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405A -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 - Google Patents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405A
KR20090031405A KR1020097000228A KR20097000228A KR20090031405A KR 20090031405 A KR20090031405 A KR 20090031405A KR 1020097000228 A KR1020097000228 A KR 1020097000228A KR 20097000228 A KR20097000228 A KR 20097000228A KR 20090031405 A KR20090031405 A KR 20090031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ransmission
parameter
data unit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하라다
미나미 이시이
사다유키 아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3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이동통신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의 변경 타이밍을 지정하는 방법에서 발생하는 제어지연이나 제어부하를 저감하고, 효율적인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은,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 예를 들어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어 데이터 유닛(예를 들어 MAC 제어 PDU)을 생성한다. 생성한 MAC 제어 PDU를, 송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고, 해당 MAC 제어 PDU를 송신한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은 동기하여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으로 이행한다.
Figure P1020097000228
이동통신, 송신 파라미터, 무선기지국, 레이어, MAC, PDU

Description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TRANSMISSION PARAMETER MODIFICATION CONTROL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본 발명은, 넓게는 무선통신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을 통지할 때의 효율적인 통지 타이밍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제 3 세대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3의 RRC(무선 리소스 관리) 엔티티(entity)는,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유저단말(UE)로부터 보고되는 측정결과로부터 결정되는 무선 파라미터(코드(code), 주파수(frequency), 타임슬롯(time slot), 트랜스포트ㆍ포맷(transport format), 맵핑(mapping) 등)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의 설정, 관리를 수행한다. 레이어 2의 RLC층에서는, RLC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재송제어를 수행한다. MAC층은, 우선제어(priority control), 스케줄링(scheduling),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의 트랜스포트 채널로의 맵핑 등을 수행하여, 유저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사이를 조정(調停)한다.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상위층 시그널링(RRC)에 의해 변경지시가 이루어진다. 제 3 세대 통신방식에서는, RRC 시그널링으로 기동 타이밍(activation time)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무선 파라미터 변 경의 타이밍을,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RRC에 의한 변경통지에는, 무선 파라미터의 변경내용에 더해서, 변경 타이밍도 통지정보(report information)로서 포함된다. 변경의 타이밍이 통지와 거의 동시인 경우, 즉, 지금 바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요소가 부가되어 통지된다.
한편, 처리지연의 저감을 기대하여, MAC 제어 PDU를 이용한 스케줄링 제어가 검토되고 있다. MAC 처리는, 베이스밴드부(baseband unit)에 의한 하드웨어 처리가 상정되므로, 처리지연의 저감이 기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를 MAC관리 메시지로서 생성하고, 이 관리 메시지를 MAC-PDU의 페이로드(payload)로서 송신한다. MAC-PDU는, 이동국의 MAC 엔티티에서 직접 해석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MAC-PDU(protocol data unit)은, MAC층에서 완결하여 처리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MAC 제어 PDU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등의 송신 파라미터를 변경,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 PDU의 정보요소로서 변경 타이밍을 명시적으로 통지하면, 메시지 사이즈가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처리지연이 더해지게 된다. 이 문제는, 제 3 세대의 무선통신 시스템뿐 아니라, 제 3세대를 더 진전시킨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있어서도, 문제가 된다. 특히 LTE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보다 고속 그리고 대용량의 무선통신의 실현이 요청되기 때문에,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 통지의 제어에도, 보다 효율적인 수법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경 타이밍을 지정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생기고 있는 제어지연이나 제어부하를 저감하는, 신규의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그와 같은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를 수행하는 무선기지국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콘셉에 기초한다.
(1)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관해서는,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통지할 때, 그 레이어의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이용하여 이동국에 통지한다. 이때, 제어 PDU에는, 변경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는 포함하지 않고, 변경내용만을 통지한다.
(2) 상기의 제어 PDU를,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한다.
(3) 제어 PDU를 송신한 다음의 프레임부터,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으로의 송수신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어,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경우는, MAC 제어 PDU에서,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내용을 통지한다.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송신 타임 인터벌에 가변 TTI 길이를 채용하는 경우의 TTI 길이나, VoIP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고정적 리소스 할당: fixed resource allocation)으로의 이행지시, 액티비티ㆍ레벨 (activity level)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측면에서는, 송신 파라미터의 통지 타이밍 제어방법은,
(a)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어 데이터 유닛(제어 PDU 등)을 생성하고,
(b)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고,
(c)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한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PDU가 송신 프레임(#N-1)의 후반부분에서 생성된 경우는, 그 제어 PDU를 다음의 프레임(#N)의 전반부분에서 송신한다. 이 경우, 변경 후의 파라미터 하에서의 송수신은, 후속의 다음의 프레임(#N+1)에서 개시된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PDU가 이동국에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제어 PDU를 송신한 프레임의 후반부분에서 재송처리를 수행한다.
