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592A - 조립식 벽돌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592A
KR20090034592A KR1020070099912A KR20070099912A KR20090034592A KR 20090034592 A KR20090034592 A KR 20090034592A KR 1020070099912 A KR1020070099912 A KR 1020070099912A KR 20070099912 A KR20070099912 A KR 20070099912A KR 20090034592 A KR20090034592 A KR 2009003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protrusion
prefabricated
middle lay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문식
Original Assignee
왕우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우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우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4592A/ko
Publication of KR2009003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된 상층부재; 하부에 연결부가 돌출된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홈이 구비된 중층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는 연결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가 구비된 하층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적조, 호안블럭, 조립식 옹벽, 중심차수벽 등에 사용되어 시공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립, 벽돌, 시공

Description

조립식 벽돌{Prefabricated bricks}
본 발명은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시공현장에서는 주로 벽돌이 사용된다.
벽돌(brick)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으로 굽거나 시멘트와 모래를 버무려 틀에 박아낸 건축재료를 말하는데, 재료나 소성조건 및 용도에 따라 보통벽돌(common brick), 규회벽돌(sand lime brick), 내화벽돌(fire brock), 내화단열 벽돌(insulating firebrick)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벽돌은 조적식 구조(조적조)의 형태가 널리 시공되고 있다. 조적식 구조는 벽돌과 벽돌을 여러 층으로 쌓는 방법으로 벽돌들 사이에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몰탈(mortar)을 시공한다. 그리고 벽돌 사이의 몰탈이 굳게되면 벽돌과 벽돌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적식 구조에서는 몰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면서 벽돌간의 간격에 오차가 생기거나, 벽돌에 금이 가는 이른바 크랙(crack)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벽돌들 사이의 몰탈이 굳기 전까지는 일정높이 쌓아올린 벽돌들이 무너질 염려가 있으므로 하루에 1.5m 이상 시공하는 것이 어렵고, 이 때문에 많은 작업 소요 시간이 요구된다.
한편, 호안(護岸)블럭에 사용되는 벽돌은 벽돌과 벽돌사이를 철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법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철사를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기 쉬워 철사가 부식되면서 벽돌과 벽돌 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흙이 무너지지 않게 만든 조립식 옹벽(retaining wall)이나 물막이벽인 중심 차수벽에 사용되는 벽돌들도 상기의 경우들처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거나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적조, 호안블럭, 조립식 옹벽, 중심차수벽 등에 사용되어 시공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된 상층부재; 하부에 연결부가 돌출된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홈이 구비된 중층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는 연결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가 구비된 하층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 돌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 중앙몸체, 하부몸체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및 연결부는 각각 상부몸체와 중앙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층부재는, 상기 중앙몸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측면연결부와, 상기 측면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연결부가 끼워지는 측면연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층부재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에 인접된 상기 하층부재의 하부몸체에는 복수의 부재삽입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층부재의 돌기부홈에는 다른 중층부재의 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상층부재의 돌기부와 상기 중층부재의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 부재들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다른 결속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각 부재들을 조립할 수 있으며, 각 부 재들만으로 결속하더라도 하중에 의한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그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몰탈, 철사 등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조립식 벽돌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공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적조, 호안블럭, 조립식 옹벽, 중심차수벽 등에 사용되어 시공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은 크게 상층부재(10)와 중층부재(20)와 하층부재(30)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재들은 적절하게 선택되면서 상호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들 조립식 벽돌(1)의 시공예들은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각 