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263A -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263A
KR20090034263A KR1020080000400A KR20080000400A KR20090034263A KR 20090034263 A KR20090034263 A KR 20090034263A KR 1020080000400 A KR1020080000400 A KR 1020080000400A KR 20080000400 A KR20080000400 A KR 20080000400A KR 20090034263 A KR20090034263 A KR 2009003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
cce
control channel
cces
phi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233B1 (ko
Inventor
한진규
이주호
권환준
김영범
김병식
지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0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3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MX2010003675A priority patent/MX2010003675A/es
Priority to CA2701256A priority patent/CA2701256C/en
Priority to MYPI2010001228A priority patent/MY155991A/en
Priority to RU2010112725/07A priority patent/RU2447600C2/ru
Priority to CN201410488058.5A priority patent/CN104253682B/zh
Priority to PCT/KR2008/005833 priority patent/WO2009045076A2/en
Priority to JP2010527892A priority patent/JP5676261B2/ja
Priority to RU2011150472/07A priority patent/RU2583045C2/ru
Priority to AU2008307876A priority patent/AU2008307876B2/en
Priority to DE202008018273U priority patent/DE202008018273U1/de
Priority to US12/244,445 priority patent/US8208438B2/en
Priority to CN201310062509.4A priority patent/CN103152152B/zh
Priority to DE202008018255U priority patent/DE202008018255U1/de
Priority to CA2925851A priority patent/CA2925851C/en
Priority to CN200880110082.8A priority patent/CN101816158B/zh
Priority to BRPI0817494-6A priority patent/BRPI0817494B1/pt
Priority to EP08017395.8A priority patent/EP2045952B1/en
Publication of KR2009003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263A/ko
Priority to ZA2010/02429A priority patent/ZA201002429B/en
Priority to US13/532,226 priority patent/US8953552B2/en
Priority to JP2013253204A priority patent/JP5784692B2/ja
Publication of KR10137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4/601,795 priority patent/US9167569B2/en
Priority to US14/624,206 priority patent/US9380565B2/en
Priority to US14/624,226 priority patent/US9282548B2/en
Priority to US14/624,213 priority patent/US9277544B2/en
Priority to US14/624,199 priority patent/US9282547B2/en
Priority to JP2015144954A priority patent/JP5990632B2/ja
Priority to US15/195,325 priority patent/US97949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Timing of allocation once only, on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채널의 자원 배치 및 이에 따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감안한 이종(異種)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배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TE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서로 다른 하향링크 물리 채널인 PCFICH, PHICH, PDCCH 등을 물리 자원인 미니 제어 채널 원소(mini-CCE)에 매핑하는 일련의 규칙을 정의함에 있어, 개별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물리 자원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제어 채널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 최대한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진 미니 제어 채널 원소를 이용하여 구성되도록 매핑 규칙을 정의한다.
제어 채널의 자원 매핑은 2차원 상에 존재하는 미니 제어 채널 원소 자원을 미니 제어 채널 원소 번호 매기는 규칙에 의해 1차원으로 배열시키고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에 따라 개별 제어 채널의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는 최대한 번호 간격이 큰 물리 자원을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게 하는데, 번호 간격이 클수록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는 자원이 되도록 미니 제어 채널 원소의 번호가 매겨져 있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PCFICH용 미니 제어 채널 원소를 우선 선택하고 남은 미니 제어 채널 원소에서 PHICH용 미니 제어 채널 원소를 선택한 뒤 최종적으로 남은 미니 제어 채널 원소들을 이용하여 제어 채널 원소(CCE)를 구성하고 PDCCH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개별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미니 제어 채널 원소들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SC-FDMA, CCE, 자원 할당, 제어 채널 전송, 패킷 데이터 채널채널, 다중화

Description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채널의 자원 배치 및 이에 따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감안한 이종(異種)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자원 배치 및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무선 채널에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대하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심볼열을 병렬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주파수 톤(frequency tone)들, 즉 다수의 서브 캐리어 채널(sub-carrier 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변조(MCM : multi-carrier 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시스템은 1950년대 후반 군용 고주파 라디오에 처음 적용되었으며, 다수의 직교하는 서브 캐리어를 중첩시키는 OFDM 방식은 1970년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멀티 캐리어들간의 직교 변조의 구현이 매우 어려운 문제였었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1971년 Weinstein 등이 상기 OFDM 방식을 사용하는 변복조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가 가능함을 발표하면서 OFDM 방식에 대한 기술개발이 급속히 발전했다. 또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사용하고, 보호구간에 순환 전치 심볼(Cyclic Prefix, 이하 "CP")의 삽입 방식이 알려지면서 다중경로 및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대한 시스템의 부정적 영향을 더욱 감소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에 힘입어 OFDM 방식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과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그리고 무선 비동기 전송 모드(WATM: 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 등의 디지털 전송 기술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지고 있다. 즉, 하드웨어적인 복잡도(complexity)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다가 최근 고속 퓨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과 역 고속 퓨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포함한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실현 가능해 졌다.
상기 OFDM 방식은 종래의 주파수 분할 다중(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과 비슷하나 무엇보다도 다수개의 톤 간의 직교성 (orthogonality)을 유지하여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시 최적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OFDM 방식은 주파수 사용 효율이 좋고 다중 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에 강한 특성이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시 최적의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OFDM 방식의 다른 장점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중첩하여 사용하므로 주파수 사용이 효율적이고,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에 강하고,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며, 보호구간을 이용하여 심벌간 간섭(ISI: inter symbol interference) 영향을 줄일 수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등화기(equalizer)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임펄스 (impulse)성 잡음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통신시스템 구조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무선 통신에서 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저해하는 요인은 대체적으로 채널 환경에 기인한다. 상기 무선 통신에서 채널 환경은 백색 가우시안 잡음 (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외에도 페이딩(fading)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신 신호의 전력 변화, 음영(shadowing), 단말기의 이동 및 빈번한 속도 변화에 따른 도플러(Doppler) 효과, 타 사용자 및 다중 경로(multipath) 신호에 의한 간섭 등으로 인해 자주 변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에서 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해 요인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OFDM 방식에서 변조 신호는 시간과 주파수로 구성된 2차원 자원(resource)에 위치한다. 시간축 상의 자원은 서로 다른 OFDM 심볼로 구별되며 이들은 서로 직교 한다. 한편 주파수축 상의 자원은 서로 다른 톤으로 구별되며 이들 또한 서로 직교한다. 즉 OFDM 방식에서는 시간축 상에서 특정 OFDM 심볼을 지정하고 주파수축 상에서 특정 톤을 지정하면 하나의 최소 단위 자원을 가리킬 수 있는데, 이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이하 "RE")이라고 칭한다. 서로 다른 RE는 선택적 채널(selective channel)을 거치더라도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다른 RE로 전송된 신호는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수신될 수 있다.
물리 채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호화된 비트열을 변조한 변조심볼을 전송하는 물리 계층의 채널이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 시스템에서는 송신하는 정보열의 용도나 수신기에 따라 복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물리 채널을 어떤 RE에 배치하여 전송할 것인가를 송신기와 수신기가 미리 약속하여야 하는데 그 규칙을 사상(寫像, 이하 매핑,mapping)이라고 한다.
특정 물리 채널의 운용 특성에 따라 사상법을 달리할 수 있는데, 송신기가 수신 채널의 상태를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스케줄러를 사용하여 물리 채널을 매핑하는 경우에는 채널 상태가 유사한 RE의 집합에 하나의 물리 채널을 배치하고, 송신기가 수신 채널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수신 오율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물리 채널을 매핑하는 경우에는 채널 상태가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되는 RE의 집합에 하나의 물리 채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의 방식은 주로 지연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한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후자의 방식은 주로 지연시간에 민감한 한 사용자 를 위한 데이터나 제어 정보, 또는 복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후자의 방식이 채널 상태가 다른 자원을 사용하는 것은 다이버티시 이득을 얻기 위한 것으로, 한 OFDM 심볼 내에서는 주파수 축 상에서 최대한 떨어진 서브 캐리어에 mapping하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최근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기지국과 단말기 간 무선 링크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OFDMA와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omain Multiple Access)를 각각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다중화 방식으로 채택한 것이 LTE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발명은 LTE 시스템 하향링크의 제어 채널들을 RE에 mapping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이하 "RB")은 주파수 축으로 12개의 톤과 시간 축으로 14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RB 1(111)은 첫 번째 RB을 나타내며 도 1에서는 RB K(113)까지 총 K개의 RB로 구성된 대역폭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 축에서 14 OFDM 심볼은 하나의 서브프레임(117)을 구성하며 시간 축 상에서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가 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117)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두 개의 슬롯(115)으로 구성된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는 단말기가 채널 추정을 할 수 있도록 기지국과 약속된 신호가 전송되는 것으로 RS0(100), RS1(101), RS2(102), RS3(103)는 각각 안테나 포트 1,2,3,4로부터 송신되는 RS를 의미한다. 만약 송신 안테나 포트가 하나만 사용된다면 RS1(101)은 송신에 사용되지 않고 RS2(102), RS3(103)은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 심볼 전송에 사용된다. 만약 송신 안테나 포트가 둘로 정의되었다면 RS2(102), RS3(103)은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 심볼 전송에 사용된다.
