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891A -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 - Google Patents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891A
KR20090031891A KR1020097000048A KR20097000048A KR20090031891A KR 20090031891 A KR20090031891 A KR 20090031891A KR 1020097000048 A KR1020097000048 A KR 1020097000048A KR 20097000048 A KR20097000048 A KR 20097000048A KR 20090031891 A KR20090031891 A KR 2009003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tip
ampoule
sealed contain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오 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오 오야마 filed Critical 요시오 오야마
Publication of KR2009003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61M5/3007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with specially designed jet passages at the injector's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2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61M2005/3118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 A61M2005/312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via the distal end of a syringe,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cannula comprising sealing means, e.g. severable caps, to be removed prior to injection by, e.g. tearing or twi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쉽게 개구할 수 있고, 더욱이 개구면이 개략 평탄하며, 파손조각이 발생하기 어려운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선단부(1)와;선단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기 위한 원추대형의 연결부(3)와;접속부(4)를 구비하고;선단부(1), 접속부(4), 연결부(3) 및 본체부(2)는, 중심축(5)이 같은 축이 되도록 되며;본체부(2)로부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지고;선단부(1)에 중심축(5)의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접속부(4)가 파손하고, 원추대형의 연결부(3)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동시에, 연결부의 공간부(13)가 개방단으로 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등에 의해 해결된다.
선단부, 본체부, 연결부, 접속부, 무침주사기

Description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END PORTION FOR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HAVING FINE OPENING SURFACE OBTAINED EASILY BY CLEAVAGE}
본 발명은, 벽개(劈開)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開口面)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端部)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특히 침이 없는 무침(無針) 주사용의 주사기로서 사용 가능한 앰플 등에 이용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경구투여되는 것이 많다. 그러나, 당뇨병의 치료용의 인슐린이나, C형 간염 또는 암 치료용의 인터페론 등은, 환자 스스로가 주사기를 이용하고, 약제를 투여한다. 이러한 투여 형태에 의한 치료 방법에서는, 주사제에 따른 투여를 계속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환자에게 있어서는, 일상적으로, 주사침에 대한 공포나, 주사제를 투여할 때의 아픔 등이 있어, 정신적인 부담이 큰 것이었다.
그래서, 최근, 주사침을 가지는 주사기에 대체하는 것으로서 무 침 주사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무 침 주사기는, 약액을 빠른 스피드로 피부를 향해서 발사하며, 그 결과, 피부에 작은 구멍을 열리게 하여, 약제가 피부를 관통하고, 이에따 라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특개 2003-093508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술한 무 침 주사기는, 사용할 때 마다 바이알(vial) 등에 주사기를 삽입하고, 약액을 소정량 흡인한 후, 소정 개소에 주사기를 대어 발사함으로써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취급이 번잡하고, 또한, 적당량을 흡인하여 투여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같은 무 침 주사기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 약제를 흡인,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구면에 바이러스등이 부착하여, 번식할 가능성이 있는 등 위생면에 문제가 있다. 그래서, 1회 투여하는 분의 약제 마다 밀봉된 약제를 준비하여, 투여할 때 마다 개봉하여 투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식품용의 밀봉 용기등에는, 선단부를 회전시켜 파손시키고, 내부에 함유되는 간장 등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밀봉 용기용 단부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러한 밀봉 용기는, 편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밀봉 용기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선단부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번잡하다. 더욱이, 그러한 용기는, 비교적 부드러운 플라스틱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선단을 회전시켜 파손시켰을 경우에, 개구면이 평평하게 되지않아, 이른바 버어(burr)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한편, 유리등으로 밀봉 용기를 제조했을 경우, 선단부를 파손시키면 파손조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밀봉 용기용 단부에서는, 무 침 주사기에는 부적당하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일본 특개평9-266939호 공보(아래 특허 문헌2)에는, 주사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앰플(ampoule)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앰플은, 실용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단부가 통상의 앰플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고, 개구면은 반드시 평탄하게 되지는 않는다.
