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551A -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551A
KR20090039551A KR1020070105265A KR20070105265A KR20090039551A KR 20090039551 A KR20090039551 A KR 20090039551A KR 1020070105265 A KR1020070105265 A KR 1020070105265A KR 20070105265 A KR20070105265 A KR 20070105265A KR 20090039551 A KR20090039551 A KR 20090039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rce
source signal
relay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240B1 (ko
Inventor
김영두
김응선
신창용
임기홍
임종부
윤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40B1/ko
Priority to US12/032,714 priority patent/US8811503B2/en
Publication of KR2009003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25Transmit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1Receiv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6Division using four or more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이 개시된다.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중계 신호 생성부 및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SFBC, 중계, 등화기, 시간 영역, 등화 계수

Description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GENERA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E RELAY SIG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스 노드와 협력하여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된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 및 서비스 사업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가격으로 고속,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에는 대표적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법이 있다.
OFDM 기법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OFDM 기법에도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기술 중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다중 안테나(Multi Antenna)를 이용한 통신 기술이다.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부피, 면적 및 전력 측면에서 제한을 받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다중 안테나는 송신기에 설치된다. 송신기에 복수개의 안테나가 설치함으로써, 수신기의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고, 다중 경로 페이딩으로 인한 성능 감소가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송신기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인 경우,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동 단말기에 설치하는 것도 어렵다.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안테나들은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들은 이동 단말기의 크기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와 같은 송신기의 크기를 작게 유지하면서도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중계 신호 생성부 및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 각각이 생성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된 중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주파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시간 영역에서 중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적은 계산량으 로도 효과적으로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 상기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함. - ,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기(Frequency Domain Equalizer, FDE)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신호에 따라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함. - ;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 신호 에서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신호에 따라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주파수 효율을 높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간 슬롯과 제2 시간 슬롯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1은 제1 소스 노드, S2는 제2 소스 노드, R은 중계(Relay) 노드, D는 목적(Destination) 노드를 나타낸다. 이 때,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는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목적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는 제1 시간 슬롯(T1) 동안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1
)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2
)를 중계 노드로 전송한다. 이 때, 제1 소스 노 드와 중계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과 제2 소스 노드와 중계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벡터는 각각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3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4
로 표현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제1 시간 슬롯 동안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5
)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6
)를 수신한다. 이 때,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7
)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8
)의 주기적 프리픽스(cyclic prefix)가 제거된 후, 중계 노드의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09
(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0
: 제1 소스 노드와 중계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행렬,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1
: 제2 소스 노드와 중계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행렬,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2
: 제1 소스 신호에 대한 중계 노드에서의 유효 에너지,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3
: 제2 소스 신호에 대한 중계 노드에서의 유효 에너지,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4
: covariance 행렬이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5
인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6
이 N x N인 경우,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7
의 k 번째 행, l 번째 열에 존재하는 원소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8
이고, (k-l) mod N은 (k-l)을 N으로 나눈 경우 나머지를 나타냄)
또한, 중계 노드는 제2 시간 슬롯(T2)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19
을 기초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0
을 생성하고, 생성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1
을 목적 노드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시간 슬롯에서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도 각각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2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3
를 목적 노드로 전송한다. 이 때,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4
은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5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6
와 협력하며,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신호이다. 이 때, 중계 노드,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들의 채널 벡터들은 각각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7
,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8
Figure 112007074720618-PAT00029
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0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1
와 협력하는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2
을 통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달성될 수 있으며, 주파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 드가 이동 단말일 경우, 보다 적은 수의 안테나를 설치하고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시된 블록들은 중계 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중계 시스템이 도 2에 도시된 블록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3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4
의 주기적 프리픽스가 프리픽스 제거기(211)를 통하여 제거된 후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5
은 상기 수학식 1과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6
은 에너지 정규화부(212)를 통하여 에너지의 크기가 1인 단위 에너지(unity energy)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7
로 정규화된다. 이 때, 단위 에너지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8
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39
이 때, 단위 에너지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0
은 직렬-병렬 신호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 213)을 통하여 시간 영역에서 분리되며, 이산 푸리에 변환기(Dicrete Fourier Transformer, DFT, 214)를 통하여 주파수 영역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1
로 변환된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2
중 짝수 번째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은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3
로 표현될 수 있고, 홀수 번째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은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4
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5
은 0부터 N/2-1까지 범위에 속하는 정수이다.
