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160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160A
KR20230060160A KR1020210144539A KR20210144539A KR20230060160A KR 20230060160 A KR20230060160 A KR 20230060160A KR 1020210144539 A KR1020210144539 A KR 1020210144539A KR 20210144539 A KR20210144539 A KR 20210144539A KR 20230060160 A KR20230060160 A KR 2023006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housing
disposed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김진주
전호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160A/ko
Publication of KR2023006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발명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및 배출부를 덮는 공기 배출 커버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 커버는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커버,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출부의 나머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여, 공기 배출 커버가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더라도 공기 배출 커버는 커버가이드에 의해 본체 하우징에 항상 결합되어 있는 바 공기 배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프리 필터 또는 헤파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선행문헌 1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82243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1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1의 진공청소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후방을 향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진공청소기를 사용 중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대조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이한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기 위하여 진공청소기의 사용을 중단하고 자세를 바꿔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고, 필터 어셈블리는 청소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후방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필터 어셈블리의 중공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필터 어셈블리의 내둘레면보다 작게 설계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으므로, 사용자에 많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2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23273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2의 청소기는 필터기구를 구비한다. 필터기구는 본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기구가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면,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본체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필터기구가 탈착되면 프리필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바, 프리필터가 교체될 수 있다. 헤파필터는 필터기구 내부에 수납되며, 필터기구가 탈착되면 헤파필터가 교체될 수 있다.
선행문헌 2에 따르면, 필터기구는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완전 분리된다. 따라서, 프리필터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필터기구를 내려놓고 프리필터를 교환하여야 하는 바, 필터기구의 분실 위험이 있다. 또한, 헤파필터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하우징을 내려놓고 헤파필터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에 선행문헌 1을 조합할 경우, 선행문헌 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청소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다고 한정하는데, 선행문헌 2의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영역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82243호 선행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2327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문헌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선행문헌은 필터 어셈블리 또는 필터기구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때 완전히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 배출 커버가 본체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더라도 항상 본체하우징에 결합되어 분실 위험이 없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디스플레이부를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청소 중에도 디스플레이부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청소기가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디스플레이부가 정면을 향하여 노출됨으로써, 비사용중에도 사용자가 상태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배출부를 덮는 공기 배출 커버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 커버는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커버,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출부의 나머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한다.
청소기는 내측 커버에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는 공기 배출 커버가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디스플레이부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외측 커버는 내측 커버의 외둘레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외측 커버의 회전축은 내측 커버의 회전축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커버는 회전하면서 본체 하우징에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청소기는, 본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본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 모터의 상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프리 필터, 프리 필터의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 모터의 하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헤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는,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되 프리 필터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되 헤파 필터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커버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에는 내측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커버는 본체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본체 하우징은 결합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는 일 단이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타 단이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 커버가 회전할 때 내측 커버를 안내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가이드는,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부, 직선부의 단부와 내측 커버를 연결하고 곡선으로 연장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는 일 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배치되고 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가이드 및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버가이드의 타 측에 배치되고 본체하우징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본체 하우징이 스테이션에 결합될 때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배출 커버,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 커버는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커버,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출부의 나머지를 덮고 본체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내큭 커버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 하우징이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는 본체 하우징이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회전축이 지면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단부가 회전하면서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 하우징이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법선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기 배출 커버가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되더라도 공기 배출 커버는 커버가이드에 의해 본체 하우징에 항상 결합되어 있는 바, 공기 배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프리 필터 또는 헤파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부는 본체 하우징의 상부면 전체에 배치되는 바, 필터기구의 분리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한정할 필요가 없어, 종래기술보다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부를 채택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청소기가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디스플레이부가 정면을 향하여 노출됨으로써, 비사용중에도 사용자가 청소기의 상태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고, 스테이션의 상부면서 상부를 향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함께 다양한 각도에서 정보를 읽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분리 배출 커버가 탈착된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청소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분리 배출 커버가 탈착된 청소기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청소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 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공기 배출 커버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
도 10은 도 8의 공기 배출 커버의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파필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헤파필터의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헤파필터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가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기 본체(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170) 및 배터리 하우징(18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142)를 기준으로 흡입부(120)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핸들(160)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142)에서 흡입부(120)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170)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0)는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본체(100)는 본체 하우징(110), 흡입부(120), 먼지 분리부(130), 팬 구동부(140), 공기 배출 커버(150), 핸들(160), 먼지통(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배터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청소기 본체(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팬 구동부(140)와 프리 필터(145)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하우징(110)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본체 하우징(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120)는 내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연장관(20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P1)를 제공할 수 있다.
