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08A - 청소기용 배관유닛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배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908A
KR20090039908A KR1020070105397A KR20070105397A KR20090039908A KR 20090039908 A KR20090039908 A KR 20090039908A KR 1020070105397 A KR1020070105397 A KR 1020070105397A KR 20070105397 A KR20070105397 A KR 20070105397A KR 20090039908 A KR20090039908 A KR 2009003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iece
piece
wire cas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7010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908A/ko
Publication of KR2009003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전선케이스; 상기 전선케이스에 삽입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동편;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전선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가동편고정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동편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삽입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에 의하면, 상기 가동편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이 상기 고정편에서 이동하면서 변형됨에 따라 접지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05397
청소기, 배관

Description

청소기용 배관유닛{pipe unit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용 배관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팀청소기 또는 진공청소기에 쓰이는 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기의 파이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배관에 부가시켜 청소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배관 및 전원공급부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한 전원공급관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파이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기는 청소할 장소에 따라서는 제공된 호스와 흡입관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거나 또는 충분치 않아 청소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도선은 배관과는 별도로 그의 외측에 늘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그의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관의 연장이나 수축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70655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전술한 발명의 가동편은 약한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 에 고정편에서 이동하면서 가동편이 손상되어 접지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배관에 부가시켜 전원공급부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의 접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의 배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전선케이스; 상기 전선케이스에 삽입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동편;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전선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가동편고정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동편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삽입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전선케이스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고정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전선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전선, 플러그, 가동이 설치된 전선케이스와, 고정편과 접속편이 설치되는 가이드부 의해 상기 내부관의 길이변화에 상관없이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청 소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동편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이 상기 고정편에서 이동하면서 변형됨에 따라 접지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조립도 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관과 전원공급부의 사시도 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편 고정부의 사시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과 전선케이스의 저면도 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의 사시도 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의 사시도 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관, 연결부, 길이조절부의 사시도 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전선케이스; 상기 전선케이스에 삽입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동편;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전선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가동편고정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동편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삽입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전선케이스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고정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전선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관(100)은 단면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관(100)의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관(100)의 상부면에는 걸림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관(100)의 일단부의 측면에는 결합홈(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103)의 단면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엔드커버(110)의 결합돌기(10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관(100)의 후방부(즉, 상기 내부관의 타단부측)에는 손잡이삽입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단면적은 상기 내부관(10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100)과 상기 손잡이삽입부(105) 사이에는 걸림부(107)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07)는 상기 내부관(100)에서 상기 손잡이삽입부(105)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측면에는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08)의 단면형상은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108)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에는 결합공(109)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09)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109)은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내부에는 실링부(120)가 삽입된다.
상기 실링부(120)는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의 단면형상과 대응하도록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관으로 되어있다.
상기 실링부(12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08)에 대응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120)의 후방부(즉, 상기 손잡이삽입부에 삽입되는 곳의 반대방향)에는 2개의 걸림턱(1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3)은 상기 실링부(120)의 측면둘레에서, 상기 실링부(120)의 길이방향과 수직 하게 형성된다.
상기 2개의 걸림턱(123)에 사이에는 상기 실링부(120)의 측면둘레를 따라 걸 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에는 오링(O-RING) 형상의 패킹(125)이 삽입된다.
상기 실링부(120)에는 요입홈(127)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127)은 상기 실링부(120)가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109)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27)에 의해 상기 실링부(120)의 내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120)의 측면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관(110)의 측면에는 상기 수결합부와 대응하는 암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120)가 삽입결합된 손잡이삽입부(105)는 손잡이(10)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손잡이(10)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공에 의해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와 상기 손잡이(10)는 결합된다.