주파수 영역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6
는 공액화부(215) 및 순서 교환부(216)를 통하여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부호화된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7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8
(은 0부터 N/2-1까지 범위에 속하는 정수임.)
상기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수학식 3에 표현된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49
은 이산 푸리에 역변환기(217)를 통해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되고,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된 신호가 병렬-직렬 신호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 S/P, 218)를 통해 시간 영역에서 합해져서 시간 영역에서의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0
가 생성된다. 또한,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1
에는 프리픽스 부가기(218)에 의해 주기적 프리픽스가 부가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생성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2
에 대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3
은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4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5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6
(F: 고속 푸리에 변환 행렬,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7
: Kronecker product 연산자)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은 시간 영역에서의 연산을 통해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8
를 생성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학식 4에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59
과 등가이고, 상기 수학식 4와 같은 연산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시간 영역에서의 연산을 통해 시간 영역에서의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0
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여서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은 신호 검출부(310), 중계 신호 생성부(320) 및 신호 전송부(3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각 블록에 대하여, 도 1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을 이어서 같이 설명한다.
신호 검출부(310)는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1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2
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3
를 검출한다. 이 때, 신호 검출부(310)는 제1 시간 슬롯에서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4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5
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케쥴링될 수 있다. 특히,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 사용하여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6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7
를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는 채널 상태가 양호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스케쥴링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비시티(diversity) 이득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중계 신호 생성부(320)는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8
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69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0
와 협력하는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1
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1 소스 단말, 제2 소스 단말 및 중계 노드가 분리되어 있으나, 제1 소스 단말, 제2 소스 단말 및 중계 노드는 서로 협력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송신기로 동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으면서도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중계 신호 생성부(320)는 시간 영역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2
를 처리하여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3
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중계 신호 생성부(320)는 시간 영역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4
를 처리하여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5
를 생성함으로써,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6
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즉,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7
의 생성 과정을 시간 영역에서의 연산 과정으로 대체함으로써, 간단하게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8
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중계 신호 생성부(320)는 시간 영역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79
의 공액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공액 값을 기초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0
를 생성할 수 있다.
단위 에너지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1
, 주파수 영역에서의 단위 에너지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2
에서,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3
의 공액 값을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4
이라고 하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5
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신호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6
((A)N은 A를 N으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함)
즉, 이산 푸리에 변환(DFT)의 symmetry property를 이용하여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7
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신호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8
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아래 첨자 N은, 예를 들어
Figure 112007074720618-PAT00089
의 경우 A를 N으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하는 것으로, 모듈로(modulo) 연산이다.
상기 수학식 5의 양변을 이산 푸리에 변환하면, 하기 수학식 6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0
(여기서, W는 root of unity complex multiplicative constants임.)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1
의 짝수 번째 주파수 성분과 홀수 번째 주파수 성분 각각은 하기 수학식 7에 나타난 De와 Do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2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3
즉,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4
또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5
에 상기 수학식 6에 표현된 De를 곱하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6
또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7
의 짝수 번째 주파수 성분이 계산될 수 있고,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8
또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099
에 Do를 곱하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0
또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1
의 홀수 번째 주파수 성분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2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3
(k: 주파수 인덱스)
상기 수학식 8에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곱셈 연산은 시간 영역에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학식 8에 표현된 등식은 시간 영역에서 하기 수학식 9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4
(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5
은 길이 N에 대한 순환 컨볼루션(circular convolution) 연산임.)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6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7
는 n=0 또는 n=N/2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0'이므로,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8
Figure 112007074720618-PAT00109
는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0
즉,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1
또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2
의 홀수 번째 주파수 성분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3
및 짝수 번째 주파수 성분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4
을 계산하기 위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복잡한 연산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수학식 10에 표현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5
에 대한 공액화 연산, 타임 시프트 연산 및 컨볼루션 연산을 통하여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6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7
에 각각 대응하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8
Figure 112007074720618-PAT00119
가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0
는 이산 푸리에 변환의 frequency shift property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1
결국, 중계 신호 생성부(320)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수학식 11과 같이 시간 영역에서 공액화 연산, 타임 시프트 연산 및 컨볼루션 연산을 이용하여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2
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주파수 영역에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3
를 생성하는 상기 수학식 4에 표현된 연산이 상기 수학식 11과 같이 시간 영역에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4
를 생성하는 시간 영역 연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에서의 연산으로 인한 복소수들 사이의 곱셈 연산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신호 전송부(330)는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5
을 목적 노드로 전송한다. 이 때, 신호 전송부(330)는 제2 시간 슬롯에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6
을 목적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 노드는 제2 시간 슬롯에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7
, 제1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8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29
를 무선 채널들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데이터는 FEC부(Forward Error Correction, FEC, 410)를 통하여 인코딩된다.