흡입부(120)는 길이 방향 축(A1)을 따라 연장된다.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은 전방으로 연장된다. 연장관(200)이 흡입부(120)에 결합된 경우, 연장관(200)의 길이 방향 축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1)과 일치한다.
먼지 분리부(130)는 흡입부(120)와 연통되며, 흡입부(120)를 통해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 먼지 분리부(130)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17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130)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130) 내부의 공간은 흡입부(120)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13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130)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팬 구동부(140)는 유로 상에 배치되어 유로 내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유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팬 구동부(140)는 임펠러(141) 및 임펠러(141)를 회전시키는 흡입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41)는, 흡입 모터(14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141)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흡입 모터(142)의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흡입 모터(142)의 샤프트가 임펠러(141)의 중심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흡입 모터(142)가 구동되면 흡입 모터(142)의 샤프트와 함께 임펠러(141)가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142)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흡입 모터(142)는, 예를 들면, 환 형의 고정자, 고정자의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 및 샤프트에 축설되며 고정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흡입 모터(142)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타입의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흡입 모터(142)는 중심축(A2)을 포함한다. 흡입 모터의 중심축(A2)은 흡입 모터(142)의 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흡입 모터의 중심축(A2)은 상하로 배치된다. 흡입 모터의 중심축(A2)은 먼지분리부(130)의 사이클론 유동의 축과 평행한다. 흡입모터의 중심축(A2)은 외측 커버의 회전축(A5)과 일치한다.
모터 하우징(143)은, 흡입 모터(142)를 수용하고, 흡입 모터(142)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43)의 측벽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의 내면에는 흡입 모터(142)의 고정자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143)에 흡입 모터(142)가 수용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 하우징(143)의 상부에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 하우징(143)의 상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부품 및 발생한 공기의 유동을 분산시키는 디퓨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터 하우징(143)의 하측 면에는 공기 토출구(14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토출구(147)는 모터 하우징(143)의 하측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진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토출구(147)는 모터 하우징(143) 하측 면의 소정 중점을 중심으로 소정 내측 반지름과 소정 외측 반지름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한편 공기 토출구(147)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공기 토출구(147)는 상기 중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범위에 형성된 호 형태의 홀일 수 있고, 복수 개의 공기 토출구(147)는 전체적으로 상기 중점을 원점으로 한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팬 구동부(140)는 상부 중앙부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14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모터 하우징(143)의 하측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된 공기 토출구(147)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청소기(1)는, 흡입 모터(142)로 공기가 흡입되기 전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5)는 흡입 모터(142)의 상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한다. 프리 필터(145)는, 예를 들면, 임펠러(14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로(P3) 상의 공기는 프리 필터(145)를 통과하여 임펠러(141)에 도달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5)는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145)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배출 커버(150)를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프리 필터(145)를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공기는 프리 필터(145)의 하부에서 프리 필터(145)의 외부공간으로 상승하고, 프리 필터(145)의 외부공간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며 프리 필터(145)를 통과하고, 프리 필터(145)의 내부공간에서 흡입 모터(142)를 향해 하강한다.