주파수 축 상에서 RS가 배치되는 RE의 절대적 위치는 셀 별로 다르게 설정되지만 RS간의 상대적인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동일한 안테나 포트의 RS는 6개의 RE 간격을 유지하며 RS0(100), RS1(101) 간의 간격과 RS2(102), RS3(103)의 간격은 3개의 RE 간격을 유지한다. RS의 절대적 위치가 셀 별로 설정되는 이유는 RS의 셀 간 충돌을 피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은 시간 축 상에서 한 서브프레임의 선두에 위치한다. 도 1에서(119)는 제어 채널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 채널은 서브프레임의 선두 L개의 OFDM 심볼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L은 1,2 또는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채널의 양이 적어서 하나의 OFDM 심볼로 전송이 충분한 경우에는 선두 1개의 OFDM 심볼만이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고(L=1) 나머지 13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채널 전송에 사용된다. 제어 채널이 2개의 OFDM 심볼을 소비할 경우 선두 2개의 OFDM 심볼만이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고(L=2) 나머지 12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채널 전송에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 채널의 양이 많아서 3개의 OFDM 심볼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선두 3개의 OFDM 심볼이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고(L=3) 나머지 11개의 OFDM 심볼이 데이터 채널 전송에 사용된다.
제어 채널을 서브프레임의 선두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단말기가 우선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의 전송 여부를 인지함으로써 데이터 채널 수신 동작을 수행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만약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이 없다면 데이터 채널 수신을 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채널 수신 동작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아낄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채널 형식 지시 채널(Physical Channel Format Indication Channel, 이하 PCFICH), 패킷(Physical H-ARQ Indicato, 이하 PHICH), 패킷 전용 제어 채널(Packet Dedicated Control Channel, 이하 PDCCH) 등이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 포맷 지시(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 이하 CCF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이다. CCFI란 제어 채널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 L을 알려주기 위해 2 bit로 구성된 정보이다. 우선적으로 CCFI를 수신하여야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PCFICH는 고정적으로 하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를 제외한 모든 단말기가 서브프레임에서 최초로 수신해야 하는 채널이다. 그리고 PCFICH를 수신하기 전에는 L을 알 수 없기 때문에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어야만 한다. PHICH는 하향링크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이다. PHICH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송신을 진행 중인 단말기이다. 따라서 PHICH의 개수는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송신을 진행 중인 단말기의 수에 비례하게 된다. PH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거나(LPHICH=1) 세 OFDM 심볼에 걸쳐서 전송된다(LPHICH=3). LPHICH는 셀마다 정의하는 파라미터로 셀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한 OFDM 심볼만으로 PHICH를 전송하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PDCCH는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 혹은 전력제어 정보 등을 송신하는 물리 채널이다.
PDCCH는 수신하는 단말기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채널 부호화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PDCCH는 변조 방식으로 QPSK를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 부호화율을 변경하려면 하나의 PDCCH가 사용하는 자원의 양을 변경해야 한다. 채널 상태가 양호한 단말기에게는 높은 채널 부호화율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자원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채널 상태가 불량한 단말기에게는 사용하는 자원의 양을 늘리더라도 높은 채널 부호화율을 적용하여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개별 PDCCH가 소모하는 자원의 양은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이하 "CCE")라는 단위로 결정된다. 채널 상태가 양호한 단말기를 위해서 최소 하나의 CCE만으로 PDCCH를 구성하고 채널 상태가 불량한 단말기를 위해서 최대 8개의 CCE를 이용하여 PDCCH를 구성한다. 하나의 PDCCH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CCE의 개수는 1,2,4,8 중의 한 값이다. CCE는 NCCE개의 미니 제어 채널 요소(이하 mini-CCE)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mini-CCE는 주파수 축 상에서 RS에 사용된 RE를 제외한 4개의 연속된 RE의 집합이다. NCCE는 9라면, 하나의 PDCCH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RE의 개수는 36, 72, 144, 288 중의 한 값이다.
Mini-CCE는 PCFICH와 PHICH를 구성하는 자원의 기본 단위이다. PCFICH와 PHICH는 일정량의 자원을 사용하는데 PDCCH와의 다중화와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mini-CCE의 집합으로 자원의 양이 결정된다. 하나의 PCFICH는 NPCFICH개의 mini-CCE를 사용하여 구성하며 하나의 PHICH는 NPHICH개의 mini-CCE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NPCFICH=4이고 NPHICH=3이라면 PCFICH는 16 RE를 사용하고 PHICH는 12 RE를 사용한다.
PHICH는 여러 ACK/NACK 신호를 다중화 하기 위해 CDM(Code Domain Multiplexing) 기법을 적용한다. 하나의 mini-CCE에는 4개의 PHICH가 CDM으로 다중화되고,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 NPHICH 개수만큼 주파수 축 상에서 최대한 떨어지도록 반복 전송된다. 따라서 NPHICH개의 mini-CCE를 사용하면 4개 혹은 그 이하의 PHICH를 구성할 수 있다. 4개를 초과하는 PHICH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NPHICH개의 mini-CCE를 사용하여 한다. 필요한 PHICH의 개수가 M이라면 ceil(M/4)ㅧ NPHICH개의 mini-CCE, 즉 4ㅧceil(M/4)ㅧ NPHICH개의 RE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ceil(x)는 x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를 구하는 올림함수이다.
본 발명은 개별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물리 자원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하나의 제어 채널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매핑 하여 제어 정보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따라 시간을 우선하여 mini-CCE의 번호를 매긴 후 상기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하는 제어기와, 상기 mini-CCE들 중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를 선별하여 배열하고 제1 제어 채널을 매핑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 매핑에 사용되지 않은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와 두번째 이후의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을 상기 번호순으로 재배열하고 상기 재배열된 잔여 mini-CCE들에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사상기와 상기 매핑된 제1 제어 채널 및 제2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송신 방법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따라 시간을 우선하여 mini-CCE의 번호를 매기는 과정과, 상기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mini-CCE들 중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를 선별하여 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에 제1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채널 매핑에 사용되지 않은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와 두번째 이후의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을 상기 번호순으로 재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잔여 mini-CCE들에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매핑된 제1 제어 채널 및 제2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어 채널의 자원 매핑은 2차원 상에 존재하는 mini-CCE 자원을 mini-CCE 번호 매기는 규칙에 의해 1차원으로 배열시키고 물리 채널의 자원 mapping 규칙에 따라 개별 제어 채널의 자원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는 최대한 번호 간격이 큰 물리 자원을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게 하는데, 번호 간격이 클수록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는 자원이 되도록 mini-CCE의 번호가 매겨져 있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PCFICH용 mini-CCE를 우선 선택하고 남은 mini-CCE에서 PHICH용 mini-CCE를 선택한 뒤 최종적으로 남은 mini-CCE들을 이용하여 CCE를 구성하고 PDCCH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개별 제어 채널이 점유하는 mini-CCE들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것, 즉 중복 정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mini-CCE 번호 매기기와 물리채널의 자원 매핑, 제어 채널의 자원 매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mini-CCE 번호 매기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안테나 포트의 개수(이하 Nant)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 L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각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은, mini-CCE 번호 는 시간을 우선하여 번호를 매기고, 이를 이용하여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 물리 채널에 매핑한 후, 상기 물리 채널에 PCFICH, PHICH 및 PDCCH 등의 제어 채널을 매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mini-CCE 번호 매기기)
물리 자원인 개별 mini-CCE를 어느 제어 채널 구성에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규칙을 정하기 위해 우선 mini-CCE의 번호를 매기는 방법을 정의한다.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 Nant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 L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데, 2차원의 mini-CCE를 시간 축 상에서 우선 번호를 매기는 규칙을 공통적으로 적용한다.
도 2는 Nant=4이고 L=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자원 블록이란 주파수 축 상에서 12 RE와 시간 축 상에서 L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자원의 집합을 의미한다. 12 RE는 한 RB를 구성하는 주파수 축 상 자원의 개수와 동일 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한 RB 내에는 채널 응답이 거의 차이 없다는 가정 하에서 RB를 구성하는 주파수 축 상에서 12 RE를 한 RB로 정의하였다. 이 가정을 토대로 한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는 채널 응답이 거의 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도 2의 RS의 위치는 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mini-CCE의 번호를 매기는 데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Nant=4이고 L=3일 때, 하나의 제어 자원 블록은 7 개의 mini-CCE를 포함하게 된다. 200은 0번 mini-CCE를 나타낸다. 하나의 mini-CCE는 4개의 유효 RE로 구성되어야만 하는데, mini-CCE 0에서 2개의 RE가 RS0와 RS1에 사용되었으므로 RS를 포함하면 6개의 RE로 구성된다.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적용하면 다음 mini-CCE인 1번 mini-CCE는 다음 OFDM 심볼에 위치한 201이다. 마찬가지로 2개의 RE가 RS2와 RS3에 사용되었으므로 RS를 포함하면 6개의 RE로 구성된다. 2번 mini-CCE는 다음 OFDM 심볼에 위치한 202이다. Subframe에서 세 번째 OFDM 심볼에는 RS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순수하게 4개의 RE가 하나의 mini-CCE를 구성한다. 3번 mini-CCE는 202와 동일 OFDM 심볼에 위치한 203이다. 마찬가지로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 규칙을 적용하면 4번, 5번, 6번 mini-CCE는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204, 205, 206이 되며 4번 mini-CCE(204)와 5번 mini-CCE(205)는 RS로 인해 6개의 RE를 포함하게 된다.