이 때, 인코딩된 입력 데이터는 인터리버(interleaver, 430)로 입력되고, 버스트(burst) 에러가 랜덤 에러로 변환된다. 이 때, 인터리버(430)는 소스 노드 별로 다른 패턴으로 인터리빙할 수 있다.
또한, 인터리빙된 입력 데이터는 심볼 맵퍼(430)를 통해 다양한 모듈레이션 방식으로 맵핑되어 데이터 심볼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리빙된 입력 데이터는 2M-PSK(Phase Shift Keying, PSK), 2M-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방식으로 맵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은 신호 검출부(510), 간섭 제거부(520), 주파수 영역 등화기(530), 고속 푸리에 변환기/역변환기(540), 복호화부(550), 인터리버(560), 소프트 맵퍼(570), SFBC 인코더(580)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510)는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소 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0
및 제2 소스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1
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2
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를 검출한다.
프리픽스 제거기(511)를 통해 주기적 프리픽스가 제거된 시간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3
는 고속 푸리에 변환기(FFT, 512)를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로 변환된다. 이 때, 시간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4
는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5
(WD는 평균이 제로이고, 분산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6
인 원소들을 갖는 컴플렉스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임.)
이 때, 상기 수학식 12의 두 번째 항과 네 번째 항의 일부는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7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8
(u: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의 인덱스로서, 1 또는 2임)
상기 수학식 13에서, 인접한 부채널 사이의 주파수 응답들은 서로 거의 같다는 성질이 이용된다.
이 때, 상기 수학식 12의
Figure 112007074720618-PAT00139
가 정규화된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0
는 상기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1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2
(LAB: A 노드와 B 노드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channel memory length로서 채널 임펄스 응답의 유효 시간 길이와 관련됨.)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3
는 고속 푸리에 변환기(512)를 통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수신 신호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4
로 변환된다.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5
는 하기 수학식 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6
결국, 신호 검출부(510)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7
를 검출한다.
또한, 간섭 제거부(520)는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 각각에 대하여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8
에서 다른 소스 단말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49
에서, 제1 소스 단말에 대하여 제2 소스 단말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한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0
라고, 제2 소스 단말에 대하여 제1 소스 단말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한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1
라고 한다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2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3
는 하기 수학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4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5
(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6
는 복호화된 제u 소스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평균 벡터)
즉, 상기 수학식 16을 참조하면, 간섭 제거부(520)는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7
에서 반복적으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간섭 제거부(520)가 반복적으로 동작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8
에서 간섭이 거의 제거된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SFBC Combiner (531), 1-tap MMSE FDE(532)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기(530)는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1 보상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
즉,
Figure 112007074720618-PAT00159
(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0
,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1
)는 SFBC Combiner(531)로 입력된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2
에 대하여 예를 들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3
에 컴플렉스 컨쥬게이트(complex conjugate)를 취한 후, 행렬 형태의 하기 수학식 17이 얻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4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5
이 때,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6
이 SFBC Combining 된 후 신호는 하기 수학식 1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7
상기 수학식 18을 참조하면,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8
Figure 112007074720618-PAT00169
은 하기 수학식 1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0
또한, 1-tap MMSE FDE(1-tap Minimum Mean Square Error Frequecy Domain Equaqlizer, 532)는 하기 수학식 20에 나타난 등화 계수를 이용하여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1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2
를 보상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3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4
(trace(X)는 X의 대각 원소들의 합)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5
결국,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가 SFBC Combiner(531) 및 1-tap MMSE FDE(532)를 통과하여 생성된 제1 보상 소스 신호는 하기 수학식 2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6
(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7
: 시간 영역에서 제1 소스 신호의 추정치에 대한 평균,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8
: 시간 영역에서 제1 소스 신호의 추정치에 대한 분산)
시간 영역에서 제2 보상 소스 신호의 추정치에 대한 평균 및 분산도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제2 보상 소스 신호의 생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파수 영역 등화기(530)를 통해 생성된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는 고속 푸리에 변환기/역변환기(540)를 통해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된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는 복호화부(350)를 통하여 디코딩된다.