청소기 본체(100)는, 먼지 분리부(130)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가이드(14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8)는, 본체 하우징(110)과 모터 하우징(1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8)는, 먼지 분리부(130)로부터 임펠러(141)까지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유로(P3)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가이드(148)는, 임펠러(141)를 통과한 공기를 배기구(151)까지 안내하는 배기 유로(P4)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가이드(148)는 외측 가이드(148a) 및 내측 가이드(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가이드(148a)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내측 가이드(148b)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먼지 분리부(13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흡입구(146)로 유입되는 흡입 유로(P3)를 형성하는 벽일 수 있다. 내측 가이드(148b)는 내부에 모터 하우징(143)을 수용하고, 공기 토출구(147)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배기구(151)로 안내하는 배기 유로(P4)를 형성하는 벽일 수 있다.
이때, 흡입 유로(P3)와 배기 유로(P4)는 모터 하우징(143)을 중심으로 모터 하우징(143)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흡입 유로(P3)와 배기 유로(P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흡입 유로(P3)는 모터 하우징(143)의 후방에 형성되고, 배기 유로(P4)는 모터 하우징(143)의 전방에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흡입 유로(P3)와 배기 유르(P4)는 모터 하우징(143)의 둘레를 따라 교번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모터 하우징(143)의 둘레를 따라 3개의 흡입 유로(P3)와 3개의 배기 유로(P4)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 가이드(148)는 먼지 분리부(130)로부터 유출된 공기가 상승하다가 임펠러(141)를 통과하며 하강하고, 다시 배기구(151)까지 상승하도록 유로(P3, P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터(142)의 작동에 의해서 흡입부(120) 내부의 유로(P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예를 들면, 먼지 분리부(130) 내의 유로(P2)를 유동하며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13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팬 구동부 내의 흡입 유로(P3)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 유로(P3)는, 공기를 프리 필터(145)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5) 및 임펠러(14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배기 유로(P4)로 유입될 수 있고, 헤파 필터(153)를 지난 후 배기구(1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청소기 본체(10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모터 하우징(143)의 상측부를 덮어줄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부(111)를 덮는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중심축은 흡입 모터의 중심축(A2)과 일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배출 커버(150)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은 공기 배출 커버(150)의 후방에 배치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유로 내의 공기가 청소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배기구(151)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면서 배기구(151)를 통과한다.
배기구(151)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배기구(151)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51)는, 예를 들면, 특정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배기구(151)는, 복수의 배기 가이드(152)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기구(15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배기구(151)로 공기가 배출되기 전에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헤파(HEPA) 필터(153)가 수용될 수 있다.
헤파 필터(153)는 흡입 모터(142)의 하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한다. 다시 말해, 팬 구동부(140)를 통과한 공기는 헤파 필터(153)를 통과한 후, 배기구(1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헤파 필터(153)는 배기 유로(P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는 헤파 필터(153)의 하부공간에서 상승하며 헤파 필터(153)를 통과하고, 헤파 필터(153)의 상부공간으로 유동한다.
공기 배출 커버(150)에는, 헤파 필터(153)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수용 공간은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공기 배출 커버(150)의 하측에서 헤파 필터(153)가 수용될 수 있다.
배기구(151)는, 헤파 필터(153)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구(151)의 하측에 헤파 필터(153)가 배치될 수 있다. 헤파 필터(153)는, 예를 들면, 배기구(151)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핸들(16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160)은 흡입 모터(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160)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160)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160)은 본체 하우징(110) 또는 흡입 모터(140) 또는 먼지 분리부(130)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핸들(160)은 길이 방향 축(A3)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은 핸들(160)의 상단과 하단을 지나는 직선이다. 핸들(160)은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을 따라 연장되되, 일 측이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은 본체 하우징의 중심축 또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A2)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은 본체 하우징의 중심축 또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A2)과 상부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핸들의 길이 방향 축(A3)은 공기 배출 커버(150)와 어긋나게 배치된다.