도 3은 Nant=4이고 L=3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mini-CCE의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를 도 3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어자원 블록 0(210) 내의 mini-CCE 번호는 도 2와 같고 제어자원 블록 1(211)도 동일한 방식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Mini-CCE의 번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자원 블록 K(213)에서는 7K번째 mini-CCE부터(7K+6)번째 mini-CCE까지 총 7개의 mini-CCE가 정의되며, 그 순서는 220, 221, 222, 223, 224, 225, 226과 같다. 이중 220과 224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고 221, 225는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222, 223, 226은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다. 특정 mini-CCE가 몇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는 해당 mini-CCE 번호를 7로 나눈 나머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가 0 또는 4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1 또는 5이면 두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2, 3, 또는 6이면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이다.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는 두 mini-CCE의 번호 차이가 클수록 주파수 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추후 매핑 규칙을 정의함에 있어서, 번호 차이가 큰 mini-CCE들로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한 얻을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Nant=2이고 L=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의 차이점은 2번째 OFDM 심볼에서는 RS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2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301, 303, 306)는 4개의 RE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제어자원 블록 0(210)는 총 8개의 mini-CCE를 포함하며,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가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0번 mini-CCE부터 7번 mini-CCE까지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5는 Nant=1이고 L=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 포트가 1개만 정의되어 RS0만 필요하지만 RS1의 자리는 비워두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mini-CCE 구성에 활용 가능한 유효 RE의 위치와 개수는 안테나 포트가 2개 정의된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비록 안테나 포트의 수는 도 4와 차이 가 있지만 mini-CCE의 번호는 도 4에서와 동일하다. 0번 mini-CCE부터 7번 mini-CCE까지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6은 Nant=1 또는 2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에서 하나의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mini-CCE의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를 도 6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어자원 블록 0(210) 내의 mini-CCE 번호는 도 4, 도 5에서와 같고 제어자원 블록 1(211)도 동일한 방식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Mini-CCE의 번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자원 블록 K(213)에서는 8K번째 mini-CCE부터(8K+7)번째 mini-CCE까지 총 8개의 mini-CCE가 정의되며, 그 순서는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과 같다. 이중 330과 335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고 331, 333, 336은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332, 334, 337은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다. 특정 mini-CCE가 몇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는 해당 mini-CCE 번호를 8로 나눈 나머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가 0 또는 5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1, 3 또는 6이면 두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2, 4, 또는 7이면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이다.
도 7은 Nant=4이고 L=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의 제어 자원 블록은 4개의 mini-CCE를 포함하게 된다.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적용하여 0번 mini-CCE부터 3번 mini-CCE까지 400, 401, 402, 403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모든 mini-CCE는 RS를 포함하고 있어서 6개의 RE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8은 Nant=4이고 L=2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는 하나의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mini-CCE의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를 도 8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어자원 블록 0(210) 내의 mini-CCE 번호는 도 7과 같고 제어자원 블록 1(211)도 동일한 방식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mini-CCE의 번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자원 블록 K(213)에서는 4K번째 mini-CCE부터(4K+3)번째 mini-CCE까지 총 4개의 mini-CCE가 정의되며, 그 순서는 400, 401, 402, 403과 같다. 이중 400과 402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고, 401, 403은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다. 특정 mini-CCE가 몇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는 해당 mini-CCE 번호를 4로 나눈 나머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가 0 또는 2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1 또는 3이면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이다.
도 9는 Nant=2이고 L=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의 차이점은 2번째 OFDM 심볼에서는 RS가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2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501, 502, 504)는 4개의 RE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제어자원 블록 0(210)는 총 5개의 mini-CCE를 포함하며,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가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0번 mini-CCE부터 4번 mini-CCE까지 500, 501, 502, 503, 504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10은 Nant=1이고 L=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 포트가 1개만 정의되어 RS0만 필요하지만 RS1의 자리는 비워두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mini-CCE 구성에 활용 가능한 유효 RE의 위치와 개수는 안테나 포트가 2개 정의된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비록 안테나 포트의 수는 도 9와 차이가 있지만 mini-CCE의 번호는 도 9에서와 동일하다. 0번 mini-CCE부터 4번 mini-CCE까지 510, 511, 512, 513, 514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11은 Nant=1 또는 2이고 L=2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에서 하나의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mini-CCE의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를 도 11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어자원 블록 0(210) 내의 mini-CCE 번호는 도 9, 도 10에서와 같고 제어자원 블록 1(211)도 동일한 방식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mini-CCE의 번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자원 블록 K(213)에서는 5K번째 mini-CCE부터(5K+4)번째 mini-CCE까지 총 5개의 mini-CCE가 정의되며, 그 순서는 530, 531, 532, 533, 534와 같다. 이중 530과 533은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고 531, 532, 534는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다. 특정 mini-CCE가 몇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지는 해당 mini-CCE 번호를 5로 나눈 나머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나머지가 0 또는 3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나머지가 1, 2 또는 4이면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이다.
도 12는 Nant=2이고 L=1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의 제어 자원 블록은 2개의 mini-CCE를 포함하게 된다. 하나의 OFDM 심볼만이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적용하더라도 단순히 주파수 축 상에서 번호를 매긴 것과 다르지 않다. 0번 mini-CCE와 1번 mini-CCE는 600, 601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모든 mini-CCE는 RS를 포함하고 있어서 6개의 RE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3은 Nant=1이고 L=1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를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 포트가 1개만 정의되어 RS0만 필요하지만 RS1의 자리는 비워두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mini-CCE 구성에 활용 가능한 유효 RE의 위치와 개수는 안테나 포트가 2개 정의된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비록 안테나 포트의 수는 도 12와 차이가 있지만 mini-CCE의 번호는 도 12에서와 동일하다. 0번 mini-CCE와 1번 mini-CCE는 600, 601의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도 14는 L=1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와 도 13에서 하나의 제어자원 블록 내에서 mini-CCE 번호 매기는 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전 시스템 대역에 걸쳐 mini-CCE의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를 도 14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어자원 블록 0(210) 내의 mini-CCE 번호는 도 12, 도 13에서와 같고 제어자원 블록 1(211)도 동일한 방식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Mini-CCE의 번호를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제어자원 블록 K(213)에서는 2K번째 mini-CCE부터(2K+1)번째 mini-CCE까지 총 2개의 mini-CCE가 정의되며, 그 순서는 630, 631과 같다. 하나의 OFDM 심볼만이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적용하더라도 단순히 주파수 축 상에서 번호를 매긴 것과 다르지 않으며 모든 mini-CCE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다.
상기 mini-CCE 번호 매기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술될 수 있다. Mini-CCE는 mini-CCE를 구성하는 RE 중 첫 RE에 의해 대표된다. 즉, k는 주파수 상에서의 서브 캐리어 인덱스이고, l은 시간 상에서의 OFDM 심볼 인덱스라고 할 때, 하나의 RE는 (k,l)이라는 인덱스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mini-CCE는 그 중 첫 RE의 인덱스 (k,l)에 의해 대표된다. 만약 mini-CCE를 포함하는 RB 즉, 제어 자원 블록(control resource block)이 RS로 시작한다면, mini-CCE를 대표하는 RE의 인덱스는 (k-1,l)로 바뀌어야 한다. 이 조건에서는 (k-1,l) 인덱스를 갖는 RE는 RS이다. Mini-CCE의 번호는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에 근거하는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k,l)에 의해 번호가 매겨지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함수 f(k,l)은 mini-CCE를 대표하는 RE (k,l)을 입력으로 하는 함수로 f(k,l)의 값의 순서에 따라 해당 mini-CCE의 번호를 매기는 것이다.
이러한 함수 f(k,l)의 하나의 실시 예는 f(k,l) = k+l로 정의하는 것이다. k는 상기 예에서 살펴 보았듯이 mini-CCE가 RS를 포함하면 6의 간격으로 증가하고 RS를 포함하지 않으면 4의 간격으로 증가한다. 반면 l은 1의 간격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주파수 인덱스인 k 값에서는 시간 인덱스인 l이 하나 증가하면 동일한 시간 인덱스인 l 값에서 주파수 인덱스 k를 하나 증가시킨 것이 비해 그 값이 작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시간 인덱스를 증가시킨 것이 주파수 인덱스를 증가시킨 것보다 우선해서 번호가 매겨지게 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에 함수 f(k,l) = k+l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구현하는 다양한 함수 f(k,l)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함수의 모든 실시예를 기술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부 mini-CCE 간에는 f(k,l)=k+l이 서로 다른 k와 l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출력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주파수 인덱스 k가 작은 mini-CCE가 앞선 번호를 갖도록 배치하면 상기 도면에서 설명한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요컨대, mini-CCE를 대표하는 RE의 인덱스 (k,l)을 이용하여 mini-CCE의 번호를 매김에 있어, 시간 우선 번호 매기기 조건을 만족하는 f(k,l)이라는 함수를 도입하여 f(k,l)의 값이 작은 mini-CCE가 앞선 번호를 갖고 만약 f(k,l)의 값이 동일하면 k가 작은 mini-CCE가 앞선 번호를 갖도록 mini-CCE의 번호를 매긴다. Mini-CCE를 대표하는 RE는 mini-CCE에 포함 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향후 자원 매핑에서는 이렇게 매겨진 mini-CCE의 번호 순으로 4개의 변조 심볼로 구성된 변조 심볼 집합들이 배치된다.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상기 mini-CCE의 번호 매기기는 자원에 번호를 매겨서 자원 매핑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절에서는 자원에 번호가 매겨진 이후에 물리 채널이 어떻게 자원에 매핑되는가를 설명한다.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은 최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변조 심볼을 시스템 전 대역에 퍼뜨리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원 매핑 방법으로 등간격 자원선택 방법과 지역기반 자원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도 15는 등간격 자원선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700~710은 개별 물리 자원이다. 물리 자원의 단위는 RE가 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인접한 RE 집합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LTE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물리 자원이므로 단위는 mini-CCE가 된다. 그러나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이 다른 종류의 채널에 적용된다면 물리 자원의 단위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도 15의 실시 예에서는 총 11개의 mini-CCE가 가용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11개의 mini-CCE 중에서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 전송에 사용할 것이다. 도 15는 702, 705, 708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된 첫 mini-CCE(702)는 0번 mini-CCE에서 오프셋(offset)(771)만큼 떨어진 것이고 선택된 나머지 mini-CCE(705, 708)는 일정한 간격(713)만큼 떨어져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00256500-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i는 선택된 mini-CCE의 순번을 나타내며 하나의 물리 채널이 Nphy개의 mini-CCE로 구성된다면 i=0,…,Nphy-1이다. 그리고 ni는 i번째로 선택된 mini-CCE의 번호를 나타낸다. 선택된 첫 mini-CCE는 offset번째 mini-CCE가 되며 선택된 나머지 mini-CCE는 gap만큼 일정한 간격 떨어진 mini-CCE가 된다. Ntotal은 가용한 mini-CCE의 개수를 나타내며 만약 mini-CCE의 번호가 Ntotal 이상이 되면 원형 천이(cyclic shift)하도록 mod 연산을 취한다. 여기서 mod(x,y)는 x를 y로 나눈 나머지를 뜻한다. 최대한 주파수 간격을 떨어뜨려 놓기 위해서 gap을 결정하면 gap=floor(Ntotal/Nphy) 또는 gap=ceil(Ntotal/Nphy)이다. 여기서 floor(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구하는 내림함수이고 ceil(x)는 x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를 구하는 올림함수이다. 도 15의 실시 예를 상기 <수학식 1>로 설명하면 각 파라미터는 Ntotal=11, Nphy=3, offset = 2, gap=floor(Ntotal/Nphy)=3이다.