이 때, 상기 수학식 21을 이용하여 extrinsic log likelihood ratios(LLRs)가 하기 수학식 2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79
또한, 복호화부(350)를 통하여 제1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추정 소스 신 호 및 제2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2 추정 소스 신호가 생성된다. 이 때,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는 간섭이 제거된 신호이고,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가 디코딩된 시간 영역 신호이다.
즉, MAP(Maximum A Posteriori, MAP) Detector(551)는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된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에 대한 결정(decision)을 수행한다. 또한, 역인터리버(552)는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 각각에 상응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복원한다.
역인터리버(552)가 통과된 후, 복원된 신호에 대한 a priori LLR은 하기 수학식 22를 이용하여 하기 2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4720618-PAT00180
Decoder(553)는 a priori LLR을 이용하여 코딩된 데이터(coded data)와 디코딩된 데이터(decoded data)에 대한 extrinsic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extrinsic 정보를 간섭 제거부(520) 및 1-tap MMSE FDE(532)로 피드백한다. 이 때, extrinsic 정보는 간섭 제거부(520) 및 1-tap MMSE FDE(532)에서 a priori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Decoder(553)는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가 디코딩 된 제1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2 추정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는 인터리버(560)를 통하여 다시 인터리빙된다. 또한, 인터리빙된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는 소프트 맵퍼(570)를 통하여 다시 데이터 심볼로 맵핑된다. 이 때, 인터리버(560)는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과 동일한 인터리빙 패턴을 사용할 수 있고, 소프트 맵퍼(570) 또한 제1 소스 단말 및 제2 소스 단말과 동일한 맵핑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결국,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가 인터리빙된 후, 데이터 심볼로 맵핑되어 생성된 신호들은 SFBC Encoder(580)를 통하여 인코딩된다. 이 때, 인코딩된 신호들은 다시 간섭 제거부(520)로 피드백되며, 간섭 제거부(520)는 피드백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제1 간섭 제거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신호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간섭 제거부(520)는 반복적으로 간섭을 제거하고, 주파수 영역 등화기(530)는 반복적으로 등화를 수행하며, 복호화부(550)는 반복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거의 동일한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가 얻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한다(S6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은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한다(S620).
이 때,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20)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20)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기초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20)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공액화 연산, 타임 시프트 연산 및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은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한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은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를 검출한다(S710). 이 때, 상기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S7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은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한다(S730).
이 때,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20)는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신호에 따라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30)는 상기 제1 소스 노드, 상기 제2 소스 노드, 상기 중계 노드 및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상태를 기초로 생성된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730)는 엠엠에스이(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기법에 따라 생성된 상 기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내지 도 5과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6 및 도 7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및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시간 슬롯과 제2 시간 슬롯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21)

  1.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중계 신호 생성부; 및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 생성부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 생성부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기초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 생성부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공액화 연산, 타임 시프트 연산 및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제1 시간 슬롯에서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는
    제2 시간 슬롯에서 상기 중계 신호를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는 이동 단말이고, 상기 목적 노드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한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8.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 상기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함. - ;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간섭 제거부;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기(Frequency Domain Equalizer, FDE)
    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신호에 따라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등화기는
    상기 제1 소스 노드, 상기 제2 소스 노드, 상기 중계 노드 및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상태를 기초로 생성된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등화기는
    엠엠에스이(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기법에 따라 생성된 상기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제2 추정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복호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제1 추정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추정 소스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한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시스템.
  13.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기초로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Space Frequency Block Code, SFBC) 기법(scheme)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하는(cooperating)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목적 노드로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계산하고, 상기 수신 신호의 공액 값을 기초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해 공액화 연산, 타임 시프트 연산 및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1 시간 슬롯에서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시간 슬롯에서 상기 중계 신호를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방법.