핸들(160)의 상면은 청소기(1)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160)을 파지하는 경우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부(165)는 핸들(160)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65)는 핸들(16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5)를 통하여 청소기(1)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먼지통(170)은, 본체 하우징(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170)은 먼지 분리부(130)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170)은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170)은 먼지통 본체(17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본체(171)는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17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171)는 하측 면이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 면에는 배출 커버(172)가 구비되어,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 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배출 커버(172)는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 면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 커버(172)는 먼지통 본체(17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출 커버(172)는 먼지통 본체(171)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서 먼지통(171)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먼지통(170)은 먼지통 압축 레버(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먼지통(170) 또는 먼지 분리부(13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먼지통(170) 또는 먼지 분리부(130)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17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와 먼지통 압축 레버(17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17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173)와 압축자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충전상태나 흡입 모터(142)의 출력 등의 메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정보를 획득하게 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LC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배터리(190)와 연결되어, 배터리(19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공기 배출 커버(15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는 내측 커버(150a)에 배치된다.
배터리(190)는 청소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90)는 흡입 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청소기(1)에 내장된 전선을 통하여 전자 회로 및 전자 부품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는 흡입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90)가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19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1)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19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190)를 본체 하우징(11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19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19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90)가 본체 하우징(1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190)와 본체 하우징(11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청소기(1)는 연장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00)은 청소기 본체(100) 및 흡입 모듈(300)과 결합될 수 있다. 연장관(200)의 일측 단부는, 흡입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관(200)의 타측 단부는, 흡입 모듈(3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관(20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200)의 내부 공간은 청소 모듈(3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연장관(200)은 청소기 본체(100)의 흡입부(120)에 형성된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 모터(142)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되면, 흡입부(120) 및 연장관(200)을 통해 흡입 모듈(3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0)에는 청소 모듈(300)과, 연장관(200)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모듈(300)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연장관(200)을 통과한 후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어 흡입부(120)를 통과한 먼지 및 공기는 먼지 분리부(130)에서 분리된 후 먼지는 먼지통(170)에 저장되고, 공기는 공기 배출 커버(15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 모듈(300)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연장관(200)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흡입 모듈(300)은 연장관(200) 없이도 청소기 본체(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공기 배출 커버(15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내측 커버(150a)와 외측 커버(150b)로 구분될 수 있다.
내측 커버(150a)는 배출부(111)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내측 커버(150a)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내측 커버(150a)의 중심은 본체 하우징(110)의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내측 커버(150a)의 후단은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측 커버(150a)는 전단이 상승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된다.
내측 커버는 회전축(A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면, 내측 커버(150a)는 우측방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내측 커버(150a)의 상부면에 디스플레이부(180)가 배치된다. 내측 커버(150a)의 상부면은 디스플레이부(180)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심과 내측 커버(150a)의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내측 커버(150a)가 탈착될 때,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는 메세지는 정 방향으로 유지되는 바, 사용자는 메시지를 용이하게 읽을 수 있다.
내측 커버(150a)에는 배기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51)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외측에 형성된다. 배기구(151)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배기구(151)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외둘레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 커버(150a)의 하부에는 헤파 필터(153)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파 필터(153)는 내측 커버(150a) 중 배기구(151)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는 헤파필터(153)와 배기구(151)를 통과할 때, 하부에서 상부로 직선의 상승 유동이 형성된다.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측에 배치되고, 배출부(111)의 나머지를 덮고, 본체 하우징(11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외측 커버(150b)는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에 장착된 때에 내측 커버(150a)를 본체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고,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된 때에 내측커버(150a)와 본체 하우징(11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한다.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은 외측 커버(150b)의 내둘레면과 마주하며,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회전한다.