도 16은 지역기반 자원선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총 11개의 mini-CCE가 가용한 상태에서 3개의 지역(zone)으로 구분한다. Zone 0(720)는 700, 701, 702 등 3개의 mini-CCE로 구성되어 있고, Zone 1(721)은 703, 704, 705 등 3개의 mini-CCE로 구성되어 있으며, Zone 2(722)는 706, 707, 708, 709, 710 등 5개의 mini-CCE로 구성되어 있다. 700, 703, 706은 각각 Zone 0(720), Zone 1(721), Zone 2(722)의 선두 mini-CCE이다. 각 지역의 선두 mini-CCE로부터 특정 offset만큼 떨어져 있는 mini-CCE가 선택되어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한다. 도 16의 실시 예는 Zone 0(720)에서는 선두 mini-CCE 700에서 offset 0 떨어진 702를 선택하고 Zone 1(721)에서는 선두 mini-CCE 703에서 offset 1 떨어진 705를 선택하고 Zone 2(722)에서는 선두 mini-CCE 706에서 offset 2 떨어진 708을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지역기반 자원선택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8000256500-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i는 선택된 mini-CCE의 순번을 나타내며 하나의 물리 채널이 Nphy개의 mini-CCE로 구성된다면 i=0,…,Nphy-1이다. Zone 별로 하나의 mini-CCE가 선택되므로 Zone의 개수는 Nphy가 되어야 한다. 상기 <수학식 2>에서 si는 Zone i의 선두 mini-CCE 번호를 나타낸다. Zone i가 zi개의 mini-CCE로 정의되었다면 s0 = 0이고 i=1,…,Nphy-1에 대해서 si = si-1+zi-1이다.
Figure 112008000256500-PAT00003
는 i번째 zone에서 몇 번째 mini-CCE가 선택되는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Figure 112008000256500-PAT00004
= mod(offseti, zi)이다. 한편 offseti는 셀과 서브프레임 별로 일정한 규칙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별로 offseti가 변하면 cell-specific 매핑이 되고 서브프레임 별로 offseti 가 변하면 지역 기반 호핑(zone-based hopping)이 된다.
도 16의 실시 예는 Zone 0(720)과 Zone 1(772)에 대해서 zi = floor(Ntotoal/Nphy)=3을 적용하고 나머지 mini-CCE를 Zone 2(722)로 설정한 경우로, 모든 i에 대해 offseti=2를 적용하여 mini-CCE 702, 705, 708을 선택하였다.
지역 기반 자원선택의 특징은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함에 있어 물리 채널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자원의 개수만큼 시스템 전 대역을 가능한 일정한 크기로 구 분하여 지역으로 설정하고 각 지역에서 물리 자원을 하나씩 선택하는 것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보장하고 셀 별, 서브프레임 별로 자원 선택 방법을 달리하여 간섭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지역 기반 자원선택 방법은 각 지역의 크기(zi)를 어떻게 설정하느냐 각 지역에서 offset(offseti)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7은 지역기반 자원선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각 Zone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3>의 규칙에 의해 결정되었다.
zi = si+1 - si where si = floor(i* Ntotoal/Nphy) for i=0, …, Nphy-2 and sNphy = Ntotal
즉, zi = floor((i+1)* Ntotoal/Nphy) - floor(i* Ntotoal/Nphy) for i=0,…, Nphy-2
zNphy-1 = Ntotal - floor((Nphy-1)* Ntotoal/Nphy)
상기 규칙에 의해서 Zone 0(730)는 700, 701, 702 등 3개의 mini-CCE, Zone 1(731)은 703, 704, 705, 706 등 4개의 mini-CCE, Zone 2(732)는 707, 708, 709, 710 등 4개의 mini-CCE로 구성된다. 모든 i에 대해 offseti=2를 적용하여 mini-CCE 702, 705, 709을 선택하여 하나의 물리 채널을 구성하였다.
(제어 채널의 자원 매핑)
상기의 mini-CCE 번호 매기기와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을 기반으로 이번 절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PCFICH, PHICH, PDCCH의 자원 매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Nant=4, L=3, LPHICH=1일 때 제어 채널 자원 매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Nant=4, L=3 일 때 mini-CCE의 번호는 도 3과 같이 매겨진다. 도 18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자원 블록의 수를 6개로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총 42개의 mini-CCE가 정의되어 있다. 42개의 mini-CCE를 번호순으로 1차원 재배열하면 821과 같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배치되어야 하고 LPHICH=1일 때 PHICH 역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PCFICH용 mini-CCE와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기 위해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내야 한다. 823은 이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낸 것이다. 42개의 mini-CCE 중에서 mini-CCE 번호를 7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 또는 4가 되는 0번, 4번, 7번, 11번, 14번, 18번, 21번, 25번, 28번, 32번, 35번, 39번 mini-CCE인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등 12개의 mini-CCE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것들이다. 823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선택 배열한 상태에서 우선 PCFICH용 mini-CCE를 선택한다. 825는 PCFICH용 mini-CCE 4개(NPCFICH=4)를 7번 mini-CCE(802), 18번 mini-CCE(805), 28번 mini-CCE(808), 39번 mini-CCE(811)로 선택한 것이다. PCFICH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 택에 따라 수행된다. PHICH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 중에서 최대한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는 mini-CCE로 선택하여야 한다. 827은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PHICH용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mapping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829는 PHICH용으로 선택된 mini-CCE를 도시한 것으로 PHICH 0,1,2,3(843)은 0번 mini-CCE(800), 14번 mini-CCE(804), 32번 mini-CCE(809)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고(NPHICH=3) PHICH 4,5,6,7(845)은 4번 mini-CCE(801), 21번 mini-CCE(806), 35번 mini-CCE(810)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었다(NPHICH=3). 831은 PCFICH와 PHICH에 사용된 mini-CCE를 제외한 mini-CCE 32개를 번호순으로 재배열 한 것이다. 남은 mini-CCE(847)로부터 CCE를 구성하고 PDCCH를 매핑하게 된다.
도 19는 PCFICH와 PHICH를 매핑하고 남은 mini-CCE로부터 CCE 구성 및 PDCCH 자원 매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서 PCFICH와 PHICH용으로 선택된 mini-CCE를 제외한 나머지 mini-CCE(847)을 번호순으로 배열 한 것이 1001~1015이다. 여기서 9개의 mini-CCE(NCCE=9)를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선택하여 하나의 CCE로 구성한다. CCE 0(1030), CCE 1(1031), CCE 2(1032)는 이렇게 선택된 mini-CCE들이다. 도 19의 실시 예에서는, PDCCH 0(1050)은 CCE 0(1030)와 CCE 1(1031)에 매핑되어 2개의 CCE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있으며, PDCCH 1(1051)은 CCE 2(1032)에 매핑되어 1개의 CCE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있다. 한편 남은 32개의 mini-CCE(847)로부터 3개의 CCE를 구성하였으므로 PDCCH에 사용되는 mini-CCE의 개수는 27개이고 5개의 mini-CCE는 어느 제어채널에도 사용되지 않는다. 5번 mini-CCE(1004), 11번 mini-CCE(1009), 25번 mini-CCE(1012) 등은 이와 같이 CCE로 선택되지 않은 mini-CCE를 나타낸다.
PCFICH와 PHICH를 매핑하고 남은 mini-CCE로부터 CCE 구성함에 있어, 번호 간격이 큰 mini-CCE를 선택하여 하나의 CCE를 구성하면 개별 CCE를 구성하는 mini-CCE가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므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채널 자원 매핑 및 디매핑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901 단계에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정의된 안테나 포트의 개수 Nant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 L에 따라 도 3, 도 6, 도 8, 도 11,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규칙으로 mini-CCE의 번호가 매겨진다.
다음으로 903 단계에서 모든 mini-CCE는 901 단계에서 매겨진 순서대로 1차원 재배열된다.
905 단계에서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를 선택하고 번호 순으로 선택된 mini-CCE를 재배열한다.
907 단계에서 905 단계에서 배열된 mini-CCE 중에서 NPCFICH개의 mini-CCE를 선택한다. 이 과정에서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909 단계에서 송신 장치의 과정으로 PCFICH 변조 심볼이 907 단계에서 선택된 PCFICH용 mini-CCE에 매핑되거나 수신 장치의 과정으로 PCFICH용 mini-CCE로부터 PCFICH 변조 심볼을 디매핑한다.
911 단계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된 mini-CCE를 제외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를 번호 순으로 배열한다.
