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189A -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189A
KR20090032189A KR1020070097187A KR20070097187A KR20090032189A KR 20090032189 A KR20090032189 A KR 20090032189A KR 1020070097187 A KR1020070097187 A KR 1020070097187A KR 20070097187 A KR20070097187 A KR 20070097187A KR 20090032189 A KR20090032189 A KR 2009003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tempered glass
safety
piece
preven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305B1 (ko
Inventor
임식규
Original Assignee
임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식규 filed Critical 임식규
Priority to KR102007009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3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이더라도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안전바가 자동으로 밀리면서 손이나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과; 상기 강화유리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의 제1 걸림턱에 걸리면서 안전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형성되며, 이 이탈방지편의 타측에 연설된 안내돌편의 양단에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편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스켓홈에 가스켓이 끼워진 안전바 이탈방지캡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의 외측에 삽입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는 상, 하부프레임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스프링 지지홈에 끼워져 안전바의 좌우 작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강화유리도어, 안전, 안전바, 이탈방지캡, 판 스프링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이에 손이나 손가락이 끼이더라도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안전바가 자동으로 밀리면서 손이나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도어는 외관이 미려하고, 닫힌 상태에서도 도어 밖의 상황 및 출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식당을 비롯한 각종 영업소, 전시장, 사무실, 미용실 등을 비롯한 영업장소의 현관이나 출입구 및 학교, 유치원 등의 교육기관, 관공서 등 다양한 건축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도어는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도어나 또는 밀고 당겨 개방하는 여닫이 도어로 양분될 수 있으나, 양자는 공통으로 출입과정에서 손이나 옷자락, 또는 휴대 운반중인 가방이나 물품 등이 끼게 되면 도어 자체가 매우 단단한 경질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이나 손가락이 부상을 입거나 옷, 가방 물품 등이 손상되는 등의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 상기한 도어의 출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문제 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여러모로 모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으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등록이 허여된 『특허등록 제712936호 명칭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에 상기 선등록 발명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특히 선등록 발명은 양측에 수직프레임이 없는 강화유리에 전용으로 접목되는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의 양측 단부에 별도의 안전바를 설치함으로써 출입과정에서 손이나 발, 또는 옷자락이나 운반 또는 휴대중인 각종 기물이 끼더라도 다치거나 손상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성과 신뢰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유용함에도 선등록 발명은 강화유리의 양측에 부착된 스토퍼가 안전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의 역할을 충분하게 소화하지 못함으로써 안전바가 강화유리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크고, 금속재의 판 스프링은 상기 강화유리의 선단에 직접 밀착됨으로써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강화유리가 파손될 우려가 큰 것이었다.
또한, 상기 안전바의 내측면과 강화유리의 양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안전바가 실내외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동 발생으로 인해 안전바와 강화유리도어가 마찰하면서 소음발생을 유발함은 물론 피로도 및 마모도가 증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안전바가 좌우로 작동함에 있어 상, 하부프레임과 강화유리도어 간에 접착된 실리콘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안전바와 상,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틈새로 통해 바람 및 소음이 전달됨으로써 기밀성은 더욱 저하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안전바의 좌우 이동에 따른 변위량은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상기 안전바의 완충력을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등록 발명이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전바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안전바의 유동 및 소음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강화유리의 선단에 안전바 이탈방지캡을 일체로 조립하되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과 안전바의 사이에 가스켓을 개제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바와 상, 하부프레임 간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안전바의 내측에 틈새를 차단하는 방풍재를 일체로 부착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바의 완충력을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전바 