  18. 제1 소스 노드 및 제2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제1 소스 신호 및 제2 소스 신호와 중계 노드로부터 전송된 중계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중계 신호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소스 신호와 협력함. - ;
    상기 제1 소스 노드 및 상기 제2 소스 노드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서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보상하여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신호에 따라 다른 소스 노드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간섭 제거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간섭 제거 소스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소스 노드, 상기 제2 소스 노드, 상기 중계 노드 및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채널 상태를 기초로 생성된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엠엠에스이(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기법에 따라 생성된 상기 등화 계수를 기초로 상기 제1 보상 소스 신호 및 상기 제2 보상 소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신호 수신 방법.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05265A 2007-10-18 2007-10-18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400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65A KR101400240B1 (ko) 2007-10-18 2007-10-18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US12/032,714 US8811503B2 (en) 2007-10-18 2008-02-18 System for genera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e relay sig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65A KR101400240B1 (ko) 2007-10-18 2007-10-18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51A true KR20090039551A (ko) 2009-04-22
KR101400240B1 KR101400240B1 (ko) 2014-06-30

Family

ID=4056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265A KR101400240B1 (ko) 2007-10-18 2007-10-18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11503B2 (ko)
KR (1) KR101400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51445T3 (en) * 2008-10-20 2015-10-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carrier Aggregation
JP5342294B2 (ja) * 2009-03-26 2013-11-1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中継局及び無線中継方法
JP5282662B2 (ja) * 2009-05-27 2013-09-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中継方法
PL2908585T3 (pl) * 2009-06-19 2017-12-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gnalizowanie informacji sterującej łączem wysyłania w LTE-A
WO2011005045A2 (ko) 2009-07-08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협력 통신 방법
WO2011035797A1 (en) * 2009-09-24 2011-03-31 Universität Duisburg-Essen Method, relay station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a first signal source and a second signal source
EP2981131A1 (en) 2011-05-23 2016-02-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group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handover
KR101879642B1 (ko) * 2011-12-02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채널에서의 정렬된 간섭 중성화를 위한 릴레이 노드들 및 데스티네이션 노드들의 통신 방법
US9136925B1 (en) * 2014-05-19 2015-09-1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Two-path amplify-and-forward relaying method for bandwidth efficient cognitive radios
TWI577160B (zh) * 2015-03-16 2017-04-01 國立中山大學 基於分散式類正交空頻區塊編碼的合作式通訊系統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754B2 (en) 2002-08-01 2008-07-01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multiple-branch transmitter-diversity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KR20060035358A (ko) * 2004-10-22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고속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57471A (ko) 2004-11-23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장치 및 방법
US20060270363A1 (en) * 2005-05-19 2006-11-3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operative diversity using partial channel knowledge
KR20070004370A (ko) 2005-07-0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협동중계전송방법
WO2007037638A2 (en) * 2005-09-28 2007-04-05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cellular networks using cooperative relaying
CN1941661B (zh) * 2005-09-30 2011-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天线输入和输出系统中的全复用分集方法
JP4799228B2 (ja) * 2005-12-02 2011-10-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ノード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中継方法
US20070189151A1 (en) * 2006-02-10 2007-08-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1208538B1 (ko) * 2006-03-14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CN101064915B (zh) * 2006-04-29 2016-10-05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网络中用于多中继站联合中继的方法及装置
US8477677B2 (en) * 2006-07-28 2013-07-02 Apple Inc. Space time block code communications with co-operative relays
US8155232B2 (en) * 2007-05-08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ntennas transmit diversity scheme
US20090022242A1 (en) * 2007-07-18 2009-01-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ed data rate modes using multiple encoders/deco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1503B2 (en) 2014-08-19
KR101400240B1 (ko) 2014-06-30
US20090103428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240B1 (ko)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US8290081B2 (e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s and modules for a multiple-carrier multiple-antenna system using training sequences
US9124399B2 (en) Highly-spectrally-efficient recept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W56460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8391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ace block coding signal through iterative multi-user detection
CN100375408C (zh) 在多信道接收机中选择权值的方法
US7945005B2 (en) Method and module for estimating transmission chanels of a multi-antenna multi-carrier system
JP2014147082A (ja) Sc−fdma伝送ダイバーシティ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3052991A2 (en) A method and system of operating a coded ofdm communication system
WO200310324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channel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phase and amplitude calibration
JP2010011264A (ja) シングルキャリア伝送方式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20120063532A1 (en) Reception device, receiving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90238287A1 (en) Method of determining a variable quantization step size for improving channel decoding,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channel decoding operation based on a variable quantization step size
US7729458B2 (en) Signal decoding apparatus, signal decod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 medium
KR100816032B1 (ko) 반복적 다중 사용자 검파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장치
US8687749B2 (en) Mobile OFDM receiver
WO2007111198A1 (ja)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WO2009104515A1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90074591A (ko)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없는 신호를 처리하는 중계기 기반의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99861B1 (en) Channel estimation in MIMO 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532689B2 (en) Combining coefficient estim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ensating for phase noise of OFDM system and combining coefficient estimation method thereof
US9166841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JP5143533B2 (ja) 受信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WO2009091128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225649B1 (ko)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