[특허 문헌1]일본특개2003-093508호 공보
[특허 문헌2]일본특개평9-26693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간단하게 개구할 수 있고, 더욱이 개구면이 개략 평탄한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어느 부분을 파손시켜 개구시켰을 경우에도, 파손조각이 생기기 어려운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소정의 형상 및 소정의 재질을 이용한 밀봉 용기용 단부를 이용함으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개구할 수 있고, 더욱이 개구면이 개략 평탄한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파손조각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이것을 앰플 등에 이용함으로써, 무침 주사용 등에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는, 기본적으로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1)와;상기 선단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기 위한 원추대형(円錐台狀)의 연결부(3)와;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를 접속하고, 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보다 폭이 좁은 접속부(4)를 구비하고;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중심축(5)이 동축(같은 축)이 되도록 되며;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선단부(1)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1,14,13,12)이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4)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직경은, 5μm이상 1mm이하이며: 상기 선단부(1)에 상기 중심축(5)의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4)가 파손하고, 상기 원추대형의 연결부(3)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13)가 개방단으로 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이와 같이, 연결부(3)가 원추대형이며, 더욱이 접속부(4)의 폭이 좁아져 있으므로, 선단부(1)에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접속부가 파손하고, 파손면이 개략 평면이 된다. 이에따라, 종래와 같이 선단부를 회전시킬 필요도 없어져, 깨끗하며 평탄한 개구면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접속부(4)의 공간(14) 및 선단부(1)의 공간(11)은, 중심축(5)과 같은 축인 원주형, 원추대형, 역원추 대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 직경으로서, 5μm이상 1mm이하를 들 수 있으며, 1×10-1mm~1mm라도 좋고, 1×10-1mm~5×10-1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부(4)에 있어서 공간(14) 중 선단부(1)에 접하는 부분의 직경은, 예를 들어 0.15mm 이상 0.17mm 라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를 무 침 주사용의 앰플로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간 부분의 직경을 5μm 이상 1×10-1m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2mm ~ 1×10-1mm도 좋다. 공간의 형상이나 평균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약액의 진입깊이나 확산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접속부를 꺾는 등 하여 파손하여 이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개방단을 얻을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지면 좋다. 그러나,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조할 때의 제조의 용이함으로서는,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선단부(1)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1,14,13,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는, 선단부의 공간(11) 및 접속부의 공간(14)을 연속하는 원주형의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부분이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어도 좋다. 이 가늘어질 때의 경사(앞이 가늘어지는 부분을 연장해서 생긴 원추의 꼭지각)로서 1도 ~ 45도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도 ~ 3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 20도이지만, 5도 ~ 10도이어도 좋다. 이러한 각도이면, 액류를 조정하여, 약액의 진입 속도를 올릴 수 있어 피부의 보다 깊은 부분으로 약제를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그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각도로 하면 좋다. 그러한 경우, 액의 진입 속도를 늦게 하는 결과가 되지만, 액을 확산하여 비교적 광범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의 공간(13)은,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것이며, 그 각도(꼭지각)는, 연결부(3)의 외형에 따른 것으로 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공간(13)은, 굳이 연결부의 외형과 달리, 예를 들면,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 부분을 가져도 좋다. 그러한 형상 부분의 경사로서, 1도 ~ 45도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도 ~ 30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 20도이지만, 5도 ~ 10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모양은, 상기 선단부(1)는, 상기 접속부(4)와 접속되는 외형이 원주형의 몸통부(1a)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외형이 구형이거나 또는 상기 몸통부(1a)보다 직경이 큰 원주형의 머리 부분(1 b)을 구비하는, 상기에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1)에 큰 머리 부분(1b)이 설치되므로, 이 머리 부분(1b) 부분을 가압하고,「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접속부(4)에 큰 힘을 더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접속면을 파손할 수 있는 동시에, 횡방향의 토오크를 작용하게 하는 것으로, 깨끗하고 평탄한 개구면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단부의 축방향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어려워지고, 너무 길면 휴대하기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선단부의 길이로서 3mm ~ 5×10mm를 들 수 있으며, 5mm ~ 1×10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부 중, 몸통부(1b)의 도중까지는, 접속부의 공간(14)에 접속하는 공간(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간(11)이 있으므로, 접속부가 파손했을 경우에, 개구부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접속부(4)의 평균 외경은, 상기 연결부(3)의 머리 부분(3a)의 외경의 1/4 ~ 1/2 (바람직하게는, 1/3 ~ 1/2)인 상기 기재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상기 접속부(4)의 평균 외경이, 상기의 범위이면, 선단부에 힘을 가했을 때에, 용이하게 접속부를 파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은, 상기 중심축(5)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는 상기 어느 한쪽에 기재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또한 상기 머리 부분(3a)은, 테이퍼모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도1 또는 도8). 그러한 테이퍼부는, 높이가 1×10-1mm ~ 5×10-1mm, 바람직하게는2×10-1mm ~ 4×10-1mm를 들 수 있고, 경사면의 직경으로서 1mm ~ 5×10mm, 바람직하게는 2mm ~ 2×10mm를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 1×10mm를 들 수 있다. 이에따라, 밀봉 용기용 단부를 구비하는 무 침 주사기와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퍼부는, 접속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고,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 중, 쟈켓(30)에 앰플(20)을 장착했을 때에, 쟈켓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라도 좋다. 테이퍼부란, 원추대형 등 선단에 가까울수록 끝이가늘어지는 형상의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이, 상기 중심축(5)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므로, 접속부(4)가 파손할 때에, 이 평면 부분을 따라 파손되고, 그 결과 보다 평면에 가까운 파손면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파손조각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평면 부분은, 중심축(5)에 대해서 동심원상(同心円狀)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접속부(4)의 상기 중심축(5) 방향의 길이가, 1×10-3mm ~ 1mm인 상기 어딘가에 기재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접속부의 길이가, 너무 길면 파손면이 평면으로 되지 않으며, 더욱이 파손조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접속부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접속부를 마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접속부(4)의 길이로서 1×10-3mm ~ 1mm를 들 수 있으며, 1×10-3mm ~ 1×10-2mm이면 바람직하고, 5×10-3mm ~ 1×10-2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일체로 성형되고, 하기 일반식(I)로 나타나고 수평균 분자량이 1×103 ~ 1×106(바람직하게는 5×103 ~ 5×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4 ~ 1×105)인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화학식2]