외측 커버(150b)의 내둘레면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은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플랜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가 플랜지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은 내측 커버의 회전축(A4)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은 본체 하우징(110)의 중심축 또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A2)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달리,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은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의 전방에 배치된다. 외측 커버의 회전축(A5)과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청소기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공기 배출 커버(150)는 임의로 탈착될 수 없다.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은 압축레버(173)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커버(150b)는 회전하면서 본체 하우징(110)에 고정 또는 해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 커버(150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고정 해제된다. 외측 커버(150b)가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고정 해제되면, 공기 배출 커버(150)는 전단이 들어올려지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외측 커버(150b)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150b)의 중공에는 내측 커버(150a)가 배치된다. 외측 커버(150b)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하우징(110)에 삽입된다. 외측 커버(150b)의 외둘레면은 본체하우징(110)의 내둘레면에 접촉한다.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둘레면과 본체 하우징(110) 사이의 틈을 덮어 밀폐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리 필터(145)와 중첩되게 배치되고, 배기구(151)는 헤파 필터(153)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배기구(151)는 내측 커버(15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헤파 필터(153)는 프리 필터(145)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기구(151)는 헤파 필터(153)의 상부에서 헤파 필터(153)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리 필터(145)의 상부에서 프리 필터(145)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부에서는 흡입 모터(142)를 통과하며 하강하는 유동이 발생되며, 배기구(151)의 하부에서는 배기구(151)를 향해 상승하는 유동이 발생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 또는 헤파 필터(15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외측 커버(150b)는 본체 하우징(110)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돌기(155)를 포함한다. 본체하우징(110) 또는 헤파 필터(153)는 결합 돌기(155)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56)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홈(156)은 헤파 필터(153)에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결합홈(156)은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결합돌기(155)가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된 결합홈(156)에 걸려 고정될 수도 있다.
결합돌기(155)는 외측 커버(150b)의 단부에서 본체 하우징(110)을 향하여 돌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돌기(155)는 하부로 돌출되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다.
결합돌기(155)는 외측 커버(150b)의 외둘레면에 형성된다.
결합돌기(155)는 외측 커버(150b)의 전단에 형성된다. 즉, 커버 가이드(157)가 내측 커버(150a)의 후단에 배치됨에 대응하여, 결합돌기(155)는 외측 커버(150b)의 전단에 배치된다.
결합돌기(155)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56)은 전술한 결합돌기(155)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결합홈(156)은 헤파 필터(153)에 형성된다. 도시한 것과 달리, 결합홈(156)은 헤파 필터(153)가 아닌 본체 하우징(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홈(156)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56)은 삽입부(156a) 및 고정부(156b)로 구분될 수 있다. 삽입부(156a)는 결합돌기(155)가 하강하며 결합홈(156)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부(156b)는 결합돌기(155)가 헤파필터(153)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며 결합돌기(155)의 걸림턱과 결합홈(156)의 걸림턱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삽입부(156a)와 고정부(156b)는 외측 커버(150b)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결합돌기(155)는 삽입부(156a)를 향해 하강하고, 고정부(156b)를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결합홈(156)에 고정된다. 반대로, 결합돌기(15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승함으로써 고정부(156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버 가이드(157)는 공기 배출 커버(150)가 회전할 때, 공기 배출 커버(150)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커버 가이드(157)는 일 단이 내측 커버(150a)에 결합되고, 타 단이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가이드(157)는 내측 커버(150a)가 회전할 때 내측 커버(150a)를 안내한다.
커버 가이드(157)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후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 커버(150)는 전단이 들리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된다.
커버 가이드(157)는 힌지부(157a), 직선부(157c) 및 곡선부(157c)로 구분될 수 있다.
힌지부(157a)는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부(157a)는 내측 커버의 회전축(A4) 상에 배치된다. 즉, 힌지부(157a)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힌지부(157a)에는 토션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공기 배출 커버(15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공기 배출 커버(1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직선부(157b)는 힌지부(157a)에서 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직선부(157b)는 본체 하우징(110)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직선부(157b)는 배출부(111)와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탈착된 경우, 직선부(157b)의 일 측은 본체 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 커버(150)의 회전 한계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배출 커버(150)가 한계 위치까지 회전한 경우, 직선부(157b)의 일 측은 본체 하우징(110)에 지지되고, 외측 커버(150b)의 후단은 손잡에의 상부면에 지지된다.