내부의 스프링홀더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탄성이동편을 조절구나 조절판을 이용하여 이동변위를 조절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선단에 조립된 안전바 이탈방지캡과 안전바의 사이에 가스켓이 게재됨으로써 안전바의 작동시 강화유리로부터 안전바가 이탈됨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안전바와 강화유리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차단하여 안전바가 실내외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소음이 발생함을 억제하며, 마찰로 인한 마모도, 피로도를 줄여주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바의 내측에 안전바와 상, 하부프레임 간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아주는 방풍재가 설치됨으로써 기밀성이 뛰어나 방음 및 방풍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안전바의 내측에 설치된 탄성이동편의 이동변위를 자유롭게 가변함으로써 안전바의 완충도를 제어하여 안전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예방하 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0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300)와; 상기 안전바(300)의 좌우 이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강화유리(1)는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프레임(100)(100a)이 끼워진 상태에서 실리콘(2)이 코킹됨으로써 일체화를 이루고, 이 강화유리(1)의 양측 선단에는 강화유리(1)로부터 안전바(300)가 이탈되거나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매개체인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이 일체로 끼움 조립된다.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은 강화유리(1)의 선단에 끼워지되 일측 양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201)이 안전바(300)의 선단에 내향으로 절곡된 제1 걸림턱(301)에 걸리면서 안전바(300)가 이탈됨을 방지하고, 상기 이탈방지편(201) 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 안내돌편(202)의 양단에는 스프링 지지홈(20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편(202)의 양측면에는 가스켓(204)이 끼워지는 가스켓홈(20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201)은 외측에 경사면(206)이 형성됨으로써 안전바(300)의 끼움 조립시 제1 걸림턱(301)이 경사면(206)을 타고 벌어지면서 더욱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바(300)의 내측에 배치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은 안전바(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본적인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체로 결합된 가스켓(204)이 안전바(30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안전바(300)가 실내외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하고, 안전바(300)와 강화유리(1) 간의 직접적인 마찰로 인한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의 외측에는 안전바(300)의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안전바(30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각각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지지홈(203)에는 판 스프링(400)이 끼워지고, 이 판 스프링(400)의 타측은 안전바(300)의 내면에 지지됨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이 끼일 경우 안전바(300)가 좌우로 이동함에 필요한 완충력 및 복원력을 충분하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안전바 이탈방지 캡(210), 안전바(310)의 구성요소 및 이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달리 변형된 것이다.
즉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10)은 강화유리(1)의 선단에 끼움 조립되되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211)이 안전바(310)의 선단부 내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11)에 걸리면서 안전바(3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이탈방지편(211)의 타측 선단에는 판 스프링(400)이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11)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가스켓홈(312)에 가스켓(313)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편(211)은 외측에 경사면(213)이 형성됨으로써 안전바(310)의 끼움 조립시 스토퍼(311)가 경사면(213)을 타고 벌어지면서 더욱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안전바 이탈방지캡(220), 안전바(320)의 구성요소 및 이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달리 변형된 것이다.
즉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20)은 강화유리(1)의 선단에 끼움 조립되되 양측면에는 안전바(320)의 선단에 내향으로 절곡된 제1 걸림턱(321)에 걸리면서 안전바(32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토퍼(2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21)의 타측에는 안전바(3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걸림턱(322)에 걸리면서 2차적으로 안전 바(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돌편(222)이 연결 설치되며, 이 안내돌편(222)의 선단에는 판 스프링(40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21)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 가스켓홈(224)에는 가스켓(225)이 끼워진다.
여기에서 스토퍼(221)의 일측 선단부, 안내돌편(222)의 선단부 및 제2 걸림턱(322)은 각각 경사면(227)이 형성됨으로써 안전바(320)의 조립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제4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안전바 이탈방지캡(230), 안전바(330)의 구성요소 및 이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달리 변형된 것이다.
