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361A -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361A
KR20090038361A KR1020080098854A KR20080098854A KR20090038361A KR 20090038361 A KR20090038361 A KR 20090038361A KR 1020080098854 A KR1020080098854 A KR 1020080098854A KR 20080098854 A KR20080098854 A KR 20080098854A KR 20090038361 A KR20090038361 A KR 20090038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tuation
communication mode
preferred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066B1 (ko
Inventor
쳉 도린
칼라사퍼 스와뤂
송 유
정상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3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신자와 수신자의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제공된 선호 통신 모드에 따라 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통신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사용자 행동 로그를 분석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고, 이 선호 통신 모드를 다른 통신 장치와 주고 받아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에 기초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ituation-aware multi-modal communication}
통신 장치에서 상황을 인지하여 그 상황에 적합한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휴대폰, PDA와 같은 휴대 가능한 통신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정보통신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 장치의 활용 폭도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예컨대, PDA의 경우 전화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카메라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통신 장치의 이러한 각종 기능들은 계층별 메뉴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메뉴 중에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통신 장치의 기능은 점점 다양해지는 것과 비례하여 이것을 계층별 메뉴로 분류하고 기억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휴대폰의 컬러 메일을 보내는 경우를 예로 들면, 어떤 메뉴에서 어떠한 항목을 선택하여야 하는지 잘 모르는 사용자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드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능들과 더불어 다양해 지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예컨대, 통신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에서 다시 특정 모드를 선택하려면 메뉴의 계층 구조를 기억해야만 하고 그 계층 구조를 따라 일일이 메뉴를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그 상황에 적합한 특정 기능 또는 특정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동적으로 메뉴를 열고 각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없이 각 상황에 알맞은 기능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 각각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 또는 그 때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행동 로그를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 및 사용자 행동 로그 및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황분석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로,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를 전송하거나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협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상황분석부는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협상부에 의해 수신된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모드 제공 방법은 다른 통신 장치로의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개시 전에 자신의 현재 상황 및 미리 수집된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다른 통신 장치로,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는 단계;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수신된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 받은 수신 측의 통신 장치에서는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선호 통신 모드에 관한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상황 및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선호 통신 모드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통신 장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위 상황은 장소, 시각, 날짜, 온도, 날씨, 속도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드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이-메일, 핸드-프리, 수신 거부 또는 발신 제한에 관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의하면, 상황에 맞는 통신 모드가 자동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번거롭게 메뉴 상의 기능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의 현재 또는 과거의 행동에 기초하여 각 상황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통신 모드를 이용해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황에 알맞게 통신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황을 고려할 때 발신자의 상황 뿐만 아니라 수신자의 상황도 고려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 로그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1 : 어플리케이션
102 : 센서부
103 :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
104 : 상황 분석부
105 : 표시부
106 : 협상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핸드폰, PDA와 같이 휴대 가능한 통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형태의 표시 수단과 전화 기능을 갖는 PDA가 위 통신 장치(100)의 예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영상 통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e-메일, 수신 거부, 발신 제한, 핸드-프리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통신 모드 중에서, 주변 상황을 인지하여 그 상황에 알맞은 통신 모드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101), 센서부(102),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 상황분석부(104), 표시부(1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1)은 통신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101)은 통신 태스크, 카메라 기능, 웹 접속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부(102)는 통신 장치(100)의 현재 상황을 감지한다.
현재 상황이란 장소, 시각, 날짜, 온도, 날씨, 속도 또는 전력과 같은 컨텍스트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센서부(102)는 통신 장치(100)의 주변 정보 또는 통신 장치(100)의 자체 정보 등을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장소의 경우 센서부(102)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통신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각 및 날짜의 경우 센서부(102)에 내장된 시계를 이용하거나 위 GPS 모듈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속도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날씨는 웹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102)가 통신 장치(100)의 배터리 양을 측정하여 전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는 통신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동 로그를 수집한다.
