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11B1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11B1
KR101011511B1 KR1020090006161A KR20090006161A KR101011511B1 KR 101011511 B1 KR101011511 B1 KR 101011511B1 KR 1020090006161 A KR1020090006161 A KR 1020090006161A KR 20090006161 A KR20090006161 A KR 20090006161A KR 101011511 B1 KR101011511 B1 KR 10101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shape
lotus leaf
shape member
ou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762A (ko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0900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의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연등을 접고 펼칠 수 있게 함에 의해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등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느다란 선부재(線部材)를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링,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골조와 상기 골조를 위요하게 설치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종이,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등본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짐과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한다.
연등, 불교행사, 절첩, 보관

Description

연등{LAMP FOR BUDDHISM}
본 발명은 종교 행사 즉, 불교 등의 행사에 사용하는 연등(燃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등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외부형상부재를 상하단부만이 고정되는 형태로 위요(圍繞)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연등을 접었을 경우 상기 외부형상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짐과 아울러 상기 연등을 펼쳤을 경우 상기 외부형상부재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원상태로 유지되면서 펼쳐지게 함으로서 불교행사를 위해 연등을 설치시 연등의 외부면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장식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한 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 행사 즉, 불교의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도나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을 설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연등은 나무 혹은 철선을 이용하여 대략 원형체를 이루는 골조를 만든 후, 그 외부에 종이나 혹은 섬유와 같은 천으로 된 겉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함에 의해 완전한 형태의 연등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연등에 연꽃잎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표시와 같이, 종래의 연등(1)은 내부에 촛불이나 조명등이 구비된 채 원형의 나선형으로 감긴 골조(1a)와 상기 골조(1a)에 위요되어 불빛이 투시되는 겉지(1b)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연등(1)에는 도 2표시와 같이, 상기 겉지(1b)의 외부에 연꽃잎(2)을 부착하거나 혹은 상기 겉지(1b)에 연꽃잎을 인쇄하여 연등의 외형을 보다 화려하게 장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등(1)은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 도 3표시와 같이, 부피를 적게 차지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골조(1a)에 의해서 연등을 납작하게 접어 수납 및 보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등(1)은 상기 골조(1a)에 의해 접고 펼침이 가능하여 수납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상기 겉지(1b)가 골조(1a)를 따라 구겨지면서 접혀짐에 의해 연등(1)을 펼쳤을 경우 겉지(1b)에 주름이 발생되어 외관을 해치게 된다.
특히, 상기 연등(1)의 외부에 연꽃잎(2)이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연등(1)을 보관하기 위해 접었을 경우 연꽃잎(2)이 함께 접혀지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의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연등을 접고 펼칠 수 있게 함에 의해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가느다란 선부재(線部材)를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링,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골조와 상기 골조를 위요하게 설치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종이,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등본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짐과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 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겉지에는 연꽃잎 성형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가느다란 선부재(線部材)를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링,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골조로 이루어진 연등 본체; 및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종이,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등본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짐과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조에는 연꽃잎 성형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 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등의 외부에 상하단부만이 고정되는 형태로 위요하게 외부형상부재를 설치함에 의해, 연등의 접고 펼침에 의해서도 상기 외부형상부재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함으로서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연등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연등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등본체(110)는 연등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 혹은 링형으로 형성한 골조(112)와 상기 골조(112)를 위요하게 설치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11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등본체(110)는 다각형상이나 구형상 및 반구형상 또는 다각링이나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형상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부형상부재(120)는 상기 연등본체(110)의 외부에 위요하게 상하단부만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등을 접었을 경우 상기 골조(112) 및 겉지(114)와는 별도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짐과 아울러 상기 연등을 펼쳤을 경우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원상태로 유지되면서 펼쳐지게 하여 연등 외부를 이루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겉지(114)와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의 상하단부를 연등본체(110)에 고정 설치할 때,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 설치하거나 혹은 PVC캡에 끼워 넣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형상부재(120)는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형상부재(12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연등 형태를 이루게 상하단부만을 고정 설치한 분할체(122)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분할체(122)만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등본체를 접었을 경우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짐과 아울러 연등본체를 펼쳤을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펼쳐져서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함으로서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하게 되면, 외부형상부재의 절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뒤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연꽃잎 성형물이 외부형상부재에 부착될 경우 그 연꽃잎 성형물이 구겨지는 것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설치되는 연등본체(110)를 골조(112)만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등본체(110)는 연등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한 다각형상이나 구형상 및 반구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골 조(112)만을 