곡선부(157c)는 직선부(157b)의 단부와 내측 커버(150a)를 연결하고, 곡선으로 연장된다. 곡선부(157c)는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을 곡률중심으로 하고, 일정한 곡률반경(R)을 가질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일 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커버 가이드(157)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돌기(155)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버 가이드(157)의 타 측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 커버(150)의 원의 중심 또는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을 지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A-A 단면선)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가이드(157)와 결합돌기(155)는 상기 가상의 연장선 산에 배치되고, 커버 가이드(157)는 상기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버 가이드(157)의 타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커버 가이드(157)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후단에 배치되고, 결합돌기(155)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전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공기 배출 커버(150)는 전단과 후단에서 2점 지지되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외측 커버(150b)의 외둘레면이 본체 하우징(110)의 내둘레면에 밀착됨으로써,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내측 커버(150a)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흡입 모터의 중심축(A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의 원의 중심은 흡입 모터의 중심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흡입 모터(142)가 작동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80)에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로 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디스플레이부(180)는 회전하지 않는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외측 커버(150b)는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고정을 해제하는 반면, 내측 커버(150a)는 외측 커버의 회전축(A5)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내측 커버(150a)에 배치되는 바, 외측 커버(150b)가 회전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8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는 항상 같은 각도로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청소기는 스테이션(40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가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상태를 가정하여 공기 배출 커버(150)와 디스플레이부(180)를 설명한다.
청소기 시스템은 청소기와 청소기 스테이션(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테이션(400)은 청소기가 결합됨으로써, 청소기의 배터리(190)를 충전하거나, 청소기의 먼지통(170)에 집진된 먼지를 흡입하거나, 청소가 끝난 청소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기가 스테이션(400)에 결합되는 것이라 함은,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400)에 고정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 청소기의 단자와 청소기 스테이션(400)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 청소기의 먼지통(170)과 청소기 스테이션(400)의 먼지집진부(미도시)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연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스테이션(400)에 결합된다. 스테이션(400)의 전면에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 하우징(110)은 결합부에 결합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본체 하우징(110)이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때 외부에 노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지통(170)은 스테이션(400)에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반면에, 공기 배출 커버(150)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메시지를 읽을 수 있고, 프리 필터(145)나 헤파 필터(153)를 교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본체 하우징(110)이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때 스테이션(40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110)은 스테이션(400)의 전면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180)는 스테이션(400)의 전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스테이션(400)은 일반적으로 방의 한쪽 구성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부(180)가 스테이션(400)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멀리 있는 사용자에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스테이션(400)의 상부면에 배치된 스테이션(400)의 표시부와 함께,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이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때, 공기 배출 커버(150)는 회전축이 지면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단부가 회전하면서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 커버(150)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의 회전축인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먼 상단에 배치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의 하단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단부로써, 공기 배출 커버(150)의 하단이 전방으로 들리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본체 하우징(110)이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때, 디스플레이부(180)는 법선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에 장착된 때, 디스플레이부(180)의 법선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공기 배출 커버(150)가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된 때, 디스플레이부(180)의 법선은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공기 배출 커버(150)의 장탈착 과정을 설명한다. 내측 커버(150a)는 본체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 커버(150b)는 내측 커버(150a)의 외측에 배치되고 본체 하우징(11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사용자는 외측 커버(150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외측 커버(150b)와 본체 하우징(11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배출 커버(150)의 전단을 들어올려 공기 배출 커버(150)를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는 내측 커버의 회전축(A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탈착된다. 공기 배출 커버(150)가 탈착된 경우, 커버 가이드(157)의 직선부(157b)가 본체 하우징(110)에 지지되고, 공기 배출 커버(150)의 후단이 핸들(160)의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150)를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공기 배출 커버(150)를 회전시커 본체 하우징(110)의 배출부(111)를 덮는다. 