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406A -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406A
KR20090039406A KR1020070105033A KR20070105033A KR20090039406A KR 20090039406 A KR20090039406 A KR 20090039406A KR 1020070105033 A KR1020070105033 A KR 1020070105033A KR 20070105033 A KR20070105033 A KR 20070105033A KR 20090039406 A KR20090039406 A KR 2009003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mage
photo frame
color information
photo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정
임현옥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406A/ko
Publication of KR2009003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택된 이미지와 포토프레임을 합성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분석하는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photo-frame editing function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포토프레임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보급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편집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에 사진 액자 등과 같은 포토프레임(photo-frame)을 부가할 수 있는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포토프레임의 목록에서 포토프레임의 형상과 색깔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깔은 이미지의 전체적인 색 분위기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색상 중에서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제한된 다. 또한 포토프레임의 색깔이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색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용자가 선택한 포토프레임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이미지와 프레임의 색감의 부조화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미지가 합성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이미지에 어울리는 색깔을 가진 포토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는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택된 이미지와 포토프레임을 합성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분석하는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은 기본 색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소정 개수 제공하는 포토프레임 추천 색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소정 개수의 추전 색 가운데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포토프레임의 색에 대한 그라데이션(garadation)을 결정하는 그라데이션 결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색이 결정된 포토프레임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분석된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에 따라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포토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포토프레임과 합성될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포토프레임의 기본 색이 함께 선택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소정 개수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소정 개수의 추천 색 가운데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단계는, 상기 결정된 포토프레임의 색에 대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색이 결정된 포 토 프레임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구분하여 분석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분석된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에 따라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색체 이론에 접목하여 포토프레임 별로 미리 프로그래밍된 색 착기 테이블에서, 분석된 이미지의 색감에 에 가장 어울리는 포토프레임 색을 결정할 수 있며, 추천색 및 추천색의 그라데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서 이미지에 어울리면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포토프레임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드, 카메라를 창착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한 이미지 촬영 장치 및 이들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 디지털 앨범, 컴퓨터 및 키오스크(kiosk)와 같은 이미지 재생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 것임을 전제로, 이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 버튼(13), 광각(Wide angle)-줌(zoon) 버튼(15w), 망원(Telephoto)-줌(zoom)(15t), 기능버튼(17) 및 디스플레이부(19)를 포함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CMO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전원버튼(13)은 이미지 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광각-줌 버튼(15w) 또는 망원-줌(15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15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15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기능버튼(17)은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 및 메뉴/OK 버튼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버튼(17)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사 용자 입력부(110), 촬영부(120), 이미지 처리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제어부(160)는 DSP(161),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 및 이미지 합성부(166)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1, 이하 도 1 참조), 전원버튼(13), 광각-줌 버튼(15w) 또는 망원-줌 버튼(15t) 및 기능 버튼(17) 등을 포함한다.
촬영부(120)는 피사체의 이미지에 대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렌즈부(미도시) 및 필터부(미도시)로 이루어진 광학계와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진다. 이미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는 A/D 변환부(Anolog-to-Digtal Converter, 미도시)에 의해 디 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원본(RAW) 데이터가 된다.
이미지 처리부(130)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곳으로, 온도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 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또한,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고,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 하는 CFA 보간을 행한다. 또한 보간 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 및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 등과 같은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는 이미지 촬영장치인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로 설명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촬영부(120) 및 이미지 처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은 디지털 액자나 디지털 앨범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재생장치에서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40)는 생성된 이미지 파일 및 이미지에 합성할 포토프레임 목록 등을 저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합성할 이미지와 포토프레임의 목록 및 선택된 포토프레임과 합성된 이미지 등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창과 같은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부(160)의 DSP(161)는 이미지에 합성할 포토프레임의 선택을 위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의해 이미지의 색정보 분석 및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 결정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는 포토프레임을 합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의 전체 색을 구성하는 R, G, B 값을 비교하는 기술과, 화이트 밸런스의 결과값인 R, B Gain 값 등을 이용하여 전체 이미지의 색감을 알아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기 전의 경우에는 프리뷰 상태에서 캡쳐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고,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가운데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경우에는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각각 분석한다.
이미지 저장장치에는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포토프레임의 목록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이 이미지에 합성하기 위한 포토프레임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전술한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한다.