설치하여, 상기 골조(112)에 위요하게 외부형상부재(120)를 상하단부만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이루는 분할체(122)의 외면에 연꽃잎 성형물(130)을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분할체(122)에 연꽃잎 성형물(130)을 부착하는 대신 연꽃잎을 분할체(122)에 직접 인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분할체(122)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겉지(114)에도 연꽃잎 성형물들을 설치하거나 혹은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부착 설치되는 연꽃잎 성형물(130) 혹은 겉지(114)에 부착되는 연꽃잎 성형물들의 재질은 종이 혹은 비닐, PVC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8b는 제2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분할체(122)에 부착 설치되는 연꽃잎 성형물(130)의 형상, 모양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변형예에서는 상기 연꽃잎 성형물(130)의 상단부를 묶은 형태의 연꽃잎 성형물을 사용한 것이 상이한 것으로, 상기 연꽃잎 성형물(130)의 재질은 비닐, 종이, PVC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이루는 분할체(122)들이 연등본체(110)의 상하단부와 중간 부분이 고정되게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분할체(122)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부위를 상기 연등본체(110)에 더 고정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이루는 분할체(122)들을 다시 여러 개로 분할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고정되게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기 분할체(122)을 상하 방향으로 더 분할하여, 그 분할된 다수개의 분할체들을 상기 연등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하단부만이 고정되게 설치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연등본체(11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상기 연등본체(110)를 이루는 골조(112)를 다각링으로 형성한 후 그 외부에 겉지(114)를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의 상하단부만이 고정되게 설치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하나의 단일품(124)으로 한 주머니 형태로 구성하여 연등본체의 상하단부만이 고정되게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중간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한 절개선(124a)을 형성함이 좋다. 이러한 절개선(124a)에 의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지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6실시예의 연등(100)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6실시예의 연등(100)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4b는 제8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8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6실시예의 연등(100)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연등본체(110)를 구형상의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단일품(124)으로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를 위요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한 구성이 위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이러한 제10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연등본체(110)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 후,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선(124a)들이 형성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힐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절개선(124a)들에 의해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혔을 때 옆으로 벌어지는 각 만큼을 보상해줄 수 있는 것으로, 그 벌어지는 각 만큼 외부형상부재를 절개를 해주어야 원하는 각도가 나올 수 있고, 또 폈을 때 벌어진 각 만큼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러운 연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8b는 제12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12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연등본체(11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연등본체(110)를 다각형상의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연등본체(110)를 위요하게 외부형상부재(1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제10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홈(124a)이 형성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4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 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4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2b는 제16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16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4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 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8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연등본체(11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연등본체(110)를 다각링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연등본체(110)를 위요하게 외부형상부재(1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제10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홈(124a)이 형성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9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8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8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6b는 제20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20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8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연등본체(11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연등본체(110)를 구형링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연등본체(110)를 위요하게 외부형상부재(12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제10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절개홈(124a)이 형성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22 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3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22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30b는 제24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24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22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형성한 절개홈(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이루는 분할체(122)의 어느 일측으로 띠 형상의 날개편(122a)들을 더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러한 제1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연등본체(110)를 접거나 펼칠 경우 상기 날개편(122a)들에 의해 분할체(122)들의 사이 공간을 채우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연등의 외관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7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위에서 설명한 제26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날개편(122a)들을 분할체(122)의 양측 모두에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6~제27실시예에서 설명한 날개편(122a)들은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단일품(124)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들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4a ~도 34l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7실시예들의 연등에 적용되는 외부형상부재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a에 나타낸 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연등본체(110)를 위요할 수 있는 크기의 면적을 갖는 판지를 구성한 후, 그 판지의 외면에 연꽃잎 성형 물(130)들을 