개판 걸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블록은 측면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지붕블록과의 결합시 상기 설치부를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인트부재의 외측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블록을 받쳐주고 고정시주는 결합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9.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과 지붕블록의 설치부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볼트부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볼트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결합부재는, 일측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에 끼워져 상하블록을 연결해주는 층간연결핀;
    상기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외측면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블록을 받쳐주고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층간조인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덮개판은 하부면에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되어 지붕블록의 프레임에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붕 역할을 하거나, 또는 이웃하는 지붕블록과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설치되어 지붕블록들 간의 높이를 맞춰주는 지붕보조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KR1020070108815A 2007-10-29 2007-10-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KR100969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15A KR100969166B1 (ko) 2007-10-29 2007-10-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15A KR100969166B1 (ko) 2007-10-29 2007-10-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29A true KR20090043129A (ko) 2009-05-06
KR100969166B1 KR100969166B1 (ko) 2010-07-09

Family

ID=4085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815A KR100969166B1 (ko) 2007-10-29 2007-10-2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1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03B1 (ko) * 2013-03-06 2014-04-24 도시구조안전(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601811B1 (ko) * 2015-04-07 2016-03-09 김정우 공업화 주택과 이것의 시공방법
KR101678628B1 (ko) * 2016-04-07 2016-11-22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케이슨 강재 거푸집을 이용한 레고형 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WO2018212472A1 (ko) * 2017-05-17 2018-11-22 한국과학기술원 프리캐스트 컴포넌트들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위치 추정 장치
KR102105278B1 (ko) * 2019-12-12 2020-04-27 안순용 조립식 공장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98B1 (ko) 2013-08-27 2013-11-14 정영미 조립식 구조물용 지붕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881A (en) 1983-08-19 1985-12-24 Diebold, Incorporated Burglary resistant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for vault walls and doors and manufacture thereof
CN1452678A (zh) * 2000-05-19 2003-10-29 L·乔·斯卡伦 具有大型模块化单元的高层建筑物的建造
KR100549507B1 (ko) * 2003-10-25 2006-02-03 강원산업(주) 이동식 콘크리트 조립 건물
KR20070053375A (ko) * 2005-11-21 2007-05-25 이병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제조 및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03B1 (ko) * 2013-03-06 2014-04-24 도시구조안전(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601811B1 (ko) * 2015-04-07 2016-03-09 김정우 공업화 주택과 이것의 시공방법
KR101678628B1 (ko) * 2016-04-07 2016-11-22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케이슨 강재 거푸집을 이용한 레고형 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WO2018212472A1 (ko) * 2017-05-17 2018-11-22 한국과학기술원 프리캐스트 컴포넌트들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위치 추정 장치
KR102105278B1 (ko) * 2019-12-12 2020-04-27 안순용 조립식 공장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166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538B1 (ko)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KR1009691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KR100985829B1 (ko)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US20100140447A1 (en) Multi-purpose part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AU2018319415B2 (en) A modular building system
JP3204340U (ja) 生産管理プロセスのjグレード化されたエースシステムによるハイブリッド木造建築物
CN108222270B (zh) 装配式房屋的装配施工建造方法
CN110612373A (zh) 建筑物的预制预装饰体积建造
US9453332B2 (en) Building system, particularly a residential building
US202200494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EP2738316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JP2010112090A (ja) 仮設材を必要としない連結部材と連結方法
TWI784477B (zh) 壁面構造體及建物
JP5302441B2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US20160108616A1 (en) High-ris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KR100715341B1 (ko) 지붕창이 구비된 건축구조물
ITMI20061233A1 (it) Abitazione di tipo prefabbricato e trasportabile
KR2007005337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박스를 이용한 건축물 제조 및시공방법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JP671548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659857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