Figure 112009000096884-PCT00001
상기 식(|) 중, R1 ~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 ~ C3알킬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불소원자며;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수소원자이다. 또한, R5 ~ R11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 ~ C3알킬기(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거나, R7와 R8는 함께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4 ~ C6 비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메틸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또는 염소원자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수소원자다. x와 y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부분 구조의 비율을 나타내며, x:y는, 1:5 ~ 5:1이며, 바람직하게는 1:4 ~ 4: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3: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 3:2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140℃ ~ 180℃인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실제로 여러가지 소재를 이용하여 앰플(20)을 제조하고, 접속부를 파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결정성이 너무 높은 소재를 사용하면, 접속부가 파손하는 동시에 파손조각이 생겼다. 한편, PET 등 전성(展性),연성이 풍부한 소재를 사용하면, 파손부가 잘 파손하지 않고, 이른바 버어(burr)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지 조성물만으로부터 구성되거나,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므로, 적절한 경도를 가지면서, 접속부를 파손시킬 때에, 깨끗하게 파손할 수 있고, 더욱이 파손조각이 발생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채용하였으므로, 알코올에 침지하는 것이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 등으로 용이하게 소독할 수 있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구성하는 단위 분자 자체는 공지이기 때문에, 각각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단위 분자를 얻고,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며, 부가 중합에 의해 그것들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 자체를 시판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2의 측면과 관련되는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용기용 단부(10)과, 상기 본체부(2)를 구비하는 앰플(20)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의 측면에 관련되는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상기에 기재한 앰플(20)과;상기 앰플(20)을 그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쟈켓(30)이며, 상기 쟈켓(30)의 선단에는, 구멍 부분(31)이 설치되어; 상기 앰플(20)을 상기 쟈켓(30)에 삽입했을 경우에,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및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 또는 상기 선단부(1) 및 상기 접속부(4)가, 상기 쟈켓의 선단에 설치된 구멍 부분(31)으로부터 돌출하는 쟈켓(30)을 구비하는 앰플 장착 킷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예를 들면 테이퍼상 등의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이 쟈켓으로부터 돌출되고 있는 것은, 무 침 주사기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테이퍼부에 따라서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재사용가능한 쟈켓(30)이 피부에 접촉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서는, 머리 부분(3a)은, 5×10-1mm ~ 5mm만큼 쟈켓보다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mm ~ 3mm 돌출하고 있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앰플을 쟈켓(30)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선단부의 머리 부분(3b)에 횡방향의 힘을 가하므로, 앰플을 고정한 상태로 힘을 더할 수 있고, 그 결과 용이하게 접속부(4)를 파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앰플(20)은, 일반적으로 가늘고, 사람의 손가락으로 고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쟈켓(30)을 장착함으로써, 직경을 크게 하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쟈켓의 측면에 여러개의 평행하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쟈켓을 손가락으로 유지했을 때의 미끄럼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작은 힘으로 쟈켓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쟈켓의 하단부에는, 다른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나사 기구등의 접속 기구가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쉽게 개구 할 수 있고, 더욱이 개구면이 개략 평탄한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어느 부분을 파손시켜 개구 시켰을 경우에도, 파손조각이 생기기 어려운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바람직한 무 침 주사 등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앰플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쟈켓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무 침 주사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8은 앰플을 쟈켓에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9는 사용후의 앰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0은 무 침 주사기 유닛을 구성하는, 쟈켓과 앰플을 나타내는 도면에 대신하는 사진이다.
도11은 앰플을 쟈켓에 장착한 후에, 앰플의 접속부를 파손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대신하는 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1 선단부
1a 선단부의 몸통부
1b 선단부의 머리 부분
2 본체부
3 연결부
3a 연결부의 머리 부분
4 접속부
5 중심축
11~14 공간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선단부(1)와;상기 선단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기 위한 원추대형의 연결부(3)와;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를 접속하고, 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보다 폭이 좁은 접속부(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중심축(5)이 같은 축이 되도록 되고,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선단부(1)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1,14,13,12)이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므로, 상기 선단부(1)에 상기 중심축(5)의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4)가 파손하고, 상기 원추대형의 연결부(3)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13)가 개방단으로 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3)가 원추대형이며, 더욱이 접속부(4)의 폭이 좁게 되어 있으므로, 선단부(1)에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더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접속부가 파손되고, 파손면이 개략 평면이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선단부를 회전시킬 필요도 없어져, 깨끗하고 평탄한 개구면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접속부(4)의 공간(14) 및 선단부(1)의 공간(11)은, 중심축(5)과 같은 축인 원주형, 원추대형, 역원추대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평균 직경으로서,1×10-1mm ~ 1mm를 들 수 있으며, 1×10-1mm ~ 5×10-1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형상이나 평균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약액의 진입 깊이나 확산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접속부를 꺾는 등 파손하여 이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개방단을 얻을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지면 좋다. 