미리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a의 판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절개선(124a)들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용이하게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4b와 같은 판지에도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a의 판지에 십자 형상의 절개선(124a)들을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용이하게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4c와 같은 판지에도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a의 판지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선(124a)들을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용이하게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4d와 같은 판지에도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a의 판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용이하게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4e와 같은 판지에도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a의 판지에 지 그재그 형상의 절개선(124a)들을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연등본체(110)에 위요하게 설치한 후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접힐 때 용이하게 접혀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4f와 같은 판지에도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상기 연등본체(110)를 위요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분할체(122)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4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g의 분할체(122)들에 미리 연꽃잎 성형물(130)들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연꽃잎 성형물의 상단부가 묶인 형태의 연꽃잎 성형물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4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g의 분할체(122)에 일측으로 날개편(122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4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g의 분할체(122)에 양측으로 날개편(122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4k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소정 폭을 갖도록 다수개의 연꽃잎 성형물(130)들을 좌우상하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연꽃잎 밴드(132)들을 형성한 후, 상기 연꽃잎 밴드(132)들을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위요하게 그 연꽃잎 밴드(132)의 상하단부만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꽃잎 밴드(132)를 이용하여 연등본체에 위요하게 설치할 경우 상기 연꽃잎 밴드(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겉지에는 별도의 연꽃잎 성형물들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4l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도 34k의 연꽃잎 밴 드(132)를 형성할 때 여러 개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는 대신에 하나의 밴드에 좌우상하로 반복되는 형태로 연꽃잎 형상을 한 번에 찍어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꽃잎 밴드(132)를 이용하여 연등본체에 위요하게 설치할 경우 상기 연꽃잎 밴드(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겉지에는 별도의 연꽃잎 성형물들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5a ~도 3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8실시예의 연등이 접혀지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8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외부형상부재(120)만을 가지고 연등을 구성한 것이다. 즉,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이용하여 연등의 형태를 이루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하단부만을 고정 설치할 수 있고, 또 구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이나 반구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8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보관을 위해 접었을 경우 도 3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짝 오므려지면서 도 3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외측으로 완전히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짐과 아울러 상기 연등을 펼쳤을 경우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원상태로 유지되면서 펼쳐지게 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9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상기 외부형상부재(120)가 벌어지는 사이에 날개편(122a)을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제28실시예와 동일한다.
이와 같은 제28~제29실시예에 따른 연등에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외부형상부재(120)를 다수개로 분할되어 연등 형태를 이루게 상하단부를 고정 설치한 분할체들 혹은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선들이 형성된 단일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고, 또 상기 분할체들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상기 단일품에 형성된 절개선들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위치되게 날개편들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의 외면에 연꽃잎을 인쇄하거나 혹은 연꽃잎 성형물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도 34k와 도 34l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꽃잎 밴드(132)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0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를 형성할 때 통형상이 되게 단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데, 이때 연등 외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하 방향으로 절개선(124a)들을 형성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접혀지고, 또 사출물의 특성상 스스로의 복원력으로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는 연등 외형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 혹은 외면에 연꽃잎 모양이 형성되는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그 둘레에 절개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1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절개선(124a)의 일측으로 날개편(122a)을 더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통형상이 되게 단일체로 형성한 후, 그 절개되는 부위에 날개편(122a)을 더 형성하여 펼쳐지고 접혀질 때의 벌어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0b는 제33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33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5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외부형상부재(130)를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팔각 형상을 이루게 성형할 수 있고,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하 방향으로 절개선(124a)들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선(124a)들은 팔각 형상에 구비되는 각을 따라 절개함이 좋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6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6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5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절개선(124a)의 일측으로 날개편(122a)을 더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서 팔각 형상의 통형상이 되게 단일체로 외부형상부재를 형성한 후, 그 절개되는 부위에 날개편(122a)을 더 형성하여 펼쳐지고 접혀질 때의 벌어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7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0실시예와 같이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서 통형상이 되게 단일체의 외부형상부재를 형성할 때, 그 외부면에 연꽃잎 형상이 형성되게 성형한 구성만이 상이한 것으로, 이와 같이 외부면에 연꽃잎 형상이 형성됨에 의해 외관미를 더욱 형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7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겉면에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여 