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081A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081A
KR20090042081A KR1020070107986A KR20070107986A KR20090042081A KR 20090042081 A KR20090042081 A KR 20090042081A KR 1020070107986 A KR1020070107986 A KR 1020070107986A KR 20070107986 A KR20070107986 A KR 20070107986A KR 20090042081 A KR20090042081 A KR 2009004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shape
present
fram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07010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2081A/ko
Publication of KR2009004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교 행사 즉, 불교 등의 행사에 사용하는 연등(燃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연등은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으로부터의 불빛이 투시되게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겉지들을 위요(圍繞)하게 한 연등을 구성함에 의해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연등 외부에는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외형을 이루게 형성한 입체 장식물을 설치하여 불교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시 연등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연등, 장식물, 불교행사, 봉황, 용, 12지신, 부처

Description

연등{LAMP FOR BUDDHISM}
본 발명은 종교 행사 즉, 불교 등의 행사에 사용하는 연등(燃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등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으로부터의 불빛이 투시되게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겉지들을 위요(圍繞)하게 한 연등을 구성함에 의해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연등 외부에는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외형을 이루게 형성한 입체 장식물을 설치하여 불교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시 연등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한 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 행사 즉, 불교의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도나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을 설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연등은 나무 혹은 철선을 이용하여 대략 원형체를 이루는 골조를 만든 후, 그 외부에 종이나 혹은 섬유와 같은 천으로 된 겉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함에 의해 완전한 형태의 연등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연등(1)은 내부에 촛불이나 조명등이 구비된 채 원형의 나선형으로 감긴 골조(1a)와 상기 골조(1a)에 위요되어 불빛이 투시되는 겉지(1b)로 구성되며, 이러한 연등(1)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골조(1a)에 의해서 납작하게 절첩하여 수납 및 보관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연등(2)은 내부에 촛불이나 조명등이 구비된 다각형상의 나선형으로 감진 골조(2a)와 상기 골조(2a)에 위요되어 불빛이 투시되는 겉지(2b)로 구성되며, 이러한 연등(2) 역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골조(2a)에 의해서 납작하게 절첩하여 수납 및 보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등(1,2)은 상기 골조(1a,2a)에 의해 접고 펼침이 가능하여 수납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그 형상은 매우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불교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시 연등에 의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으로부터의 불빛이 투시되게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겉지들을 위요(圍繞)하게 한 연등을 구성함에 의해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등의 외부에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외형을 갖는 입체 장식물을 설치함에 의해, 불교 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시 연등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등을 설치하기 위한 전원케입블의 내부에 보강심을 설치하여 전원케이블의 강성을 보강함에 의해, 연등을 설치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연등의 무게로 인한 전원케이블의 단락 내지는 지지하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등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형상, 원통형상, 반구형상 혹은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하며, 내부로는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을 수용되게 한 내부 본체; 및 상기 내부 본체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상기 내부 본체와 같거나 상이한 형상으로 상기 내부 본체를 내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본체와 연결되는 외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골조와 상기 골조를 위요(圍繞)하게 한 빛의 투과성을 갖는 겉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조는 상하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본체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병렬 혹은 일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들은 상호 동일색 혹은 대비되는 색상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형상의 각종 도형이 더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형상으로 천공된 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소정 형상을 이루게 절단된 장식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본체의 골조에 설치되는 겉지에는 소정 형상의 도형이 인쇄되고, 상기 외부 본체의 골조에 설치되는 겉지의 상기 도형과의 대응 위치에는 도형 투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부 본체에 설치된 골조의 내측에는 상기 겉지의 색상과 같거나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속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겉지와 속지는 소정 폭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골조의 내외측에 상호 교호적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본체에는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입체장식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장식물에는 고정끈을 더 설치하여, 상기 외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장식물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이루게 하부만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봉재한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어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머리부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실리콘과 