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515A - 지수전 - Google Patents

지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515A
KR20090032515A KR1020070097829A KR20070097829A KR20090032515A KR 20090032515 A KR20090032515 A KR 20090032515A KR 1020070097829 A KR1020070097829 A KR 1020070097829A KR 20070097829 A KR20070097829 A KR 20070097829A KR 20090032515 A KR20090032515 A KR 2009003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branch pipe
housing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용
김동옥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최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최수용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515A/ko
Publication of KR2009003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다경로 분기 공급용 지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로를 형성하는 본체관; 및 상기 본체관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분기되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본체관의 유입로와 연통되는 제1 연통공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시 상기 제1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조건 및 환경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수전, 다용도, 밸브, 2구, 3구, 분기

Description

지수전{Water stopcock}
본 발명은, 물을 다경로로 분기(分岐) 공급하기 위한 지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조건 및 환경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경로 분기 공급용 지수전에 관한 것이다.
지수전의 원래 의미는, 상수도에서 물을 막기 위하여 배수관과 급수전 사이에 설치하는 플러그를 말한다. 고장 수리나 요금 체납 따위로 급수를 중단하려고 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수전은,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의 흐름 방향을 분기할 수도 있는 다기능 밸브 종류를 가리킨다.
한편,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가정이나 건물 등에는 세면기, 양변기, 비데, 식기세척기 등의 생활 편의 기구물들이 장착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물을 공급원으로 하기 때문에 이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들 각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수도관으로부터 밸브를 임의로 하나씩 분기시켜 상기의 생활 편의 기구물들로 물을 각각 공급하도록 하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지수전이 사용될 수 있다.
최초의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두 갈래 혹은 세 갈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지수전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고번호 20-0173509호를 비롯하여 다수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 공지된 기술을 비롯하여 기존에 널리 알려진 지수전은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 발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돌출되는 구조로서 부피가 크며, 특히 3구이상의 다지형(多枝形)일수록 부피 및 무게가 크게 증가하게되므로 설치 및 운반상의 어려움을 야기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물을 식기세척기, 정수기, 씽크대 수전 등 여러갈래로 분기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부피와 중량이 크게 증가되지 않게됨으로써, 제조경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도 간편하도록 하는 다경로 분기 공급용 지수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단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로를 형성하는 본체관; 및 상기 본체관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분기되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본체관의 유입로와 연통되는 제1 연통공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시 상기 제1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연통공은 상기 유입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물의 흐름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외부 및 내부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제1 및 제2 연통공들이 상호 연통되거나 상호간 연통이 해제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작부의 외면에는 미끌림방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작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관, 상기 외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에는 다수의 실(seal)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통공은 상기 유입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물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외부 및 내부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조건 및 환경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제1 실시예의 지수전(100)은, A 방향으로 유입된 물을 A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B 방향으로 내보내는 1구 지수전(100)이다. 단수전이라 명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수전(100)은 세면기, 싱크대 겸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세면기, 싱크대 외에도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수전(100)은, 크게 본체관(110)과, 하나의 분기관(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관(110)은 수도와 같은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결을 위해 본체관(110)의 일단에는 나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11)의 주변에는 플랜지 덮개(11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덮개(112)는 대략 측면 투영 시 사다리꼴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본체관(110)의 내부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로(1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수도 등의 물공급원을 온(on)시키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본체관(110)의 내부 유입로(110a)를 따라 유입되어 흐르게 된다.
하나의 분기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관(110)에 대해 대략 직교하게 마련된다. 참고로, 분기라는 용어의 의미는 한 갈래를 적어도 두 갈래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하에서는 물의 흐름 방향을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정의한다.
분기관(120)이 본체관(110)에 대해 대략 직교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유입된 물은 A 방향에서 B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분기관(120)의 내부에는 유입된 물을 B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로(12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입로(110a)와 배출로(120a)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면 B 방향으로 물이 흐를 수 없는데, 이를 위해 아래의 분기관(120) 구조가 마련된다.
분기관(120)은 본체관(110)의 유입로(110a)와 연통되는 제1 연통공(121a)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21)과, 외부하우징(1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시 제1 연통공(121a)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 연통공(122a)이 형성된 내부하우징(122)을 구비한다.
결국,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 물이 A 방향에서 B 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반대로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의 상호간 연통이 해제되도록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키면 물의 흐름이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에서 막히기 때문에 물은 B 방향으로 흐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로(110a)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흐름 방향과 나란하도록 외부 및 내부하우징(121,122)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22)의 회전 조작을 위해, 분기관(120)에는 내부하우징(122)에 결합되어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123)가 마련된다. 회전조작부(123)는 레버 형태가 아닌 링 구조로서 분기관(120)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조작부(123)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B 방향으로의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된다.
회전조작부(123)의 외면에는 회전조작부(123)의 조작 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의 미끌림방지부(123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끌림방지부(123a)는 홈 형태로 가공되어 있으나, 접착식 패드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또한 회전조작부(123)의 외면에는 회전조작부(123)에 결합되어 회전조작부(123)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24)가 더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내부하우징(122)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들을 상호간 연통시키거나 혹은 상호간 연통을 해제하려 하는 경우, 내부하우징(122)을 여러 번 회전시킬 필요는 없고 단지 수 내지 수십도 정도만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표시부(124)를 마련하는 경우, 표시부(124)의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들의 상호간 연통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표시부(124)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의 지수전(100)에서, 본체관(110), 외부하우징(121) 및 내부하우징(122) 사이에는 다수의 실(130, seal)이 마련되어 해당 위치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따라서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조작부(123)를 잡고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킨다.
만약,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면 물이 A 방향에서 B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제1 및 제2 연통공(121a,122a)이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내부하우징(122)을 회전시키면 물은 B 방향으로 흐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 조작을 통해 지수전(100)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담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률이 감소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조건 및 환경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수전(200~500)에 대한 도면들인데,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별되는 부분만을 집중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분기관(120, 도 1~3 참조)이 본체관(110, 도 1~3 참조)에 대해 직교하게 마련되어 있는 반면, 제2 실시예의 경우, 분기관(220)은 본체관(210)에 대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2 실시예 역시 단수전이며, A 방향으로부터의 물을 B 방향으로 보내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분기관(220) 내부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분기관(120) 내부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제3 실시예의 지수전(3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본체관(310)에 대 해 2개의 분기관(320a,320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기관(320a)은 본체관(310)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분기관(320b)은 본체관(310)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지수전(300)은 양변기나 비데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체관(310) 측으로부터 A 방향으로 유입된 물은 2개의 분기관(320a,320b)을 따라 각각 B1 방향 혹은 B2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고 혹은 해당 위치의 연통공(미도시)들의 배치 상태에 따라 차단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2개의 분기관(320a,320b) 내부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분기관(120) 내부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제4 실시예의 지수전(40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본체관(410)에 대해 3개의 분기관(420a,420b,420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기관(420a)은 본체관(410)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분기관(420b)은 본체관(410)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3 분기관(420c)은 제1 분기관(420a)의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지수전(400) 역시, 양변기나 비데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본체관(410) 측으로부터 A 방향으로 유입된 물은 3개의 분기관(420a,420b,420c)을 따라 각각 B1, B2, B3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고 혹은 차단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3개의 분기관(420a,420b,420c) 내부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분 기관(120) 내부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보면, 제3 분기관(420c)은 제1 및 제2 분기관(420a,420b)과는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3 분기관(420c)에는 워터해머 어레스터(450, WATERHAMMER ARRESTOR)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선택 사양이므로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지수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부분 내부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400 : 지수전 110 : 본체관
110a : 유입로 111 : 나사부
120 : 분기관 120a : 배출로
121 : 외부하우징 121a : 제1 연통공
122 : 내부하우징 122a : 제2 연통공
123 : 회전조작부 123a : 미끌림방지부
124 : 표시부 130 : 실

