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87A - 액정표시장치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87A
KR20090034187A KR1020070099433A KR20070099433A KR20090034187A KR 20090034187 A KR20090034187 A KR 20090034187A KR 1020070099433 A KR1020070099433 A KR 1020070099433A KR 20070099433 A KR20070099433 A KR 20070099433A KR 20090034187 A KR20090034187 A KR 2009003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top cover
cover
crystal display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599B1 (ko
Inventor
최희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599B1/ko
Priority to US12/285,369 priority patent/US7847879B2/en
Publication of KR2009003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모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탑커버와 커버버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액정표시장치모듈 내에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탑커버와 커버버툼의 각 모서리를 드로잉(drawing)처리하여 곡선으로 구성하고, 측면을 헤밍(hemming)처리하여 2중 격벽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근의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에 따라 탑커버와 커버버툼이 얇은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탑커버와 커버버툼의 강성 증가를 위해 이들의 두께를 증가하거나 새로운 강성이 큰 재질로의 변경 또는 별도의 기구물을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무게 증가 및 신규 재료 선택의 어려움과 또한, 별도의 기구물 체결에 의한 공정 수 증가 및 공정조건의 복잡함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모듈, 탑커버, 커버버툼, 강성, 드로잉, 헤밍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장치모듈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탑커버와 커버버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우수하고 높은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로 인해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로 별도의 광 원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면으로는 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마련되어 액정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휘도의 화상이 구현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에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光源)으로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11)과 백라이트 유닛(20), 그리고 서포트메인(27)과 커버버툼(40), 탑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1)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15)을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커버버툼(40)의 측면 또는 배면으로 접혀 밀착되며, 상기 액정패널(11) 후방으로는 백라이트 유닛(20)이 구비되며, 이들 가장자리를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27)이 두른 상태로 액정패널(11)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3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4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27)을 매개로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서포트메인(27)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29)와, 상기 커버버툼(40) 상에 안착되는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25)과, 이러한 반사판(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21)가 포함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형광램프(29)로부터 발광한 빛은 상기 도광판(23)의 입광부로 입사되어 액정패널(11) 방향으로 굴절되고,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21)를 통과하는 동안 균일휘도의 고품위로 가공되어 액정패널(11)에 입사되어, 이로써 액정패널(11)은 외부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최근 액정표시장치모듈의 강도보강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탑커버(30)와 커버버툼(40)을 통해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의 비틀림과 강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탑커버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커버버툼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커버(30)는 네 가장자리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액정패널(도 1의 11)의 상면 가장자리를 덮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네 방향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끊어져 구성되어, 상기 탑커버(30)의 네 모서리는 모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버툼(40)은 네 가장자리가 수직 절곡된 측면을 구비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측면 역시 상기 탑커버(30)와 마찬가지로 네 가장자리의 측면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끊어져 구성되어, 이의 네 모서리 모두 개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에 따라 이러한 탑커버(30)와 커버버툼(40)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탑커 버(30)와 커버버툼(40)의 측면 사이의 끊어진 모서리에서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어, 상기 모서리의 굽힘 현상에 의해 상기 탑커버(30)와 커버버툼(40)의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탑커버(30)와 커버버툼(40)은 새로운 강성이 큰 재질로의 변경 또는 별도의 기구물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의 비틀림이나 휨 등을 개선하고자 하나,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무게 증가 및 신규 재료 선택의 어려움과, 별도의 기구물 체결에 의한 공정 수 증가 및 공정조건의 복잡함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비틀림이나 휨 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정의 단순화 및 공정비의 절감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부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 가장자리를 두르는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며, 상면과 이에 연장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된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네 방향의 측면이 이루는 각 모서리가 곡선처리되며 이의 일 측면이 2중으로 구성되는 탑커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탑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이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탑커버의 2중으로 구성된 일 측면에는 인쇄회로기판 인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탑커버의 네 가장자리 측면은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면은 이의 끝단이 완전히 접혀지도록 절곡하여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버툼은 사각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의 밑면과 네 가장자리가 소정높이로 수직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되며, 이의 측면이 이루는 각 모서리가 곡선처리되며 상기 측면이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버툼의 각 모서리에는 이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모듈 내에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탑커버와 커버버툼의 각 모서리를 드로잉처리하여 곡선으로 구성하고, 측면을 헤밍처리하여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최근의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에 따라 탑커버와 커버버툼이 얇은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탑커버와 커버버툼의 강성 증가를 위해 이들의 두께를 증가하거나 새로운 강성이 큰 재질로의 변경 또는 별도의 기구물을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무게 증가 및 신규 재료 선택의 어려움과 별도의 기구물 체결에 의한 공정 수 증가 및 공정조건의 복잡함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액정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20), 그리고 서포트메인(127)과 커버버툼(140), 탑커버(130)로 구성된다.
