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311A -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311A
KR20090039311A KR1020070104872A KR20070104872A KR20090039311A KR 20090039311 A KR20090039311 A KR 20090039311A KR 1020070104872 A KR1020070104872 A KR 1020070104872A KR 20070104872 A KR20070104872 A KR 20070104872A KR 20090039311 A KR20090039311 A KR 20090039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roduct
roller
yin
profile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07010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311A/ko
Publication of KR2009003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3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prof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29L2031/005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천장재, 창호재와 같은 이형제품과 이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가지 색상이 표면에 표현되어 압출되는 이형제품의 표면에 음양각을 형성한 창호재 및 이형제품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형제품은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으로서, 상기 이형제품은 압출되면서 표면에 여러 색의 수지가 입혀지고 궂어지기 전에 음양각의 롤러에 의해 그 표면이 압착되어 일정한 길이마다 규칙적으로 음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형제품 성형장치는 중앙에 압출되는 이형제품이 나오는 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에 있어서, 이형제품의 표면에 서로 다른 색이 입혀지도록 압출되는 표면에 서로 다른 색을 공급하는 압출기들과, 압출되어 나오는 이형제품의 표면에 밀착되어 음양각이 형성되도록 표면에 음양각이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가 이형제품에 밀착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롤러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재, 욕실천장재, 이형제품, 음양각, 나무무늬, 압출성형

Description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 성형장치 {Profile having a relievo and intaglio and the mold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재, 욕실천장재과 같은 이형제품과, 그 이형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가지 색상이 표면에 표현되어 압출되는 이형제품의 표면에 음양각을 형성한 이형제품과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성형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 금형부재로부터 가열 연화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압출시켜 파이프, 막대기, 시이트, 필름, 섬유, 피복전선, 창호재, 욕실천장재 등과 같은 이형제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인 압출성형장치는 호퍼에 펠렛 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넣고 이것을 가열실린더 중의 스크류로 연화한 후 금형부재로부터 압출하여 냉각단계를 통과시켜 제품을 감거나 절단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스크류로 연화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고, 압출기 출구에 있는 압출 금형부재의 구멍의 형상에 따라 여러 단면형상의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이러한 압출성형은 합성수지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발전과 더불어 현재에 이르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 품의 성형 방법으로서, 대량 생산의 기초가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출성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제품 중에는 창틀, 문틀, 욕실천장재 등과 같은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제품들이 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제품이 고급화되면서 원목의 느낌을 살려주기 위한 고급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게 되면 단색을 가지는 제품만을 생산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원목의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원목의 무늬를 갖는 시트지, 나무목, 종이목 등을 제작하여 이를 제품의 표면에 접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압출성형장치에서 생산되는 이형제품은 여러 가지 색상과 느낌을 살리기 위하여 그 표면에 원하는 모양 예를 들면 나무무늬와 같은 접착시트를 붙이기 때문에 나중에 그것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그 표면이 입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고급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으로서, 여러 가지 색상을 다르게 표면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음양각의 무늬가 형성되어 더욱 고급스런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 성형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형제품은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이형제품으로서, 상기 이형제품이 궂어지기 전에 음양각의 롤러에 의해 그 표면이 압착되어 일정한 길이마다 규칙적으로 음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제품은 그 표면에 일정길이마다 서로 다른 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는 중앙에 압출되는 이형제품이 나오는 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에 있어서, 압출되어 나오는 이형제품의 표면에 밀착되어 음양각이 형성되도록 표면에 음양각이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가 이형제품에 밀착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롤러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압력조절수단은 롤러 양쪽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베어링 부재와, 상기 양쪽의 베어링 부재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그 일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금형 다이에 형성된 나사와 작용하여 회전에 의해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나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 성형장치는 그 표면에 색상이 다르게 표현될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음양각이 형성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더욱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형제품(1)이 생산되는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금형은 여러 개의 다이들(10-5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금형은 제1다이~제5다이(10~50)로 이루어진다. 각 다이들(10-50)에는 이형제품(1)이 도시된 단 면 모양으로 압출될 수 있도록 가운데에 구멍(10d)(도 6참고)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10d)에는 내부 다이(60)가 설치된다(도 2참고).