913 단계에서 첫 번째 OFDM 심볼의 남은 mini-CCE로부터 NPHICH개의 mini-CCE를 선택한다. 이 과정에서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mini-CCE는 PHICH용 mini-CCE로 바로 사용될 수도 있고 PHICH용 mini-CCE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만약 LPHICH=1이면 913단계에서 선택된 mini-CCE는 바로 PHICH에 매핑된다. 그러나 LPHICH=3이면 PHICH용 mini-CCE는 첫 번째 OFDM에서만 선택되는 것이 아니다.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보장하기 위해서 우선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주파수 축 상 떨어져 있는 NPHICH개의 mini-CCE를 선택하고 이 중 일부 mini-CCE를 실제 PHICH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mini-CCE는 다른 OFDM 심볼에서 어떤 mini-CCE를 선택하여 PHICH용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ini-CCE 번호 매기는 규칙에 따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키면 동일한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를 지적할 수 있고,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의 번호를 둘 증가시키면 동일한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mini-CCE를 지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살펴보면,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4번 mini-CCE(204)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킨 5번 mini-CCE(205)는 두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고, 번호를 둘 증가시킨 6번 mini-CCE(206)는 세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4번, 5번, 6번 mini-CCE(204, 205, 206)은 모두 중복된 주파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14 단계에서 PHICH용 mini-CCE를 선택한다. PCFICH용 mini-CCE를 제외한 나머지 mini-CCE 중에서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는데, LPHICH=1이면 913 단계에서 선택된 mini-CCE를 그대로 PCFICH용 mini-CCE로 사용하고 LPHICH≠1이면 913 단계에서 선택된 mini-CCE를 토대로 PHICH용 mini-CCE를 선택한다. 914 단계의 자세한 설명은 도 23과 도 24의 실시 예 설명에서 자세히 다룬다.
915 단계에서 송신 장치의 과정으로 PHICH 변조 심볼이 914 단계에서 선택된 PHICH용 mini-CCE에 매핑되거나 수신 장치의 과정으로 PHICH용 mini-CCE로부터 PHICH 변조 심볼을 디매핑한다.
917 단계에서 PCFICH용 mini-CCE와 PHICH용 mini-CCE를 제외한 나머지 mini-CCE를 번호 순으로 1차원 재배열한다.
919 단계에서 NCCE개의 mini-CCE를 모아 CCE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921 단계에서 송신 장치의 과정으로 PDCCH 변조 심볼을 CCE에 매핑하거나 수신 장치의 과정으로 CCE로부터 PDCCH 변조 심볼을 디매핑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매핑이 적용된 기지국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기(953)는 셀 정보, PHICH의 개수 등을 토대로 개별 제어 채널의 매핑 규칙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제어 채널 및 RS의 자원 매핑은 사상기(955)를 통해 수행된다. 사상기(955)에는 RS 생성기(931)로부터 RS, PCFICH 신호 생성기(933)로부터 PCFICH 변조 신호, PHICH 신호 생성기(935)로부터 PHICH 변조 신호, PDCCH 신호 생성기(947)로부터 PDCCH 변조 신호 등이 전달된다. PHICH 신호 생성기(935)에서는 개별 PHICH 신호 생성기(939, 947)로부터 4개의 PHICH가 모여서 CDM(943)된다. 937과 945는 각각 PHICH 0~3과 PHICH 4~7 등 4개의 PHICH 신호가 생성되는 신호 생성기이다. 한편 PDCCH 신호 생성기(947)에서는 서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되는 PDCCH 신호를 생성 하는 개별 PDCCH 신호 생성기(949, 951)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PDCCH가 점유하는 CCE의 개수는 제어기(953)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 채널과 RS가 mapping된 신호는 PDSCH와 RS가 다중화된 신호(957)과 시간 축 상에서 다중화(959)되고 송신 처리 장치(961)을 거쳐 송신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매핑이 적용된 단말기 수신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송신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기(991)는 셀 정보, PHICH의 개수 등을 토대로 개별 제어 채널의 디매핑 규칙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제어 채널 및 RS의 자원 디매핑은 역사상기(979)를 통해 수행된다. 우선 수신 신호는 수신 처리 장 치(971)를 거쳐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되고 시간 축 상에서 역다중화(973)되어 PDSCH 및 PDSCH 영역의 RS와 제어 채널 및 제어 채널 영역의 RS로 분리된다. PDSCH 및 PDSCH 영역의 RS 수신 장치(953)에서 처리된 신호는 RS 역사상기(977)를 거쳐 RS를 분리해 내고 제어 채널 및 제어 채널 영역의 RS 신호는 역사상기(979)를 거쳐 RS만 분리한다(981). RS들은 채널 추정기(983)로 전달되어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 추정치는 PDSCH 수신기(995), PCFICH 수신기(985), PHICH 수신기(987), PDCCH 수신기(989)로 전달되어 각각 PDSCH 신호와 PCFCH 신호, PHICH 신호, PDCCH 신호를 수신하는데 활용된다. 역사상기(979)에서 PCFICH 변조 심볼열을 구분하여 PCFICH 수신기(985)로 전달하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제어 채널 영역의 크기 L을 복원하고 그 정보는 제어기(991)로 전달하여 역사상기(979)가 PHICH 및 PDCCH 변조 심볼열을 추출하는데 활용한다. PDSCH 역사상기(993)는 PDSCH 신호를 추출하여 PDSCH 수신기(995)로 전달하고, PDCCH 수신기(989)를 통해 복원한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기(991)의 통제하에서 PDSCH 수신기(995)는 데이터 채널을 복원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이 다른 조건하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몇 가지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 도 23과 도 24는 LPHICH가 1이 아닌 경우 PHICH의 자원 매핑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도 23은 Nant=1 또는 2, L=2, LPHICH=2일 때 제어채널 자원 매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은 SFN(Single Frequency Network)을 동작시키기 위한 서브프레임으로 서브프레임의 선두 2 OFDM 심볼이 제어 채널로 고정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SFN 전송으로 사용한다. LPHICH=1인 경우에는 도 18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PHICH의 자원 매핑을 적용할 수 있다. LPHICH가 1이 아니면, LPHICH=3인 것이 일반적이나,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특수하게 L=2이기 때문에 LPHICH=2가 된다. NPHICH=3이라면 LPHICH=2일 때 3개의 mini-CCE를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규칙을 정의해야 한다. OFDM 심볼간 소비 자원 및 소비 전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일부 PH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1개의 mini-CCE를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2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하고(이하 "1+2 선택") 일부 PH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2개의 mini-CCE를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1개의 mini-CCE 선택하여 구성(이하 "2+1 선택")한다. 이렇게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는 경우 도 18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추가적인 매핑 규칙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규칙은 도 20의 913, 914 단계에서 설명한 바 있다.
Nant=1 또는 2, L=2 일 때 mini-CCE의 번호는 도 11과 같이 매겨진다. 도 23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자원 블록의 수를 6개로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총 30개의 mini-CCE가 정의되어 있다. 30개의 mini-CCE를 번호순으로 1차원 재배열하면 821과 같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배치되어야 하고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 mini-CCE 역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중에서 선택되어야 하므로 PCFICH용 mini-CCE와 PHICH용 dummy mini- CCE를 선택하기 위해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내야 한다. 823은 이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낸 것이다. 30개의 mini-CCE 중에서 mini-CCE 번호를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 또는 3이 되는 0번, 3번, 5번, 8번, 10번, 13번, 15번, 18번, 20번, 23번, 25번, 28번 mini-CCE인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861 등 12개의 mini-CCE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것들이다. 823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선택 배열한 상태에서 우선 PCFICH용 mini-CCE를 선택한다. 825는 PCFICH용 mini-CCE 4개(NPCFICH=4)를 5번 mini-CCE(852), 13번 mini-CCE(855), 20번 mini-CCE(858), 28번 mini-CCE(861)로 선택한 것이다. PCFICH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참고로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L의 값이 2로 고정되므로 PCFICH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아직 LTE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예외가 정의된 바 없으나 만약 MBSFN 서브프레임에 한해 PCFICH가 전송되지 않는다면 PCFICH용 mini-CCE를 선택(825)하는 것과 이와 관련한 도 20의 907, 909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PHICH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 중에서 최대한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는 mini-CCE로 선택하여야 한다. 이렇게 선택된 mini-CCE가 PHICH용으로 직접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mini-CCE를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라고 하자. 827은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한 것이 다.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3번 mini-CCE(851), 15번 mini-CCE(856), 25번 mini-CCE(860)가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로 선택되었다. 이들(851, 856, 860)은 모두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것이다. 829는 PHICH용으로 선택된 mini-CCE를 도시한 것으로 PHICH 0,1,2,3(873)은 3번 mini-CCE(851), 16번 mini-CCE(863), 26번 mini-CCE(864)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고 PHICH 4,5,6,7(875)은 4번 mini-CCE(862), 15번 mini-CCE(856), 25번 mini-CCE(860)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었다(NPHICH=3).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중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3번 mini-CCE(851)을 PHICH 0,1,2,3(873)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PHICH 0,1,2,3(873)는 "1+2 선택"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나머지 두 mini-CCE는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PHICH mapping을 위한 나머지 dummy mini-CCE인 15번 mini-CCE(856)과 25번 mini-CCE(860)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킨 16번 mini-CCE(863), 26번 mini-CCE(864)를 PHICH 0,1,2,3(873)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ini-CCE 번호 매기는 규칙에 따르면 mini-CCE의 번호를 하나 증가 시키면 다음 OFDM 심볼에서 동일한 주파수 영역에 위치한 mini-CCE를 지적할 수 있다. 이미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선택한 PHICH 용 dummy mini-CCE는 주파수 축 상에서 가능한 멀리 떨어진 것으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mini-CCE의 번호를 증가시켜 선택한 두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역시 주파수 축 상에서 멀리 떨어진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중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15번 mini-CCE(856)과 25번 mini-CCE(860)을 PHICH 4,5,6,7(875)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PHICH 0,1,2,3(873)는 "1+2 선택"으로 구성하였으므로 PHICH 4,5,6,7(875)은 "2+1 선택"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OFDM 심볼간 소비 자원 및 소비 전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2개의 mini-CCE가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선택되었으므로 1개의 mini-CCE는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선택한다. 이를 위해 PHICH 0,1,2,3(873)에 사용된 3번 mini-CCE(851)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킨 4번 mini-CCE(862)를 PHICH 4,5,6,7(875)용 mini-CCE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PHICH 0,1,2,3(873)는 3번 mini-CCE(851), 16번 mini-CCE(863), 26번 mini-CCE(864)에 매핑되고 PHICH 4,5,6,7(875)는 4번 mini-CCE(862), 15번 mini-CCE(856)과 25번 mini-CCE(860)에 매핑된다.