그러나, 밀봉 용기용 단부를 제조할 때의 제조의 용이함에서는,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선단부(1)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1,14,13,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선단부의 공간(11) 및 접속부의 공간(14)을 연속하는 원주형의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부분이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어도 좋다. 이 가늘어질 때의 경사(앞이 가늘어지는 부분을 연장하여 생긴 원추의 꼭지각)로서 1도 ~ 45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도 ~ 3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 20도이지만, 5도 ~ 10도이어도 좋다. 이러한 각도이면, 액류를 조정하고, 약액의 진입 속도를 올릴 수 있으며 피부의 보다 깊은 부분으로 약제를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단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그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각도로 하면 좋다. 그러한 경우, 액의 진입 속도를 늦게 하는 결과가 되지만, 액을 확산하여 비교적 광범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의 공간(13)은,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것이며, 그 각도(꼭지각)는, 연결부(3)의 외형에 따른 것으로 하면 좋다. 그처럼 함으로써, 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공간(13)은, 굳이 연결부의 외형과 달리, 예를 들면, 선단으로 진행될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 부분을 가져도 좋다. 그러한 형상 부분의 경사로서 1도 ~ 45도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도 ~ 30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 20도이다. 즉, 앰플내의 약액을 고압으로 생체내에 보내기 위해서는, 손실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진로중에 흐름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역학적인 견지에서는 꼭지각(조임)을 15도 정도로 하면,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앰플은, 약액이 분포하는 범위가 넓으면 피부내의 통점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아져, 무통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는, 꼭지각을 1도 ~ 10도, 바람직하게는 5도 ~ 10도라고 하여도 좋다. 또한, 접속부(4)에도 받게 되는 공간(14), 또는 그 공간(14)과 연결부(3)의 공간(13)중 그 공간(14)과 접속하는 부분은, 원주형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원주형 부분의 공간의 높이(길이)를 L로 하고, 단면의 직경을 D로 했을 경우에, L/D가 5 이상의 경우는, 박리류가 발생하게 되어, L/D가 작은 것의 흐름의 손실이 적지만 앰플 선단에 걸리는 압력이 높아져 앰플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L/D가 0.1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상 3 이하라도 좋으며, 0.5 이상 2 이하라도 좋고, 1 이상 2 이하라도 좋다. L/D가 2 이하의 경우, 앰플 선단부에 걸리는 압력이 지극히 큰 것이 되므로, 연결부(3)의 최대두께로서 2.5mm 이상 1c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mm 이상 5m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의 공간부(13)는, 상기 선단부(1)의 공간부(11)와 연결하는 원주형의 부분(13a)과, 상기 원주형의 부분과 머리 부분이 접속되어, 저면이 상기 본체부(2)의 공간부(12)와 접속되는 원추대형의 부분(13b)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굳이 원주형의 부분을 마련하는 것으로, 약액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액이 침입하는 깊이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에 있어서의 원주형의 부분(13a)은, 상기 원추대형의 부분(13b)에 비해 원추대의 꼭지각이 작은 원추 전체가 대상이라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길이)는, 상기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길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로서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의 10% ~ 90%를 들 수 있고 20% ~ 80%라도 좋고, 30% ~ 70%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와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를 적당 조정하는 것으로, 약액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길이)를 L로 하고, 단면의 직경을 D로 했을 경우에, L/D가 5이상의 경우는, 박리류가 발생하게 되고, L/D가 작은 것의 흐름의 손실이 적지만 앰플 선단에 걸리는 압력이 높아져 앰플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L/D가 0.1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상 3 이하라도 좋고, 0.5 이상 2 이하라도도 좋으며, 1 이상 2 이하라도 좋다. L/D가 2 이하의 경우, 앰플 선단부에 걸리는 압력이 매우 큰 것이 되므로, 연결부(3)의 최대두께로써 2.5mm 이상 1c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mm 이상 5mm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의 공간부(13)는, 상기 선단부(1)의 공간부(11)와 연결하는 원주형의 부분(13a)과, 상기 원주형의 부분과 머리 부분이 접속되고, 저면이 상기 본체부(2)의 공간부(12)와 접속되는 원추대형의 부분(13b)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도3에 나타나는 것은, 상기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길이)가, 상기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길이) 이상의 것인,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로서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의 10%~90%를 들 수 있고, 20% ~ 80%이라도 좋으며, 30% ~ 70%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원주형의 부분(13a)의 높이와 원추대형의 부분(13b)의 높이를 적당 조정하는 것으로, 약액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에 있어서의 원주형의 부분(13a)은, 상기 원추대형의 부분(13b)에 비해 원추대의 꼭지각이 작은 원추대형이라도좋다. 또한 원주형의 부분(13a)은, 바람직하게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대형이다. 즉, 앰플내의 약액을 고압으로 생체내에 보내기 위해서는, 손실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진로중에 흐름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역학적인 견지에서는 원주형의 부분(13a)의 꼭지각(죔)을 15도 정도라고 하면,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앰플은, 약액이 분포하는 범위가 넓으면 피부내의 통점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아져, 무통이 아니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는, 꼭지각을 1도 ~ 10도, 바람직하게는 5도 ~ 10도로 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가 있는 바람직한 모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의 공간부(13)는, 복수의 독립한 평행하는 원통형의 공간부(13c)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중심축(5)을 중심으로 2개 또는 3개 대칭의 위치에 원주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액제를 분산하여 투여할 수 있고, 피부에의 데미지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5)을 중심으로 하는 한 개의 원주형 또는 원추대형(끝이 가늘어도 끝이 두꺼워도 좋다)의 공간부와 그 주위에 대칭으로 설치된 2개 ~ 4개의 원주형 또는 원추대형의 공간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특히, 중심부의 공간부와 주위의 공간부로서 그 용적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중심부의 공간의 