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418A -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418A
KR20090036418A KR1020070101599A KR20070101599A KR20090036418A KR 20090036418 A KR20090036418 A KR 20090036418A KR 1020070101599 A KR1020070101599 A KR 1020070101599A KR 20070101599 A KR20070101599 A KR 20070101599A KR 20090036418 A KR20090036418 A KR 2009003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voltage
current command
current
comman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3646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수단과,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와, 속도 추정치와 설정된 속도 지령치와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내에서의 PI 제어시 큰 에러에 대해 좀더 빠르게 반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01599
공기조화기, 전동기, PI 제어, 게인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내의 PI 제어시 큰 에러에 대해 좀더 빠르게 반응하도록 조절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방, 거실, 사무실 또는 영업 점포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뉜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과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는 냉/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는 방열과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를 설치한 후 서로 분리된 두 기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등에 전동기가 사용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 제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상용 교류 저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압을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 원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통상 PI 제어기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내에 사용되는 PI 제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PI 제어기(100)는 지령치(z*)와 검출치(z)의 오차(e)에 PI 게인(Kp,Ki)을 곱하여 출력치(u)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PI 제어기(100)는 오차(e)가 커질수록 오차(e)가 0에 수렴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출력치(u)가 원하는 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져 안정적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검출치(z)에 따라 구간을 나누고, 구간 별로 PI 게인(Kp,Ki)을 달리하여 적용하여, 도달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PI 게인(Kp,Ki)이 변경되는 구간에서는 불연속한 제어가 수행되어, 제어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내의 PI 제어시 큰 에러에 대해 좀더 빠르게 반응하도록 조절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있어,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컨버터를 사용함으로써, 역률 제어 및 직류 전압 부스팅이 가능하며, 하모닉(harmonic) 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수단과,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와, 속도 추정치와 설정된 속도 지령치와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류 전원 변환을 수행하는 컨버터와, 컨버터의 출력단인 dc 전압을 검출하는 dc 전압 검출수단과, dc 단 전압 검출치와 설정된 dc 단 전압 지령치와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내의 PI 제어시 큰 에러에 대해 좀더 빠르게 반응하도록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컨버터를 사용함으로써, 역률 제어 및 직류 전압 부스팅이 가능하며, 하모닉(harmonic) 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I)와 실외기(O)로 구분된다.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4)와, 실외 열교환기(5)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 팬(5a)과 실외팬(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I)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8)와, 실내측 열교환기(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9a)과 실내팬(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서의 전동기는 도면에서 도시한, 실외팬, 압축기 또는 실내 팬을 동작시키기 각 전동기(2b,5b,9b)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300)는, 리액터(305), 컨버터(310), 평활 커패시터(C11), 인버터(320), 컨버터 마이컴(340), 인버터 마이컴(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의 전동기 제어장치(300)는, dc 단 전압 검출 수단(D), 출력 전류 검출 수단(E 또는 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305)는 상용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컨버터(310)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버터(310) 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컨버터용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리액터(305)에는 교류 전원이 저장되었다가 컨버터(310)에 공급함으로써,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리액터(305)는 교류 전원의 역률 보정을 위해 사용되며, 상용 교류 전원과 컨버터(310) 사이의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여, 계통 또는 컨버터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승압 동작, 역률 보정 및 고조파 전류의 제거를 위해, 리액터(305) 대신에 커몬모드 LCL 필터(미도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용 교류 전원이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컨버터의 고속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커몬모드 LCL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컨버터(310)는 복수개의 컨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리액터(305)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컨버터 마이컴(340)으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Scc)가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각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역률이 제어되며, 또한 상용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평활 커패시터(C11)는 컨버터(31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컨버터(31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컨버터(310)의 출력단을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고 한다. dc 단에 평활된 직류 전압은 인버터(320)에 인가된다.