수지알갱이로 이루어진 충진물, 및 상기 충진물을 지지하며,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게 설치하여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몸통부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성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장식물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따라 고정틀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의 주위로 상기 봉황, 용, 코기리, 12지신, 부처가 인쇄되어 있는 천 혹은 종이 중 어느 하나를 덮어 씌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의 내부에는 전(全) 길이에 걸쳐 폴리프로필렌(PP)사로 이루어진 보강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불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형상, 원통형상, 반구형상, 혹은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이 수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한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체장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형성한 나선형 골조를 위요(圍繞)하게 설치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은, 서로 색이 다른 겉지들로써 연등을 구성함에 의해, 연등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될 때 서로 다른 겉지들의 색 혼용에 의해 연등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은, 외부에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갖는 입체 장식물을 연등에 설치함에 의해, 불교 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할 경우 연등의 장식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등을 설치하기 위한 전원케이블의 내부에 보강심을 설치함에 의해 전원케이블의 강성을 보강하여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연등을 설치시 상기 연등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내부본체의 겉지(112)가 위요된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10)를 내장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의 불빛이 투시되게 한 외부본체의 겉지(122)가 위요된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는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지는 2중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내부 본체(11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접었다 펼칠 수 있는 주름 등(燈)으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 본체(12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등(燈)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를 고정하기 위해 상단부에서 고정부재(140)로써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내부 본체(110)를 상하 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는 주름 등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내부 본체(110)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설치되는 나선용 골조(130)를 설치하여 상기 나선용 골조(130)에 내부본체의 겉지(112)를 위요되게 설치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외부본체의 겉지(122)와 내부본체의 겉지(112)를 서로 다른 색상을 갖게 할 경우,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 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의 연출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즉, 2중 구조를 갖는 연등(100)의 경우, 주간에는 외부본체의 겉지(122)에 의한 색이 보여 지게 되고, 또 야간에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의 불빛이 상기 내부본체의 겉지(112)와 외부본체의 겉지(122)를 투시하여 보여 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부본체의 겉지(122) 색과 내부본체의 겉지(112) 색이 서로 혼용되어 보여지게 됨에 의해 투시되는 불빛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0)은 손잡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연등을 이동시키거나 혹은 연등을 걸어둘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손잡이는 철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연등의 형상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10)를 감싸게 설치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나선용 골조(130)를 설치하여 접었다 펼칠 수 있는 주름 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 본체(120)는 등(燈)의 외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용 골조(132)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4a는 상기 외부 본체(120)의 상단부와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가 이격된 상태되어 고정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고, 도 4b는 상기 외부 본체(120)의 상단부와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가 직접 연결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등의 형상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10)를 감싸게 설치한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나선용 골조(130)를 설치하여 접었다 펼칠 수 있는 주름 등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뭄체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4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10)를 내장할 수 있게 설치한 다각형상의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는 모두 고정용 골조(132)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본체(110)에 소정 형상의 도형(150)을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도형(150)은 인쇄를 하거나 혹은 도형의 형상을 따라 천공한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형(150)에 의해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될 때, 상기 도형(150)에 의한 형상이 연등 외부로 표출됨에 의해 연등의 연출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외부본체의 겉지(122)에 의해 도형(150)이 가려져 있는 상태에서 내부의 조명등이 발광될 때, 그 발광되는 불빛에 의해 상기 도형(150)이 외부로 표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본체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천이나 비닐지 등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게 형성한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10)를 감싸게 설치한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는 하단을 고정하지 않음에 의해 하단이 자유로이 움질일 수 있고, 이는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의 점등에 따른 연등의 연출 효과를 특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본체의 