즉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30)은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되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30)의 선단에 내향으로 절곡된 제1 걸림턱(331)에 걸리면서 안전바(330)가 이탈됨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편(2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편(231)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 안내돌편(232)의 양단에 마주하도록 제2 이탈방지편(23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편(23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스켓홈(234)에는 가스켓(235)이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3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는 안전바(330)는 삽입부(302)의 내면에 안내간(333)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안내 간(333)의 선단에는 제2 이탈방지편(2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34)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34)의 선단에 안전바 이탈방지캡(230)에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판 스프링(40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3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34) 및 제2 이탈방지편(233)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을 통해 안전바(330)가 이탈하거나 분리됨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안전바(330)의 작동시 스토퍼(334)는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여 안전바(330)가 실내외 방향으로 유동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이탈방지편(231) 및 제2 이탈방지편(233)은 경사면(237)이 형성됨으로써 안전바(330)의 끼움 조립작업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의 구성은 도 10과 같이 안전바(300)(310)(320)(330)와 상, 하부프레임(100)(100a)간의 사이에 틈새(5)가 형성됨에 따른 기밀성 저하의 공통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전바(300)(310)(320)(330))의 상, 하부 내측에 각각 스폰지 등과 같은 방풍재(500)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방풍재(500)가 틈새(5)를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안전바의 완충력을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1과 같은 제5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5 실시예의 기술구성은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프레임(100)(100a)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강화유리(1)의 양측 선단에는 일측 양 단에 안전바(340)에 형성된 제1 걸림턱(341)에 걸리면서 안전바(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41)이 일체로 형성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이 끼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의 외측에는 안전바(340)의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이 안전바(34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전바(340)의 내면에 마주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고정편(343)에는 스프링홀더(344)의 일측이 끼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홀더(344)의 내부에 탄성부재(345)를 매개로 탄성이동편(346)이 내,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탄설되며, 상기 탄성이동편(346)에는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에 머리부가 밀착되는 변위조절구(347)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전바(340)는 좌우 이동에 따른 완충력과 복원력을 구비함은 물론 상기 변위조절구(347)를 풀고 조임에 따라 안전바(34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변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더욱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5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되 변위조절구(347)를 대신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단품 형태의 변위조절판(348)이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에 부착되고, 이러한 변위조절판(348)에는 탄성이동편(346)이 직접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바(340)가 완충력과 복원력을 구비함은 물론 상기 변위조절판(348)의 두께를 달리함에 따라 안전바(34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변위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의 양측 내면부에 다수의 압착돌기(245)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압착돌기(245)는 안전바(340)가 이탈하려는 방향으로 날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강화유리(1)에 압착된 상태로 압착력을 유지하여 안전바(340)의 이탈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화유리도어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이탈방지캡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및 안전바 이탈방지캡의 분리상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이탈방지캡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및 안전바 이탈방지캡의 분리상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바에 방풍재가 설치되기 이전 및 이후를 나타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조립상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안전바 이탈방지캡에 압착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화유리
5: 틈새
200, 210, 220, 230, 240: 안전바 이탈방지캡
201, 211, 241: 이탈방지편
202, 222, 232: 안내돌편
204, 225, 235, 313: 가스켓
205, 224, 234, 312: 가스켓홈
221, 311, 334: 스토퍼
300, 310, 320, 330, 340: 안전바
301, 321, 331, 341: 제1 걸림턱
322: 제2 걸림턱
343: 고정편
344: 스프링홀더
346: 탄성이동편
347: 변위조절구

Claims (8)

  1.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00)의 제1 걸림턱(301)에 걸리면서 안전바(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01)이 형성되며, 이 이탈방지편(201)의 타측에 연설된 안내돌편(202)의 양단에 스프링 지지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편(20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스켓홈(205)에 가스켓(204)이 끼워진 안전바 이탈방지캡(20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0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300)와;
    상기 스프링 지지홈(203)에 끼워져 안전바(300)의 좌우 작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2.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10)의 스토퍼(311)에 걸리면서 안전바(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11)이 형성되며, 이 이탈방지편(211)의 타측 선단에 스프링 지지홈(212)이 형 성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1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1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며, 선단부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311)의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가스켓홈(312)에 가스켓(313)이 끼워지는 안전바(310)와;