먼저 액정패널(111)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 1 기판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pixel)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 2 기판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R, G, 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된다. 또한, 이들을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같은 액정패널(111)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 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같은 연결부재(115)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127)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140)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17)은 각각 게이트라인으로 박막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신호를 스캔 전달하는 게이트구동회로 그리고 데이터라인으로 프레임별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회로로 구분되어 액정패널(111)의 서로 인접한 두 가장자리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111)은 스캔 전달되는 게이트구동회로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데이터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는 액정패널(111)이 나타내는 투과율의 차이가 외부로 발현되도록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이 구비되며, 이들 가장자리를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127)이 두른 상태로 액정패널(111)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13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1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14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127)을 매개로 일체화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기 서포트메인(127)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129)와, 상기 커버버툼(140) 상에 안착되는 백색 또는 은색의 반사판(125)과, 이러한 반사판(125)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1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121)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형광램프(129)를 가이드 하는 램프가이드(미도시)가 더욱 구비되는데, 상기 램프가이드는 도광판(123)을 향하는 내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광램프(129)의 상하 그리고 외측을 둘러, 이의 보호와 더불어 빛을 서포트메인(127) 내부 방향으로 집중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형광램프(129)로부터 발광한 빛은 램프가이드(미도시)에 의해 도광판(123) 측면으로 입사되어 액정패널(111) 방향으로 굴절되고, 광학시트(121)를 통과하는 동안 균일휘도의 고품위로 가공되어 액정패널(111)로 공급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형광램프(129)가 서포트메인(127)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에지(edge)형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반 사판(125)의 상부 전면으로 형광램프(129)를 다수개 나란하게 배열하는 직하(direct)형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직하형의 경우에는 도광판(123)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구성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은 특히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탑커버(130)와 커버버툼(140)의 각 모서리를 드로잉(drawing)처리하고 상기 탑커버(130)와 커버버툼(140)의 측면을 헤밍(hemming)처리함으로써, 상기 탑커버(130)와 커버버툼(140)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도 4의 탑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서포트메인(도 4의 127) 및 커버버툼(도 4의 140)과 조립 체결되는 탑커버(130)는, 상기 액정패널(도 4의 111)의 상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단면이"ㄱ"형태로 절곡된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탑커버(130)의 전면을 개구하여 액정패널(111)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특히 상면(131)으로부터 절곡된 네 가장자리의 측면(133)이 모두 연결되어 상기 탑커버(130)가 세 각(상면, 두 측면의)이 모여 이루는 네 개의 모서리(135)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네 모서리(135)를 드로잉처리로 인한 곡선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탑커버(130)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탑커버(130)의 네 방향의 측면(133)을 모두 연결하여 이의 모서리(135)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탑커버(도2의 30)의 네 모서리가 개구되어 이의 모서리에서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던 기존에 비해 상기 탑커버(130) 모서리(135)의 강성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탑커버(130)의 비틀림이나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탑커버(130)의 네 모서리(135)를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의 강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 모서리(135)를 곡선처리하지 않고 각(角)이 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각진 모서리 부분의 에지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에지부가 쉽게 비틀리거나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커버(130)의 네 모서리(135)를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탑커버(130)의 모서리(135)가 비틀리거나 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의 강성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곡선처리된 모서리(135)에는 모서리(135)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137)를 더욱 구성한다.
