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38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38A
KR20090035838A KR1020070100845A KR20070100845A KR20090035838A KR 20090035838 A KR20090035838 A KR 20090035838A KR 1020070100845 A KR1020070100845 A KR 1020070100845A KR 20070100845 A KR20070100845 A KR 20070100845A KR 20090035838 A KR20090035838 A KR 2009003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ayer
emit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838A/ko
Publication of KR2009003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5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including organic TFTs [OT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과,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제1전극, 트랜지스터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였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과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등이 있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능동매트릭스형을 채택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서브 픽셀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2T(트랜지스터)1C(커패시터) 이상의 회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 등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공정과 식각공정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공정과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는 생산 수율과도 연관이 되어 있는바, 생산 수율 및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정과정을 줄일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가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과,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반도체층; 반도체층,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위치하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층간절연막; 반도체층과 대응하도록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절연막;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 다.
한편,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과 대응하도록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며 반도체층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며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전극; 제1전극 및 제2전극 상에서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절연막;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ITO, IZO, ITZO를 포함하는 도전성 전극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a-Si TFT, poly-Si TFT, Oxide TFT, Organic TFT 중 하나일 수 있다.
금속성 보조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 중 하나 이상은, 복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의 일 예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 회로는, 스캔 배선(SCAN)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 배선(DATA)에 제1전극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T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트랜지스터(T1)의 제2전극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제2전원 배선(GND)에 제2전극이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T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전원 배선(GND)에 타단이 연결된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 배선(VDD)에 제1전극(예: 애노드)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제1전극에 제2전극(예: 캐소드)이 연결된 유기 발광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픽셀 회로는 스캔 배선(SCAN)을 통해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제1트랜지스터(T1)가 턴 온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배선(DATA)을 통해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턴 온된 제1트랜지스터(T1)를 통해 커패시터(Cst)에 데이터 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의해 제2트랜지스터(T2)가 턴온 됨과 아울러, 제1전원 배선(VDD)에 연결된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발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 회로 구성은 일 예시도 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트랜지스터(T1,T2)를 보상하는 보상트랜지스터 등이 더 추가되어 다른 회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다양한 서브 픽셀 구조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발광영역(AA)과 비발광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10)이 위치할 수 있다. 기판(110)은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판(110)의 재료로는, 유리판, 금속판, 세라믹판 또는 플라스틱판(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111)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110)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층(111) 상에는 기판(110) 상에 정의된 비발광영역(NA) 상에 일부 위치 하며 발광영역(AA)으로 연장된 제1전극(115a)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111) 상에는 기판(110) 상에 정의된 비발광영역(NA)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115b)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산화물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115a)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은 물론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115b)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퍼층(111) 상에는 기판(110) 상에 정의된 비발광영역(NA) 상에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이 위치할 수 있다.
먼저, 도 3은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을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의 상부에 위치시킨 것을 나타낸다.
다음, 도 4는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을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의 g하부에 위치시킨 것을 나타낸다.
다음, 도 5는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을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시고 제1전극(115a)을 2층 구조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은 알루미늄(Al), 알미네리윰(Alnd),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은(Ag), 구리(Cu), 타이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예를 들면, 타이타늄 나이트라이드(TiN), 몰리브덴 나이트라이드(MoN) 또는 크롬 나이트라이드(CrN)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성 보조전극(115c,115d)은 제1전극(115a) 및 제2전극(115b)의 배선 저항을 낮추어 전류 또는 전압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전극 및 제2전극(115a,115b) 상에는 반도체층(112)이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112)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이를 결정화한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층(112)은 채널 영역과 제1 및 제2전극(115a,115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12) 상에는 제1전극(115a) 및 제2전극(115b)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위치하며 발광영역(AA)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115a)의 일부를 노출하는 층간절연막(113)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113)이 무기막인 경우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SOG(silicate o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유기막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113) 상에는 반도체층(112)의 일정 영역인 채널 영역에 대응되도록 게이트 전극(114)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4)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티타늄(Ti), 은(Ag),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Mo alloy), 텅스텐(W),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4) 상에는 발광영역(AA)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115a)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절연막(115)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5)은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절연막(115) 상에는 발광영역(AA)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115a)의 일부를 노출하는 평탄화막(116)이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막(116)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는 제1전극(115a), 제2전극(115b) 및 게이트 전극(114)을 포함할 수 있다.