연등의 와관미를 살릴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8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8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7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절개선(124a)의 일측으로 날개편(122a)을 더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절개되는 부위에 띠 형상의 날개편을 더 형성하여 펼쳐지고 접혀질 때의 벌어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9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9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8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절개선(124a)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날개편(122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절개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날개편(122a)을 연꽃잎 모양의 날개편으로 형성함에 의해,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0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7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십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1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7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수평방향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8b는 제41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에 대한 제41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 절개홈(124a)들을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절개홈(124a)들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게 배열 형성함에 따라 외부형상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연등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24a)들은 계단 형태 혹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절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선(124a)들을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그 형태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2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37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형상부재(130)에 형성되는 절개선(124a)의 형상 모양만이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 외부형상부재(12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개홈(124a)들을 형성한 구성만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4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개홈(124a)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도 다수의 열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1은 도 50표시의 연등이 접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3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앞에서 설명한 도 34k와 도 34l표시의 연꽃잎 밴드(132)를 이용하여 외부형상부재(120)를 구성한 것으로, 구형상의 나선형의 골조(112)를 갖는 연등본체(110)에 상기 연꽃잎 밴드(132)의 상하단부만을 고정 설치하여 도 51표시와 같이 연등을 접었을 경우 상기 연꽃잎 밴드(132)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지게 한 것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4실시예의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리 도면이고, 도 53은 도 52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4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43 실시예의 연등에 연꽃잎 받침대(140)를 하부로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상기 연등의 하부로 연꽃잎 받침대(140)를 더 설치함에 의해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꽃잎 받침대(140)의 설치는 결합끈 혹은 결합핀(141)을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꽃잎 받침대(140)를 결합끈, 결합핀(141)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꽃잎 받침대(140)에 의해 상기 연등을 감싸면서 받혀줄 수 있다.
도 54는 본 발명에 다른 제45실시예의 따른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5는 도 54표시의 연등을 위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5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위에서 설명한 제43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연꽃잎 밴드(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등본체(110)에 별도의 연꽃잎 성형물(130a)을 더 부착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제43실시예의 연등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5실시예에 따른 연등에서 연등본체(110)에 부착되는 연꽃잎 성형물(130a)은 겉지에 완전하게 접착됨이 좋다. 이러한 연꽃잎 성형물(130a)을 연꽃잎 밴드(132)가 벌어졌을 때의 공간에 미리 부착함으로서 연등을 폈을때 자연스럽게 자연스러운 연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6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6실시예의 연등은 하단부에 연꽃잎 형상으로 된 연꽃잎 받침대(140)를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연등의 하부에 연꽃잎 형상으로 된 연꽃잎 받침대(140)를 더 설치함에 의해 연꽃에 유사한 연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46실시예와 같이 연꽃잎 받침대(140)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모든 연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의한 연등은, 접었을 경우 상기 외부형상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접혀짐과 아울러 펼쳤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형상부재가 그대로 펼쳐짐에 의해 외부형상부재의 외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형성되는 상기 절개선(124a)들은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복수로 절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개선(124a)은 어떠한 모양으로 형성하더라도 연등을 접었을 때 혹은 펼쳤을 때 안으로 우그러드는 것을 방지(흡수)할 수 있다면 모두 본 발명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연등에 연꽃잎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연등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표시의 연등을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b는 제2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b는 제8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b는 제12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b는 제16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8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9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b는 제20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0b는 제24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5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6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7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4a ~도 34l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7실시예들의 연등에 적용되는 외부형상부재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a ~도 3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8실시예의 연등이 접혀지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9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0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1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0b는 제33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4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5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6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7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8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9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0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1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8b는 제41실시예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2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3실시예의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1은 도 50표시의 연등이 접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4실시예의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리 도면이고,