정리하자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가 #A, #B, #C 선택되었다면 PHICH a~a+3은 mini-CCE #A, #(B+1), #(C+1)에 매핑하고 PHICH a+4~a+7은 mini-CCE #(A+1), #B, #C에 매핑한다. 이렇게 하면 PHICH a~a+3은 "1+2 선택"으로 구성되고 PHICH a+4~a+7은 "2+1" 선택으로 구성된다. 추가적인 PHICH가 필요할 경우에는 또 다른 dummy mini-CCE를 선택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PHICH 매핑을 위한 mini-CCE를 선택한다.
다른 방법으로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가 #A, #B, #C 선택되었다 면 PHICH a~a+3은 mini-CCE #A, #(B+1), #C에 mapping하고 PHICH a+4~a+7은 mini-CCE #(A+1), #B, #(C+1)에 매핑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PHICH a~a+3은 "2+1 선택"으로 구성되고 PHICH a+4~a+7은 "1+2" 선택으로 구성된다.
831은 PCFICH와 PHICH에 사용된 mini-CCE를 제외한 mini-CCE 20개를 번호순으로 재배열 한 것이다. 남은 mini-CCE(877)로부터 CCE를 구성하고 PDCCH를 매핑하게 된다.
도 24는 Nant=4, L=3, LPHICH=3일 때 제어채널 자원 매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LPHICH=3이고 NPHICH=3이라면 각 OFDM 심볼에서 하나의 mini-CCE를 선택하여 PHICH를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OFDM 심볼에서 선택된 mini-CCE라 하더라도 최대한 주파수 축상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선택되어야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Nant=4, L=3 일 때 mini-CCE의 번호는 도 3과 같이 매겨진다. 도 24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자원 블록의 수를 6개로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총 42개의 mini-CCE가 정의되어 있다. 42개의 mini-CCE를 번호순으로 1차원 재배열하면 821과 같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배치되어야 하고 LPHICH=1일 때 PHICH 역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PCFICH용 mini-CCE와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기 위해서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내야 한다. 823은 이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추려낸 것이다. 42개의 mini-CCE 중에서 mini-CCE 번호를 7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 또는 4가 되 는 0번, 4번, 7번, 11번, 14번, 18번, 21번, 25번, 28번, 32번, 35번, 39번 mini-CCE인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등 12개의 mini-CCE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것들이다. 823와 같이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만 선택 배열한 상태에서 우선 PCFICH용 mini-CCE를 선택한다. 825는 PCFICH용 mini-CCE 4개(NPCFICH=4)를 7번 mini-CCE(882), 18번 mini-CCE(805), 28번 mini-CCE(888), 39번 mini-CCE(891)로 선택한 것이다. PCFICH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참고로 LPHICH의 값이 3으로 고정되므로 어쩔 수 없이 선두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CCFI 정보는 무의미하며 PCFICH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아직 LTE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예외가 정의된 바 없으나 만약 LPHICH=3에 한해 PCFICH가 전송되지 않는다면 PCFICH용 mini-CCE를 선택(825)하는 것과 이와 관련한 도 20의 907, 909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PHICH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 중에서 최대한 주파수 축 상에서 떨어져 있는 mini-CCE를 PHICH용 dummy mini-CCE로 선택하여야 한다. 827은 첫 번째 OFDM 심볼의 mini-CCE 중에서 PCFICH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선택의 과정은 상기 물리 채널의 자원 매핑 규칙인 등간격 자원 선택 혹은 지역기반 자원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4번 mini-CCE(881), 21번 mini-CCE(886), 35번 mini-CCE(890)가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로 선택되었다. 이들(881, 886, 890)은 모두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것이다. 829는 PHICH용으로 선택된 mini-CCE를 도시한 것으로 PHICH 0,1,2,3(1103)은 4번 mini-CCE(881), 22번 mini-CCE(893), 37번 mini-CCE(894)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고 PHICH 4,5,6,7(1105)은 5번 mini-CCE(895), 23번 mini-CCE(896), 35번 mini-CCE(890)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되었다.
PHICH용 mini-CCE를 선택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중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4번 mini-CCE(881)을 PHICH 0,1,2,3(1103)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mini-CCE를 하나 선택하기 위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인 21번 mini-CCE(886)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킨 22번 mini-CCE(893)를 PHICH 0,1,2,3(1103)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OFDM 심볼에서 mini-CCE를 하나 선택하기 위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인 35번 mini-CCE(890)의 번호를 둘 증가시킨 37번 mini-CCE(894)를 PHICH 0,1,2,3(1103)을 mapping하는 데 사용하였다. 따라서 PHICH 0,1,2,3(1103)은 4번 mini-CCE(881), 22번 mini-CCE(893), 37번 mini-CCE(894)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된다. 한편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중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35번 mini-CCE(890)을 PHICH 4,5,6,7(1105)을 mapping하는 데 사용하였다.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mini-CCE를 하나 선택하기 위해 PHICH mapping을 위한 dummy mini-CCE인 4번 mini-CCE(881)의 번호를 하나 증가시킨 5번 mini-CCE(895)를 PHICH 4,5,6,7(1105)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OFDM 심볼에서 mini-CCE를 하나 선택하기 위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 인 21번 mini-CCE(886)의 번호를 둘 증가시킨 23번 mini-CCE(896)를 PHICH 4,5,6,7(1105)을 매핑하는 데 사용하였다. 따라서 PHICH 4,5,6,7(1105)은 5번 mini-CCE(895), 23번 mini-CCE(896), 35번 mini-CCE(890) 등 3개의 mini-CCE를 선택하여 구성된다.
정리하자면 PHICH 매핑을 위한 dummy mini-CCE가 #A, #B, #C 선택되었다면 PHICH a~a+3은 mini-CCE #A, #(B+1), #(C+2)에 mapping하고 PHICH a+4~a+7은 mini-CCE #(A+1), #(B+2), #C에 mapping하며 PHICH a+8~a+11은 mini-CCE #(A+2), #B, E(C+1)에 매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OFDM 심볼별로 하나의 mini-CCE를 선택하되 주파수 상 거리가 멀리 떨어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인 PHICH가 필요할 경우에는 또 다른 dummy mini-CCE를 선택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PHICH mapping을 위한 mini-CCE를 선택한다.
831은 PCFICH와 PHICH에 사용된 mini-CCE를 제외한 mini-CCE 32개를 번호순으로 재배열 한 것이다. 남은 mini-CCE(1107)로부터 CCE를 구성하고 PDCCH를 매핑하게 된다.
임의의 LPHICH에 따라 PHICH 매핑 방법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그러면 PHICH 매핑 방법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PHICH 그룹을 정의해야 한다. 앞서 도면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PHICH는 CDM되어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물리 자원에 CDM되는 PHICH의 집합을 PHICH 그룹이라고 정의한다. 4개의 PHICH가 CDM되어 전송된다면, PHICH a, PHICH a+1, PHICH a+2, PHICH a+3은 하나의 PHICH 그룹을 구성한다. 또한 실수 성분과 복소수 성분에 서로 다른 PHICH를 전송하는 I/Q 다중화를 적용한다면 8개의 PHICH가 CDM되며 PHICH a ~ PHICH a+7은 하나의 PHICH 그룹을 구성한다. PHICH 그룹 인덱스 g는 주어진 PHICH가 어느 PHICH 그룹에서 CDM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PHICH 인덱스를 p라고 하면 PHICH 그룹 인덱스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 = floor(p/PHICH_GROUP_SIZE)
여기서 PHICH_GROUP_SIZE는 하나의 PHICH 그룹에 몇 개의 PHICH가 CDM 되는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I/Q 다중화를 적용했을 경우 8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4이다.
CDM된 PHICH 그룹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mini-CCE 만큼의 물리 자원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 주파수 축상에서 NPHICH번 반복하여 전송한다. 즉 NPHICH개의 mini-CCE가 하나의 PHICH 그룹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NPHICH=3이라고 하면 3개의 mini-CCE를 이용하여 반복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PHICH 그룹을 전송하는 mini-CCE 각각에 번호를 매겨서 이를 반복 인덱스라고 정의하자. 반복 인덱스 r은 0, 1, …, NPHICH-1의 값을 가진다.
PHICH 그룹 g에 속한 PHICH의 매핑을 위해 dummy mini-CCE로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A0(g,0), #A0(g,1), …, #A0(g,NPHICH-1)가 선택되었다면 LPHICH, PHICH 그룹 인덱스 g, 반복 인덱스 r에 따라 실제 PHICH가 매핑되는 mini-CCE는 #A(g,0), #A(g,1), …, #A(g,NPHICH-1)가 되고 A(g,r)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된다.
