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05A - 청소기 손잡이부 - Google Patents

청소기 손잡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905A
KR20090039905A KR1020070105390A KR20070105390A KR20090039905A KR 20090039905 A KR20090039905 A KR 20090039905A KR 1020070105390 A KR1020070105390 A KR 1020070105390A KR 20070105390 A KR20070105390 A KR 20070105390A KR 20090039905 A KR20090039905 A KR 20090039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lter
protrusion
groo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7010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905A/ko
Publication of KR2009003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손잡이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가 걸려서 손잡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청소기 손잡이부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 손잡이

Description

청소기 손잡이부{Handle of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 손잡이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가 걸려서 손잡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청소기 손잡이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기는 한국등록실용 제42440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진공청소기(1)는 집진실 및 진공발생장치를 갖춘 청소기 본체(13)와, 피 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브러쉬(15)와, 흡입브러쉬(15)에 연결된 연장관(16)과, 연장관(16)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17) 및 손잡이(17)와 청소기 본체(13)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17)에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청소기 구동을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13)와의 전기적인 연결은 플렉시블 호스(2)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있는 전선과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3)와 플렉시블 호스(2)의 결합은 플렉시블 호스(2) 단부에 구비된 플러그(3)를 청소기 본체(13)에 형성된 콘센트(14)에 결합토록 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3)는 플렉시블 호스(2) 단부에 노출된 전선과 연결되는 접점과, 접점과 연결전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접지핀과, 접점이 안치된 상태로 플렉시블 호스(2)에 끼워지는 홀드와, 홀드와 접점을 플렉시블 호스(2)에 일체로 고정하도록 인서트 성형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끼워지며 플렉시블 호스(2)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되며 연결전선 및 접지핀이 안치되고 스프링에 탄지되는 걸림구가 안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피스로 고정되어 접지핀 및 걸림구를 고정하는 커버와, 케이스 및 커버의 측방에 결합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손잡이(17)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손잡이(17) 부분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가 걸려서 손잡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청소기 손잡이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손잡이부에 있어서, 상기 흡입호스와 상기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가 걸려서 손잡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청소기 손잡이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가 걸려서 손잡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청소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청소부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결관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 및 연결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관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호스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배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집진통의 통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이너필터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집진통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본체부 측부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필터도어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거나 스팀을 분사하여 지면을 청소하는 청소부(100a, 100b)와 청소부(100a, 100b)에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관(300)과 연장관(3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부(400)와 손잡이부(400)의 끝단에 연결되는 흡입호스(500)와 흡입호스(500)에 연결되는 본체부(600)를 포함한다.
청소부(100a, 100b)는 먼지를 흡입하거나 스팀을 분사하여 지면을 청소한다.
청소부(100a, 100b)는 진공을 통해 먼지만 흡입하는 청소부(100a)와 스팀을 분사하여 스팀청소를 하는 동시에 진공을 통해 먼지도 흡입하는 청소부(100b)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두개의 청소부(100a, 100b)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쓰도록 할 수 있다.
청소부(100a, 100b)는 하부케이스(101)와 하부케이스(101)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3)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103)와 하부케이스(101) 사이에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이송되는 유로(101)가 형성된다.
청소부(100a, 100b)에는 유로(101)에 연통되도록 연결관이 설치되어 연장관(300)에 연결된다.
스팀과 진공 흡입 청소를 동시에 하는 청소부(100b)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유로(101)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후방에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는 보일러(미도시)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팀청소와 진공청소를 동시에 하는 청소부(100b)는 한국등록특허 제756004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팀청소와 진공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청소부(100b)에 연결되는 연결관(830)은 연장관(300)에 연결되는 연결부(831)와 상기 연결부(831)의 하부에 연결되는 회동부(832)를 포함한다. 연결부(831) 및 회동부(832)에는 청소부(100b)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회동부(83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03)와 하부케이스(10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청소부(100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부(832) 양측에는 원통형상으로 외통(836) 및 돌기가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외통(836) 및 상기 돌기는 회동부(832)의 양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동부(832)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한편, 청소부(100b) 내부에는 외통(836) 및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부(83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청소부(100b)에 대해 상하방 향으로 회전된다.