용적이, 주위의 하나의 공간부의 용적의 1.1배에서 2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여러가지 유속의 액제를 얻을 수 있어 피부내의 심부나 얕은 부분에 약제를 투여할 수 있게 된다. 2개 ~ 4개의 원주형의 공간부의 높이(길이)를 L로 하고, 단면의 직경을 D로 했을 경우에, L/D가 5이상의 경우는, 박리류가 발생하게 되어, L/D가 작은 것 흐름의 손실이 적지만 앰플 선단에 걸리는 압력이 높아져 앰플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L/D가 0.1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상 3 이하라도 좋고, 0.5 이상 2 이하라도 좋으며, 1 이상 2 이하라도 좋다. L/D가 2 이하의 경우, 앰플 선단부에 걸리는 압력이 지극히 큰 것이 되므로, 연결부(3)의 최대두께로써 2.5mm 이상 1c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mm 이상 5m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선단부(1)는, 상기 접속부(4)와 접속되는 외형이 원주형의 몸통부(1a)와,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외형이 구형(球狀) 또는 상기 몸통부(1a)보다 직경이 큰 원주 형의 머리 부분(1b)을 구비하는, 상기에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1)에 큰 머리 부분(1b)이 설치되므로, 이 머리 부분(1b) 부분을 가압하고,「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고, 접속부(4)에 큰 힘을 더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접속면을 파손할 수 있는 동시에, 횡방향의 토오크를 작용하게 함으로써, 깨끗하고 평탄한 개구면을, 신속한 동시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단부의 축방향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어려워지고, 너무 길면 휴대하기 불편하게 된다. 그래서, 선단부의 길이로서서 3mm ~ 5×10mm를 들 수 있고, 5mm ~ 1×10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부 가운데, 몸통부(1b)의 도중까지는, 접속부의 공간(14)에 접속하는 공간(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간(11)이 있으므로, 접속부가 파손했을 경우에, 개구부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접속부(4)의 평균 외경은, 상기 연결부(3)의 머리 부분(3a)의 외경의 1/4 ~ 1/2(바람직하게는, 1/3 ~ 1/2)인 상기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상기 접속부(4)의 평균 외경이, 상기의 범위이므로, 선단부에 힘을 가했을 때에, 용이하게 접속부를 파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은, 상기 중심축(5)과 수직에 교차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는 상기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또한 상기 머리 부분(3a)은, 테이퍼모양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도1 또는 도8). 그러한 가는 테이퍼부는, 높이가 1×10-1mm ~ 5×10-1mm, 바람직하게는 2×10-1mm ~ 4×10-1mm를 들 수 있으며, 경사면의 직경으로서1mm ~ 5×10mm, 바람직하게는2mm ~ 2×10mm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 1×10mm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용기용 단부를 구비하는 무 침 주사기와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퍼부는, 접속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괜찮고,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 가운데, 쟈켓(30)에 앰플(20)을 장착했을 때에, 쟈켓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라도 좋다. 테이퍼부란, 원추대형 등 끝에 가까워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이, 상기 중심축(5)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므로, 접속부(4)가 파손할 때에, 이 평면 부분을 따라서 파손되어 그 결과 보다 평면에 가까운 파손면을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파손조각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평면 부분은, 중심축(5)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접속부(4)의 상기 중심축(5) 방향의 길이가, 1×10-3mm ~ 1mm인 상기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접속부의 길이가, 너무 길면 파손면이 평면이 되지 않고, 더욱이 파손조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접속부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접속부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접속부(4)의 길이로서 1×10-3mm ~ 1mm를 들 수 있으며 1×10-3mm ~ 1×10-2mm이면 바람직하고, 5×10-3mm~1×10-2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일체로써 성형되어 하기 일반식(I)에서 나타내는 수평균 분자량이1×103 ~ 1×106 (바람직하게는 5×103 ~ 5×105, 보다 바람직하게는1×104 ~ 1×105)인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Figure 112009000096884-PCT00002
상기식(|) 중, R1 ~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C3알킬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불소원자이며 ;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수소원자다. 또한, R5 ~ R11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C3알킬기(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거나, R7과 R8는 함께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아니한 C4~C6비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원자, 메틸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또는 염소원자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수소원자이다. x와 y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부분 구조의 비를 나타내며, x:y는, 1:5 ~ 5:1이며, 바람직하게는 1:4 ~ 4: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3: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 3:2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측면에 관한 밀봉 용기용 단부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140℃ ~ 180℃인, 상기 기재한 밀봉 용기용 단부이다.
 실제로 여러 가지 소재를 이용하여 앰플(20)을 제조하고, 접속부를 파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결정성이 너무 높은 소재를 이용하면, 접속부가 파손하는 동시에 파손조각이 생겼다. 한편, PET 등 전성(展性),연성이 풍부한 소재를 이용하면, 파손부가 잘 파손하지 않고, 이른바 버어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지 조성물만으로부터 구성되거나,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므로, 적절한 경도를 가지면서, 접속부를 파손시킬 때에, 깨끗하게 파손할 수 있고 더욱이 파손조각이 발생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채용했으므로, 알코올에 침지하는 것이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 등으로 용이하게 소독할 수 있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구성하는 단위 분자는 공지이기 때문에, 각각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단위 분자를 얻고,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부가 중합에 의해 그것들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의 수지 조성물 자체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구입해도 좋다.
[무 침 주사기에 사용 가능한 앰플]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를, 무 침 주사기용 앰플에 이용했을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앰플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 침 주사기로서 사용 가능한 앰플은, 앰플 본체부(2)와 밀봉 용기용 단부(10)를 구비하는 앰플이며, 앰플 본체부(2)의 안쪽에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벽면과 개략 동지름의 가동스톱퍼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가동스톱퍼와 봉지부(선단부의 봉지단)와의 사이에, 약액이 바람직하게는 밀봉 상태로 충전되고 있다. 또한 도5중, 21은, 앰플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앰플 본체부(2)보다 직경이 크고 (앰플 본체부의 직경의 1.1배 ~ 2배, 바람직하게는 1.2배 ~ 1.5배) 되고 있는 앰플 말단부이다. 이러한 부위를 가지므로, 앰플(20)을 쟈켓(30)에 장착할 때에, 앰플 말단부를 손가락등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어 그 결과 용이하게 앰플을 쟈켓에 장착할 수 있다.