    상기 스프링 지지홈(212)에 끼워져 안전바(310)의 좌우 작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3.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양측면에는 안전바(320)의 제1 걸림턱(321)에 걸리면서 안전바(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21)가 형성되며, 이 스토퍼(221)의 타측에는 안전바(320)의 제2 걸림턱(322)에 걸리는 안내돌편(22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안내돌편(222)의 선단에 스프링 지지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21)의 외면에 형성된 가스켓홈(224)에 가스켓(225)이 끼워진 안전바 이탈방지캡(22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2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320)와;
    상기 스프링 지지홈(223)에 끼워져 안전바(320)의 좌우 작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4.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30)의 제1 걸림턱(331)에 걸리면서 안전바(3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편(231)이 형성되며, 이 제1 이탈방지편(231)의 타측에 연설된 안내돌편(232)의 양단에 제2 이탈방지편(233)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편(23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스켓홈(234)에 가스켓(235)이 끼워진 안전바 이탈방지캡(23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3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며, 내면에 일체로 연결된 안내간(333)의 선단에는 제2 이탈방지편(2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34)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334)의 선단에 스프링 지지홈(335)이 형성된 안전바(330)와;
    상기 스프링 지지홈(335)에 끼워져 안전바(330)의 좌우 작동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바(310)(320)(330)(340)의 상, 하부 내측에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안전바(310)(320)(330)(34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5)를 막아주는 방풍재(50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6.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40)의 제1 걸림턱(341)에 걸리면서 안전바(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41)이 형성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4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340)와;
    상기 안전바(340)의 고정편(343)에 일측이 끼움 고정된 스프링홀더(344)의 내부에 탄성이동편(346)이 탄성부재(345)를 매개로 출몰 가능하게 탄설되고, 상기 탄성이동편(346)에는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에 밀착되는 변위조절구(347)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7. 강화유리(1)의 상, 하부에 끼움 설치된 상, 하부프레임(100)(100a)과;
    상기 강화유리(1)의 선단에 일체로 끼움 조립되고, 일측 양단에는 안전바(340)의 제1 걸림턱(341)에 걸리면서 안전바(3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41)이 형성된 안전바 이탈방지캡(240)과;
    상기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의 외측에 삽입부(302)가 끼움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부(303)는 상, 하부프레임(100)(100a)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340)와;
    상기 안전바(340)의 고정편(343)에 일측이 끼움 고정된 스프링홀더(344)의 내부에 탄성이동편(346)이 탄성부재(345)를 매개로 출몰 가능하게 탄설되고, 상기 탄성이동편(346)은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에 부착된 변위조절판(348)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안전바 이탈방지캡(240)의 양측 내면에는 강화유리(1)와 압착력을 유지하여 이탈을 추가로 방지하는 다수의 압착돌기(24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1020070097187A 2007-09-27 2007-09-27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10089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187A KR100894305B1 (ko) 2007-09-27 2007-09-27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187A KR100894305B1 (ko) 2007-09-27 2007-09-27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189A true KR20090032189A (ko) 2009-04-01
KR100894305B1 KR100894305B1 (ko) 2009-04-24

Family

ID=4075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187A KR100894305B1 (ko) 2007-09-27 2007-09-27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3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1864A (zh) * 2012-04-30 2015-01-07 李黎明 安全门
CN109736677A (zh) * 2019-02-26 2019-05-10 佛山市南海康健卫浴有限公司 一种多功能淋浴室推门
KR20190118232A (ko) * 2018-04-10 2019-10-18 강민성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CN113006643A (zh) * 2021-02-22 2021-06-22 张天龙 一种防玻璃迸溅的船窗安装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07B1 (ko) * 2009-09-16 2012-07-31 서민정 안전문
KR100985350B1 (ko) 2010-06-03 2010-10-04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창문 새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411Y1 (ko) * 2004-08-17 2004-11-26 정장훈 출입문 안전장치
KR100712936B1 (ko) * 2006-06-28 2007-05-02 임식규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1864A (zh) * 2012-04-30 2015-01-07 李黎明 安全门
KR20190118232A (ko) * 2018-04-10 2019-10-18 강민성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CN109736677A (zh) * 2019-02-26 2019-05-10 佛山市南海康健卫浴有限公司 一种多功能淋浴室推门
CN113006643A (zh) * 2021-02-22 2021-06-22 张天龙 一种防玻璃迸溅的船窗安装结构
CN113006643B (zh) * 2021-02-22 2022-08-16 赛尔威游艇(江门)有限公司 一种防玻璃迸溅的船窗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305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305B1 (ko)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20090111755A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KR101506559B1 (ko) 창문의 밀폐장치
KR101161780B1 (ko) 창호의 탄성 승강식 방풍장치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0385548Y1 (ko) 창호의 풍지판구조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US20220090429A1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KR20140105916A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100873736B1 (ko) 보안성이 뛰어난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10227257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슬라이딩 창호용 가스켓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WO201420789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100798155B1 (ko) 보안유지 및 소음억제를 위한 강화유리도어의 안전장치
KR101110045B1 (ko) 손보호구를 갖는 안전도어
KR101968739B1 (ko) 창호기밀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200456497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JP5731431B2 (ja) 建具
KR200212911Y1 (ko) 걸이식 창의 하부 창틀용 부재
KR101001212B1 (ko) 이동성 레일을 갖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JP5708112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遮煙装置
JP2008163587A (ja) 切欠閉鎖部材及び切欠閉鎖部材を備えた建具
KR102669230B1 (ko) 창호의 추락방지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