외통(836)은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제1절개부(837)가 형성된다.
내통(838)은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제2절개부(839)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통(838)은 C형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통(836) 내부에 끼워진다.
또한, 회동부(832) 후방에는 전선(840)이 인출되는 인출공(834)이 형성된다.
나아가, 회동부(832) 양측에는 외통(836) 및 상기 돌기 둘레에 전선(840)이 삽입되는 삽입홈(8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835)은 인출공(834)과 제1절개부(837)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831)는 회동부(832)의 중심부에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관(830)은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831) 저면에는 전선(840)의 가닥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지지편(842, 84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831) 저면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843)가 돌출되어 두개 형성된다.
연결부(831) 후단은 상향 절곡되어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831) 상부 외측면에는 연장관(300)에 버튼식으로 설치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847)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847)에 의해 연결관(830)은 연장관(300)에 탈착될 수 있다.
연결부(831) 저면 후방에는 단자가 끼워진 연결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돌출부(84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전선(84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관(830)에는 덮개(833)가 구비된다.
덮개(833)는 단면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연결부(831) 저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833)는 연결부(831)의 일부만 감싸게 된다. 덮개(833)는 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부(843)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부(831)에 고정된다.
덮개(833) 내벽에도 상기 연결커넥터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돌출부(84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833)는 인출공(834)을 통해 인출된 전선(840)을 덮는 동시에 전선(840)의 가닥에 연결된 단자를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관(830)과 연장관(300) 연결시 덮개(833)와 연결부(831) 사이에 연장관(300)이 배치되게 된다.
나아가 덮개(833) 저면에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는 전선(840)은 외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외피 내부에는 세개의 가닥이 구비된다. 상기 가닥 중 두개의 가닥은 상기 보일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나머지 한 가닥은 접지 역할을 한다.
상기 가닥의 끝단에는 각각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는 연결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커넥터는 각각의 단자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커넥터가 구비되어 전선(840)을 조립하기에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단자는 전원공급선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연장관(300)에 형성된 커넥터에 접속된다.
이러한 연장관(300)은 한국등록실용 제270655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 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이러한 전선(840)은 제2절개부(839)를 통해 내통(838)에 끼운 후 제1절개부(837)와 제2절개부(839)가 서로 엇갈리도록 내통(838)을 위치시킨 후 전선(840)이 제1절개부(837)를 통과하도록 내통(838)을 외통(836)에 끼워넣으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로 인해 전선(84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전선(840)이 정리되고 전선(840)이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이 높아진다.
또한, 인출공(834)과 제1절개부(837) 사이의 전선(840)은 삽입홈(835)에 삽입되어 전선(840)의 위치가 고정되는 동시에 전선(840)과 연결관(83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진공청소만 할 경우에 사용되는 청소부(100a)에 연결되는 연결관은 청소부(100a)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동부(812)가 형성되는 제1관(810)과 상기 제1관(81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관(820)을 포함한다. 제1관(810) 및 제2관(820)에는 청소부(100a)의 유로(101)에 연통되도록 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관(81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812)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관(820)에 연결되는 연결부(811)를 포함한다. 회동부(812)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회동축 역할을 함으로써 연결부(811)가 청소부(100b)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부(812)는 양측에 청소부(100b)에 형성된 삽입공(102)에 삽입되는 회동축(813)이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동축(813)과 회동부(812) 내벽 사이 에는 리브가 다수개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회동부(812)는 전술한 스팀, 진공 겸용 청소부(100b)에 조립되는 연결관(830)과 동일하게 청소부(100a)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축(813)으로 인해 회동부(812)가 더욱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연결부(811) 양측에는 고정홈(81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연결부(811) 내벽에 온둘레에는 제2관이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81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지지턱(816) 상부 양측에는 걸림턱(815)이 돌기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관(820)은 후방에 상부로 절곡된 굴곡부(823)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굴곡진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은 유입부가 유출부보다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관(820)이 형성되어 손잡이부(400)가 지면에 대해 더욱 큰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굴곡부(823) 상부에는 전술한 연장관(830)에서와 동일하게 연장관(300)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에 의해 상기 연결관은 연장관(300)에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만을 위한 청소부(100a)에는 별도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관에는 전선(840)이 구비되지 않게 되므로, 연장관(300)의 전기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막아주는 마개부가 굴곡부(823)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관(820) 전단에는 걸림턱(815)에 걸리는 멈춤돌기(822)가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두개의 멈춤돌기(822) 사이 각도는 180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815) 및 멈춤돌기(822)가 구비되어 제2관(820)이 제1관(810)에 일정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제2관(820)에서 연결부(811)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삽입홈(821)이 형성된다.
