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660A -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660A
KR20090038660A KR1020070104072A KR20070104072A KR20090038660A KR 20090038660 A KR20090038660 A KR 20090038660A KR 1020070104072 A KR1020070104072 A KR 1020070104072A KR 20070104072 A KR20070104072 A KR 20070104072A KR 20090038660 A KR20090038660 A KR 2009003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evice
media source
unique information
media
view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107B1 (ko
Inventor
유청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최적의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특정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벤더 ID별로 시청환경을 설정하여 테이블로 구성하고, 추후에 HDMI 케이블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가지고 있는 고유의 벤더 ID를 CEC라인을 통해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벤더 ID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특정 시청환경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시청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HDMI 케이블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가지고 있는 고유의 벤더 ID를 토대로 해당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시청환경을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벤더 아이디(Vendor ID), CEC

Description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Media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최적의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시스템이 날로 복잡해지고 있고, 디지털 시스템의 여러 가지 외부 입력중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입력이 늘어나는 추세로 가고 있다. HDMI는 기존에 DVI(Digital Visual Interface)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인터페이스로, DVI가 디지털 비디오만을 전송한다면 HDMI는 디지털 비디오와 디지털 오디오 및 추가 정보를 보내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것이다.
미디어 소스 기기(예. 게임기,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PC 등)들은 DVI 인터페이스와 별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DTV 시스템과 연결되었으나 HDMI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출현으로 대부분의 소스 기기들이 DVI에서 HDMI로 급변해 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STB와 같이 소정의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및 처리하는 미디어 소 스 디바이스(예. 게임기,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PC 등)와 이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예. TV)는 소정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해 예컨데 HDMI 케이블을 통해 상호 간에 접속된다.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HDMI 소스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화질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화질 설정 정보는 명암, 밝기, 색농도, 선명도, 색상 등의 조절 값을 말하는 것으로, 한번 세팅된 화질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지 않는 이상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는 어떤 내용의 영상을 출력하든 이미 세팅된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화창한 날씨를 나타내는 영상을 출력할 때 화질 설정 정보의 명암이나 밝기가 어둡게 설정되어 있으면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는 해당 영상에 대하여 최적의 화질을 표현할 수 없다. 또 선명하고 조밀한 영상을 출력할 때 화질 설정 정보의 선명도와 색농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영상을 최적의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에서 각 HDMI 포트마다 화질 설정을 달리할 수는 있지만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접속 방법이 달라지거나, 외부 HDMI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기존 방식에는 한계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HDMI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최적의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는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을 인식하여 해당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고유 정보에 따른 설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파악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을 인식하여 해당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고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따른 시청환경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시청환경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게임기 비디오 카메라 등 여러 가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그에 맞게 비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등의 여러 가지 환경 설정을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벤더 아이디(Vender ID)에 따라 테이블로 저장해둠으로써, 상기 미디어 소스 비다이스별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100)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로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100)은 일반적으로 TV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는 제 1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10), 제 2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20) 및 제 3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게임기,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PC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100)와 DVI 또는 HDMI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연결되어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에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는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100)의 각 포트(port)마다 연결될 수고 있고, 하나의 포트(port)에 여러 대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스위치 동작 제어를 토대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신호 입력부(110)와, 상기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신호 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20)와, 상기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130)와,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100)의 고유 정보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40),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의 연결을 인식하고,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의 해당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와,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고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하고,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해당 고유 정보에 따른 설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160)와,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100)의 고유 정보별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되는 다양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에 대한 시청환경을 각각 설정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청환경은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의 고유 정보를 가지고 설정할 수 있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 각각에 주어지는 고유의 벤더 ID(Vendor ID)를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가 연결되면,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로부터 고유의 벤더 ID를 읽어와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메뉴화면 설정부(170)는 상기 전달된 벤더 ID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메뉴화면상에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된 특정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청환경이라 함은 비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외부기기 컨트롤,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특정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벤더 ID를 토대로 그에 따른 시청환경을 각각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시청환경 데이터는 테이블로 구성되어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되며, 추후에 상기 테이블에 존재하는 특정 벤더 ID에 따른 미디어 소스 디 바이스가 연결될 경우, 해당 시청환경 데이터를 추출하여 적용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청환경 테이블(300)은 특정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따른 벤더 ID(310)별로 비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외부기기 컨트롤,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기능 등으로 각각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저장된 시청환경 데이터의 적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가 연결을 인식하고, 상기 연결이 인식되면, 해당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벤더 ID를 읽어와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200)는 HDMI를 토대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HDMI는 DVI에 기반을 둔 새로운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통합한 포맷으로 DVD 플레이어, HDTV, 셋탑박스 등 A/V 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HDMI는 표준, 확장 혹은 HD 비디오는 물론 표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지원하며 하나의 단자로 최대 초당 6기가 대역의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해당 모듈로부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는 TMDS(Tran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DDC(Display Data Channel) 및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와 같은 3개의 독립적인 통신 채널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A/V 데이터, 기기 정보 및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CEC는 상기 HDMI에서 high-level control function 들을 수행하는 부가적인 프로토콜로서, 작은 전송 속도와 적은 메모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CEC라인을 통해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벤더 ID를 읽어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특정 벤더 ID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설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처음 연결한 디바이스이거나 이전에 시청환경을 설정하지 않았던 디바이스이므로, 상기 디바이스의 벤더 ID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시청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는 HDMI 케이블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가지고 있는 고유의 벤더 ID를 토대로 해당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시청환경을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소스 비다이스별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벤더 ID별로 해당 시청환경을 각각 설정하여 테이블로 구성한다(S100).
이어서, 외부의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그리고, 판단결과(S110)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벤더 ID를 추출한다(S120). 이때 상기 고유 벤더 ID는 CEC라인을 통해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추출한 고유 벤더 ID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한다(S130).
그리고, 상기 파악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벤더 ID에 따라 기 설정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특정 벤더 ID에 따른 해당 설정 데이터를 추출한다(S150).
또한, 상기 판단결과(S140) 상기 특정 ID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벤더 ID에 따른 시청환경의 설정을 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160) 상기 시청환경 설정을 원하면 상기 벤더 ID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70).
이어서,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시청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청환경 데이터를 저장한다(S180).
그리고, 상기 단계(S150)에서 추출한 설정 데이터 또는 상기 단계(180)에서 설정한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한다(S190).
또한 상기 판단결과(S160) 상기 시청환경 설정을 원하지 않으면, 현재 기 설 정되어 있는 시청환경을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한다(S2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HDMI 케이블로부터 연결되는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로 가지고 있는 고유의 벤더 ID를 토대로 해당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시청환경을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별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더 ID별로 설정된 시청환경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9)