이는 상기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재료의 전성(展性)을 이용하여 상기 곡선처리된 모서리(135)를 갖는 탑커버(130)를 손쉽게 제작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130)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금속플레이트를 사각형 형상의 일정크기로 절단한 후, 상기 절단된 금속플레이트의 내측에 사각형 형 상의 개구면을 형성한 후, 단면이"ㄱ"형상을 이루도록 밴딩(bending) 및 드로잉(drawing)가공함으로써 상기 탑커버(13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챔퍼부(137)를 형성하지 않으면 상기 탑커버(130)의 측면(133)을 밴딩하는 과정에서 이의 모서리(135)에 주름이나 갈라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챔퍼부(137)의 높이는 상기 탑커버(130)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최소한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탑커버(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액정패널(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테이프케리어패키지(115)를 매개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17)을 노출하여, 이의 인쇄회로기판(117)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모듈화 과정에서 상기 커버버툼(140)의 측면 또는 배면으로 접혀 밀착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다.
이때,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탑커버(130)의 일측면(13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로 인하여 상기 탑커버(130)의 다른 측면(133)들에 비해 그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탑커버(130)의 일측면을 2중으로 헤밍(hemming)처리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밍(hemming)이란 판재의 끝단을 접어서 포개는 공정으로, 이 공정으로 제품의 강성을 높이고, 외관을 돋보이게 하며, 날카로운 면을 없앨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130)의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측면(133)의 끝단을 상기 측면(133)의 외측면으로 완전히 접혀지도록 절곡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탑커버(130)의 측면(133)은 상기 탑커버(13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 1 측면(133a)과 상기 제 1 측면(133a)의 일끝단에서부터 상기 제 1 측면(133a)의 외측면으로 절곡되는 제 2 측면(133b)이 서로 맞닿아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탑커버(130)의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일측면(133)의 측벽 두께가 2배가 됨으로써, 강도가 취약했던 상기 탑커버(130)의 일측면(133)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133)을 내측면으로 접혀지도록 절곡하여 구성하여 상기 탑커버(130) 전체의 두께는 변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헤밍처리를 상기 인쇄회로기판 인출부(139)가 구성된 일측면 외에도 상기 탑커버(130)의 네 방향의 측면(133)에 모두 적용함으로써, 상기 탑커버(13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렇듯 탑커버(130)의 각 모서리(135)를 드로잉(drawing)처리하고 상기 탑커버(130)의 측면(133)을 헤밍(hemming)처리함으로써 탑커버(13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경량화에 의해 탑커버(130)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비틀림 또는 휨현상 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탑커버(130) 외에도 액정표시장치모듈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40)에도 적용 가능한데, 이에 대해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도 4의 커버버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Ⅹ-Ⅹ'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서포트메인(도 4의 127)을 안착하고 그 상에 다수의 광학시트(도 4의 121)를 안착하여 백라이트 유닛(도 4의 120)을 조립하는 기초가 되어, 액정표시장치모듈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140)은 사각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의 밑면(141)과 네 가장자리가 소정높이로 수직 절곡된 측면(143)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커버버툼(140)의 측면(143)이 이루는 모서리(145)는 드로잉처리로 인해 곡선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처리된 모서리(145)에는 모서리(145)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147)를 더욱 구성한다.
이는, 앞서 도 5의 탑커버(130)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처리로 인해 곡선처리된 모서리(145)를 통해 상기 커버버툼(140)의 강도가 증가된다.