상기 내부관(100)의 일단부에는 중공관 형상의 엔드커버(11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엔드커버(110)의 후방부(즉, 상기 내부관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삽입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내부관(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중공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엔드커버(110)의 삽입부(115) 측면에는 결합돌기(117)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17)와 상기 내부관(100)에 형성된 결합홈(103)에 의해 상기 엔드커버(110)는 상기 내부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엔드커버(110)의 전방부에는 걸림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3)의 단면적은 상기 앤드커버(110)의 삽입부(115)에서 상기 엔드커버(110)의 전방부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에는 전원공급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전선케이스(310), 상기 전선케이스(310)에 설치되는 가동편고정부(330), 그리고 상기 전선케이스(310)에 삽입되는 전선(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320)의 일단에는 가동편(327)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320)의 타단에는 플러그(325)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편(327)과 상기 플러그(325)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325)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325)의 외측끝단부(즉,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곳의 반대편)는 라운드형상인 곡면부로 되어있다.
상기 플러그(325)의 측면에는 걸림턱(329)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29)은 상기 플러그(325)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플러그(325)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선(320)은 2개의 전원선과 스팀청소기에 쓰이는 1개의 접지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케이스(310)는 내부가 빈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타단부의 하부면에는 제 1 결합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타단부에서 하부면은 상기 전선케이스(310)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타단부에서 연장된 하부면에는 제 2 결합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결합공(311,313)의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일단부에는 가동편고정부(330)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의 상부면은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의 외측인 좌우측면과, 하부면에는 가동편삽입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편삽입부(331)는 요입홈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가동편삽입부(331)의 후측면과 맞닫는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의 후면은 연통부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가동편삽입부(331)에 삽입된 상기 가동편(327)은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선(320)과 연결이 된다.
상기 가동편삽입부(331)의 후면에는 결합돌기(33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333)는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동편고정부(330)는 상기 전선케이스(310)에 설치된다.
상기 전선케이스(310)는 브라켓(130,140)에 의해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에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130)과 제2 브라켓(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상면은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후측 하면에는 종,횡 방향의 다수의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플러그(325)가 설치되는 플러그 삽입홈(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에 의해 상기 플러그(325)의 걸림턱(329)이 수용되는 걸림턱수용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하부면에는 원기둥형상의 나사삽입부(137)와 관통공(13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하부면 좌우측에는 결합돌기(139)가 형성되고, 중앙 후측에는 수용돌기(138)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30, 140)에 상기 전선케이스(31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수용돌기(138)는 상기 제1 결합공(311)에 삽입되며, 상기 나사삽입부(137)는 상기 제2 결합공(313)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관통공(135)을 통해 상기 제1 브라켓(130)과 상기 내부관(100)의 표면을 리벳팅 함으로서, 상기 제1 브라켓(130)과 상기 내부관(100)은 결합 된다.
상기 제1 브라켓(130)의 전측단에는 전선케이스지지부(136)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케이스지지부(136)는 상기 전선케이스(310)가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상부표면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브라켓(140)은 U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브라켓(140)의 좌우 측벽의 내측에는 결합홈(141)이 형성되며, 하부 바닥면에는 나사삽입공 형성되며, 상기 나사삽입공과 연장되도록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에는 원기둥형상의 나사삽입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브라켓(140)의 전면측에는 지지벽(14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142)의 형상은 상기 전선케이스(310)가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전선케이스(310)의 하부표면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브라켓(140)의 후측 상면에는 종,횡 방향의 다수의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는 상기 플러그(325)가 설치되는 플러그 삽입홈(14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에 의해 상기 플러그(325)의 걸림턱(329)이 수용되는 걸림턱수용홈(14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39)와 상기 결합홈(141) 그리고 상기 나사삽입부(137, 145)와 상기 나사삽입공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130)과 제 2 브라켓(140)은 결합된다.
상기 내부관(100)은 외부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 루어진다.
상기 외부관(200)은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관(200)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내부관(100)과 후술할 가이드부(40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관(200)의 일단부의 상면에는 제1 절개홈(201)이 형성되며, 상이 절개홈(201)의 후측으로 제1 결합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개홈(201)의 단면 형상은 후술할 하부커버(212)가 수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관(200)의 일단부에는 연결부(210)가 삽입설치된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부몸체(211)와 하부몸체(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부면의 형상은 상기 외부관(2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관(200)의 상부면의 형상은 상기 내부관(100)의 형상에 따라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부면에는 전면측벽과 좌우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후측이 개방된 하부커버(21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12)의 양 측면에는 체결돌기(214)와 결합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12)의 바닥면(즉,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후술할 지지돌기(255)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12)의 내부에는 누름편(250)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커 버(212)와 상기 누름편(250)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편(250)의 전면측벽에는 지지편(25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51)은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양 측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251)의 양측벽에는 결합돌기(25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51)의 플랜지 끝단부의 하면에는 지지돌기(25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51)은 상기 누름편(250)의 전면 측벽에서 상기 지지편(251)의 전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51)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53)와 상기 하부커버(212)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213)에 의해 상기 누름편(250)과 상기 하부커버(212)는 체결된다.