삽입홈(821)에는 외측면 양측에 고정홈(814)에 끼워지는 고정돌기(829)가 형성되는 고정링(828)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고정링(828)이 설치되어 고정링(828)은 제2관(8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고정링(828)은 일측이 개방되어 C형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돌기(829)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홈(8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관(820)은 삽입홈(821)에 고정링(828)를 삽입한 후 연결부(811) 내부에 제2관(820)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돌기(829)가 고정홈(814)에 끼워지게 되어 제1관(8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고정링(828)은 연결부(811)에 고정되고, 제2관(8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되어 제2관(82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관이 구비되어 탁자 밑과 같은 좁은 공간을 청소할 때에 연장관(300) 및 손잡이부(40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상하방향으로도 회전되어 사용자가 청소부(100a)를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연장관(300)을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하 좌우로 회전시켜 상황에 따라 청소부(100a, 100b) 및 연결관(830)을 교체하여 연장관(3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이 발생하는 청소부(100b)를 연장관(300) 에 연결할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관(830)이 설치된 청소부(100b)를 연장관(300)에 설치하고, 스팀이 발생하지 않고 물 또는 진공흡입을 통해 청소를 하는 청소부(100b)를 연장관(300)을 연결할 경우에는 상하 좌우로 회전시키는 연결관이 설치된 청소부(100a)를 연장관(30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관(820)의 절곡되는 부분의 저면에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돌기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들고 있지 않더라도 연장관(300) 및 손잡이부(400)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다시 들고자 할 때 허리를 조금만 구부려도 잡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사용자가 청소부(100a, 100b)를 지면에 대해 슬라이딩시킬 때 손잡이부(400) 및 연장관(300)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청소부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제2관(820)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편(824)과, 상기 제1편(824)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편(825)과, 상기 제1편(824) 및 상기 제2편(825)의 후방과 상기 제2관(820)에 연결되는 제3편(8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편(825)가 좌우방향으로 지면에 닿게 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장관(300) 및 손잡이부(4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편(826)의 후방에는 제3편(826)과 상기 제2관(820)을 연결하는 리브(827)가 다수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리브(827) 및 제3편(826)으로 인해 상기 지지돌기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연장관(300)은 청소부(100a, 100b)에 연결관(830)을 통해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연장관(300) 자체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연장관(300)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선의 길이도 조절된다.
손잡이부(400)는 연장관(300) 상단에 연결되어, 흡입호스(500)와 연장관(30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연결하는 이음관(410)과 상기 이음관(410)에 설치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400)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401), 제2부재(402), 제3부재(403)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부재(404)를 통해 형성된다. 제1부재(401)는 이음관(410)의 상부 일부 및 손잡이(420)의 상부를 형성하며, 제2부재(402)는 이음관(410)의 상부 일부 및 손잡이(420)의 하부를 형성하고, 제3부재(403)는 이음관(4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제4부재(404)는 제1부재(401)와 제2부재(402)와 제3부재(403)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음관(410)의 내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4개의 부재로 손잡이부(400)가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해지며, 제1부재(401) 및 제2부재(402) 및 제3부재(403)와 제4부재(404) 사이에 전선 및 버튼 등이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음관(410)에는 연장관(300)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체결돌기를 탈착시키는 조립버튼(423)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연장관(300)과 손잡이부(400)의 조립구조는 청소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손잡이부(400) 내부에는 흡입호스(500)의 전 선(520)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전선(520)은 연장관(300)의 플러그에 접속된다.