상하단 모두를 외부 본체의 상하단부에 고정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6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천이나 비닐지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내부 본체(110)와 상기 내부 본체(120)를 감싸게 설치된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내부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등(200)은 이미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내부에 모두 설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를 구성하기 위해 위요된 내부본체의 겉지(112)와 외부본체의 겉지(122)는 무색 혹은 소정 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겉지들(112,122)의 색상을 상호 대비되는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겉지들(112,122)은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는 종이, 천,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겉지들(112,122)에 소정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200)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의 의해 연등을 연출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본체의 겉지(122)는 분홍색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본체의 겉지(112)는 빨강색으로 구성하게 되면, 내부의 조명등(200)을 켜지 않는 주간에는 외부본체의 겉지(122)의 색상인 분홍색이 보이게 되고, 내부의 조명등(200)을 발광시키게 되면 내부본체의 겉지(112) 색인 빨강색과 외부본체의 겉지(122) 색인 분홍색이 상기 조명등(220)의 불빛에 혼용되어 보여지게 됨에 의해 연등의 연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겉지들(112,122)의 색상을 서로 같은 색으로 할 경우에는 내부의 조명등(200)에 의해 투시되어 보여지는 색상이 더욱 진하게 보여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어느 하나를 무색으로 할 경우에는 내부의 조명등(200)에 의해 투시되어 보여지는 색상을 더욱 연하게 하여 보여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제6실시예의 연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내부본체의 겉지(112)에 부처 형상의 도형(500)을 인쇄하거나 혹은 상기 내부본체의 겉지(112)에 부처 형상의 도형(500)을 구멍으로 형성함에 의해, 간접조명으로 상기 부처 형상을 연등에 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8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천 조각이나 비닐지조각의 상단부를 고정함에 의해 내부 본체(110)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 천조각 혹은 비닐지 조각에 의해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에 의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4조각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상하단부를 고정하여 내부 본체(110)를 구성한 것으로, 상기 4조각으로 이루어진 원단에 의해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에 의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10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원단을 소정 형상에 맞게 오려서 상단부만을 고정함에 의해 내부 본체(110)를 구성한 것이다. 즉, 원단의 하단부에 장식부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장식부는 원단의 하단부를 사람형상 혹은 집형상 등으로 오려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단부만을 고정함에 의해,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에 의해 연출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에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본체(110)를 망체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내부 본체(110)를 망체로 제작하게 되면 그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이 망체 형상으로 연출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 내지 제1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도 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본체(110)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체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내부 본체(110)는 구형상의 통체가 상하방향으로 2개가 부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만이 외부 본체(120)의 상단부에 고정된 것이다. 즉, 상기 내부 본체(110)의 하단부가 외부 본체(120)의 하단부에 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제12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하단부 모두를 상기 외부 본체(120)의 상하단부에 고정한 구성만이 상기 제12실시예와 다른 차이점이다.
도 1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본체(110)를 구형상의 통체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각 2개씩 부착되어 총 4개가 부착된 것이다. 이러한 제14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만이 외부 본체(12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제 1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제14실시예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3개씩, 좌우방향으로 2개씩, 총 6개의 구형상 통체가 부착된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하단부 모두가 외부 본체(120)의 상하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본체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병렬 혹은 일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실시예 내지 제1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들은, 내부에 구비한 조명등으로부터 투시되는 불빛에 의해 내부 본체(110)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 본체(110)를 이루는 각각의 구형상 통체에 대응되게 각각 조명등을 구비하거나, 혹은 어느 하나의 구형상 통체에만 조명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명등을 많이 구비하게 되면 연등을 연출하기 위한 불빛의 세기가 밝아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골조(130)의 내측면에 속지(122b)를 부착한 것으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골조(130)를 사이에 두고 외부면에는 겉지(122a)를 부착하고, 내부면에는 속지(122b)를 부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겉지(122a)와 속지(122b)는 나선형 골조(130)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나선형 골조(130)에 부착되는 겉지(122a)와 속지(122b)는 상기 나선형 골조(130)에만 부착된 상태이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속지(122b)를 겉지(122a)에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속지(122b)는 나선형 골조(130)를 감싸는 형태로 하여 겉지(122a)의 내면에 부착된다. 