상기 누름편(250)이 상기 하부커버(212)에 삽입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212)에 상부커버(259)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259)는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커버(259)의 좌우 내 측벽에는 상기 하부커버(212)의 양 측면에는 형성된 체결돌기(214)와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면에는 결합돌기(217)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17)는 상기 하부커버(212)의 후 측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면에 향성된 결합돌기(217)와 상기 외부관(200)의 상면에 형성된 1 결합홈(203)에 의해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외부관(200)에 삽입 된 상태에서 결합 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이 설치된 상기 하부커버(212)는 상기 외부관(2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절개홈(201)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전면측 끝단부(즉,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외부관에 삽입되는 곳의 반대측)에는 걸림턱(21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5)은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부면을 따라 상기 상부몸체(2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하부면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종,횡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종횡 리브에 의해 후술할 접속편(420)이 삽입되는 접속편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전면부에 형성된 종리브(즉, 상기 상부몸체의 전면부와 평행하며 최전단에 형성되는 리브)의 하단부에는 제1절개홈(21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의 후면부에 형성된 종리브(즉, 상기 상부몸체의 후면부와 평행하며, 최후단에 형성되는 리브)의 에는 암결합부(219)가 형성된다.
상기 암결합부(219)와 후술할 하부몸체(240)의 측벽에 형성되는 수결합부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결합된다.
상기 하부몸체(240)는 U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240)의 단면형상은 후술할 가이드부(4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24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종측벽(243)와 다수개의 횡측벽(245)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243, 245)에 의해 상기 접속편(420)이 삽입되는 접 속편삽입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240)의 전면부에 형성된 종측벽(243)(즉, 상기 하부몸체의 전면부와 평행하며 최전단에 형성되는 측벽)의 상단부에는 제2 절개홈(24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1)와 하부몸체(240)가 결합 되는 경우, 상기 제1절개홈(216)과 상기 제2 절개홈(242)에 의해 단자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삽입부에는 후술할 청소부(20)에 설치되는 보일러에 연결된 단자가 삽입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접속편(420)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외부관(200)의 타단부의 상면에는 제2 절개홈(20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홈(205)의 전측에는 상기 제2 절개홈(205)에서 연장되는 스토퍼연통부(20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연통부(206)은 후술할 스토퍼(231)의 종단면적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연통부(206)의 폭길이(즉, 상기 외부관에서의 가로길이)는 상기 제2 절개홈(205)의 폭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절개홈(205)의 전측에는 제1 나사삽입부(207)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200)의 타단부 좌우측면에는 체결홈(209)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200)의 타단부에는 지지부(22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관의 전면에서 중간 부분까지는 하부가 절개된 반원형의 중공관 형태로 되어있다.
상기 중공관의 형상은 상기 내부관(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원형의 중공관과 원형의 중공관의 경계부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220)의 후측 하부에는 종리브(즉, 상기 중공관의 전면방향과 평행한 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종리브 사이에는 2개의 횡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종리브와 횡리브에 의해 상기 지지부(220)의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종리브에는 각각 전선케이스지지공(227)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케이스지지공(227)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전선케이스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면에는 제2 스토퍼연통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토퍼연통부(223)는 상기 지지부(220)가 상기 외부관(200)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스토퍼연통부(206)와 연통 되는 곳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스토퍼연통부(223)의 전면에는 제2 나사삽입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삽입부(221)는 상기 지지부(220)가 상기 외부관(200)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나사삽입부(207)와 연통 되는 곳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220)의 후측부의 좌우측면에는 체결돌기(22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체결돌기(225)와 상기 체결홈(209)에 의해 상기 외부관(200)의 타단부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후측부의 외측면을 따라 걸림턱(229)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가(220)가 설치된 상기 외부관(200)의 타단부는 길이조절부(230)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30)은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부의 단면형상은 상기 외부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부(230)의 상부면에는 플레이트(237)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37)의 중앙에는 상기 길이조절부(230)를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는 상하부가 연통되며, 전,후,좌,우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부의 단면적은 후술할 슬라이딩부(283) 상부몸체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37)에는 가이드레일(23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33)은 상기 관통부의 좌우측에 위치한다.