손잡이(420)는 이음관(410)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420) 후방측에 절곡부(422)가 형성된다. 절곡부(422)의 후단은 이음관(4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절곡부(422) 상면에는 상기 보일러 또는 진공흡입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버튼부(42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손잡이(420) 끝단인 후단에는 걸림돌기(424)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돌기(424)는 그 자유단이 손잡이(420)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걸림돌기(424) 자유단에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400)가 형성되어 걸림돌기(424)로 인해 손잡이부(400)의 내구성이 커질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420)를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손잡이(42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딩되더라도 걸림돌기(424)가 걸려서 손잡이부(400)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420)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400)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흡입호스(500)는 플랙서블한 호스로 구비되어 손잡이부(400)의 끝단인 후단에 연결된다.
흡입호스(500)는 내측호스(540)와 상기 내측호스(540)를 감싸는 외피(510)와 상기 외피(510)와 상기 내측호스(54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520)과 상기 전 선(520)과 상기 내측호스(54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선재(5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보강선재(530)가 구비되어 흡입호스(500)가 플랙서블함을 유지하는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내측호스(540)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관형상으로 구비된다.
내측호스(540) 내벽에는 내부에 철심이 심어진 와이어로 구비되는 골격선(550)이 권선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부착된다.
내측호스(540) 외주면에는 보강선재(530)가 삽입되는 삽입홈(541)이 형성된다. 삽입홈(541)은 내측호스(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골격선(550)에 의해 돌출된 부분에만 형성된다. 삽입홈(541)은 내측호스(5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다. 이로인해, 보강선재(53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외피(510)도 내측호스(540)와 같이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관형상으로 구비된다.
전선(520)은 본체부(600)의 전원코드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모터 또는 상기 보일러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전선(520)이 본체부(600)에 접속되는 구조는 전술한 종래기술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선(520)은 3개의 전원선과 1개의 접지선으로 이루어진 4가닥(521,522,523,524)을 포함하며 손잡이부(400)에서 흡입모터 및 상기 보일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접지시킬 수 있다.
전선(520)은 내측호스(540) 외측에 권선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전선(520)의 두 가닥씩 권선되는 골격선(550)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 간격이 일 정하게 유지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골격선(550)으로 인해 용이하게 전선(520)을 권선시킬 수 있다.
보강선재(530)는 다수개의 실이 뭉쳐진 섬유뭉치로 구비되며, 내측호스(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보강선재(530)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흡입호스(500)가 과하게 늘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호스(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600)는 흡입호스(500)에 연결되며, 케이스(610)와 케이스(610)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모터(미도시)와 케이스(610)에 설치되는 집진통(700)을 포함한다.
케이스(610)는 흡입호스(500)에 연통되는 유입구(601)와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며 유입구(601) 상부에 배치되는 유출구(602)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바퀴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스(610) 후방에는 안착부(609)가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된 홈형상으로 구비된다.
안착부(609)는 유입구(601) 및 유출구(60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유입구(601) 및 유출구(602)는 안착부(609)의 전방 측벽에 형성된다.
안착부(609) 바닥면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홈(603)이 길게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609) 바닥면 양측에는 슬라이딩홈(603)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기(604)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안착부(609) 바닥면 후단에는 양측의 슬라이딩홈(603) 사이에 배치 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버튼(630)이 설치된다.
버튼(630)은 안착부(609) 바닥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버튼설치부(606)에 설치된다. 버튼설치부(606)의 바닥면에는 스프링(633)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607)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버튼설치부(606) 전방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608)가 버튼설치부(606)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버튼(630)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의 누름부(632)와 누름부(632)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고정돌기(631)와 누름부(632) 하부에 고정되는 스프링(633)을 포함한다. 고정돌기(631)의 상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버튼(630)은 브라켓(640)에 의해 케이스(610)에 고정된다.