도 3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성형장치와 마찬가지로 후방에 제1압출기(미도시)가 연결되어 연화된 제1합성수지를 공급하게 되고 그 합성수지가 서서히 냉각되면서 압력에 의해 전진하여 제1다이(10)를 최종적으로 통과하여 완제품으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이형제품(1)의 상하부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표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제2압출기(100)와 제3압출기(200)가 각각 측면에 설치되어 연결되어 있다. 제2압출기(100)와 제3압출기(200)에서 각각 공급되는 제2, 제3합성수지의 색을 다르게 한다. 물론 색 뿐만 아니라 다른 재질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압출기(100)에서 압출되는 제2합성수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20)와 제3다이(30)에 형성된 구멍(30a)을 통하여 들어가고 제3다이(3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유입된 다음 화살표로 표시된 대로 돌출부(30b)에 의한 부분을 제외하고 압출되는 이형제품(1)의 표면에 입혀지게 된다. 즉 돌출부(30b)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제2합성수지가 입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압출기(100)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색상의 제3합성수지가 이형제품(1)의 표면에 입혀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2압출기(100)에 의해 제2합성수지가 입혀지지 않은 부분에 제3합성수지가 입혀지게 된다. 물론 제3합성수지는 제1다이(10)와 제2다이(20) 사이에 형성된 구멍(20a)을 통하여 유입된 다음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돌출부(20b)에 맞닿은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 입혀진다. 따라서 이형제품(1)의 표면에는 번갈아 다른 색상을 보여주게 된다. 이렇게 이형제품(1)에 입혀지는 색상은 서 로 다른 색으로 할 수도 있고 색흐림 등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미적인 상상을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색상을 달리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가지 이상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다이를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 입혀진 이형제품(1)은 완전히 굳어지기 전에 최종적으로 압착롤러(14)를 통과하게 된다. 도 1과 도 8을 참고하면, 롤러(14)의 회전축(14a)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바, 이형제품(1)이 빠져 나오면서 롤러(14)와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롤러(140는 다른 구동수단 없이 이형제품(1)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이러한 롤러(14)는 그 표면에 음양각(1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아랫부분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은 음양각(1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나무무늬를 그 음양각(14b)의 모양으로 하였으나 다양한 모양을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도 9를 참고하면 롤러를 빠져나오는 최종 제품의 이형제품(1)은 일정간격으로 다른 색상(1a,1b)이 표면에 입혀진 동시에 음양각(1c)이 또한 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롤러(14)가 이형제품(1)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는 롤러(1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다이(10)의 중앙에는 이형제품(1)이 나올 수 있도록 구멍(10d)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10d)의 위아래로 롤 러(14)가 안착되는 홈(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롤러(14) 양쪽으로 롤러 베어링(12)이 압착되는 홈(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10b)의 위아래로 관통구멍(10a)이 형성되어 나사조절부재(11)가 통과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롤러(14)의 회전축(14a) 양쪽으로 베어링 부재(12)가 끼워지고, 그 베어링 부재(12)의 상하부에는 나사조절부재(11)의 끝단부가 들어가는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에도 구멍(12c)이 형성되어 나사조절부재(11)가 들어간 다음 그 부분을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나사조절부재(11)의 끝단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홈(11b)이 형성되어 베어링 부재(12)의 구멍(12b)에 그 끝단이 삽입된 다음 베어링 부재(12)의 전면 구멍(12c)을 통하여 일반나사를 넣어 그 나사 끝단이 그 홈(11b)에 걸리도록 하여 나사조절부재(11)를 베어링 부재(12)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12)는 나사조절부재(11)가 올라가고 내려감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나사조절부재(11)의 중간에는 나사(11a)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제1다이(10)의 관통구멍(10a) 내부에도 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조절부재(11) 끝단의 손잡이를 돌리면 나사조절부재(11)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참조부호 13은 베어링 부재(1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패널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나사조절부재(11)를 조절하여 롤러(1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형제품(1)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이형제품(1) 표면에 형성되는 음양각(1c)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최종적인 이형제품(1)은 제4,5다이(40,50)를 통과하는 동 안은 일반적인 이형제품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3다이(20,30)를 통과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1a,1b)이 그 상하 표면에 입혀지게 되며, 마지막으로 롤러(14)를 통과하면서 음양각(1c)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V-IV선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V-V선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롤러의 정면도와 롤러 표면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에서 롤러가 이형제품을 압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가 동작하는 동안의 이형제품의 표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5)