앰플 본체부(2)는, 가동스톱퍼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원통상의 매끄러운 내벽 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앰플에 수용되는 약액의 양으로서 1×10-1 ml ~ 1×10ml를 들 수 있고 1×10-1ml ~ 1ml라도 좋다. 더욱이 유전자 치료등 극미량을 투여하는 경우는, 1×10-3ml ~ 1×10-1ml라도 좋다. 앰플 본체부(2)에는, 밀봉 용기용 단부와 인접하는 부위에, 충격이나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 흡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스톱퍼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동스톱퍼는, 플랜져등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스톱퍼는,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의 유연성이 있는 구(球)이며, 앰플 내부의 직경과 구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또는 구의 직경이 앰플 내부의 1.01배 ~ 1.1배가 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가동스톱퍼는, 앰플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앞이 가늘어지는 유선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 침 주사기 유닛은, 앰플과 쟈켓을 포함한다. 도 6은, 쟈켓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쟈켓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앰플(20)을 그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쟈켓(30)이며, 상기 쟈켓(30)의 선단에는 구멍 부분(31)이 설치되어;상기 앰플(20)을 상기 쟈켓(30)에 삽입했을 경우에,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및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이거나, 또는 상기 선단부(1) 및 상기 접속부(4)가, 상기 쟈켓의 선단에 설치된 구멍 부분(31)으로부터 돌출하는 쟈켓(30)이다. 또한 도 6중, 32는 쟈켓 주위에 설치되어, 축(5)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부이다. 33은 원주가 다른 부위보다 크게 되어 있는 쟈켓의 스커트 부분이다. 이 스커트부의 하부에 무 침 주사기의 본 체(가압 기구등을 가지는 부위)가 장착되게 된다. 34는, 무 침 주사기 본체와 접속하기 위한 나사부이다. 이 나사부가 있으므로, 앰플(20)을 장착한 쟈켓(30)을 회전시키서, 무 침 주사기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 앰플 및 쟈켓은, 앰플등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밀봉 용기용 단부를 구비하는 앰플등으로 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방법은, 사출 성형(분말 사출 성형법을 포함한다), 압출 성형등을 들 수 있지만, 소정의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원료로서 상기한 것을 적당히 이용하면 좋다.
 [사용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 선단부(1)에 상기 중심축(5)의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4)가 파손하고, 상기 원추대형의 연결부(3)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13)가 개방단으로 된다. 이 작용을 이용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를 무침 주사용의 앰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이용 모양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무 침 주사기 유닛의 사용법(앰플(20)을 쟈켓(보호유지기:30)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 침 주사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앰플(20)을 쟈켓(보관 유지기:30)에 장착한다. 도 8은, 앰플을 쟈켓에 장착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그리고, 장착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하고, 또는 선단부를 회전시키는 등, 접속부를 파손시킨다. 그 다음에, 쟈켓에 장착한 앰플을 무 침 주사기 본체에 장착한다. 그리고, 무 침 주사기의 개구단을 액제를 투여하는 피부에 밀착하도록 닿게한다.
그 다음에, 플랜져등으로, 앰플에 포함되는 가동스톱퍼를 누른다. 가동스톱퍼에 밀린 약액은, 개구단을 통과하고 발사되어 피부내에 투여된다.
사용후의 무 침 주사기 유닛은, 쟈켓(30)으로부터 앰플(20)을 제외, 앰플을 떼어낸다. 도9는, 사용후의 앰플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후의 앰플(20)에는 주사침이 없기 때문에, 주사침에 의한 감염이 일어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외, 금속바늘을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무 침 주사기로서 공지의 무 침 주사기를 적당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무 침 주사기로서 일본 특개2003-093508호 공보에 기재한 무 침 주사기, 일본 특허제3574433호 공보에 기재한「유효성분을 주사하기 위한 무침 주사기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응 향하여, 충격파 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추진장치와, 상류측면과 하류측면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하류측면이 상기 유효성분이 들어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맹홀(한쪽이 막힌구멍)을 가지는 장벽과, 조치를 해야하는 환자의 피부에 상기 주사기를 접촉하기위한 접촉가이드를 가지며 한 쪽에서 상기 장벽은 고정되어 충격파에 견디고, 다른 쪽에서 상기 장벽은 충격파를 양호하게 전파하는 것 을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이 없는 주사기」, 일본 특허3560889호 공보에 기재된 「노즐의 분사공으로부터 흡입된 약액중에, 미리 래치상태로 전진력을 부세된 피스톤을 고속으로 압입, 약액을 분사하는 무침 주사기에 있어서, 분사공을 가지는 노즐이 구성된 앞쪽 원통부와, 상기 앞쪽 원통부에 나사결합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오목부와 상기 분사공과 반대측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의 오목부에 이어서 약액을 흡인하는 회전방향의 원주방향에 설치된 오목부를 가지는 후측 원통부와, 상기 후측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볼받이와 상기 볼받이 중의 복수개의 볼과, 상기 볼의 각일부분이 출입하는 래치홈이 설치되고, 상기 볼이 든 상태에서 상기 볼 받이를 개재하여 상기 후측 원통부에 보호유지되는 피스톤 구동용 로드와, 상기 후측 원통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오목부 또는 상기 원주방향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이 상기 래치홈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볼과 밀착하도록 설치된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후측 원통부에 대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오목부, 및 상기 원주방향의 오목부에 따라서 상기 볼록부가 이동가능한 릴리스(release)스위치와 상기 후측 원통부와 상기 릴리스스위치간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홈에 상기 볼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볼이 상기 접촉면 앞에 당접하여 상기 릴리스스위치가 상기 압축스프링에 대항하여 보호유지되고,상기 래치홈에 상기 볼이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볼이상기 접촉면앞을 넘어 상기 접촉면에 당접하여상기 피스톤 구동용 로드를 보호 유지하며, 상기 릴리스스위치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밀어붙임력으로 상기 릴리스스위치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길이방향의 오목부로 안내되어 상기 오목부의 단부까지 이동하고, 상기 볼받 이 및 상기 볼이 회전하고, 여기에 밀착하는 접촉면을 개재하여 상기 릴리스스위치의 볼록부가 상기 원주방향의 오목부에 들어가고, 상기 릴리스스위치의 압입조작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이 없는 주사기」를 들 수 있다.    