특히, 상기 속지(122b)는 어느 특정 부위만을 부칠 수 있고, 또 상기 속지(122b)를 원하는 형상으로 오려서 붙일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a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를 사이에 두고 겉지(122a)와 속지(122b)를 각각 부착시키며, 이와 같이 부착되는 속지(122b)에는 소정 형상의 도형(150)을 인쇄하고, 상기 도형(150)에 대응하는 겉지(122a)에는 상기 도형(150)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도형 투시구멍(124)을 형성하여, 연등의 연출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22b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c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b에 나타낸 제17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의 외측으로 속지(122b)와 겉지(122a)를 순차적으로 부착시키서 된 것이며, 도 22c에 나타낸 제17실시예의 또 다른 변혀예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 조(130)의 외측으로 속지(122b)와 겉지(122a)를 순차적으로 부착시키고, 상기 겉지(122a)에 소정 형상의 도형(150)으로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겉지(122a)에 구멍(124)을 형성함에 의해, 상기 구멍(124)을 통해 연등의 속을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제18실시예에서 상기 겉지(122a)에 형성한 구멍(124)에는 투명한 비닐지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투명한 비닐지로써 상기 구멍(124)을 막을 수 있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겉지(122a)에 구멍(124)을 형성하여 연등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속지(122b)는 나선형 골조(130)와 함께 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소정 형상의 도형(150)을 인쇄하여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효과의 연등을 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를 사이에 두고 겉지(122a)와 속지(122b)를 상호 교호적으로 부착한 것이다. 즉, 나선형 골조(130)의 외부면에는 겉지(122a)를 붙이고, 바로 옆에는 속지(122b)를 나선형 골조(130)의 내부면에 붙여서 연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등은 겉지(122a)와 속지(122b)가 엇갈려 붙여지게 됨에 의해 입체적으로 연등을 연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6a ~도 26d는 본 발명의 제21 내지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도 26a는 제21실시예 내지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외부 본체(12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외부 본체(120)는 하부만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6b 내지 도 26d는 제21실시예 내지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내부 본체(11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내부 본체(110)는 구형상, 다각형상, 하부만이 개구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21실시예 내지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120)와 내부 본체(110)는 모두 나선형 골조(130)를 구비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한다.
도 27은 도 26a와 도 26b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도 26a와 도 26c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도 26a와 도 26d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3실시예 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도 26a에 나타낸 외부 본체(120)와 도 26b에 나타낸 내부 본체(110)를 이용하여 연등을 만든 것이고, 도 2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도 26a에 나타낸 외부 본체(120)와 도 26c에 나타낸 내부 본체(110)를 이용하여 연등을 만든 것이며, 도 2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도 26a에 나타낸 외부 본체(120)와 도 26d에 나타낸 내부 본체(110)를 이용하여 연등을 만든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a ~도 31b는 도 30표시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하부가 개구된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상부에 구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의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 모두에는 나선형 골조(130)를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a ~도 33b는 도 32표시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하부가 개구되며 하단으로는 속이 비치는 원단(126)이 설치된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구된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에서 상기 외부 본체(120)는 고정용 골조(132)를 이용하여 외형을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골조(132)는 철사 혹은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의 외부 본체(120)에는 하단에 설치된 원단(126)에 옥(128)을 매달아 상기 옥(128)이 추의 역할을 하게 함에 의해 상기 원단(126)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함이 좋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본체(110)는 상기 외부 본체(120)를 이루는 색과 다른 색을 갖는 원단으로 상기 외부 본체(120) 속에 붙이거나 미싱을 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또 내부 본체(110)의 상단을 외부 본체(120)의 상단에 고정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제25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옥(128)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옥(128)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유익하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와 제2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와 제27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는 재질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도 34와 같이 외부 본체(120)와 내부 본체(110)의 재질을 수지로서 사출 성형한 것이다. 또한, 도 35와 같이 외부 본체(120)를 주름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와 제2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28실시예와 도 29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 본체(120) 혹은 내부 본체(110)를 이루는 연등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분할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30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a ~도 39b는 도 38표시의 제30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0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 방향을 접혀졌다 펼쳐지게 구성되는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하단부가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끈(142)을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끈(142)은 상기 내부 본체(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a ~도 41b는 도 