이때,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선택된 이미지와 포토프레임 간의 조화로운 색감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 포토프레임 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색 찾기 테이블(color lookup table)로부터, 분석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이미지의 색감에 매칭되는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색 찾기 테이블은 동일 색상 배 색, 유사 색상 배색, 보색 대비 배색 등과 같은 색상 배색 개념 및 tone on tone 배색, tone in tone 배색, separation 배색 등과 같은 색조 배색의 개념을 포함한 색체 이론을 접목하여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포토프레임 추천색 제공부(164)를 더 구비함으로써, 색 찾기 테이블(color lookup table)로부터, 분석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른 이미지의 색감별로 매칭되는 포토프레임의 색을 소정 개수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추천 색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지에 가장 어울리면서도 사용자의 취향이 고려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그라데이션(garadation) 결정부(165)를 더 구비함으로써, 선택된 색의 그라데이션을 표시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색조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의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2)는, 색체 이론에 접목하여 포토프레임별로 미리 프로그래밍 된 색 찾기 테이블에서 선택된 이미지의 색감에 가장 어울리는 프레임의 색을 자동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포토프레임 추천색 제공부(164)와 그라데이션 결정부(165)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미지의 색감에 가장 어울리는 추천 색 가운데 사용자가 직접 색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색의 그라데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포토프레임 목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포토프레임이 기본 색상 없이 형상만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에 의해 결정된 색을 포토프레임에 부여하지만, 포토프레임이 기본 색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기본 색상을 결정된 색상으로 변경할 것이다.
또한,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각각 분석한 경우에는, 분석된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에 따라 상체와 하체의 색감을 고려하여 선택한 인물 이미지에 어울리는 포토프레임의 색을 상술한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 합성부(166)는 상술한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에 의해 결정된 프레임과 이미지를 합성하여 새로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으로, DSP(161)의 제어하에 제어부(160)에서 수행된다.
상술한 이미지 처리 장치에 의하면, 색체 이론에 접목하여 포토프레임 별로 미리 프로그래밍된 색 착기 테이블에서, 분석된 이미지의 색감에 에 가장 어울리는 포토프레임 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추천색 및 추천색의 그라데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서 이미지에 어울리면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포토프레임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상기 흐름도의 일부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이미지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매칭되는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주 알고리즘은 이미지 처리 장치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제어부(16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포토프레임 편집 모드를 진행할 경우, 먼저 사용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포토프레임의 목록에서 하나의 포토프레임을 선택하고(210단계), 포토프레임을 적용할 이미지를 선택한다(220단계). 이때 이미지의 선택은, 만약 촬영 전이라면 프리뷰 상태에서 캡쳐된 이미지가 선택되고, 재생시에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가운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면 된다. 또한 상기 포토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210단계)와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220단계)는 그 순서를 달리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는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고(230단계),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선택된 프레임에 가장 잘 어울리는 색을 결정한다(240단계). 또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방법은 자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색을 제공하는 단계(241단계) 및 선택된 추천색의 그라데이션을 결정하는 단계(242)를 더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이 가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미지와 프레임을 합성함으로써 메뉴를 종료한다(250단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A는 프리뷰 상태에서 캡쳐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촬영되어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로서 눈 결정 이미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B은 눈 결정 이미지에 합성하기 위해 포토프레임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액자형상 의 포토프레임을 나타내며, 여기서 이 액자형상의 포토프레임은 기본색으로 주황색을 가지고 있다.