사용자는 외측 커버(150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외측 커버(150b)의 결합돌기(155)를 결합홈(156)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 커버(150)는 전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55)와 후단에 형성된 커버가이드(157)에 의해서 2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버(150b)의 외둘레면은 본체 하우징(110)의 내둘레면에 밀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는 스테이션(40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가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외부에 노출되는 바, 청소기가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경우에도 사용자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청소기의 디스플레이부(180)는 메시지를 전방으로 표시하고, 스테이션(400)의 표시부는 메시지를 상방으로 표시하는 바, 사용자는 여러 각도에서 메세지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청소기가 스테이션(400)에 결합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공기 배출 커버(150)를 탈착하여 프리 필터(145) 또는 헤파 필터(153)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청소기 본체
110 : 본체 하우징 111: 배출부
120 : 흡입부 130 : 먼지 분리부
140 : 팬 구동부 141 : 임펠러
142 : 흡입 모터 145: 프리필터
148 : 공기 가이드
150 : 공기 배출 커버 151 : 배기구
152: 배기가이드 153: 헤파필터
155: 결합돌기 156: 결합홈
157: 커버가이드
160 : 핸들
170 : 먼지통 171: 먼지통 본체
172: 배출 커버 173: 압축레버
180: 디스플레이부 190 : 배터리
200 : 연장관 300: 흡입모듈
400: 스테이션

Claims (17)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배출부를 덮는 공기 배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 커버는,
    상기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커버;
    상기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에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커버가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회전하지 않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내측 커버의 외둘레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의 회전축은 상기 내측 커버의 회전축과 어긋나게 배치되는 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고정 또는 해제되는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의 상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프리 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의 하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헤파 필터;
    상기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되, 상기 프리 필터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되, 상기 헤파 필터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상기 내측 커버가 배치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본체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결합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커버는,
    일 단이 상기 내측 커버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측 커버가 회전할 때 상기 내측 커버를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단부와 상기 내측 커버를 연결하고, 곡선으로 연장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커버는,
    일 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가이드;
    상기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가이드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14.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배출 커버;
    상기 공기 배출 커버에 배치되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 커버는,
    상기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커버;
    상기 내측 커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의 나머지를 덮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내측 커버에 배치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상기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커버는,
    상기 본체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회전축이 지면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단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청소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이 상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때, 법선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청소기.
KR1020210144539A 2021-10-27 2021-10-27 청소기 KR20230060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39A KR20230060160A (ko) 2021-10-27 2021-10-27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39A KR20230060160A (ko) 2021-10-27 2021-10-27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60A true KR20230060160A (ko) 2023-05-04

Family

ID=8637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39A KR20230060160A (ko) 2021-10-27 2021-10-27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1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73A (ko)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10082243A (ko) 2018-11-09 2021-07-0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73A (ko)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210082243A (ko) 2018-11-09 2021-07-0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80535B (zh) 吸尘器
JP2023025227A (ja) 掃除機
CN115734735A (zh) 包括真空清洁器和对接站的清洁设备
EP2392244B1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JP2010508885A (ja) ハンディ型真空掃除機
AU2022201216B2 (en) Cleaner
KR102584210B1 (ko) 청소기
KR20220045717A (ko) 청소 시스템과 도킹장치
KR20230060160A (ko) 청소기
KR200176467Y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 브러시 분말 여과장치
KR20070087357A (ko) 진공 청소기
JP7440439B2 (ja) 電気掃除機
CN110772166A (zh) 手持式吸尘器
CN214180284U (zh) 吸尘器
KR102123680B1 (ko) 청소기
CN112294177A (zh) 电动吸尘器的吸入口体以及电动吸尘器
JP2024033910A (ja) 作業機
JP2021029599A (ja) サイクロンユニット及びクリーナ
JP2002017635A (ja) 電気掃除機
CN114828720A (zh) 清洁器
JP2022080041A (ja) 電気掃除機
KR20230043581A (ko) 먼지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N116507255A (zh) 吸尘器
JP2021003374A (ja) 電気掃除機
JP2021019759A (ja) 電気掃除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