Claims (6)

  1. 일단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로를 형성하는 본체관; 및
    상기 본체관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분기되며,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본체관의 유입로와 연통되는 제1 연통공이 형성된 외부하우징; 및
    상기 외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 시 상기 제1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제2 연통공이 형성된 내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통공은 상기 유입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물의 흐름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외부 및 내부하우징의 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은, 상기 제1 및 제2 연통공들이 상호 연통되거나 상호간 연통이 해제되도록 상기 내부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의 외면에는 미끌림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조작부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 상기 외부하우징 및 상기 내부하우징 사이에는 다수의 실(seal)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지수전.
KR1020070097829A 2007-09-28 2007-09-28 지수전 KR20090032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829A KR20090032515A (ko) 2007-09-28 2007-09-28 지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829A KR20090032515A (ko) 2007-09-28 2007-09-28 지수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92U Division KR20090006082U (ko) 2009-03-31 2009-03-31 지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515A true KR20090032515A (ko) 2009-04-01

Family

ID=4075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829A KR20090032515A (ko) 2007-09-28 2007-09-28 지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5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5557A1 (en) Rotary switch valve core
KR20090060555A (ko) 쓰리 웨이 볼밸브
JP5275938B2 (ja) 流量調整止水栓
KR20090006082U (ko) 지수전
KR101111567B1 (ko) 급수전
KR20090032515A (ko) 지수전
JP2010095873A (ja) 水道管の凍結防止方法及び凍結防止バルブ
JPH1113908A (ja) 水抜き機構付き逆止弁
KR200409996Y1 (ko) 싱크대용 분기밸브
KR20140008931A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JP4594676B2 (ja) 水栓
KR200388676Y1 (ko)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JP2003028323A (ja) 四方切換え弁及び四方切換え弁を備えた給水管洗浄システム
KR20190002296U (ko) 배수기능을 갖는 볼밸브와 결합된 수도계량기
KR20180001701U (ko)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KR100928355B1 (ko) 수도꼭지
KR20090131693A (ko) 수도 장치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KR100700401B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JP4180022B2 (ja) 分岐水栓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JP2008115668A (ja) 分岐止水栓
JP2005133451A (ja) 分岐口付水栓
JP2006104867A (ja) 分岐口付き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