브라켓(640)은 고정돌기(631)가 관통하는 관통공(64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관통공(641) 전방 양측에 고정부(608)에 고정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642)이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640) 하부에는 고정부(608)가 삽입되는 홈(643)이 형성된다.
집진통(700)은 진공을 통해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모으는 곳으로 안착부(609)에 안착되어 케이스(610)에 설치된다.
집진통(700)은 통(710)과 통(710)을 개폐하는 커버(720)와 커버(720)에 설치되어 통(710)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통(710)은 하부는 막히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후방에 손잡이(703)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유입구(701)가 케이스(610)의 유입구(60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통(710) 전방에는 유입구(701) 상부에 배치되도록 커버고정돌기(7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703) 상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탈착버튼(750)이 설치된다. 탈착버튼(750) 상단에는 커버(720)의 걸림턱(724)에 걸리는 탈착돌기(75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고정돌기(711)와 탈착버튼(750)에 의해 통(710)에 커버(720)는 탈착된다.
통(710) 후방 외측면에는 손잡이(703) 하단과 통(710)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리브(7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리브(715)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향할수록 통(710) 외측면과의 사이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리브(715) 청소기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집진통(700)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제1리브(715)와 통(710) 외측면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제2리브(7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리브(716)로 인해 집진통(700)의 내구성이 커진다.
나아가, 제1리브(715)와 제2리브(716) 사이에는 버튼(630)의 고정돌기(631)가 삽입되는 제2홈(717)이 형성된다.
또한, 통(710) 저면 전방 양측에는 융기부(712)가 형성된다. 융기부(712) 전방에는 돌기(604)가 끼워지는 제1홈(713)이 형성된다.
통(710)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714)가 중앙 및 양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집진통(700)은 케이스(610)에 조립시에 융기부(712)를 슬라이딩홈(603) 내부에 배치시키고 슬라이딩홈(603)을 따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돌기(604)가 제1홈(713)에 삽입된다. 동시에, 버튼(630)은 스프링(63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돌기(631)가 제2홈(717)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진통(700)은 돌기(60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돌기(63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집진통(700) 분리시에는 버튼(630)의 누름부(632)를 누르게 되면 고정돌기(631)가 제2홈(717)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어서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돌기(604)가 제1홈(713)에서 빠진다.
커버(720)는 전방에 케이스(610)에 형성된 유출구(602)에 연통되도록 유출구(702)가 형성된다.
커버(720)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부커버(721)와 상부커버(721)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커버(722)를 포함한다.
상부커버(721)는 상면에 손잡이(723)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723)가 구비되어 커버(720)를 통(7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721) 후방 내벽에는 탈착돌기(751)가 걸리는 걸림턱(724)이 형성된다. 상부커버(721) 전방에는 유출구(702)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하부커버(72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관통공(725)이 형성되고, 관통공(725) 주위에 볼트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하부커버(722) 전방에는 유출구가(702)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유출구(702) 하부에는 커버고정돌기(711)가 끼워지는 끼움공(728)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하부커버(722) 저면에는 관통공(725) 둘레에 관통공(725)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크기가 다른 두개의 원의 원주상에 체결홈(727a, 727b)과 가이드돌기(726a, 726b)가 형성된다.
체결홈(727a, 727b)은 하부커버(722)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돌기(726a, 726b)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홈(727a, 727b)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하부커버(722)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를 커버(720)에 조립시 조립방향을 표시해주는 화살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720)는 커버고정돌기(711)를 끼움공(728)에 끼워넣은 후 탈착돌기(751)가 걸림턱(724)에 걸리도록 커버(720)를 아래로 하강시킴으로써 통(710)에 결합된다. 또한, 탈착버튼(750)을 전방으로 눌러서 탈착돌기(751)를 걸림턱(724)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커버고정돌기(711)를 끼움공(728)으로부터 빼내면 커버(720)와 통(710)의 분리가 완료된다.
상기 필터는 아우터필터(740)와 상기 아우터필터(740)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필터(730)를 포함한다.