사용자 행동 로그는 각각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 또는 그 때의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자가 통신 장치(100)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면,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가 상황 정보로써 해당 시간과 장소를, 통신 모드로써 문자 메시지 기능을 사용했음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인 예로, 어떠한 사용자가 10월 2일 오전 10시에 회의실에서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회의 때문에 수신 거부 기능을 사용했다면,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는 도 7의 1번 데이터와와 같이 사용자 행동 로그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는 이러한 사용자 행동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마다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기능이 사용될 때마다 행동 로그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에서, 상황분석부(104)는 사용자 행동 로그 및 상기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선호 통신 모드란 통신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 기능 중에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통신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선호 통신 모드는 1 이상이 될 수 있으며, 표시부(1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05)를 통해 나타난 선호 통신 모드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경우 영상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는 적합하지 아니하므로 선호 통신 모드는 음성 통화 또는 핸드-프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호 통신 모드는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행동 로그 및 센서부(102)에 의해 감지된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선별된다. 예컨대, 상황분석부(104)는 통신이 개시되기 직전의 센서부(102)의 측정값(즉, 현재 상황)을 읽고 이것을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에 저장된 사용자 행동 로그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측정값을 갖는 통신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황 정보는 여러 개가 될 수 있는데, 특정 상황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구체적인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이전에 사용자가 사무실에서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여 2번 데이터과 같은 사용자 행동 로그가 수집되었고 이때 장소에 관한 정보에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었다고 가정하자. 이후 사용자가 사무실에서 친구에게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황분석부(104)는 센서부(102)를 통해 현재 상황이 사무실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를 통해 도 7과 같은 사용자 행동 로그 테이블를 읽어올 수 있다. 상황분석부(104)는 현재 상황과 사용자 행동 로그를 비교하여 장소적으로 가장 유사한 2번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문자 메시지 통신 모드를 선호 통신 모드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에서, 상황분석부(104)에 의해 선별된 선호 통신 모드는 어플리케이션(101) 및 표시부(105)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상황에 알맞은 통신 모드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해당 통신 장치(100)에 대한 상황을 인지한 것으로 그 통신 상대방인 다른 통신 기기의 상황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다른 통신 기기의 상황까지도 고려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는 도 1의 구성 외에 협상부(1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상황분석부(104)의 경우, 도 1에서 설명된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협상부(106)는 다른 통신 장치로 어떠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통신 장치에 어떠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위 정보는 통신의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통신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상부(106)는 다른 통신 장치로,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를 전송하거나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 상황분석부(104)는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상기 협상부(106)에 의해 수신된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측 통신 기기의 선호 통신 모드가 문자 메시지이고, 수신 측 통신 기기의 선호 통신 모드가 음성 통화인 경우, 발신자에게 문자 메시지 모드 및 음성 통화 모드 2개가 제공되고 발신자는 이 중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 측 통신 기기의 선호 통신 모드는 위 도 1에서 설명된 구성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 측 단말을 A(301), 수신 측 단말을 B(302)라고 명명하겠다. 또한, 각각의 단말(301)(302)은 휴대 및 통신이 가능한 PDA이며 터치스크린 형태의 표시 수단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301)를 소지한 사용자가 B(301)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A(301)에 저장된 주소록에서 B(301)를 소지한 상대방을 선택하고 소정의 통화 버튼을 눌러서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통신 개시 전에, 예컨대, 사용자가 상대방을 주소록에서 선택하는 순간에, 어플리케이션(101A)은 상황분석부(104A)에게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한다(①).
이어서, 상황분석부(104A)는 센서부(102A) 및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A)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비교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획득한다(②③). 선호 통신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02A)를 통해 얻어진 현재 상황 정보와 가장 유사하게 대응되는 상황의 사용자 행동 로그를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A)로부터 선택하여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획득된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외에도 B(302)의 상황까지 고려한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황분석부(104A)가 어플리케이션(101A)으로부터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 받으면,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것과 동시에, 협상부(106A)에게 B(302)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④). 협상부(106A)는 해당 요청을 B(302)의 협상부(106B)로 전송하며(⑤), B(302)의 협상부(106B)는 다시 이 요청을 상황분석부(104B)로 전달한다(⑥).