  1.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외부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이 인식되면, 상기 연결된 해당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고유 정보에 따른 설정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파악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CEC 라인을 통해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고유 정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는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벤더 아이디(Vendor ID)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비디오 모드(Video Mode), 오디오 모드(Audio Mode), 외부기기 제어 및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기능 정보(Frame Rate Conver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6.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연결을 인식하여 해당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고유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따른 시청환경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시청환경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벤더 ID(Vendor ID)를 추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환경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비디오 모드(Video Mode), 오디오 모드(Audio Mode), 외부기기 제어 및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기능 정보(Frame Rate Conver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미디어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정보에 따른 시청환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고유 정보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화면상에서 상기 고유 정보에 따른 시청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070104072A 2007-10-16 2007-10-16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72A KR101411107B1 (ko) 2007-10-16 2007-10-16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072A KR101411107B1 (ko) 2007-10-16 2007-10-16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60A true KR20090038660A (ko) 2009-04-21
KR101411107B1 KR101411107B1 (ko) 2014-06-27

Family

ID=4076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072A KR101411107B1 (ko) 2007-10-16 2007-10-16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17A1 (ko) * 2014-03-12 2015-09-17 엘지전자(주)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US10536562B2 (en) 2015-10-16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0680B2 (en) 2019-06-13 2022-08-09 The Nielsen Company (Us), Llc Source classification using HDMI audio metadat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215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브이디 정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100705161B1 (ko) * 2005-03-1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의 고선명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에 대한 자동 레이블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17A1 (ko) * 2014-03-12 2015-09-17 엘지전자(주)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US10536562B2 (en) 2015-10-16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107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087B2 (en) AV device
US8284312B2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method
US10341726B2 (en) Video sender and video receiver
US8717503B2 (en) Audio output device connectable with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4357029A (ja) 信号選択装置及び信号選択方法
US8966566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1087162A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20110043707A1 (en) Content transmitting device
JP2008067024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9027601A (ja) 表示システム
US20240040079A1 (en) Recep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KR100737312B1 (ko) 디브이아이/에이치디엠아이 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728467B2 (en) Audio/video output device
CN100452854C (zh) 媒体播放器及其控制方法以及媒体播放系统
KR100669011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기의 출력설정방법
KR20200117897A (ko) 보안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디바이스
JP2006352599A (ja) Hdmi接続における音量補正回路システム
KR101411107B1 (ko)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JP2016163238A (ja) 表示装置及び情報書換方法
KR20080065336A (ko) Hdmi-cec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제어방법
EP2187382A2 (en)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ideo apparatus
JP2009044400A (ja) 画像表示装置
KR101369390B1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93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23195A (ko)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에서의 화질 자동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