 [실시예1]
이하에서는, 실제로 무 침 주사기 유닛을 제조한 예를 설명한다. 앰플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로서 식(I)에 나타내는 수지를 합성하고, 적당x와 y의 조성비를 변화시켜, 이에따라 유리 전이 온도를 제어하였다. 실제로 이용한 것은, 화학식(I)에 있어서, R1~R11이 모두 수소원자의 것을 이용하였다. 합성 원료는, 에틸렌(ethylene)과 비시클로 [2.2.1] 헵트 2-엔(bicycle[2.2.1]hept-2-en)을 이용하였다. 여러가지 조성비의 것을 이용하고, 앰플을 제조했는데, 유리 전이 온도가, 140℃ ~ 180℃(보다 바람직하게는145℃ ~ 170℃, 150℃ ~ 170℃, 또는 150℃ ~ 160℃)의 것을 이용했을 경우에, 투명도나 바람직한 파손부를 얻을 수 있는 앰플을 제조할 수 있었다.
 성형용 금형은 한 벌의 주성형 금형과 부성형 금형을 구비하는 것이다. 주성형 금형은, 무침 주사용 앰플의 외형 부분에 상당하고, 부성형 금형은, 공간부등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우선, 한 쌍의 주성형 금형을, 성형 자세로 대향시키고 좌우로 떼어 놓은 상태로 세트하고, 블로우 성형용의 다이(die)의 하부에 이동시킨다. 다이는, 압출구로부터 성형 온도로 과열된 패리손(parison)을 밀어 내는 기능과 취입공으로부터 압 축 공기등의 가압 기체를 주입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면 좋다。
그 다음에, 다이의 압출구로부터, 주성형 금형의 사이에, 중공형상의 반용해상의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는 패리손을 밀어 낸다. 그 다음에, 패리손이 적당한 길이까지 밀려 나오면, 주형성 금형을 합체시켜 ,주형성 금형의 저부로 패리손을 절단 시킨 후, 다이의 취입공으로부터, 주머니 모양의 패리손내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키고, 주성형 금형의 표면에 따르게 하고, 무 침 주사기로서 사용 가능한 앰플의 앰플 본체부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다이를 떼내고, 패리손이 냉각하지 않을 동안, 부성형 금형을 주액부 및 손잡이부의 중심으로 삽입하고, 공간부를 포함한 관통공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주성형 금형 및 부성형 금형을 갈라 놓는 것으로, 앰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앰플과 마찬가지로 하여, 쟈켓을 제조하였다. 도 10은, 무 침 주사기 유닛을 구성하는, 쟈켓과 앰플을 나타내는 도면에 대체하는 사진이다. 한편, 도 11은, 앰플을 쟈켓에 장착한 후에, 앰플의 접속부를 파손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대체하는 사진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무 침 주사기용의 앰플에 이용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의료기기등의 분야에서 매우 알맞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 용기용 단부는, 물론, 의료기기의 분야에서도 무 침 주사기 이외에도, 알맞은 량의 약제를 조제하기 위한 1조합 단위용 용기의 밀봉 용기용 단부로서 이용할 수 있는 외, 의료기기 이외의 분야에 서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선단부(1),
    상기 선단부(1)와 본체부(2)를 연결하기 위한 원추대형의 연결부(3), 및
    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를 접속하며 상기 선단부(1)와 상기 연결부(3)보다 폭이 좁은 접속부(4)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중심축(5)이 같은 축이 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선단부(1)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1,14,13,12), 또는, 상기 본체부(2)로부터 상기 접속부(4)의 도중까지 연장되는 연속한 공간부(14,13,12)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4)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직경은 5μm 이상 1mm 이하이며;
    상기 선단부(1)에 상기 중심축(5)의 횡방향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4)가 파손되고, 상기 원추대형의 연결부(3)의 머리 부분이 노출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공간부(13)가 개방단으로 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4)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직경이 5μm 이상 1×10-1mm 이하이며, 무 침 주사기 본체로써 이용되는 앰플의 단부인, 밀봉 용기용 단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는,
    상기 접속부(4)와 접속되는, 외형이 원주형의 몸통부(1a); 및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외형이 구형이거나 또는 상기 몸통부(1a)보다 직경이 큰 원주형의 머리 부분(1b);을 구비하는 밀봉 용기용 단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4)의 평균 외경은, 상기 연결부(3)의 머리 부분(3a)의 외경의 1/4 내지 1/2인 밀봉 용기용 단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은, 상기 중심축(5)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 부분을 가지는 밀봉 용기용 단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4)의 상기 중심축(5) 방향의 길이가, 1×10-3mm 내지 1mm인 밀봉 용기용 단부.