인버터(320)는 복수개의 인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 마이컴(330)으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면, 각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320)에서 출력되는 삼상 교류 전원은 삼상 전동기(350)의 각 상에 인가된다. 여기서 삼상 전동기(35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각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삼상 전동기(350)의 종류로는 BLDC 전동기, synRM 전동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삼상 전동기(350)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압축기용 전동기(2b)일 수 있으며, 팬을 구동하기 위한 팬용 전동기(5b,9b) 일수도 있다.
한편, 컨버터 마이컴(340)은, 컨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용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310)에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PWM용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검출되는 dc 단 전압을 기초로 생성되어 컨버터(310)에 출력된다. 컨버터 마이컴(340)에 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인버터 마이컴(330)은,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320)에 출력한다.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PWM용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를 기초로 생성되어 인버터(330)에 출력된다. 인버터 마이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컨버터와 인버터를 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따르면, 컨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컨버터(310)와 리액터(305)가 서로 연계하여, 교류 전원 승압, 역률 제어 및 고조파 제한 등을 수행하게 된다.
dc단 전압 검출 수단(D)은 dc단 전압(Vdc)을 검출한다. dc단 전압 검출수단(D)으로 dc 단의 양단 사이에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dc단 전압 검출수단(D)은 평균적으로 dc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dc단 전압(Vdc)은 컨버터 마이컴(340)에 인가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수단(E 또는 F)은 인버터 출력단의 출력전류(io) 즉,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수단(E)은 인버터(320)와 전동기(3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수단(F)은 상기 인버터의 3개의 하암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션트 저항일 수 있다.
도 4는 인버터 마이컴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고, 도 5는 전류 지령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버터 마이컴(330)은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v)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405)와, 추정 속도(v)와 지령 속도(v*)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510)와, 전류 지령치(i* d,i* q)와 검출 전류(io)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420)와, 생성된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인버터용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430)를 포함한다.
전류 지령 생성부(410)는 PI 제어기(510)와 전류 지령 제한부(520)를 포함한다. PI 제어기(510)는 추정 속도(v)와 지령 속도(v*)의 오차(e)가 소정치 보다 큰 경우 오차(e)에 가중치를 주고, 오차 가중치에 PI 게인(Kp,Ki)을 곱하는 PI 제어를 하여 전류 지령(i* d1,i* q1)을 생성한다. 오차의 가중치는 오차의 제곱(e2)일 수 있다. 오차의 가중치가 오차의 제곱(e2)인 경우, 오차의 가중치는 오차의 부호(+ 또는 -)에 오차의 제곱(e2)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오차의 가중치는 비례상수 일 수 있다. 한편, 오차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는 가중치 없어 오차(e)에 대하여 PI 제어를 한다. 오차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는 미세한 PI 제어가 수행가능하며, 오차가 소정치 초과인 경우 오차를 증폭하여 PI 제어시 응답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목표치를 조속히 얻을 수 있다.
전류 지령 제한부(520)는 PI 제어기(510)에서 생성된 전류 지령(i* d1,i* q1)의 레벨을 제한하여 최종적으로 전류 지령(i* d,i* q)을 생성한다.
한편, 도 4의 전압 지령 생성부(420)도 전류 지령 생성부(410)와 유사하게, PI 제어기 및 전압 지령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컨버터 마이컴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류지령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버터 마이컴(340)은, 검출된 dc 단 전압(Vdc)과 dc 전압 지령치(V*dc)에 기초하여 d, q축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610)와, d, q축 전류 지령치(i* d,i* q)와 검출되는 입력 전류(ii)에 기초하여 d,q 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620) 와, d, q축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컨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도록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630)를 포함한다.