(단, 커패시터의 구조는 생략되었음) 위와 같은 트랜지스터가 다수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이하의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는, a-Si 트랜지스터, poly-Si 트랜지스터, Oxide 트랜지스터, Organic 트랜지스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노출된 제1전극(115a) 상에는 유기발광층(117)이 위치하고 유기발광층(178) 상에는 공통전극(118)이 위치할 수 있다. 공통전극(118)은 유기발광층(118)에 전자를 공급하는 캐소드일 수 있으며, 마그네슘(Mg), 은(Ag), 칼슘(Ca),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115a)은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115a) 형성 후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따로 형성하기 위해 메탈 마스크를 통한 증착 공정을 제외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영역(AA)과 비발광영역(NA)을 포함하는 기판(110)이 위치할 수 있다. 기판(110)은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기계적 강도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판(110)의 재료로는, 유리판, 금속판, 세라믹판 또는 플라스틱판(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111)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110)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층(111) 상에는 기판(110) 상에 정의된 비발광영역(NA) 상에 게이트 전극(114)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4)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티타늄(Ti), 은(Ag),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Mo alloy), 텅스텐(W),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4)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3)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3)은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을 사용하여 선택적 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는 게이트 전극(114)과 대응하도록 반도체층(112)이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112)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이를 결정화한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층(112)은 채널 영역과 제1 및 제2전극(115a,115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12) 상에는 반도체층(112)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115)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115)이 무기막인 경우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SOG(silicate o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유기막인 경우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층간절연막(115) 상에는 비발광영역(NA) 상에 일부 위치하며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12)과 연결되어 발광영역(AA)으로 연장된 제1전극(115a)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층간절연막(115) 상에는 비발광영역(NA) 상에 위치하며 콘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12)과 연결된 제2전극(115b)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산화물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115a)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은 물론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115b)은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전극(115a) 및 제2전극(115b)에 접촉된 금속성 보조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성 보조전극은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금속성 보조전극은 제1 및 제2전극(115a,115b)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시고 제1전극(115a)을 2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성 보조전극을 형성하면, 제1전극(115a) 및 제2전극(115b)의 배선 저항을 낮추어 전류 또는 전압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전극(115a) 및 제2전극(115b) 상에는 발광영역(AA)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115a)의 일부를 노출하는 절연막(116)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막(116)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BCB)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는 제1전극(115a), 제2전극(115b) 및 게이트 전극(114)을 포함할 수 있다.(단, 커패시터의 구조는 생략되었음) 위와 같은 트랜지스터가 다수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이하의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는, a-Si 트랜지스터, poly-Si 트랜지스터, Oxide 트랜지스터, Organic 트랜지스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노출된 제1전극(115a) 상에는 유기발광층(117)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78) 상에는 공통전극(118)이 위치할 수 있다. 공통전극(118)은 유기발광층(118)에 전자를 공급하는 캐소드일 수 있으며, 마그네슘(Mg), 은(Ag), 칼슘(Ca),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115a)은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트랜지스터의 제1전극(115a) 형성 후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따로 형성하기 위해 메탈 마스크를 통한 증착 공정을 제외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도 3 내지 도 5는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11: 버퍼층
112: 반도체층 114: 게이트 전극
115a: 제1전극 115b: 제2전극
117: 유기발광층 118: 공통전극

Claims (8)

  1.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과,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2전극;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의 일정 영역을 포함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층간절연막;
    상기 반도체층과 대응하도록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전극과 대응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일부 위치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영역으로 연장된 제1전극;
    상기 비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과 연결된 제2전극;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상에서 상기 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1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절연막;
    상기 제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소오스 또는 드레인 전극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ITO, IZO, ITZO를 포함하는 도전성 전극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a-Si TFT, poly-Si TFT, Oxide TFT, Organic TFT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 중 하나 이상에는,
    금속성 보조전극이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또는 상기 제2전극 중 하나 이상은,
    복층으로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70100845A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35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45A KR20090035838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45A KR20090035838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38A true KR20090035838A (ko) 2009-04-13

Family

ID=4076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845A KR20090035838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8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6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9863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4564B1 (ko) 표시 장치
US814408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5108212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用表示板
KR1020916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8823913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ame
KR1014992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700548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3802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그 제조 방법
KR2011010175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09057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49565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2008091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8091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4009741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935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10487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8005459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089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7844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9003584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3583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4240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14014157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