아우터필터(7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오링(미도시)이 삽입되는 실링홈(74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실링홈(741)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체결돌기(7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체결돌기(742)는 120도 간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아우터필터(740) 측벽에는 통풍구(745)가 다수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 외측면에는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된 스크린필터(743)가 부착된다.
아우터필터(740) 하부에는 플랜지부(744)가 형성되고, 플랜지부(744)는 하부로 향할수록 양측 사이간격이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플랜지부(744)는 하단에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74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744)가 형성되어 집진통(700) 바닥에 쌓여 있던 먼지가 상부로 역류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744) 저면 중심부에는 십자형상으로 리브(746)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아우터필터(740)를 커버(720)에 체결시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너필터(73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너필터(730) 상부에는 상부플랜지(732)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732) 상면에는 오링(미도시)이 삽입되는 실링홈(731)이 형성된다. 상부플랜지(732)에는 체결홈(727b)이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738)이 형성되며 삽입홈(738) 내부에 체결홈(727b)에 삽입되는 체결돌기(735)가 배치된다. 삽입홈(738)은 실링홈(731)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상부플랜지(732) 하면에는 삽입홈(738)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는 이음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음부로 인해 이너필터(73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플랜지(732) 하면에는 필터부재(736)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너필터(730) 측벽에는 아우터필터(740)와 마찬가지로 통풍구(733)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너필터(730) 하부에는 하부플랜지(737)가 형성되며, 하부플랜지(737) 상면에는 필터부재(736) 하단이 끼워지는 끼움홈(734)이 형성된다.
이너필터(730) 측벽 외주면에는 필터부재(736)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필터부재(736)에는 상하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736)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너필터(730)의 측벽으로 인해 필터부재(736)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필터부재(736)를 통과한 후 측벽을 통과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는 가이드돌기(726b) 내부에 상부플랜지(732)를 배치시키는 동시에 삽입홈(738)에 상기 돌기를 끼워넣은 후 이너필터(730)를 회전시키면 상부플랜지(732)는 가이드돌기(726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체결돌기(735)가 체결홈(727b)에 삽입되어 이너필터(7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어서, 아우터필터(740)도 이너필터(730)와 같이 가이드돌기(726a) 내부에 상단을 배치시키고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726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체결돌기(742)가 체결홈(727a)에 삽입되어 아우터필터(740)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커버(720)를 통(710)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필터도 동시에 통(710)으로부터 이탈되어 통(710)을 청소하기에 용이해진다.
이로써 유입구(701)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이송되면 사이클론 원리에 의해 무거운 이물질은 통(710) 바닥면에 쌓이게 되고 가벼운 이물질은 1차적으로 스크린필터(743)에 의해 걸러지고 2차적으로 필터부재(736)에 의해서 걸러진 후 관통공(725)을 지나 유출구(702)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너필터(73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너필터(730)가 먼지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필터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체부(600)의 케이스(610) 측부에는 배기필터(620)가 설치되는 관통공(616)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610)에는 관통공(616)에 연통되도록 필터도어(650)가 삽입되는 도어설치부(611)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설치부(611) 가장자리에는 끼움돌기(653)가 삽입되는 끼움홈(615)이 형성된다.
또한, 도어설치부(61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홈(612)이 형성된다.
도어설치부(611)의 홈(612) 외측에는 다이얼(656)의 일부가 안착되는 다이얼안착부(613)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다이얼안착부(613)에 근접하게 케이스(610)에는 원형상의 함몰부(614)가 형성된다.
배기필터(620)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616)을 통해 노출되도록 케이스(610) 내측에 고정되는 필터케이스(621)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된다. 또한, 배 기필터(620) 중심부에는 손잡이(6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삽입홈에 삽입된 배기필터(620)를 사용자가 손을 더럽히지 않고도 용이하게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다.