  7.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상기 연결부(3) 및 상기 본체부(2)는 일체로 성형되고,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내며 수평균 분자량이 1×103 내지 1×106인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는 밀봉 용기용 단부.
     [화학식1]
    Figure 112009000096884-PCT0000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 ~ C3알킬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며;
     R5 내지 R11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C1~C3알킬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 원자를 나타내거나, R7와 R8는 함께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아니한 C4~C6비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x와 y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부분 구조의 비를 나타내며, x:y는, 1:5 ~ 5:1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불소원자를 나타내고;
    R5 내지 R11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수소원자, 메틸기, 히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불소원자, 또는 염소원자를 나타내는
    밀봉 용기용 단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140℃ 내지 180℃인 밀봉 용기용 단부.
  10. 청구항 제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밀봉 용기용 단부(10). 및 본체부(2)를 구비하는 앰플(20).
  11. 청구항 제1항의 밀봉 용기용 단부(10), 및 본체부(2)를 구비하는 무침주사기용 앰플(20).
  12. 청구항 제11항의 앰플(20), 및 상기 앰플(20)을 그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쟈켓(30)을 구비하며;
    상기 쟈켓(30)의 선단에는, 구멍 부분(31)이 설치되고;
    상기 앰플(20)을 상기 쟈켓(30)에 삽입했을 경우에, 상기 선단부(1), 상기 접속부(4) 및 상기 연결부의 머리 부분(3a), 또는 상기 선단부(1) 및 상기 접속부(4)가, 상기 쟈켓의 선단에 설치된 구멍 부분(31)으로부터 돌출하는;
    무 침 주사기 유닛.
KR1020097000048A 2006-07-04 2007-06-22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 KR20090031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3957 2006-07-04
JP2006183957 2006-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91A true KR20090031891A (ko) 2009-03-30

Family

ID=3889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048A KR20090031891A (ko) 2006-07-04 2007-06-22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318860A1 (ko)
EP (1) EP2042150A1 (ko)
KR (1) KR20090031891A (ko)
CN (1) CN101500524A (ko)
AU (1) AU2007270653A1 (ko)
CA (1) CA2656971A1 (ko)
MX (1) MX2009000081A (ko)
RU (1) RU2009103396A (ko)
WO (1) WO2008004337A1 (ko)
ZA (1) ZA200900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2669B (en) * 2008-08-11 2012-12-05 Managed Technologies Ltd Needle-free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FR3057169B1 (fr) * 2016-10-11 2022-04-01 Crossject Buse d’injection pour dispositif d’injection sans aiguil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654A (en) * 1974-08-02 1975-09-30 Rit Rech Ind Therapeut Dispensing package for a dry biological and a liquid diluent
DE3818682A1 (de) * 1988-06-01 1989-12-21 Deussen Stella Kg Ampulle
GB9001378D0 (en) * 1990-01-20 1990-03-21 Wellcome Found Improvements relating to ampoule packaging
DE69426390T2 (de) * 1993-07-31 2001-04-12 Weston Medical Ltd Nadelloser injektor
JPH09266939A (ja) 1996-03-29 1997-10-14 Minoru Tomita 注射剤を密封したアンプル兼使い捨て注射筒本体、注射剤を密封できるアンプル兼使い捨て注射筒本体、および、アンプル兼使い捨て注射筒本体に注射剤を密封する方法
US6595940B1 (en) * 1998-12-23 2003-07-22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pplicator for dispensable liquids
FR2796290B1 (fr) 1999-07-16 2001-09-14 Cross Site Technologies Seringue sans aiguille fonctionnant avec un generateur d'onde de choc a travers une paroi
JP3560889B2 (ja) 2000-01-25 2004-09-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針無注射器
JP2001323028A (ja) * 2000-05-12 2001-11-20 Mitsui Chemicals Inc 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性プロピレン・環状オレフィン共重合体及びその成形体
US6669664B2 (en) 2001-09-07 2003-12-30 Avant Drug Delivery Systems, Inc. Vacuum control cycle for jet injector
JP2003116964A (ja) * 2001-10-16 2003-04-22 Nippon Tenganyaku Kenkyusho:Kk アンプ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900042B (en) 2010-03-31
WO2008004337A1 (fr) 2008-01-10
JP4882060B2 (ja) 2012-02-22
JPWO2008004337A1 (ja) 2009-12-03
MX2009000081A (es) 2009-01-23
US20090318860A1 (en) 2009-12-24
CA2656971A1 (en) 2008-01-10
RU2009103396A (ru) 2010-08-10
EP2042150A1 (en) 2009-04-01
AU2007270653A1 (en) 2008-01-10
CN101500524A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50449B2 (en) Drug delivery technology
JP4955010B2 (ja) 劈開により簡便に美麗な開口面を得ることができる機構及び可動ガスケットを有するアンプル
JP4700735B2 (ja) 注射器として使用できるアンプル、及び注射器ユニット
KR20090031891A (ko) 벽개에 의해 간편하게 미려한 개구면을 얻을 수 있는 밀봉 용기용 단부
JP4882060B6 (ja) 劈開により簡便に美麗な開口面を得ることができる密封容器用端部
JPWO2008056443A1 (ja) アンプルガイド及び薬液投与ユニット
NZ549403A (en) Needleless device for drug delivery using a pioneer projec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