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906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906A
KR20090032906A KR1020070127382A KR20070127382A KR20090032906A KR 20090032906 A KR20090032906 A KR 20090032906A KR 1020070127382 A KR1020070127382 A KR 1020070127382A KR 20070127382 A KR20070127382 A KR 20070127382A KR 20090032906 A KR20090032906 A KR 20090032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signal
transmission
error value
residual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919B1 (ko
Inventor
남준영
김성락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240,29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088116A1/en
Publication of KR2009003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4Joint weighting using error minimizing algorithms, e.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cross-correlation" or matrix i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56Cyclotomic systems, e.g. Bell Labs Layered Space-Time [BL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을 위한 전송 신호의 검출 방법은,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 에러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V-BLAST, MMSE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송신 다중 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차 간섭 제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 데이터 스트림들의 검출 순서를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검출 순서에 따라서 순차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순차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1-02, 과제명: 4세대 이동통신용 적응 무선접속 및 전송 기술개발].
일반적으로, 무선 채널 환경은 다중 경로 간섭, 쉐도윙, 전파 간쇄, 시변 잡음, 간섭등으로 인한 낮은 신뢰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선 채널 환경의 낮은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다중 경로 신호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페이딩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를 분리하는 다중 송신 다중 수신(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은, 송신기 또는 수신기, 또는 양쪽 모두에 여러 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서로 독립적인 페이딩 신호에 의하여 다이버시티를 얻도록 한다.
상기한 다중 송신 다중 수신 시스템에서, 높은 주파수 효율을 얻기 위한 종래 기술은 'Bell Lab'에서 제안한 'V-블라스트(V-BLAST: Vertical Bell Lab LAyered Space Time)'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V-BLAST는 채널의 상태가 좋은 데이터 심벌을 먼저 검파하고, 이와 같이 검파된 심벌의 영향을 제거한 후에 다시 검파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한 V-BLAST는 데이터 스트림 검출을 위한 계산량이 O(M4)(M은 송신 안테나의 수)로써 매우 많기 때문에,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한 V-BLAST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QR 분해와 square-root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는 QR 분해와 square-roo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스트림 검출을 위한 계산량을 O(M3)로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복잡도를 개선하였다.
이 밖에도 다중 송신 다중 수신 시스템에서, 높은 주파수 효율을 얻기 위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실제 무선 채널 환경에 적합한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O(M4)에서 O(M3)으로 낮췄으나, 실제 현실적인 송신안테나 수가 제한적인데 이 경우 복잡도 개선은 2배 정도를 줄인 효과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Cholesky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종래기술보다 2배 이상 더욱 낮출 수 있는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전송 심볼 벡터의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등화 계수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 에러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M개의 전송신호 중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오차 공분산 행렬을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인수분해 하는 단계와, 상기 인수분해된 에러 공분산 행렬의 콜레스키 인수에 의하여 널링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등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등화 계수 결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의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검출 순서에 따라서 제1 전송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전송신호에 대한 널링 벡터를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차 간섭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제1 전송신호 및 제2 전송신호의 검출 순서를 잔여 에러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검출 순서 결정기와, 상기 제1 전송신호에 대응하는 제1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와, 상기 제1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제1 복호부와, 상기 복호된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를 제거하는 제1 제거부와, 상기 제2 전송신호에 대응하는 제2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송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2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2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제2 복호부를 포함하는 순차 간섭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holesky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종래기술보다 2배 이상 더욱 낮출 수 있는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전송 심볼 벡터의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BLAST 검출기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등화 계수 결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다중 송신 다중 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개의 송신 안테나들(109, 111, 113)과, N개의 수신 안테나들(121, 123, 125)로 구성된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송신기는 다중화기(101)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103, 105, 107)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FFT(Fast Fourier Transform)(127, 129, 131)와 신호 검출기(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송신기에서 다중화기(101)는 상기 수신기로 전송할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안테나(109, 111, 1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IFFT(103, 105, 107)는 각 송신 안테나(109, 111, 113)별로 존재하며, 상기 다중화기(101)의 출력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각 송신 안테나들(109, 111, 113)을 통해 전송한다.
다음으로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각 안테나별(121, 123, 125)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안테나별(121, 123, 125)로 존재하는 상기 FFT(127, 129, 131)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상기 신호 검출기(133)는 상기 FFT(127, 129, 131)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일정한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N 차원의 수신 신호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2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3
채널 행렬이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4
는 송신 신호 벡터이고, n은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다.
또한, 송신 신호 벡터의 에너지는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5
이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6
으로 수신 안테나 당 신호대 잡음비는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7
가 된다.
