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230A -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230A
KR20090032230A KR1020070097255A KR20070097255A KR20090032230A KR 20090032230 A KR20090032230 A KR 20090032230A KR 1020070097255 A KR1020070097255 A KR 1020070097255A KR 20070097255 A KR20070097255 A KR 20070097255A KR 20090032230 A KR20090032230 A KR 2009003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broadcast signal
broadcast
tun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230A/ko
Priority to CNA200810001991XA priority patent/CN101202857A/zh
Publication of KR2009003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에 방송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방송 수신기, 방송 신호, 방송 출력, 방송 신호 세기

Description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SIGNAL INTENSITY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에 방송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상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송 수신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거나, 별도의 복잡한 절차를 메뉴 조작을 통해 방송 신호의 세기를 출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들이 방송 신호의 세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거나, 있어도 모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없거나, 약한 경우 방송 수신기의 화면에는 'NO SIGNAL'만 표시되거나,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TV 시청 중 일어나는 이러한 현상을 TV 고장 등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에서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의 화면이 출력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방송 신호의 문제인지 방송 수신기의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소정의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은 소정의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소정의 튜 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신호 세기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에서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의 화면이 출력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방송 신호의 문제인지 방송 수신기의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너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이 출력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방송 신호의 문제인지 방송 수신기의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S101)에서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선택 입력은 전원 선택입력(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키), 채널 변경 선택입력(예를 들어, 채널 업/다운키), 확인 선택입력 및 입력 소스 선택입력(예를 들어, 디지털 TV 또는 아날로그 TV로의 입력 소스 변경 선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2)에서 방송 수신기는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튜너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채널 다운키를 선택입력한 경우, 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 9-1'의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단계(S103)에서 방송 수신기는 튜너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한다. 방송 신호의 세기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송국의 여건, 약전계 등 외부 상황 등에 의해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S104)에서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2)를 부가 정보와 함께 출력(201)할 수 있 다.
이 때, 방송 신호의 세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일례로 막대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화살표 등 다양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메뉴를 통해 방송 신호 세기를 표시할 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에서 현재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202)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방송 수신기의 화면이 출력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방송 신호의 문제인지 방송 수신기의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의 화면에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송 신호의 세기(202)를 확인함으로써, 방송 수신기의 고장 때문인지 방송 신호의 세기(202)가 약해서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지를 판단하여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신호의 수신 세기는 외부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외부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방송 신호의 수신 세기가 변동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의 단계(S104)에서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S104)의 판단 결과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에도 상기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단계(S105)에서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이 때,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의 도면부호(202)와 마찬가지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일실시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301) 보다 감소하는 경우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방송 신호의 세기가 너무 감소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없는 값(303)이 되면 방송 수신기는 'no signal'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부터 선택입력을 수신할 경우 뿐아니라,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다가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만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튜너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 어질 경우,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이 출력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방송 신호의 문제인지 방송 수신기의 문제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너(401), 사용자 입력부(402), 화면 출력부(403), 신호 세기 출력부(40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402)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선택 입력은 전원키, 채널 변경키, 확인키 및 입력 소스 선택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화면 출력부(403)는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튜너(401)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신호 세기 출력부(404)는 상기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신호 세기 출력부는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상기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4의 방송 수신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 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일실시예를 표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튜너
402: 사용자 입력부
403: 화면 출력부
404: 신호 세기 출력부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소정의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은 전원키, 채널 변경키, 확인키 및 입력 소스 선택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상기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4. 소정의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6.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선택 입력 수신에 대응하여, 소정의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신호 세기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입력은 전원키, 채널 변경키, 확인키 및 입력 소스 선택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출력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상기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상기 튜너에서 수신 중인 방송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 제어 신호로 상기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에도 방송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의 세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70097255A 2007-09-27 2007-09-27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KR20090032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5A KR20090032230A (ko) 2007-09-27 2007-09-27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CNA200810001991XA CN101202857A (zh) 2007-09-27 2008-01-02 显示广播信号强度的方法及采用其方法的广播接收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55A KR20090032230A (ko) 2007-09-27 2007-09-27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30A true KR20090032230A (ko) 2009-04-01

Family

ID=3951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55A KR20090032230A (ko) 2007-09-27 2007-09-27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32230A (ko)
CN (1) CN1012028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80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청화텔레콤 Rf 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합 건물 방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9260A (zh) * 2014-03-12 2014-07-16 上海风格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广播异常频点的分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80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청화텔레콤 Rf 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합 건물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2857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3591B1 (en) Method of determining input port status in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160090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0338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서 자동 신호 에러 사용자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안내된 복구
KR20090032230A (ko) 방송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US7934246B2 (en) Broadcast receiver
KR101490256B1 (ko) 방송 예약 알림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2008092418A (ja) テレビ操作システム及びテレビ受像機
EP1722482A1 (en) Display apparatus,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display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7306366A (ja) リモコン装置
JP4458115B2 (ja) 表示装置
JP4424371B2 (ja) 表示装置
JP2008227629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録画装置
JP513776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31541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5555A (ko) 특정 장르 부각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402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방송신호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830141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8022293A (ja) 映像表示装置
KR20060083759A (ko) 화상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5142827A (ja) 映像受信装置
JP4802669B2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20080051350A (ko) 녹화 명령 전송 방법
KR20090053318A (ko) 영상표시 기기의 환경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3166A (ko) 영상 신호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KR20050120058A (ko) 스피커 출력여부 osd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