B(302)의 상황분석부(104B)는 센서부(102B) 및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103B)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비교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획득한다(⑦⑧). 이어서 획득된 선호 통신 모드를 협상부(106B)로 전달한다(⑨).
획득된 B(302)의 선호 통신 모드는 다시 A(301)의 협상부(106A)로 전송된다(⑩). A(301)의 협상부(106A)는 전달 받은 B(302)의 선호 통신 모드를 상황분석부(104A)로 다시 전달하며(⑪), 상황분석부(104A)는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전달 받은 B(302)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획득한 후(⑫), 이를 어플리케이션(101)으로 전달한다(⑬).
어플리케이션(101)은 표시 수단을 통해 전달 받은 선호 통신 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사용자는 표시된 선호 통신 모드에 따라 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및 미들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에 상주하거나 인터넷 혹은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예로는 음악 재생기, 달력, 게임, 카메라, 메모장, 웹 접속, 통신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을 요청하면, 태스크 매니저(401)는 미들웨어로부터 현재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추천을 얻어서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추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은 시스템에 피드백 될 수 있다.
미들웨어의 구성을 살펴보면, 미들웨어는 추천 엔진(402), 컨텍스트 매니저(404), 상황 인식부(403), 히스토리 매니저(4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히스토리 매니저(405)는 사용 데이터의 히스토리를 수집한다.
컨텍스트 매니저(404)는 현재 상황을 감지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수집한다. 예컨대, WiFi 억세스 지점 부근의 감지하여 현재 위치를 얻거나(current location identifier), 블루투스 신호 등을 감지하여 시스템에 공동으로 참여한 다른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Co-locator identifier).
상황 인식부(403)는 컨텐스트 매니저(404)에서 감지된 현재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태스크를 추출하여 이를 추천 엔진(402)으로 전송한다. 추출을 위해 사용자의 선택을 피드백 받거나 비지도 학습 기법(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천 엔진(402)은 태스크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중 높은 우선순위 별로 태스크를 선택하여 태스크 매니저(401)에게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태스크가 통신과 관련된 태스크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고 선별된 통신 모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통신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는 PDA가 될 수 있으며, 위 표시화면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501은 통신 장치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며, 502는 그 상황에서 사용자가 높은 빈도로 사용한 태스크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503은 위 태스크 중에서 통신 관련 태스크를 선택하였을 경우 통신 가능한 상대방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501은 왼쪽에서 차례대로 회사, 10월 2일, 오후, 회의에 관한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한 태스크는 502와 같이 노트 기능, 카메라 기능, 통신 기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태스크들은 통신 장치의 태스크 추천 매니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통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해당 부분을 클릭하면, 503과 같이 통신 가능한 상대방의 리스트가 나타난다. 이때 리스트로 나타나는 상대방의 이름 역시 사용자가 해당 상황에서 빈번하게 사용한 순으로 정렬되어 나타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서 사용자가 통신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다음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것은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택된 선호 통신 모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501과 같은 환경에서 사용자의 선호 통신 모드는 e-mail(601)이 될 수 있다. 한편, 503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선호 통신 모드는 문자 메시지(602)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각각의 선호 통신 모드가 결합되어 도 6과 같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안적으로, 각각의 통신 모드에 미리 가중치를 설정해 둠으로써 둘 중 하나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상황을 인지하여 그에 적합한 태스크 또는 통신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통신 기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다양한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
    각각의 상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행동 또는 그 때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행동 로그를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로그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 행동 로그 및 상기 현재 상황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황분석부; 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
    다른 통신 장치로,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를 전송하거나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협상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황분석부는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상기 협상부에 의해 수신된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상부는 통신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의 요청 및 수신을 완료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장소, 시각, 날짜, 온도, 날씨, 속도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이-메일, 핸드-프리, 수신 거부 또는 발신 제한에 관한 모드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8.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통신 모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로의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개시 전에 자신의 현재 상황 및 미리 수집된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신의 선호 통신 모드와 수신된 상대의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장소, 시각, 날짜, 온도, 날씨, 속도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이-메일, 핸드-프리, 수신 거부 또는 발신 제한에 관한 모드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3.