그리고, V-BLAST 순차간섭 제거 수신 방법의 i 번째 순차의 다른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 후의 수신신호는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T는 전치(transpose) 함수를, (-)H는 공액 복소(hermitian) 함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8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09
이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0
이다.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간섭 제거된 신호에 대한 널링 벡터(nulling vector)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1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2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3
의 열벡터이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4
는 V-BLAST 순차간섭 제거 수신 방법에 따른 i 번째 순차의 감소된 오차 공분산(error covariance)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은 최소 평균 자승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필터링을 위한 등화 계수일 수 있다.
V-BLAST 방법에서, M개의 전송 신호에 대한 검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신호 인덱스 의 결정 방법은 하기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5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6
는 행렬 A의 ij 번째 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4를 참조하면, V-BLAST 는 매 순차에서 추정오류 분산이 가장 작은 신호(오류 확률이 가장 적은 신호)를 우선적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검출 방식은 연산량이 매우 많은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간섭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순차 간섭 제거 장치는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의 검출 순서를 잔여 에러값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검출 순서 결정기(201), 상기 결정된 검출순서에 해당하는 전송신호(x1)에 대한 제1 필터 계수(w1)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전송신호(x1)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202), 상기 전송신호(x1)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y1)를 복호하는 제1 복호부(203), 상기 복호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신호(y)로부터 상기 전송신호(x1)를 제거하는 제1 제거부(204), 다음 검출 순서에 해당하는 전송신호(x2)에 대응하는 제2 필터 계수(w2)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신호(x1)가 제거된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전송신호(x2)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205) 및 상기 전송신호(x2)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호(y2)를 복호하는 제2 복호부(206)를 포함한다.
만일, 송신단 안테나 수 M이 3 이상인 경우에 상기 순자 간섭 제거 장치는 수신신호(y)로부터 상기 x1 및 x2를 제거하고, 상기 x1 및 x2 이외의 다른 전송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3 복호 블록(20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복호 블록(207)은 제2 제거기(208), 제1 제거기(209), 제3 필터부(210) 및 제3복호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207~211) 각각의 기능은 상기한 제1 제거기(204), 제2 필터부(210) 및 제2 복호부(20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의 상세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간섭 제거 장치는 V-BLAST 방법과 비교하면,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가 상이하고, 간섭 제거(interference nulling)를 위한 등화 계수(MMSE 필터 계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검출 순서 결정기(201)는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서 전송 심볼 벡터의 검출 순서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은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S301),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 에러값을 계산하는 단계(S302)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30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신호 검출 방법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7
상기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8
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는 설계상수(weighting factor) 이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19
는 다른 신호(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0
)의 간섭이 완벽하게 제거되었을 때의 전송신호 xm의 추정 오차 공분산 (estimation error covariance)으로써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1
상기 추정 오차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2
은 다른 모든 간섭이 완벽하게 제거된 후에도 줄일 수 없는 xm의 MMSE 추정치의 오차 공분산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차 간섭제거의 초기에 이러한 줄일 수 없는 (irreducible) 추정 오차가 큰 신호를 오류없이 제거할 수 있다면 남은 신호들은 줄일 수 없는 추정 오차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전체 신호의 추정 오차 공분산의 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5는 줄일 수 없는 추정 오차가 큰 신호가 설계상수에 따라 가능한 빠른 순차에서 제거가 되어 전체 신호의 추정 오차의 합이 적도록 하여 수신 비트 오류율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학식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 순차별로 별도로 순차를 결정하는 V-BLAST 와는 달리, 모든 M개의 전송신호에 대한 검출 순서를 미리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5는 수학식 4에 있는 종래의 V-BLAST 배열 방식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 검출 순서가 미리 결정됨으로 인해 아래 기술하는 대로 계산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과 V-BLAST와의 차이점은 하기 예를 통해 더 잘 이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2,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3
,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4
,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5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6
이라 가정한다.
상기 예에서, 전체 순차에서 x2의 오차공분산이 최소임에도 불구하고, V-BLAST 방식은 상기 수학식 4에 의하여 x1을 첫 번째 검출될 전송 신호로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7
가 1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학식 5에 의하여 x2을 첫 번째 검출된 신호로 결정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2, 205, 210)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서 MMSE 필터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E 필터 계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M개의 전송신호 중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오차 공분산 행렬을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인수분해 하는 단계(S401~S403), 상기 인수분해된 에러 공분산 행렬의 콜레스키 인수에 의하여 널링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S404, S405) 및 상기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등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S406)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202, 205, 210)는 후술하는 콜레스키 인수분해(Cholesky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MMSE 필터의 계수를 결정한다.
먼저, 에러 공분산 행렬은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콜레스키 인수분해 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8
상기 수학식 7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29
는 양의 대각 엘리먼트를 갖는 하위 삼각 행렬(unique lower triangular matrix)로써,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0
의 콜레스키 인수(factor)를 나타낸다.