40표시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에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1실시에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 방향을 접혀졌다 펼쳐지게 구성되는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하단부가 고정되며, 나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하단부에는 고정끈(142)을 설치하여 외부 본체(120)에 고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끈(142)은 상기 내부 본체(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3a ~도 43b는 도 42표시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에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2실시에에 따른 연등(100)은 나 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 방향을 접혀졌다 펼쳐지게 구성되는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단부만이 고정되며, 나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되는 원통형상의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고정끈(142)을 설치하여 외부 본체(120)에 고정하여, 상기 내부 본체(110)의 하단부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142)은 상기 내부 본체(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a ~도 45b는 도 44표시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에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3실시에에 따른 연등(100)은 나선형 골조(130)에 의해 상하 방향을 접혀졌다 펼쳐지게 구성되는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단부만이 고정되는 원통형상을 갖는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고정끈(142)을 설치하여 외부 본체(120)에 고정하여, 상기 내부 본체(110)의 하단부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142)은 상기 내부 본체(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7a ~도 47b는 도 46표시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이미 앞에서 설명한 실시에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34실시에에 따른 연등(100)은 고정용 골조(132)에 의해 지지되는 구형상의 외부 본체(120)와 상기 외부 본체(120)의 내부에 상단부만이 고정되는 원통형상을 갖는 내부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고정끈(142)을 설치하여 외부 본체(120)에 고정하여, 상기 내부 본체(110)의 하단부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본체(11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142)은 상기 내부 본체(1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구성은 연등의 외부에 입체장식물(160)을 더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 본체(120)의 외부에 입체장식물(16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입체장식물(160)은 도 35의 사진과 같이 연등(100)의 상부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장식물(160)은 봉황의 형상을 이루게 제작할 수 있으나, 그 외에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이루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9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일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50은 도 49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1은 도 49표시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2는 도 49표시의 입체 장식물 내부에 설치되는 성형물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9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등(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소정 형상의 입체 장식물(160)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입체 장식물(160)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이루게 하부만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봉재한 외피(162)와, 상기 외피(162)의 내부에 충진되어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머리부(162a)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충진물(164)과, 상기 충진물(164)을 지지하며, 상기 외피(162)의 내면에 부착되게 설치하여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몸통부(162b)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성형물(1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62)는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이루게 자수(刺繡,embroidery)로서 제작함이 좋고, 상기 충진물(164) 실리콘(164a)과 수지알갱이(164b)로 이루어짐이 좋다. 이러한 충진물(164)을 상기 외피(162)의 내부에 충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리콘(164a)을 충진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리콘(164a)은 도 51표시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부(163a~163c)들을 통하여 외피의 구석 부분으로 충진한다. 이후, 상기 수지알갱이(164b)를 채우고, 다시 실리콘을 충진하여 상기 수지알갱이(164b)들이 실리콘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서, 입체 장식물(160)의 머리부(162a)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진물(164)을 실리콘(164a)과 수지알갱이(164b)를 함께 충진함에 의해 본 발명의 요부인 입체 장식물(160)의 입체 형상을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물(166)은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상기 외피(162)의 내부에 철사(168) 혹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 설치하면 된다. 즉, 상기 성형물(166)은 도 52표시와 같이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는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상기 외피(162)의 내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면, 상기 외피(162)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물(166)의 하단부를 철사(168), 끈 혹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등(100)에 부착 설치함에 의해 상기 입체 장식물(160)을 연등(10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체 장식물(160)은 사출 및 성형에 의한 독립적인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입체 장식물(160)은 봉황, 용, 코기리, 12지식, 부처의 형상을 이루도록 자수에 의해 외피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제작하거나, 혹은 사출 성형에 의한 단일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입체 장식물(160)이 설치됨에 의해 연등 설치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불교의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도나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설치하는 단순한 연등의 모양을 탈피할 수 있다.