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통신 모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선호 통신 모드에 관한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요청이 있는 경우, 현재 상황 및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선호 통신 모드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장소, 시각, 날짜, 온도, 날씨, 속도 또는 전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이-메일, 핸드-프리, 수신 거부 또는 발신 제한에 관한 모드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제 1 통신 장치의 현재 상황 및 미리 수집된 상기 제 1 통신 장치의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제 1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장치가 제 2 통신 장치로 상기 제 1 선호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장치가 상기 제 2 통신 장치의 현재 상황 및 미리 수집된 상기 제 2 통신 장치의 사용자 행동 로그에 기초하여 제 2 선호 통신 모드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장치가 상기 제 2 선호 통신 모드를 상기 제 1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장치가 상기 제 1 선호 통신 모드와 상기 제 2 선호 통신 모드를 결합하여 최적의 선호 통신 모드를 상기 제 1 통신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80098854A 2007-10-09 2008-10-08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1520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863707P 2007-10-09 2007-10-09
US60/978,637 2007-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361A true KR20090038361A (ko) 2009-04-20
KR101520066B1 KR101520066B1 (ko) 2015-05-13

Family

ID=4076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854A KR101520066B1 (ko) 2007-10-09 2008-10-08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821A2 (en) * 2009-06-16 2010-12-23 Intel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US8803868B2 (en) 2009-06-16 2014-08-12 Intel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for mobile device displays
WO2017026572A1 (ko) * 2015-08-07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821A2 (en) * 2009-06-16 2010-12-23 Intel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WO2010147821A3 (en) * 2009-06-16 2011-03-31 Intel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CN102594978A (zh) * 2009-06-16 2012-07-18 英特尔公司 使用状态认知的手持电子设备
KR101285474B1 (ko) * 2009-06-16 2013-07-12 인텔 코오퍼레이션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카메라 응용
KR101363201B1 (ko) * 2009-06-16 2014-02-12 인텔 코포레이션 상태 인식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370795B1 (ko) * 2009-06-16 2014-03-07 인텔 코포레이션 상태 인식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 장치
US8700012B2 (en) 2009-06-16 2014-04-15 Intel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US8700102B2 (en) 2009-06-16 2014-04-15 Intel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ing status awareness
US8803868B2 (en) 2009-06-16 2014-08-12 Intel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for mobile device displays
US8904164B2 (en) 2009-06-16 2014-12-02 Intel Corporation Multi-mode handheld wireless device to provide data utilizing combined context awareness and situational awareness
WO2017026572A1 (ko) * 2015-08-07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567588B2 (en) 2015-08-07 2020-02-18 Lg Electronics Inc. Intelligent agent system including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66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1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7464557B (zh) 通话录音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7853207B2 (en) Electronic device, priority connection method and priority connection program
US84177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via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45951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JP4564383B2 (ja) 移動通信装置及び位置探索方法
CN108632453B (zh) 一种通话方法及移动终端
CN10745238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终端及信息处理系统
WO2013179555A1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4150132B2 (ja) 状態通知方法及び状態通知システム
KR101520066B1 (ko) 상황을 인지하여 다양한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EP28973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service under public account
JP2012039282A (ja) 電子機器、その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US20160007189A1 (en)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106790909A (zh) 联系人显示方法及装置
JP3874043B2 (ja)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携帯情報通信端末
KR101942338B1 (ko) 통합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KR2008005072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22334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function in enterprise mobility system
JP2002271259A (ja) 検索・通知方法、および検索・通知装置
KR101662177B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상황 메시지 자동 전송 방법
KR20040100243A (ko) 유,무선 통합 이미지 메세징 서비스.
JP4614240B2 (ja) 携帯端末、及び端末アクセス方法
KR20010074611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100902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