A(g,r) = A0(g,r)+mod(g+r,LPHICH)
상기 방식을 이용하면 임의의 LPHICH에 따라 PHICH 매핑 방법을 수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PHICH=1이라면 #A0(g,0), #A0(g,1),..., #A0(g,NPHICH-1)가 그대로 PHICH 매핑용 mini-CCE가 된다. 이때, mod(g+r,LPHICH)은 g와 r이 어떠한 값을 가지더라도 0이 되므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LPHICH=2 또는 3일 경우 각각 도 23과 도 24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subframe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Nant = 4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Nant = 4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Nant = 2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Nant = 1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Nant = 1 또는 2이고 L = 3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Nant = 4이고 L = 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Nant = 4이고 L = 2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Nant = 2이고 L = 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Nant = 1이고 L = 2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Nant = 1 또는 2이고 L = 2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Nant = 2이고 L = 1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Nant = 1이고 L = 1일 때 제어자원 블록 0에서의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L = 1일 때 제어자원 블록 및 mini-CCE 번호의 할당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등간격 자원선택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지역기반 자원선택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지역기반 자원선택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Nant = 4, L = 3, LPHICH = 1일 때 제어채널 자원 mapping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mini-CCE로부터 CCE 구성 및 PDCCH 자원 mapping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제어채널 자원 매핑 및 디매핑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매핑이 적용된 송신기 장치의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원 매핑이 적용된 수신기 장치의 구성도,
도 23은 Nant = 1 또는 2, L = 2, LPHICH = 2일 때 제어채널 자원 mapping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Nant = 4, L = 3, LPHICH = 3일 때 제어채널 자원 mapping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0)

  1.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 포트의 개수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따라 시간을 우선하여 mini-CCE의 번호를 매기는 과정과,
    상기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mini-CCE들 중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를 선별하여 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에 제1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제어 채널 매핑에 사용되지 않은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와 두번째 이후의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을 상기 번호순으로 재배열하는 과정과,
    상기 재배열된 잔여 mini-CCE들에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매핑된 제1 제어 채널 및 제2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PCFICH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방 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PHICH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은,
    등간격 자원 선택을 기반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 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은,
    지역 기반 자원 선택을 기반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방법.
  6.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포트의 개수와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따라 시간을 우선하여 mini-CCE의 번호를 매긴 후 상기 mini-CCE를 번호순으로 배열하는 제어기와,
    상기 mini-CCE들 중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를 선별하여 배열하고 제1 제어 채널을 매핑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 매핑에 사용되지 않은 첫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와 두번째 이후의 OFDM 심볼에 위치하는 mini-CCE들을 상기 번호순으로 재배열하고 상기 재배열된 잔여 mini-CCE들에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사상기와,
    상기 매핑된 제1 제어 채널 및 제2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채널은,
    PCFICH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PHICH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어 채널 및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은,
    등간격 자원 선택을 기반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 및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매핑하는 과정은,
    지역 기반 자원 선택을 기반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의 자원 할당 장치.
KR1020080000400A 2007-10-02 2008-01-02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37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00A KR101376233B1 (ko) 2007-10-02 2008-01-02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BRPI0817494-6A BRPI0817494B1 (pt) 2007-10-02 2008-10-02 Método e aparelho para alocar recursos de um canal de controle de enlace descendente e aparelho para receber um canal de controle de enlace descendente
CA2701256A CA2701256C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RU2010112725/07A RU2447600C2 (ru) 2007-10-02 2008-10-0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назначения ресурсов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CN201410488058.5A CN104253682B (zh) 2007-10-02 2008-10-02 移动通信系统中传输和接收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PCT/KR2008/005833 WO2009045076A2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JP2010527892A JP5676261B2 (ja) 2007-10-02 2008-10-02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の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RU2011150472/07A RU2583045C2 (ru) 2007-10-02 2008-10-0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назначения ресурсов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AU2008307876A AU2008307876B2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E202008018273U DE202008018273U1 (de) 2007-10-02 2008-10-02 Zuweisung von Ressourcen an einem Steuerkanal in einem Mehrträger-Mobilkommunikationssystem
US12/244,445 US8208438B2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N201310062509.4A CN103152152B (zh) 2007-10-02 2008-10-02 移动通信系统中分配控制信道的资源的方法和装置
DE202008018255U DE202008018255U1 (de) 2007-10-02 2008-10-02 Zuweisung von Ressourcen an einen Steuerkanal in einem Mehrträger-Mobilkommunikationssystem
CA2925851A CA2925851C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X2010003675A MX2010003675A (es) 2007-10-02 2008-10-02 Metodo y aparato de distribucion de recursos de canal de control e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que utiliza multiplexion de division de frecuencia ortogonal.
MYPI2010001228A MY155991A (en) 2007-10-02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EP08017395.8A EP2045952B1 (en) 2007-10-02 2008-10-02 Allocation of resources to a control channel in a multicarri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880110082.8A CN101816158B (zh) 2007-10-02 2008-10-02 在使用正交频分复用的移动通信系统中分配控制信道的资源的方法和装置
ZA2010/02429A ZA201002429B (en) 2007-10-02 2010-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13/532,226 US8953552B2 (en) 2007-10-02 2012-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JP2013253204A JP5784692B2 (ja) 2007-10-02 2013-12-06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の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US14/601,795 US9167569B2 (en) 2007-10-02 2015-01-21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14/624,206 US9380565B2 (en) 2007-10-02 2015-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14/624,199 US9282547B2 (en) 2007-10-02 2015-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14/624,213 US9277544B2 (en) 2007-10-02 2015-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14/624,226 US9282548B2 (en) 2007-10-02 2015-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JP2015144954A JP5990632B2 (ja) 2007-10-02 2015-07-22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の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US15/195,325 US9794925B2 (en) 2007-10-02 2016-06-28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9537 2007-10-02
KR1020070099537 2007-10-02
KR1020070118847 2007-11-20
KR20070118847 2007-11-20
KR1020080000400A KR101376233B1 (ko) 2007-10-02 2008-01-02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63A true KR20090034263A (ko) 2009-04-07
KR101376233B1 KR101376233B1 (ko) 2014-03-21

Family

ID=4032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400A KR101376233B1 (ko) 2007-10-02 2008-01-02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8) US8208438B2 (ko)
EP (1) EP2045952B1 (ko)
JP (3) JP5676261B2 (ko)
KR (1) KR101376233B1 (ko)
CN (3) CN103152152B (ko)
AU (1) AU2008307876B2 (ko)
BR (1) BRPI0817494B1 (ko)
CA (2) CA2701256C (ko)
DE (2) DE202008018273U1 (ko)
MX (1) MX2010003675A (ko)
MY (1) MY155991A (ko)
RU (2) RU2447600C2 (ko)
WO (1) WO2009045076A2 (ko)
ZA (1) ZA201002429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39B1 (ko) * 2008-02-19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 채널 매핑 방법
KR20110000538A (ko) *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17813A (ko) * 2009-08-14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제어 채널 구성과 다중화 방법 및 장치
WO2013109099A1 (ko) * 2012-01-18 2013-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제어 채널 기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4017716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분산적 자원 할당에 따른 다이버시티 이득 획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16923A1 (ko) * 2016-07-21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채널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채널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14285540A (zh) * 2015-09-07 2022-04-05 凝聚技术公司 使用正交时间频率空间调制的多路存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189B1 (ko) 2007-03-2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신호 전송 방법
US8599819B2 (en) * 2007-06-19 2013-1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KR101397039B1 (ko) * 2007-08-14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예측 오류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cdm 방식 신호전송 방법
MX2010001707A (es) * 2007-08-14 2010-03-11 Lg Electronics Inc Metodo para adquiri informacion de region de recurso para canal indicador de solicitud automatica hibrido fisico (phich) y metodo para recibir canal de control de vinculo descendente fisico (pdcch).
US8542697B2 (en) * 2007-08-14 2013-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7785B1 (ko) 2007-08-16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KR101405974B1 (ko) * 2007-08-16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방법
US8798665B2 (en) * 2007-11-15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Beacon-based control channels
US9326253B2 (en) * 2007-11-15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US8761032B2 (en) * 2007-11-16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reuse based control channels
MX2010004702A (es) 2007-12-10 2010-05-13 Ericsson Telefon Ab L M Programacion mejorada en un sistema celular.