상기 플레에트(237)에 형성된 관통부의 전방에는 제3 나사삽입부(235)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나사삽입부(235)는 상기 길이조절부(230)와, 외부관(200)이 결합할 때, 상기 제1, 제2 나사삽입공(207, 221)과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230), 상기 지지부가(220), 그리고 상기 외부관(200)은 상기 제1, 제2, 제3 나사삽입공(207, 221, 235)에 나사(289)를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된다.
상기 플레이트(237)의 하부에는 스토퍼(231), 슬라이딩부(283) 그리고 스피링(288)이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부(230), 상기 지지부가(220), 그리고 상기 외부관(200)의 결합시 상기 제2 스토퍼연통부(223)위에 놓이게 된다.
상기 관통부의 후측벽에는 스프링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결합돌기에는 후술할 상기 슬라이딩부(283)에 체결된 스프링(258)이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딩부(283)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보다 횡단면적(즉, 바닥면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면에는 나사삽입부(285)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삽입부(285)는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하부를 관통한다.
상기 하부몸체의 전방하부에는 스토퍼해제부(28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해제부(287)는 하부몸체의 바닥면의 전방부 하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전방 끝단부 상에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 되어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부몸체의 후측벽에는 스프링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83)가 상기 플레이트에(287)에 설치될 때,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부몸체는 상기 관통부에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몸체는 상기 관통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부몸체는 상기 스프링삽입홈에는 상기 스프링삽입돌기에 끼워진 스프링(288)이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83)가 상기 플레이트에(237)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83)에 버튼부(280)가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280)은 좌우측벽과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280)의 상부면은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전,후방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280)의 후방경사면에는 나사체결공(28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체결공(282)과 상기 나사삽입부(285)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버튼부(280)는 상기 슬라이딩부(283)에 설치된다.
상기 버튼부(280)의 상면과 좌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부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280)에 상기 슬라이딩부(283)의 상부몸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280)의 좌우측벽은 상기 가이드레일(233)을 따라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280)의 전방경사면에는 미끌림방지부(281)가 형성되며, 상기 미끌림방지부(281)는 상기 전방경사면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케이스(310)는 상기 외부관(200)에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400)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중공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400)의 상부면의 형상은 상기 내부관(100)의 하부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400)의 하부면의 형상은 상기 외부관(200)의 하부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탄성체로 이루지며,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의 좌우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통공(40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3개의 고정편삽입공(40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삽입공(401)은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측 바닥부와, 좌우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벽에 형성된 고정편삽입공(401)은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에서 상기 연통공(403)보다 더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삽입공(401)에는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측 공간부(즉, 상기 전선케이스가 삽입되는 공간)와 연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고정편(410)은 상기 고정편삽입공(4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편삽입공(401)에는 고정편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편(410)의 일단에는 접속편(4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00)의 양측 끝단부에는 커버(405)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405)는 단면적이 상기 가이드부(400)에 대응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400)에는 고정편지지공(407)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지지공(407) 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부(400)에 형성된 고정편삽입공(401)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405)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0)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삽입되어 고정편(410)의 접지력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편(410)과 접속편(420)은 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편(420)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1개의 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편(420)은 상부면과 하부면 그리고 후면이 연장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편(420)의 하부면과 상부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편(420)의 전방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서로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며, 상기 접속편(420)의 중간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서로의 이격거리가 커지는 집게모양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편(4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상기 단자가 삽입될 때 벌어지며, 상기 단자가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자를 고정지지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진공청소기 또는 스팀청소기 등에 쓰이는 배관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길이조절부(230)의 버튼부(28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슬라이딩부(253)의 하부몸체와 상기 걸림홈(101) 사이에서 고정되어있던 스토퍼(231)가 상기 