부재들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나씩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층부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재(10)는 그 측단면이 T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층부재(10)는 상부몸체(11)와, 상부몸체(11) 하부에 돌출된 돌기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몸체(11)는 일정한 두께(H1)와 폭(L1)을 갖는 플레이트(Plate) 형태를 가지며 조립식 벽돌(1)이 시공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최상층부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부몸체(11)의 상면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일례로, 도 1 및 2a에는 상부몸체(11)의 상면이 편평한 형태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조립식 벽돌(1)을 필요로 하는 높이만큼 설치 후 더 이상 다른 부재를 연결할 필요가 없을 때, 상층부재(10)로 시공대상물의 최상층부를 마무리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b는 상부몸체(11a)의 상면 중앙에 또다른 돌기부가 형성된 실시 형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이 경우에는 상부몸체(11a)의 돌기부에 후술할 중층부재(20)의 돌기부홈(22, 도 3a 참조)이 끼워져서 중층부재(20)가 도 1에 도시된 방향의 거꾸로 상층부재(1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상부몸체(11a)의 돌기부에 하층부재(30)의 연결부홈(33, 도 4a 참조)이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c는 상부몸체(11b)의 상면의 가장자리부 양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형태로서,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면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한 실시 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중층부재(20)의 연결부(23)가 끼워지거나 다른 상층부재(10)의 돌기부(13)가 끼워지도록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상부몸체(11a, 11b)의 변형 예들은 상층부재(10)로서 시공이 마감되지 않고 상층부재(10a, 10b)가 다른 부재들과 연결되면서 계속적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몸체(11)의 상면은 그 단면이 반원 또는 삼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한편, 돌기부(13)는 상부몸체(11)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3)는 상부몸체(11)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면서 중층부재(20)의 돌기부홈(22) 또는 하층부재(30)의 결합홈에 끼워진다.
이러한 돌기부(13)는 상부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그 단면이 직사각형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3)는 중층부재(20)의 돌기부홈(22) 또는 하층부재(30)의 연결홈(33)에 끼워질 때 마찰력을 크게 하여 서로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돌기부(13)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지 않고, 임의의 길이를 갖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배치되거나, 그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층부재(10)에는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는 운반구멍(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돌기부(13)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2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 운반구멍(14)은 상층부재(10)의 크기 및 하중이 클 경우, 로프 등을 연결시켜 로프를 크레인으로 걸어서 운반하는 방식으로 상층부재(10)를 용이하게 조립 설치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운반구멍(14)은 후술할 중층부재(20)의 운반구멍(24)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상층부재(10)를 중층부재(20)에 설치시 기준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서 중층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3a에는 중층부재(2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층부재(20)는 중앙몸체(21)와, 돌기부홈(22)과, 연결부(23)와, 측면연결부(25)와, 측면연결홈(27)을 구비한다.
중앙몸체(21)는 일정한 두께(H2)와 폭(L2)을 가지며, 조립식 벽돌(1)이 시공되었을 때 중앙 영역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몸체(21)의 두께(H2)는 전술한 상부몸체(11) 및 후술할 하부몸체(31)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중앙몸체(21)의 상부에는 돌기부홈(22)이 형성되며, 중앙몸체(21)의 하부에는 연결부(23)가 돌출된다. 돌기부홈(22)은 상층부재(10)의 돌기부(13)가 끼워지도록 상기 돌기부(13)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돌기부홈(22)은 상층부재(10)의 돌기부(13) 끼워지는 형태라면, 반드시 대응될 필요는 없을 것이며 적절한 형태로 변형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중앙몸체(21)의 하부에 돌출된 연결부(23)는 하층부재(30)에 끼워지거나 다른 중층부재(20)의 돌기부홈(21)에 끼워진다. 따라서, 중층부재(20)의 연결부(23)는 상층부재(10)의 돌기부(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층부재(10)의 돌기부(13)가 상부몸체(11)와 나란한 위치배열로 이루어진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 중층부재(20)의 연결부(23)는 중앙몸체(21)에서 다소 어긋한 위치배열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는 측면연결부(25)와 측면연결홈(27)에서 나타난다.
즉, 측면연결부(25)는 중앙몸체(2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데, 도 3a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앙몸체(21)의 우측면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연결부(25)가 형성되지 않은 좌측 또는 우측에는 다른 중층부재(20)의 측면연결부(25)가 끼워질 수 있는 측면연결홈(2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a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면연결홈(27)은 중앙몸체(21)의 좌측면에 형성된다.