도 53a ~도 53b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54a ~도 54b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3a는 상기 입체 장식물(160)의 형상을 코끼리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3b는 상기 입체 장식물(160)의 형상을 용의 형상의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코끼리 혹은 용의 형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수에 의해 의해 외피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제작하거나, 혹은 사출 성형에 의한 단일품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4a ~도 54b는 상기 입체장식물(160)의 제작하기 위해, 도 5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장식물(160)의 외형상을 따라 고정틀(161)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161)의 주위로 천이나 종이 등을 덮어 씌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틀(161)을 이용한 입체장식물(160)을 형성할 경우에도 봉황, 용, 코기리, 12지식, 부처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틀(161)은 철사 혹은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체장식물(16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모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재 알려져 있는 모든 연등에도 상기 입체장식물(16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의 불빛이 투시되게 한 겉지가 위요(圍繞)되어 외형을 이루게 형성한 통상의 연등에, 소정 형상을 갖는 상기 입체 장식물(16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5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6은 도 55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7은 도 56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조명등(200)은 전원케이블(202)에 연결 설치된다. 즉, 도 55표시와 같이 상기 연등(100)은 전원케이블(202)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202)은 도 56표시와 같이 내부에 전도성이 뛰어난 구리선(206a,206b)과 폴리프로필렌(PP)사로 이루어진 보강심(204)이 구비되고 상기 구리선(206a,206b)과 보강심(204)을 둘러싸 합선이나 감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절연피복제(20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강심(204)은 상기 구리선(206a,206b)과는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심을 도 57의 변형예와 같이 구리선(206a,206b)에 인접되게 2개의 보강심(204a,204b)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원케이블(202)에 구비되는 상기 구리선(206a,206b)은 필요한 곳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필요한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리선(206a,206b)은 절연피복제(208)로 둘러싸여 2개의 구리선(206a,206b)이 서로 접촉되지 않게 함에 의해,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이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P)사로 이루어진 보강심(204)은 전원케이블(202)의 내부에 전(全)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심(204)은 잘 휘어지면서도 인장강도가 매우 크다고 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심(204)에 의해 전원케이블(202)의 인장강도를 높여주면서도 전원케이블(202) 자체에 대한 무리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원케이블(202)이 쉽게 휘어지면서도 별도의 보조용구 없이 전원케이블(202)만으로 연등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심(204)에 의해 상기 전원케이블(202)의 강성을 보강하여 전원케이블(202)이 잘 휘어짐으로 작업시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하는 연등(100)을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심(204)에 의해 전원케이블(202) 자체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쉽게 잘 휘어짐으로 상기 전원케이블(202)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연등(100)과 연등(100)의 거리가 멀더라도 처짐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원케이블(202)의 내부에 보강심(204)을 설치함에 의해 전원케이블(202) 자체의 인장강도가 매우 커지므로 연등과 연등이 설치되는 양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전원케이블(202)의 처짐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면서 전전선의 무리가 생기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a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22b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c는 도 21표시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a ~도 26d는 본 발명의 제21 내지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도 26a와 도 26b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도 26a와 도 26c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도 26a와 도 26d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a ~도 31b는 도 30표시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a ~도 33b는 도 32표시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29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제30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a ~도 39b는 도 38표시의 제30실시에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a ~도 41b는 도 40표시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3a ~도 43b는 도 42표시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a ~도 45b는 도 44표시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7a ~도 47b는 도 46표시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외부 본체와 내부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보인 사진이고,
도 49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일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50은 도 49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1은 도 49표시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2는 도 49표시의 입체 장식물 내부에 설치되는 성형물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3a ~도 53b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54a ~도 54b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 설치되는 입체 장식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55는 도 48표시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6은 도 55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57은 도 56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등 110 - 내부 본체