스토퍼해제부(257)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내부관(100)은 상기 외부관(200) 내부에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내부관(100)에 고정설치된 전선케이스(310)도 상기 내부관(100)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에 고정된 가동편(327)은 상기 고정편(4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관(100)의 길이에 변화를 주어도 계속 적으로 상기 플러그(325)로부터 상기 접속편(420)까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전선(320), 플러그(325), 가동편(327)이 설치된 전선케이스(310)와, 고정편(410)과 접속편(420)이 설치되는 가이드부(400) 의해 상기 내부관(100)의 길이변화에 상관없이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청소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동편고정부(330)에 의해, 상기 가동편(327)이 상기 고정편에서 이동하면서 변형됨에 따라 접지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0)에 의해 상기 전선케이스(310)가 상기 외부관(200) 내부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접지력을 고려하여 상기 가동편고정부(33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400) 상의 공간부와 가동편고정부(330)의 사이에 여유공간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통공(4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통공의 공간이 작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동편고정부(330)가 위치한 곳에는 접지력이 유지되면서도 가동편고정부가 위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생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정편삽입공(401)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고정편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08)에 의해 상기 손잡이삽입부(105)에 상기 실링부(120)가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요입홈(127)에 의해 상기 실링부(120)의 내부에는 형성되는 돌출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와 내부관(100) 사이에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3)에 의해 상기 내부관(100)이 상기 길이조절부(230)의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405)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0)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삽입되어 고정편(410)의 접지력이 약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배관유닛은, 전원공급부의 접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의 배관유닛에 알맞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구조의 조립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관과 전원공급부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편 고정부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과 전선케이스의 저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의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관, 연결부, 길이조절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내부관 110: 엔드커버
120: 실링부 130,140: 브라켓
200: 외부관 210: 연결부
220: 지지부 230: 길이조절부
300: 전원공급부 310: 전선케이스
320: 전선 400: 가이드부

Claims (2)

  1. 전선케이스;
    상기 전선케이스에 삽입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동편;
    상기 전선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러그;
    상기 전선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가동편고정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동편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삽입부에 의해 상기 가동편은 상기 가동편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배관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고정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전선케이스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편고정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전선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배관유닛.
KR1020070105397A 2007-10-19 2007-10-19 청소기용 배관유닛 KR20090039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97A KR20090039908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용 배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97A KR20090039908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용 배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08A true KR20090039908A (ko) 2009-04-23

Family

ID=4076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97A KR20090039908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용 배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9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0768A (zh) * 2016-08-25 2019-04-16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
US11076736B2 (en) 2016-08-25 2021-08-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0768A (zh) * 2016-08-25 2019-04-16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
US11076736B2 (en) 2016-08-25 2021-08-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109640768B (zh) * 2016-08-25 2021-10-08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7835B (zh) 连接器
CN206850124U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US757546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xtension and recesses to facilitate operation
US7323637B2 (en) Electrical box roller to facilitate wire pulling
CA2538285A1 (en) Vacuum cleaner current-carrying hose connection system
US9155438B2 (en) Extension pip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101872914A (zh) 端子接头及形成端子接头的方法
KR20090039908A (ko) 청소기용 배관유닛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KR100881943B1 (ko) 청소기용 배관유닛
TWI412186B (zh) 電連接器及其組合
KR100881942B1 (ko) 청소기용 배관구조
KR20090039909A (ko) 청소기용 배관구조
JP2019091560A5 (ko)
KR20090028164A (ko) 지주 연결장치
CN201542559U (zh) 吸尘器的软管连接机构
JP6455665B2 (ja) 水洗大便器装置
CN213665060U (zh) 一种吸尘器双配件夹
CN205335451U (zh) 连接器
KR100966788B1 (ko)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KR200475926Y1 (ko) 샤워바
CN215343220U (zh) 一种插头插座连接组件
CN218127764U (zh) 一种插销组件以及沙发
JP2009224111A (ja) コネクタ
CN211789618U (zh) 管插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