도 53은 도 52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4는 본 발명에 다른 제45실시예의 따른 연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5는 도 54표시의 연등을 위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6실시예의 연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등 110 - 연등본체
120 - 외부형상부재 130 - 연꽃잎 성형물

Claims (32)

  1. 가느다란 선부재(線部材)를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링,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골조와 상기 골조를 위요하게 설치한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겉지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종이,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등본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짐과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겉지에는 연꽃잎 성형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2. 가느다란 선부재(線部材)를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나선형으로 형성하거나 다각링, 원형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골조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연등본체의 외부에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원단, 비닐, 종이,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연등본체가 접혀지거나 펼쳐짐과는 별도로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에는 연꽃잎 성형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8.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9.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0.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1.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3. 다각형, 구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빛의 투과 특성을 갖는 PVC 혹은 사출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임의 형태를 이루게 절단하거나 임의 형태로 사출되어 어느 일부분만이 고정 설치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접힘 및 펼침 작용을 하게 한 외부형상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다수의 분할체로 소정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연등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단일품으로 성형되어 연등본체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임의 방향으로 소정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들을 좌우상하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분할체의 일측단 혹은 양측단 모두와 절개부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소정 형태의 날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8.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에는 외면에 연꽃잎 모양을 인쇄하거나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9.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연꽃 모 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중공 구조를 갖춘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0.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둥근형태의 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1.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형상부재의 하단에는 연꽃잎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꽃잎 받침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결합끈, 결합핀 혹은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잎 받침대는 연꽃 모양을 이루게 한 사출물이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형상을 이루며, 겉면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후로킹 전사 하거나 자체적으로 색이 첨부된 미감을 가진 종이, 비닐, 천,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KR1020090006161A 2009-01-23 2009-01-23 연등 KR10101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61A KR101011511B1 (ko) 2009-01-23 2009-01-23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61A KR101011511B1 (ko) 2009-01-23 2009-01-23 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62A KR20100086762A (ko) 2010-08-02
KR101011511B1 true KR101011511B1 (ko) 2011-01-31

Family

ID=4275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161A KR101011511B1 (ko) 2009-01-23 2009-01-23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00Y1 (ko) * 2020-09-21 2021-01-13 김기백 연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220U (ko) * 2001-05-11 2001-08-20 김기찬 절첩등
KR200236406Y1 (ko) 2001-03-19 2001-10-08 박기석 절첩식 연등
KR20020036406A (ko) * 2000-11-09 2002-05-16 송재인 마이크로파 에너지 전송장치
KR20040025037A (ko) * 2002-09-18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패널 페인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트렁크리드 가니쉬 구조
KR200425037Y1 (ko) 2006-06-20 2006-08-28 신충국 연꽃 연등
KR20090042081A (ko) * 2007-10-25 2009-04-29 성주용 연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406A (ko) * 2000-11-09 2002-05-16 송재인 마이크로파 에너지 전송장치
KR200236406Y1 (ko) 2001-03-19 2001-10-08 박기석 절첩식 연등
KR20010002220U (ko) * 2001-05-11 2001-08-20 김기찬 절첩등
KR20040025037A (ko) * 2002-09-18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패널 페인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트렁크리드 가니쉬 구조
KR200425037Y1 (ko) 2006-06-20 2006-08-28 신충국 연꽃 연등
KR20090042081A (ko) * 2007-10-25 2009-04-29 성주용 연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62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9892A1 (en) Self-shaping artificial tree
US9192870B2 (en) Balloon arrangement
US20180078057A1 (en) Balloon display structure
KR101011511B1 (ko) 연등
KR20130008155A (ko) 관 장식용 장식틀
KR100763607B1 (ko) 연등
KR100746236B1 (ko) 자연적인 그늘막을 형성하는 나뭇가지 및 나뭇잎과 열매,꽃들로 구성된 자연 파라솔
KR100676476B1 (ko) 연등
US20120218761A1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KR20200132622A (ko) 팽창성 장식용 시스템
KR100693353B1 (ko) 파라솔의 상단에 미려한 곡선부 모양이 나타나도록표현하는 데코레이션 파라솔 및 그 제조방법
CN213237406U (zh) 一种太阳能支杆灯的防护灯罩
CA2809629A1 (en)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US6394752B1 (en) Link structure for rods
KR101463546B1 (ko) 연등
CN209711800U (zh) 一种遮阳伞用照明伞骨
KR102438746B1 (ko) 접기식 장식등
JP2016211276A (ja) 折り畳み自在なキャノピー構造体
KR200337412Y1 (ko) 전등갓
US20090196052A1 (en) Foldable decoration structure for lamp assembly
US20130033200A1 (en) Sport christmas kit
KR200296319Y1 (ko) 연등
CN114096724B (zh) 使用广告气球的遮阳棚
KR200359136Y1 (ko) 연등
US20030179575A1 (en) Netted firework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