즉, 상기 커버버툼(140)의 네 방향의 측면(143)을 모두 연결하여 이의 모서리(145)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버툼(도3의 40)의 네 모서리가 개구되어 이의 모서리에서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던 기존에 비해 상기 커버버툼(140)의 모서 리(145)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커버버툼(140)의 네 모서리(145)를 곡선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모서리(145)에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버툼(140)의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의 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챔퍼부(147)를 통해 상기 커버버툼(140)의 제조공정에서 이의 모서리(145)에 주름이나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버버툼(140)의 네 방향의 측면(143)을 외측면으로 완전히 접혀지도록 절곡하여 헤밍처리하여 상기 커버버툼(140)의 측면(143)이 2중 측벽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커버버툼(140)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모듈 내에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탑커버(130)와 커버버툼(140)의 각 모서리(135, 145)를 드로잉처리하여 곡선으로 구성하고, 측면(133, 143)을 헤밍처리하여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최근의 액정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에 따라 탑커버(130)와 커버버툼(140)이 얇은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탑커버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커버버툼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탑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커버버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Ⅹ-Ⅹ'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Claims (8)

  1. 커버버툼과;
    상기 커버버툼 상부에 안착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안착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액정패널 가장자리를 두르는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며, 상면과 이에 연장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된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네 방향의 측면이 이루는 각 모서리가 곡선처리되며 이의 일 측면이 2중으로 구성되는 탑커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각 모서리에는 이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2중으로 구성된 일 측면에는 인쇄회로기판 인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네 가장자리 측면은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5.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이의 끝단이 완전히 접혀지도록 절곡하여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툼은 사각모양의 하나의 판 형상의 밑면과 네 가장자리가 소정높이로 수직 절곡된 측면으로 구성되며, 이의 측면이 이루는 각 모서리가 곡선처리되며 상기 측면이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툼의 각 모서리에는 이의 일부가 떼어진 형상의 챔퍼(chamfer)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0070099433A 2007-10-02 2007-10-02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90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33A KR101290599B1 (ko) 2007-10-02 2007-10-02 액정표시장치모듈
US12/285,369 US7847879B2 (en) 2007-10-02 2008-10-02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a top frame with curved corners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that is folded back and against itself to provide a double-layered thick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33A KR101290599B1 (ko) 2007-10-02 2007-10-02 액정표시장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87A true KR20090034187A (ko) 2009-04-07
KR101290599B1 KR101290599B1 (ko) 2013-07-29

Family

ID=4056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33A KR101290599B1 (ko) 2007-10-02 2007-10-02 액정표시장치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47879B2 (ko)
KR (1) KR101290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327A (ko) * 2016-10-31 2018-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1774B2 (en) * 2007-06-28 2011-03-22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Metal frame for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a folding portion and a seamless curved shape
KR101182266B1 (ko) * 2009-11-1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97252B1 (ko) * 2009-12-18 2013-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서리의 빛샘이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USD668715S1 (en) * 2010-04-01 2012-10-09 Dtg International Gmbh Printing stencil
CN202102195U (zh) * 2011-05-09 2012-01-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块及其前框构造
KR101882709B1 (ko) * 2011-07-12 2018-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30128423A1 (en) * 2011-11-18 2013-05-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CN103376570A (zh) * 2012-04-17 2013-10-30 苏州方林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框架
CN103702540B (zh) * 2012-09-27 2017-06-30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显示模块以及用于显示模块的前框、背框与胶框
US9435941B2 (en) * 2013-04-25 2016-09-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fixture thereof
CN103335253B (zh) * 2013-07-18 2015-03-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包含其的液晶显示器
TWM477124U (en) * 2013-09-10 2014-04-2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with easy assembly function and related computer system
US9726919B2 (en) * 2013-09-17 2017-08-08 Black Diamond Video, Inc. Water resistant operating room display
CN110780376B (zh) * 2019-11-22 2021-10-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导光板及其制作方法、背光源、显示装置和撞点设备
CN112053632B (zh) * 2020-09-16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2071883B (zh) 2020-09-16 202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112916B (zh) * 2021-04-08 2022-06-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9501B1 (en) * 1997-05-29 2001-12-11 Auburn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argeting compounds to muscle
US6399575B1 (en) * 1998-11-10 2002-06-04 Auburn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argeting compounds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KR100993607B1 (ko) * 2003-10-30 2010-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JP3853792B2 (ja) * 2004-01-09 2006-12-06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筐体及び該筐体を備える表示装置
KR100741094B1 (ko) * 2005-12-09 2007-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073504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219058B1 (ko) * 2006-02-17 2013-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327A (ko) * 2016-10-31 2018-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3001A1 (en) 2009-04-23
US7847879B2 (en) 2010-12-07
KR101290599B1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99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7708451B2 (en) Bottom fram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4436349B2 (ja) 蛍光ランプガイドホルダ及びこれを利用し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液晶表示モジュール
US7352418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rect light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217027B2 (en) Backlight assembly with improved strength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777827B2 (en) Top frame with separable portion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3355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US8243232B2 (en)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90601B1 (ko) 액정표시장치
US85423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rotection sheet attached to a reflector and including a protruding part that extends along a first direction from an edge of the protection sheet
US7377677B2 (en) Backlight assembly with excellent light efficienc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60015174A (ko)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128693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126891A (ko) 서포트메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60095144A (ko)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100206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460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120020668A (ko) 복합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90057788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088320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5520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0005216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02870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55207A (ko) 램프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5458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