한편,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1
의 콜레스키 인수분해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2
상기 수학식 8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3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4
의 콜레스키 인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8의 양변의 역(inverse)을 구하면,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5
상기 수학식 9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6
는 UL 인수분해에 의한 상위(upper) 삼각 행렬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MMSE 필터 계수는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7
상기 수학식 10에서,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8
이 성립하고
Figure 112007088511554-PAT00039
Figure 112007088511554-PAT00040
이다.
이때, 상기 수학식 5에 의하여 상기 콜레스키 인수
Figure 112007088511554-PAT00041
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07088511554-PAT00042
상기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을 이용하여 MMSE 필터 계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필터 계수 계산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복잡도를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수학식 11은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검증 될 수 있 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11을 이용하여 MMSE 필터 계수를 구하고, 검출 순서에 따라서 전송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간섭 제거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검출 순서 결정부(201)는 수신된 전송 신호의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한다.
다음에, 상기 제1 필터부(202)는 상기 결정된 검출 순서에 따라서 제1 전송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전송신호에 대한 널링 벡터(
Figure 112007088511554-PAT00043
)를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한다.
상기 제1 제거부(204)는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다중 송신 다중 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 간섭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E 필터 계수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Claims (11)

  1.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 에러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에러값은 추정오차 공분산 및 임의의 설계 상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잔여 에러값이 작은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잔여 에러값이 큰 전송 신호 순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 방법.
  4. M개의 전송신호 중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오차 공분산 행렬을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인수분해 하는 단계;
    상기 인수분해된 에러 공분산 행렬의 콜레스키 인수에 의하여 널링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i 번째 전송신호에 대한 등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등화 계수 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키 인수는 양의 대각 엘리먼트를 갖는 하위 삼각 행렬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등화 계수 결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벡터는 [콜레스키 인수의 첫 번째 행 및 열의 엘리먼트]와 [콜레스키 인수의 첫 번째 열에 대한 공액 복소 함수]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등화 계수 결정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 번째 전송신호는,
    M개의 전송신호 중 잔여 에러값이 작은 전송신호로부터 상기 잔여 에러값이 큰 전송신호 순으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등화 계수 결정 방법.
  8. M개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신호의 잔여 에러값에 따라서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검출 순서에 따라서 제1 전송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전송신호에 대한 널링 벡터를 콜레스키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널링 벡터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 이외의 다른 전송신호의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차 간섭 제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된 수신신호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전송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간섭 제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의 검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신호 각각에 대한 잔여 에러값을 계산하고,
    잔여 에러값이 작은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잔여 에러값이 큰 전송 신호 순으로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순차 간섭 제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 벡터는 [콜레스키 인수의 첫 번째 행 및 열의 엘리먼트]와 [콜레스키 인수의 첫 번째 열에 대한 공액 복소 함수]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간섭 제거 방법.
KR1020070127382A 2007-09-28 2007-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3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40,298 US20090088116A1 (en) 2007-09-28 2008-09-29 Method and apparatus of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8174 2007-09-28
KR1020070098174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906A true KR20090032906A (ko) 2009-04-01
KR100939919B1 KR100939919B1 (ko) 2010-02-03

Family

ID=4075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382A KR100939919B1 (ko) 2007-09-28 2007-12-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104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37B1 (ko) * 2014-07-15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imo 수신기가 re 그룹 단위로 복수의 레이어를 정렬하여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122A (ko) * 2003-10-21 2005-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입력 다중출력에서의 적응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7539262B2 (en) * 2004-12-14 2009-05-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ip level equalization using joint proces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104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채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919B1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75562B (zh) 宽带miso和mimo系统的频率无关空间处理
JP6219334B2 (ja) 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送信ダイバシティをステアリングするための空間フィルターマトリックスの効率的な計算
US6441786B1 (en) Adaptiv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67659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channel estimation
JP4504958B2 (ja) 多重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空間マルチプレックス方式の検出装置及び方法
Song et al. Time reversal receivers for high data rate acoustic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EP1505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huffling pattern based on a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in a double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ystem
Zorita et al. Space–frequency block coding for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s
Zhou et al. Exploiting spatial–temporal joint sparsity for underwater acoustic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KR20080054315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신호 송수신 및 채널 추정장치 및 방법
TWI400902B (zh) 多重輸入輸出通訊系統之符元解映射方法及裝置
AU2007249136A1 (en) Data equalisation in a communication receiver with transmit and receive diversity
WO200803284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103391129A (zh) 用于对接收信号进行解码的装置和方法
JP5055372B2 (ja) 符号間干渉の抑制
JP2006005791A (ja) 通信路推定及びデータ検出方法
JP5859913B2 (ja) 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US2009008811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3991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순차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08663B1 (ko)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신호검출 방법 및 수신 장치
WO2014187356A1 (zh) 发射信号的多输入多输出mimo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20080087254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Du et al. Adaptive blind channel identification and equalization for OFDM-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Leus et al. Channel estimation
KR1013782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디코딩하는 수신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