US9009573B2 (en) * 2008-02-0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catenated codes for beacon channels
US9107239B2 (en) * 2008-04-07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define control channels using reserved resource blocks
US8675537B2 (en) * 2008-04-0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BSFN subframes to send unicast information
KR101589600B1 (ko) 2008-08-05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상향링크 응답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413917B2 (ja) * 2008-10-31 2014-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サーチスペース設定方法、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8031670B2 (en) * 2008-11-13 2011-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the size of a control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JP5477793B2 (ja) * 2008-12-26 2014-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731333B1 (ko) 2009-03-25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120140A2 (ko) 2009-04-15 201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123214A2 (en) * 2009-04-22 2010-10-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pping subband/mini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1273293B1 (ko) * 2009-04-27 2013-06-1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포지셔닝 기준 신호
KR101637357B1 (ko) 2009-04-30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971257B2 (en) * 2009-04-30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PCFICH design for multicarrier operation
CN101594336B (zh) * 2009-06-19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参考信号的发送方法
US8583128B2 (en) * 2009-07-13 2013-11-1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control channels
US8767528B2 (en) * 2009-07-26 2014-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65320B1 (en) 2009-08-14 2015-10-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L backhaul control channel design for relays
CN101997809B (zh) * 2009-08-18 2013-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测量导频发送方法和系统
KR20110020708A (ko)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을 위한 제어 채널 구성과 다중화 방법 및 장치
CN102036314B (zh) * 2009-09-28 2014-12-10 夏普株式会社 跨载频指示处理方法和用户设备
US8300588B2 (en) * 2009-10-05 2012-10-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measurement timing in a relay cell
US20110151910A1 (en) * 2009-12-18 2011-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physical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19380B1 (ko) * 2009-12-18 2014-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EP2341656B1 (en) * 2009-12-29 2019-06-05 Acer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CN102014475B (zh) 2010-01-08 201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映射、码分复用方法及装置
CN102130870B (zh) * 2010-01-15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干扰的方法及装置
CA2789648C (en) * 2010-02-11 2018-08-21 Sony Corporation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US9407409B2 (en) * 2010-02-2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EP2378703A1 (en) 2010-04-13 2011-10-19 Panasonic Corporation Mapping of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hannel elements
KR101740445B1 (ko) 2010-04-22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로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263604B (zh) * 2010-05-25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te下行控制信道解映射的方法及装置
US11026169B2 (en) 2010-11-09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power save facility
KR101521034B1 (ko) 2010-12-22 2015-05-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리소스 할당 방법, 채널 상태 정보 송신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CN105848294A (zh) * 2010-12-22 2016-08-1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系统
TW201236420A (en) * 2010-12-22 2012-09-01 Nec Casio Mobile Comm Lt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396427B2 (ja) * 2011-05-02 2014-01-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718003B2 (en) 2011-06-20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327864A1 (en) * 2011-06-23 2012-12-27 Ido Gazit Reducing complexity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element group mapping on long term evolution downlink
KR101487653B1 (ko) * 2011-07-12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03026773B (zh) * 2011-07-27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CN103703846B (zh) * 2011-08-08 2018-07-13 安华高科技通用Ip(新加坡)公司 在下行链路信道的物理资源中供应资源元素分配
RU2581614C2 (ru) * 2011-08-12 2016-04-20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US8830936B2 (en) * 2012-02-07 2014-09-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llocating control channel elements to downlink control channels
US8688062B2 (en) * 2012-04-09 2014-04-01 Harri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9166718B2 (en) * 2012-05-11 2015-10-20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dication for a stand-alone new carrier type (NCT)
US8995377B2 (en) 2012-05-11 2015-03-31 Blackberry Limited PHICH resource provisioning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9686056B2 (en) 2012-05-11 2017-06-20 Blackberry Limited PHICH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s
US9112662B2 (en) * 2013-01-17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rhead reduction for transmission of acknowledgment signals
US9209923B2 (en) * 2013-11-06 2015-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OFDM signal
US9716579B2 (en) * 2014-08-19 2017-07-25 Intel IP Corporation Subcarrier allocations for operation in mixed bandwidth environments
CN107005973B (zh) * 2014-12-05 2021-0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执行链接自适应的方法和通信设备
US10805000B2 (en) * 2015-07-23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bent-pipe relay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US10750572B2 (en) 2015-08-05 2020-08-18 Ipcom Gmbh & Co. Kg SFN inter node messaging
ES2775476T3 (es) * 2016-02-18 2020-07-27 Ericsson Telefon Ab L M Coexistencia mejorada de sesiones tolerantes al retardo y sesiones sensibles al retardo
WO2017146516A1 (ko) *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887035B2 (en) * 2016-06-01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0498437B2 (en) 2016-06-01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Conveying hypotheses through resource selection of synchronization and broadcast channels
US10615897B2 (en) 2016-06-01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218236B2 (en) 2016-06-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US11563505B2 (en) 2016-06-0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synchronization channels
BR112019007319A2 (pt) * 2016-11-04 2019-07-02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para mapeamento de um canal de controle em enlace descendente físico curto e para receber informação em um canal de controle em enlace descendente físico, nó de rede, e, dispositivo sem fio
CN112600656A (zh) 2016-12-19 2021-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757581B2 (en) * 2017-03-22 2020-08-25 Mediatek In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NR systems
CN108631979B (zh) * 2017-03-24 2022-09-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解调导频的处理方法及装置
CN108633029B (zh) * 2017-03-24 202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波束指示方法及装置
CN108076525B (zh) * 2018-01-19 2022-03-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上行时域资源调度方法和网络设备
CN110324122B (zh) * 2018-03-29 2021-11-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20029172A1 (en) * 2018-08-09 2020-02-13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election
EP3854124A1 (en) 2018-09-17 2021-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mappi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7712A1 (ja) * 2003-02-28 2004-09-10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735225B1 (ko) * 2003-07-1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보코더 자원 관리 방법
KR100640461B1 (ko) 2003-07-3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560386B1 (ko) 2003-12-17 2006-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에서 코히어런트 검출을위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송수신 장치 및그 방법
KR100932486B1 (ko) * 2004-05-04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화 코드 할당 방법
KR100965694B1 (ko) * 2004-06-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08256A1 (en) * 2004-08-02 2008-01-10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fdm Transmitting Apparatus, Ofdm Receiving Apparatus, and Their Methods
KR100630196B1 (ko) * 2004-11-15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07059791A1 (en) 2005-11-28 2007-05-31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to a plurality of user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514771B2 (en) * 2005-12-22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d/or us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US7934137B2 (en) * 2006-02-06 2011-04-26 Qualcomm Incorporated Message remapping and encoding
EP1826939B1 (en) * 2006-02-24 2016-08-17 Sun Patent Trust Resource block candidate selection technique employing packet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7095860A1 (en) * 2006-02-24 2007-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US8451915B2 (en) * 2007-03-2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uplink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80189B1 (ko) * 2007-03-2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신호 전송 방법
JP4976543B2 (ja) * 2007-04-27 2012-07-1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下り制御チャネルを伝送する方法並びにブロックインターリーバを用いて制御チャネルを物理リソースにマッピングする方法
US7885176B2 (en) * 2007-06-01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modulation symbols to resources in OFDM systems
US20080305745A1 (en) * 2007-06-05 2008-12-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plink 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and cod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79811B2 (en) * 2007-10-30 2012-10-02 Motorola Mobility Llc Allocating downlink acknowledgement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494072B2 (en) * 2007-11-06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e control mapping of channel elements to resource elements
KR100913473B1 (ko) 2008-03-20 2009-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방법
JP5458098B2 (ja) * 2008-08-08 2014-04-02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粒度が高く後方互換性のあるリソース割り当て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599B2 (en) 2008-02-19 2014-03-25 Pantech Co., Lt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US7894330B2 (en) 2008-02-19 2011-0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pping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US8631297B2 (en) 2008-02-19 2014-01-14 Pantech Co., Lt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US8631298B2 (en) 2008-02-19 2014-01-14 Pantech Co., Ltd. Method for mapping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KR100925439B1 (ko) * 2008-02-19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 채널 매핑 방법
KR20110000538A (ko) *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9496950B2 (en) 2009-06-26 2016-11-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KR20110017813A (ko) * 2009-08-14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제어 채널 구성과 다중화 방법 및 장치
US9345013B2 (en) 2012-01-18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054280A (zh) * 2012-01-18 2014-09-17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用于基于增强型控制信道的操作的方法和设备
WO2013109099A1 (ko) * 2012-01-18 2013-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제어 채널 기반 동작 방법 및 장치
US9706540B2 (en) 2012-01-18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23606B2 (en) 2012-01-18 201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14035B2 (en) 2012-01-18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85251B2 (en) 2012-01-18 2018-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60931B2 (en) 2012-01-18 2020-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7716A1 (ko) * 2012-07-23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분산적 자원 할당에 따른 다이버시티 이득 획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54571B2 (en) 2012-07-23 2017-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iversity gain according to 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285540A (zh) * 2015-09-07 2022-04-05 凝聚技术公司 使用正交时间频率空间调制的多路存取
WO2018016923A1 (ko) * 2016-07-21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채널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채널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1005637B2 (en) 2016-07-2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channe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5991A (en) 2015-12-31
CN101816158A (zh) 2010-08-25
US20120263143A1 (en) 2012-10-18
EP2045952A2 (en) 2009-04-08
JP5990632B2 (ja) 2016-09-14
CA2925851C (en) 2017-10-31
AU2008307876A1 (en) 2009-04-09
US20150201407A1 (en) 2015-07-16
US9277544B2 (en) 2016-03-01
CN103152152B (zh) 2016-12-28
WO2009045076A2 (en) 2009-04-09
CN104253682A (zh) 2014-12-31
JP2010541462A (ja) 2010-12-24
US9794925B2 (en) 2017-10-17
BRPI0817494B1 (pt) 2023-12-26
KR101376233B1 (ko) 2014-03-21
US20150163787A1 (en) 2015-06-11
JP5676261B2 (ja) 2015-02-25
US9282547B2 (en) 2016-03-08
RU2583045C2 (ru) 2016-05-10
CA2701256A1 (en) 2009-04-09
RU2010112725A (ru) 2011-10-10
MX2010003675A (es) 2010-04-21
BRPI0817494A2 (pt) 2015-09-08
WO2009045076A3 (en) 2009-05-22
US20150163776A1 (en) 2015-06-11
US9380565B2 (en) 2016-06-28
AU2008307876B2 (en) 2012-03-15
CN101816158B (zh) 2014-10-29
US9167569B2 (en) 2015-10-20
JP2015222977A (ja) 2015-12-10
EP2045952A3 (en) 2014-09-24
CN104253682B (zh) 2018-09-28
US8208438B2 (en) 2012-06-26
JP2014078986A (ja) 2014-05-01
US20150163778A1 (en) 2015-06-11
RU2447600C2 (ru) 2012-04-10
CN103152152A (zh) 2013-06-12
US20090097447A1 (en) 2009-04-16
EP2045952B1 (en) 2023-07-05
CA2701256C (en) 2016-12-20
ZA201002429B (en) 2011-06-29
CA2925851A1 (en) 2009-04-09
DE202008018255U1 (de) 2012-04-24
DE202008018273U1 (de) 2012-07-25
US20160309454A1 (en) 2016-10-20
US8953552B2 (en) 2015-02-10
US20150163777A1 (en) 2015-06-11
RU2011150472A (ru) 2013-06-20
US9282548B2 (en) 2016-03-08
JP5784692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233B1 (ko)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RU25539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а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узла ретранслятора в подкадре транзитной передачи
KR101818584B1 (ko) 전용 기준 신호를 위한 공통 제어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10020719A (ko) Ofdm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을 위한 제어 채널 구성과 다중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17628A (ko) 릴레이를 위한 백홀 서브프레임의 기준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6557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피드백 기반의 제어 채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464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1351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이종 서브프레임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46322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채널 신호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