참조부호 C는 본 발명에 의해 전술한 눈 결정 이미지(C1)에 어울리는 액자형상의 포토프레임(C2)이 합성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합성된 이미지(C)에 적용된 포토프레임(C2)은, 먼저 이미지 색정보 결정부(162)가 분석한 눈 결정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눈결정 이미지의 색감을 판단하고,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가 상기 액자형상의 포토프레임에 구비된 색 찾기 테이블(color lookup table)로부터, 미리 프로그래밍 된 방식으로 분석된 이미지의 색감에 가장 적합한 색을 결정하여 적용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포토프레임은 주황색이 기본색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에 의해 분석된 눈 결정 이미지의 전체적인 색감에 어울리도록 비슷한 톤(tone)의 색으로 변경되어 적용되었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는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제공하거나 선택된 추천 색의 그라데이션을 결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술한 과정에 의해 포토프레임의 색이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얼굴인식기술이 적용되어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분석하여, 이미지의 색감을 판단하여 이미지에 어울리는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D는 프리뷰 상태에서 캡쳐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촬영되어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로서 인물 이미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E는 인물 이미지에 합성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포토프레임의 목록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한 모자형상의 포토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모자형상의 포토프레임(E)은 기본색이 연두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참조부호 F는 모자형상의 포토프레임(E)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색 찾기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색의 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모자형상의 프레임에 대하여 미리 보라색(F1), 주황색(F2), 흰색(F3), 회색(F4), 노란색(F5), 흑색(F6)의 색이 색 찾기 테이블에 준비되어 있다.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162)는 인물의 상체 및 하체의 색정보를 분석한다.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163)는 분석된 색 정보를 이용하여, 모자형상의 포토프레임(E)에 미리 결정된 색 결정 방식, 예를 들어, 포토프레임의 색이 인물의 피부색이나 배경색과 같아지는 색상은 피하고, 대신에 상의나 하의의 색과 같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결정하는 등의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한다.
참조부호 G는 색이 결정된 포토프레임(G2)과 인물 이미지(C1)가 합성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는 예에서는 상체의 전체 색감에 영향을 주는 윗옷의 색이나 톤(tone)을 가진 색으로서, 색 찾기 테이블 가운데 흰색이 선택되어 인물 이미지와 합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제공하거나 선택된 추천색의 그라데이션을 결정하는 과정은 나타나 있지 않으나, 전술한 과정에 의해 포토프레임의 색이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색체 이론에 접목하여 포토프레임 별로 미 리 프로그래밍된 색 찾기 테이블에서, 분석된 이미지의 색감에 에 가장 어울리는 포토프레임 색을 결정할 수 있며, 추천색 및 추천색의 그라데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서 이미지에 어울리면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포토프레임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상기 흐름도의 일부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Claims (12)

  1. 선택된 이미지와 포토프레임을 합성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색 정보를 분석하는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은 기본 색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소정 개수 제공하는 포토프레임 추천 색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소정 개수의 추천 색 가운데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포토프레임의 색에 대한 그라데이션(garadation)을 결정하는 그라데이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결정된 포토프레임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색정보 분석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포토프레임 색 결정부는 상기 분석된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에 따라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
  7. (a) 포토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포토프레임과 합성될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색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포토프레임의 기본 색이 함께 선택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색을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색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포토프레임의 추천 색을 소정 개수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소정 개수의 추천 색 가운데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결정된 포토프레임의 색에 대한 그라데이션(gradation)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색이 결정된 포토 프레임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인물의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를 구분하여 분석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분석된 상체와 하체의 색정보에 따라 포토프레임의 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70105033A 2007-10-18 2007-10-18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KR20090039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33A KR20090039406A (ko) 2007-10-18 2007-10-18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33A KR20090039406A (ko) 2007-10-18 2007-10-18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406A true KR20090039406A (ko) 2009-04-22

Family

ID=4076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033A KR20090039406A (ko) 2007-10-18 2007-10-18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65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US8823829B2 (en) Image capture with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at transitions between regions
US8754958B2 (en) Method of adjusting white balance of imag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US8625021B2 (en) Image capture with region-based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US7864226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60561B2 (en) Image capture for spectral profiling of objects in a scene
US20090231480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6004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에서 raw포맷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249821A1 (en) Image capture adjustment for post-capture processing
US8665355B2 (en) Image capture with region-based adjustment of contrast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JP2004192129A (ja) 顔領域抽出方法及び装置
JP2003299025A (ja) デジタルカメラにおけるユーザ選択可能な画像前処理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908163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個人情報保護方法
KR101168988B1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JP447137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27649B1 (ko)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4475041B2 (ja) 電子カメラ装置、及び色調整方法
KR20090039406A (ko) 포토프레임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및 그 동작 방법
JP5077325B2 (ja) 電子カメラ装置、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6588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JP4481846B2 (ja) 色変換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JP2006197478A (ja) 撮影装置
JP4155023B2 (ja) 電子カメラ、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