  1.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이형제품으로서,
    상기 이형제품은 궂어지기 전에 음양각의 롤러에 의해 그 표면이 압착되어 일정한 길이마다 규칙적으로 음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품은 그 표면에 일정길이마다 서로 다른 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3. 중앙에 압출되는 이형제품이 나오는 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 이형제품 성형장치에 있어서,
    압출되어 나오는 이형제품의 표면에 밀착되어 음양각이 형성되도록 표면에 음양각이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가 이형제품에 밀착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롤러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압력조절수단은 롤러 양쪽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베어링 부재와, 상 기 양쪽의 베어링 부재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그 일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금형 다이에 형성된 나사와 작용하여 회전에 의해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나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이형제품 몸체를 이루는 제1합성수지가 통과되는 구멍과, 이형제품의 표면에 다른 색상의 합성수지들이 입혀지도록 형성된 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 성형장치.
KR1020070104872A 2007-10-18 2007-10-18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KR20090039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72A KR20090039311A (ko) 2007-10-18 2007-10-18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72A KR20090039311A (ko) 2007-10-18 2007-10-18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11A true KR20090039311A (ko) 2009-04-22

Family

ID=4076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872A KR20090039311A (ko) 2007-10-18 2007-10-18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27B1 (ko) * 2009-10-22 2010-02-23 김시용 미끄럼방지부를 갖는 핸드레일 제조장치
CN103921423A (zh) * 2014-05-06 2014-07-16 江阴市金玉塑料制品有限公司 可对塑料异型材曲面表面压花的挤出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27B1 (ko) * 2009-10-22 2010-02-23 김시용 미끄럼방지부를 갖는 핸드레일 제조장치
CN103921423A (zh) * 2014-05-06 2014-07-16 江阴市金玉塑料制品有限公司 可对塑料异型材曲面表面压花的挤出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3845B1 (en) Extrusion product with decorative enhancement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101379622B1 (ko) 공압출을 이용한 창호 프로파일 제조설비
CN103619561A (zh) 设有含木材纤维的表皮层的窗框型材
KR100821860B1 (ko) 천연원목에 유사한 외관과 질감의 합성목재판
KR100730641B1 (ko) 요철무늬 창호재 제조장치
KR20070056010A (ko) 천연원목에 유사한 외관과 질감의 합성목재판
KR20090039311A (ko) 다른 색깔의 무늬와 음양각 표면을 갖는 이형제품과 그성형장치
EP170071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rofilkörpers mit flexiblem Dekorelement
KR100523128B1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장치
CN100421907C (zh) 塑料异型材浮雕纹理的挤出装置
US9707591B1 (en) Method of coating an extruded member
KR200258362Y1 (ko) 나무질감의 무늬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장치 및 그 제품
KR200258361Y1 (ko) 나무질감의 무늬가 있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용 다이
CA2747189A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 rough textured molded plastic siding product
KR101461266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공압출용 보조압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제조장치
KR102592014B1 (ko) 압출성형물 표면에 무늬를 새길 수 있는 압출성형장치
KR20050048583A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방법
KR200465688Y1 (ko) 음각 입체무늬 내면에 색채가 형성된 엠디에프 패널
KR100447717B1 (ko) 열가소성 합성수지판재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합성수지판재
JP4621453B2 (ja) 擬竹及びその製造方法
PL220970B1 (pl) Sposób nakładania okładziny zewnętrznej na profile PVC i urządzenie do nakładania okładziny zewnętrznej na profile PVC
KR200234086Y1 (ko) 렌티큘러시트 제조장치
JPH08294908A (ja) 押出成形品の立体模様形成方法
JPH08260672A (ja) 金属サイディ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79206Y1 (ko) 도어용 합성수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