필터도어(650)는 송풍구(652)가 관통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배기필터(620)를 본체부(600)의 케이스(610)에 탈착시킨다. 필터도어(650)는 본체부(600)의 케이스(610)에 다이얼(656)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필터도어(650)를 케이스(610)로부터 분리시키면 배기필터(620)는 본체부(6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송풍구(652)는 장공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배기필터(6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필터도어(650)의 내벽에는 송풍구(652)를 따라 가이드편(65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필터도어(650) 내벽에는 가이드편(651)을 연결하는 원형상의 돌출부도 형성된다.
필터도어(650) 가장자리에는 끼움홈(615)에 끼워지는 후크형상의 끼움돌기(65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필터도어(650) 외측에는 다이얼(656)이 안착되는 안착부(655)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655)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형상의 다이얼(656)의 일부만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안착부(655)에는 다이얼(656)에서 케이스(610)의 다이얼안착부(613)에 안착되는 나머지 부분이 안착된다.
안착부(655)에 연통되도록 함몰부(614)에 배치되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는 다이얼(656)에 설치되어 다이얼(656)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또한, 필터도어(650)에서 다이얼(656)과 마주보는 면인 내측에는 걸림홈(657)이 두개 형성된다.
필터도어(650) 외측에는 다이얼(656)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이얼(656) 외측에는 손잡이(658)가 바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손잡이(658) 상단에는 양측에 걸림턱(658a)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필터도어(650)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길 때에 손잡이(650)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필터도어(650)를 본체부(6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이얼(656) 내측 즉, 다이얼(656)에서 필터도어(650)와 마주보는 면에는 걸림홈(657)에 삽입되는 스토퍼(65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659)와 걸림홈(657)이 구비되어 잠금 또는 풀림 위치에서 다이얼(656)의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다이얼(656)의 위치가 고정된다.
다이얼(656)에는 홈(612)에 끼워지는 돌기(660)가 형성된다.
돌기(66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도어(650)의 내측에 배치되어, 관통공(654)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다이얼(656)에 고정된다.
나아가, 다이얼(656) 내측에는 돌기(660) 양측에 배치되도록 걸림돌기가 두개 형성되어 돌기(660)가 다이얼(656)에 대해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다이얼안착부(655)에는 돌기(660)가 필터도어(650)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다이얼(656)을 회동시켰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청소기는 유출구(602)를 통과한 필터링된 공기가 배기필터(620)를 통과하여 송풍구(6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배기필터(620)를 통해 공 기는 3차 필터링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청소기 사용중에 배기필터(620)를 교환할 경우에는 다이얼(656)을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홈(612)에 삽입되어 있던 돌기(660)가 홈(612)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이어서 필터도어(650)를 사용자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끼움돌기(653)가 끼움홈(615)으로부터 빠져나와 필터도어(650)는 케이스(610)로부터 분리되어, 배기필터(620)의 손잡이(622)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관통공(616)을 통해 배기필터(620)는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새로운 배기필터(620)를 관통공(616)을 통해 필터케이스(621)에 끼워넣고 필터도어(650)의 끼움돌기(653)를 끼움홈(615)에 끼워넣은 후 필터도어(650)를 분리했을 때와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다이얼(656)을 회동시키면 돌기(660)가 홈(612)에 삽입되어 필터도어(650)가 케이스(610)에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656)을 회동시킴에 따라 필터도어(650)를 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배기필터(620)의 교체가 용이해지며, 배기필터(6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필터도어(650)가 구비되어 청소기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 또는 진공 흡입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청소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청소부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연결관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 및 연결관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연결관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호스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배면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집진통의 통 저면도.
도 13은 도 11의 이너필터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집진통 저면 분리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결합사시도.