전류 지령 생성부(610)는 PI 제어기(710)와 전류 지령 제한부(720)를 포함한다. PI 제어기(710)는 추정 속도(v)와 지령 속도(v*)의 오차(e)가 소정치 보다 큰 경우 오차(e)에 가중치를 주고, 오차 가중치에 PI 게인(Kp,Ki)을 곱하는 PI 제어를 하여 전류 지령(i* d1,i* q1)을 생성한다. 오차의 가중치는 오차의 제곱(e2)일 수 있다. 오차의 가중치가 오차의 제곱(e2)인 경우, 오차의 가중치는 오차의 부호(+ 또는 -)에 오차의 제곱(e2)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오차의 가중치는 비례상수 일 수 있다. 한편, 오차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는 가중치 없어 오차(e)에 대하여 PI 제어를 한다. 오차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는 미세한 PI 제어가 수행가능하며, 오차가 소정치 초과인 경우 오차를 증폭하여 PI 제어시 응답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목표치를 조속히 얻을 수 있다.
전류 지령 제한부(720)는 PI 제어기(710)에서 생성된 전류 지령(i* d1,i* q1)의 레벨을 제한하여 최종적으로 전류 지령(i* d,i* q)을 생성한다.
한편, 도 6의 전압 지령 생성부(620)도 전류 지령 생성부(610)와 유사하게, PI 제어기 및 전압 지령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내에 사용되는 PI 제어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인버터 마이컴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류 지령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컨버터 마이컴 내부의 간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류 지령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5:리액터 310:컨버터
320:인버터 330:인버터 마이컴
340:컨버터 마이컴 410,610:전류 지령 생성부
420,620:전압 지령 생성부 510,710:PI 제어기
520,720:전류 지령 제한부

Claims (16)

  1.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
    인버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수단;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기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추정부;
    상기 속도 추정치와 설정된 속도 지령치와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PI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는, 상기 속도 오차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속도 오차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속도 오차의 제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류 지령치의 레벨을 제한하는 전류 지령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치와 상기 검출된 전류 지령치와의 전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제2 PI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류 오차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전압 오차에 상기 제2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전압 오차의 제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압 지령치의 레벨을 제한하는 전압 지령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류 전원 변환을 수행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인 dc 전압을 검출하는 dc 전압 검출수단;
    상기 dc 단 전압 검출치와 설정된 dc 단 전압 지령치와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및
    상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는, 상기 dc 단 전압 오차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dc 단 전압 오차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dc 단 전압 오차의 제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류 지령치의 레벨을 제한하는 전류 지령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치와 상기 검출된 전류 지령치와의 전류 오차에 소정 조건에 따라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PI 제어를 수행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제2 PI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류 오차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전압 오차에 상기 제2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전압 오차의 제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상기 전압 지령치의 레벨을 제한하는 전압 지령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070101599A 2007-10-09 2007-10-0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03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99A KR100903646B1 (ko) 2007-10-09 2007-10-0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99A KR100903646B1 (ko) 2007-10-09 2007-10-0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418A true KR20090036418A (ko) 2009-04-14
KR100903646B1 KR100903646B1 (ko) 2009-06-18

Family

ID=4076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599A KR100903646B1 (ko) 2007-10-09 2007-10-09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4470A (zh) * 2012-04-01 2012-09-19 中南大学 一种变频空调整功率因数稳定运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403B1 (ko) 1995-12-09 2000-09-15 이종수 3상 인버터의 출력전압 제어장치
JP3672378B2 (ja) * 1996-05-21 2005-07-20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電圧形変換器の制御装置
JP2007028778A (ja) 2005-07-15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4470A (zh) * 2012-04-01 2012-09-19 中南大学 一种变频空调整功率因数稳定运行控制方法
CN102684470B (zh) * 2012-04-01 2014-11-12 中南大学 一种变频空调整功率因数稳定运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646B1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890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5891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694539B1 (ko)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3948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39482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416932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100003580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00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760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364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054438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2009004985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56434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26162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1914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56435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2522A (ko) 공기조화기의 팬용 전동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20090044252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100036780A (ko)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41599A (ko) 공기조화기의 팬용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4864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1595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20090035897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25276B1 (ko) 전동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2165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