도 3b에는 중층부재(20a)의 다른 실시예로서, 좌측에는 측면연결홈(27)이 형성되지만, 그 우측면에는 측면연결부(25)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중층부재(20a)는 우측에 다른 중층부재(20)와 연결할 필요가 없이 그 자체로 시공을 마무리 할 경우, 예를 들어 중층부재(20)가 우측 끝에 위치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c에는 중층부재(20b)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우측에는 측면연결부(25)가 형성되나 좌측에는 측면연결홈(27)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중층부재(20b)는 좌측에 다른 중층부재(20)와 연결할 필요가 없이 그 자체로 시공을 마무리할 경우, 예를 들어 중층부재(20b)가 좌측 끝에 위치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중층부재들(20,20a,20b)에도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는 운반구멍(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돌기부홈(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중앙몸체(21)의 상부 영역에 4개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하층부재(3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부재(30)는 연결부홈(33)이 형성된 하부몸 체(31)와, 하부몸체(31)에 결합되는 받침판(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몸체(31)는 일정한 두께(H3)와 폭(L3)을 가지며, 조립식 벽돌(1)이 시공되었을 때 하층부를 이루게 된다. 하부몸체(3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홈(33)은 조립시 중층부재(20)의 연결부(23)가 끼워지도록 그 단면이 사격형인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35)은 하부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하층부재(30)를 안정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판(35)의 폭(L4)은 조립될 벽돌의 높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층부재(30)에 받침판(35)을 더 형성하면, 중층부재(20), 상층부재(10)가 차례로 결합되더라도 그 조립된 부재를 안정하게 지지하도록 해준다.
도 4b에는 하층부재(30a)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몸체(31)에 받침판(35)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받침판(35)이 없더라도 시공된 조립식 벽돌(1)의 지지가 가능하거나 미적인 측면 또는 건설시공환경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받침판(35)이 없도록 하층부재(30a)가 구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할 것이다.
도 4c에는 하층부재(30b)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몸체(31)에 복수의 부재삽입공(38)이 관통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부재삽입공(38)은 하부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재삽입공(38)에는 철근(R)과 같은 다른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부재삽입공(38)에 철근(R)을 삽입시키면 지면에 접한 하층부재(30b) 의 하부를 콘크리트와 함께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층부재(30b)의 하부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지면에 대해 굳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부재를 부재삽입공(38)에 삽입시켜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로 시공된 구조물에 부가하여 새로운 구조물의 장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여러 실시형태를 갖는 하층부재(30)에도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는 운반구멍(3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도 중층부재(20)의 경우처럼 연결부홈(3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몸체(31)의 상부 영역에 4개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상층부재(10), 중층부재(20), 하층부재(30)는 상호 조립되면서 여러 시공형태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층부재(10), 중층부재(20), 하층부재(30)의 폭(L1, L2, L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재들이 서로 적층되어 조립되었을 때 그 전체 폭을 동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각 부재들의 하중이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부재들에 포함된 요철형태의 구성들이 상기 부재들의 폭 내부에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부재 내부의 공간형성을 효율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다른 부재, 예를 들어 철사나 몰탈 등을 더 부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부재들만으로 힘의 균형과 견고한 조립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에 대한 시공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조립식 벽돌(1)은 상호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끼워진다는 의미는 마찰력의 대소를 불문하고 돌기부(13)와 돌기부홈(22), 연결부(23)와 연결부홈(33) 등 그 형상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의 부재들끼리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끼워짐에는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헐거운끼워맞춤 등이 시공형태에 따라 모두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 각 부재의 하중이 중력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 이러한 끼워맞춤 시공형태는 부재의 하중을 고려하면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의 조립상태도로서, 전술한 조립식 벽돌(1)을 이용하여 4단 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시공예는, 최하층에 하층부재(3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층부재(30)의 상부로 중층부재(20)가 2단으로 적층된 후, 최상층을 상층부재(10)로 마무리한 것이다.