도 16은 도 10의 본체부 측부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필터도어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 100b : 청소부 101 : 유로
102 : 삽입공 104 : 하부케이스
103 : 상부케이스 300 : 연장관
400 : 손잡이부 410 : 이음관
420 : 손잡이 422 : 절곡부
423 : 버튼부 424 : 걸림돌기
428 : 조립버튼 500 : 흡입호스
510 : 외피 520 : 전선
521,522,523,524 : 가닥 530 : 보강선재
540 : 내측호스 541 : 삽입홈
550 : 골격선 600 : 본체부
601 : 유입구 602 : 유출구
603 : 슬라이딩홈 604 : 돌기
606 : 버튼설치부
607 : 스프링안착부 608 : 고정부
609 : 안착부 610 : 케이스
611 : 도어설치부 612 : 홈
613 : 다이얼안착부 614 : 함몰부
615 : 끼움홈 616 : 관통공
620 : 배기필터 621 : 필터케이스
622 : 손잡이
630 : 버튼 631 : 고정돌기
632 : 누름부 633 : 스프링
640 : 브라켓 641 : 관통공
642 : 체결공 643 : 홈
650 : 필터도어 651 : 가이드편
652 : 송풍구 653 : 끼움돌기
654 : 관통공 655 : 다이얼안착부
656 : 다이얼 657 : 걸림홈
658 : 손잡이 659 : 스토퍼
660 : 돌기 700 : 집진통
701 : 유입구 702 : 유출구
703 : 손잡이 710 : 통
711 : 커버고정돌기 712 : 융기부
713 : 제1홈 714 : 돌출부
715 : 제1리브 716 : 제2리브
717 : 제2홈 720 : 커버
721 : 상부커버 722 : 하부커버
723 : 손잡이 724 : 걸림턱
725 : 관통공 727a, 727b : 체결홈
726a, 726b : 가이드돌기 730 : 이너필터
731, 741 : 실링홈 732 : 상부플랜지
733, 745 : 통풍구 734 : 끼움홈
735 : 체결돌기 736 : 필터부재
737 : 하부플랜지 740 : 아우터필터
742 : 체결돌기 743 : 스크린필터
744 : 플랜지부 746 : 리브
747 : 절곡부
810 : 제1관 811 : 연결부
812 : 회동부 813 : 회동축
814 : 고정홈 815 : 걸림턱
816 : 지지턱 820 : 제2관
821 : 삽입홈 822 : 멈춤돌기
823 : 굴곡부 824 : 제1편
825 : 제2편 826 : 제3편
827 : 리브 828 : 고정링
829 : 고정돌기 830 : 연결관
831 : 연결부 832 : 회동부
833 : 덮개 834 : 인출공
835 : 삽입홈 836 : 외통
837 : 제1절개부 838 : 내통
839 : 제2절개부 840 : 전선
841, 845 : 고정돌출부 842, 844 : 지지편
843 : 체결부

Claims (1)

  1. 흡입호스와 연장관을 연결하는 손잡이부에 있어서,
    상기 흡입호스와 상기 연장관을 연결하는 이음관;
    상기 이음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손잡이부.
KR1020070105390A 2007-10-19 2007-10-19 청소기 손잡이부 KR20090039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90A KR20090039905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 손잡이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90A KR20090039905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 손잡이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05A true KR20090039905A (ko) 2009-04-23

Family

ID=4076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90A KR20090039905A (ko) 2007-10-19 2007-10-19 청소기 손잡이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9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264A4 (en) Vacuum cleaner
EP1629758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US6678916B2 (en) Vacuum cleaner hose unit having a hose fitting with a coupling protrusion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20120030898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resilient rubber flap valve
CN100571592C (zh) 直立型真空吸尘器
KR100712282B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호스 설치구조
EP2324748B1 (en) Vacuum cleaner
JPH09192068A (ja) 改善された回転連結部を有する真空掃除機のハンドルアセンブリ
KR100881941B1 (ko) 청소기 연결관
KR100947330B1 (ko) 청소기 연결관 전선설치구조
KR100913549B1 (ko) 집진통 설치구조
KR100881940B1 (ko) 청소기 흡입호스
KR20090039905A (ko) 청소기 손잡이부
US8505159B2 (en) Agitator cavity fitting for floor care cleaning apparatus
JP2019136386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N214180284U (zh) 吸尘器
CN113271832B (zh) 电吸尘器
KR102548258B1 (ko) 청소기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5775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20230127687A (ko) 청소기
KR20230060160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