112 - 내부본체의 겉지 120 - 외부 본체
122 - 외부본체의 겉지 200 - 조명등

Claims (20)

  1.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형상, 원통형상, 반구형상 혹은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하며, 내부로는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을 수용되게 한 내부 본체; 및
    상기 내부 본체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재질이며, 상기 내부 본체와 같거나 상이한 형상으로 상기 내부 본체를 내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본체와 연결되는 외부 본체를 포함하는 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골조와 상기 골조를 위요(圍繞)하게 한 빛의 투과성을 갖는 겉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상하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병렬 혹은 일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내외부 본체 모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들은 상호 동일색 혹은 대비되는 색상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형상의 각종 도형이 더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 형상으로 천공된 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의 골조에 각각 설치되는 겉지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소정 형상을 이루게 절단된 장식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골조에 설치되는 겉지에는 소 정 형상의 도형이 인쇄되고, 상기 외부 본체의 골조에 설치되는 겉지의 상기 도형과의 대응 위치에는 도형 투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본체에 설치된 골조의 내측에는 상기 겉지의 색상과 같거나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속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겉지와 속지는 소정 폭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골조의 내외측에 상호 교호적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에는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입체장식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장식물에는 고정끈을 더 설치하여, 상기 외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장식물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이루게 하부만이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봉재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부에 충진되어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 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머리부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실리콘과 수지알갱이로 이루어진 충진물; 및
    상기 충진물을 지지하며, 상기 외피의 내면에 부착되게 설치하여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몸통부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성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장식물은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한 외형을 따라 고정틀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틀의 주위로 상기 봉황, 용, 코기리, 12지신, 부처가 인쇄되어 있는 천 혹은 종이 중 어느 하나를 덮어 씌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의 내부에는 전(全) 길이에 걸쳐 폴리프로필렌(PP)사로 이루어진 보강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9. 불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형상, 원통형상, 반구형상, 혹은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점등되는 조명등이 수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한 봉황, 용, 코끼리, 12지신, 부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체장식물을 포함하는 연등.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게 형성한 나선형 골조를 위요(圍繞)하게 설치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KR1020070107986A 2007-10-25 2007-10-25 연등 KR20090042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86A KR20090042081A (ko) 2007-10-25 2007-10-25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86A KR20090042081A (ko) 2007-10-25 2007-10-25 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81A true KR20090042081A (ko) 2009-04-29

Family

ID=4076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86A KR20090042081A (ko) 2007-10-25 2007-10-25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11B1 (ko) * 2009-01-23 2011-01-31 성주용 연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11B1 (ko) * 2009-01-23 2011-01-31 성주용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417368Y (zh) 充气造型灯饰装置
US20050279403A1 (en) Architectural and landscape devices having solar lights
US7290900B1 (en) Light-string ornamental frame assembly
KR100913139B1 (ko) 한지를 이용한 조명등커버
US20020071276A1 (en) Flexible shape-retaining lighting device
JP3173341U (ja) 切り絵
KR20090042081A (ko) 연등
US20100254160A1 (en) Collapsible decorative system
US20090226643A1 (en) Illuminating decorative bow
EP3738656B1 (en) Inflatable decorative system
US20120218761A1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CA2809629C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KR100998254B1 (ko) 연꽃 연등
US20060086018A1 (en) Windbell with snowman ornaments
CN217285386U (zh) 一种圣诞树盆
JP3234098U (ja) 装飾体
CN218762778U (zh) 一种灯
JP2005006267A (ja) マイクロフォンカバー
CN208530133U (zh) 一种发光圣诞装饰品
KR20140100283A (ko) 입체적 꽃무늬가 구현되는 연등, 그 연등의 제작방법
JP3156337U (ja) 照明器具用シェ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照明器具用シェード
JP2006127993A (ja) 照明装置
CN212057005U (zh) 一种新型的折纸灯
JPS6319194Y2 (ko)
KR20080051409A (ko) 불교용 축원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