여기서, 중층부재(20)를 2단으로 쌓을 경우, 도시된 것처럼 아래 단에 쌓은 중층부재(20) 위에 2단으로 중층부재(20)를 더 조립할 때 엇갈려 배치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부재들 간의 결속력의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끝단과 우측 끝단에 쌓여진 중층부재(20)는 전술한 도 3b 및 도 3c의 중층부재(20a, 20b)가 각각 사용된 것으로 시공하였다. 따라서 시공된 조립식 벽돌(1)의 좌,우측면의 형태를 편평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을 중심차수벽으로 사용한 상태도이다.
전술한 도 5의 시공예처럼 물막이를 위해 중심에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1)을 시공해서 설치한 후, 양 측에 토사를 덮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차수벽(1)은 상층부재(10), 중층부재(20), 하층부재(30)만을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물에 약한 철사 등에 의해 각 부재들의 결속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재들은 요철구조를 통해 서로 끼워지면서 그 부재들의 하중에 의해서 서로 균형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토사에 의한 압력(토압)이 작용하더라도 강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기타, 호안블럭이나 언급하지 않은 건축, 토목 시공예들에서도 상기와 같은 조립식 벽돌(1)을 이용하여 시공하면, 작업공수 등을 줄일 수 있어 그 시공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몰탈, 철사 등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건축,토목용 조립식 벽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조립식 벽돌(1)이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조립되어 시공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조립되어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상층부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
도 3a 내지 도 3c는 중층부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
도 4a 내지 도 4c는 하층부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의 조립상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벽돌을 중심차수벽으로 사용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벽돌 10 : 상층부재
11 : 상부몸체 13 : 돌기부
20 : 중층부재 21 : 중앙몸체
22 : 돌기부홈 23 : 연결부
25 : 측면연결부 27 : 측면연결홈
30 : 하층부재 31 : 하부몸체
33 : 연결부홈 35 : 받침판
38 : 부재삽입공 14,24,34 : 운반구멍

Claims (8)

  1.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된 상층부재;
    하부에 연결부가 돌출된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돌기부홈이 구비된 중층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끼워지는 연결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가 구비된 하층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 중앙몸체, 하부몸체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연결부는 각각 상부몸체와 중앙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부재는,
    상기 중앙몸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측면연결부와,
    상기 측면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연결 부가 끼워지는 측면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재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 인접된 상기 하층부재의 몸체에는 복수의 부재삽입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부재의 돌기부홈에는 다른 중층부재의 연결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재의 돌기부와 상기 중층부재의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KR1020070099912A 2007-10-04 2007-10-04 조립식 벽돌 KR20090034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912A KR20090034592A (ko) 2007-10-04 2007-10-04 조립식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912A KR20090034592A (ko) 2007-10-04 2007-10-04 조립식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92A true KR20090034592A (ko) 2009-04-08

Family

ID=4076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912A KR20090034592A (ko) 2007-10-04 2007-10-04 조립식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45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2971A (zh) * 2019-04-12 2019-07-23 广东拓鑫绿色建造有限公司 一种拼接墙体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2971A (zh) * 2019-04-12 2019-07-23 广东拓鑫绿色建造有限公司 一种拼接墙体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EP3228771B1 (en) Green-material light-partition earthenware brick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JP6422795B2 (ja) 複合梁及びこれを構成するPCa複合梁部材並びに複合ラーメン構造
US10822792B2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KR20150024458A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CH699922B1 (it) Pannello prefabbricato per costruire una parete doppia di edifici.
KR20070032676A (ko) 평면 구조물을 축조하는 축조 시스템
US20090217613A1 (en) Wall Element
JP2012533696A (ja) 床構築用トップスラブ
KR100689963B1 (ko) 스페이서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20030024425A (ko) 다중경량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4592A (ko) 조립식 벽돌
KR20210017506A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KR100379783B1 (ko) 춤이 깊은 건축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KR100674504B1 (ko) 벽돌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WO2009027960A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spaced apart formwork panels, a formwork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ormwork assembly
KR20100090553A (ko) 멀티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100562516B1 (ko) 블럭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단열방음공간블럭
EP2397619A1 (en) System of self supporting masonry walls and building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