제 2의 측면에서는, 상술한 통지 타이밍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기지국을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은,
(a)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대하여,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부와,
(b)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어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는 제어 데이터 유닛 생성부와,
(c)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는 송신처리부를 포함한다.
양호한 구성 예에서는, 제어 PDU 등의 제어 데이터 유닛의 재송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 제어 PDU를 송신한 프레임의 후반부분에서의 재송을 지시하는 재송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이나, 무선기지국의 구성은, 임의의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하는 네트워크나, 그곳에서 이용되는 기지국에 적용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상기의 구성에 의해,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통지시에 기동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는 방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제어지연이나 제어부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C-plane 제어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어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파라미터 변경통지의 타이밍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개략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무선기지국
10 RRC 엔티티
20 RLC 처리블록
21 RLC층 수신 처리부
22 RLC층 송신 처리부
30 MAC처리 블록
31 MAC층 수신처리부
32 MAC층 송신처리부
33 MAC 제어부
34 스케줄러
35 재송제어부
36 MAC 제어 PDU 생성부(제어 데이터 유닛 생성부)
40 물리층 처리블록
41 물리층 수신처리부
42 물리층 송신처리부
43 물리층 제어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로서의 LTE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어모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레이어 3의 RRC(무선 리소스 관리: radio resource control) 엔티티는,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유저단말(UE)과, 네트워크(예를 들어 Evolved UTRAN)와의 사이의 RRC 커넥션의 설정(set), 유지(maintain), 개방(release)을 수행하고, RRC 커넥션을 위한 무선 리소스(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레이어 2의 서브레이어인 RLC층에서는, 이동국(UE)과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RLC 커넥션을 설정/개방하고, 재송제어 RLC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재송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위층 PDU의 전송이나, 트랜스포트ㆍ블록(TB: transport block)의 사이즈에 따른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한다.
레이어 2의 서브레이어인 MAC층은, MAC층 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transmission parameter)에 관하여,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이동국(UE)에 통지한다. MAC층 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로서,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으로의 이행 지시, 전송 타임 인터벌(TTI: transport time interval)을 가변으로 제어하는 경우의 TTI 길이나, 액티비티ㆍ레벨(activity level) 등을 포함한다.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은, VoIP 통신 등의 일정속도 그리고 저 레이트(low rate)로 수행되는 무선통신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일정주기로 고정적으로 할당 하는 스케줄링 방식이다.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으로 이행한다는 취지의 통지는, MAC-PDU에서 직접 이동국(UE)의 MAC 엔티티로 송신되어, 해석된다.
TTI 길이의 변경은, 예를 들어 데이터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하향 공유 제어채널(L1/L2 control channel)로 이동국에 통지할 때, 그 통지 패킷의 사이즈에 따른 TTI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다. 송신해야 하는 패킷을 미리 정해진 TTI 길이(예를 들어 1 서브프레임)에 맞춰서 분석하는 방법에서는, 제어신호의 시그널링의 부담을 증대할지도 모르므로, 패킷 사이즈에 따라 TTI 길이를 변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을, 제어 데이터 유닛으로서의 MAC 제어 PDU를 이용하여 통지하고, 무선기지국과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직접 MAC 층에서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는, RRC층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지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에 부수하여, 어느 타이밍에서 변경하는지를 지정하는 정보도 이동국에 송신하였다. 그러나, MAC 제어 PDU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메시지 사이즈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는, MAC 송신 파라미터(스케줄링 관련의 송신 파라미터 등)을 변경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는 MAC 제어 PDU에는 포함되지 않고,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만을 페이로드에 넣는다.
그리고, MAC 제어 PDU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프레임의 전반 부분으로 한정하고, MAC 제어 PDU에서 통지한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의 변경은,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부터 유효하게 되는 것으로 규정한다.
즉,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 값을 통지하는 MAC 제어 PDU가 송신되었다면, 무선기지국은, 그 다음의 프레임부터, 새로운 파라미터 값 하에서 통신제어를 수행한다. 이동국도 동기하여, MAC 제어 PDU를 수취한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으로 신호를 수신한다.
도 3은, MAC 제어 PDU의 송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송신 타이밍 제어의 단위는, 프레임마다로 한다. 1프레임은, 예를 들어 10ms이며, 0.5ms의 서브프레임 20개로 구성된다.
각 프레임에 있어서, MAC 제어 PDU의 송신이 허가되는 기간(S)은, 프레임의 전반부분으로 한정된다. MAC 제어 PDU뿐 아니라, RRC-PDU의 송신도 프레임의 전반부분으로 한정하여도 좋다. 이들의 PDU의 송신 타이밍을 그룹의 전반부분으로 한정하는 것은, 하이브리드 재송제어(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최대 재송횟수를 고려해서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N-1에서, 변경 전의 파라미터(소정의 TTI 길이, 혹은 통상의 스케줄링)로, 유저 데이터가 송신된 직후에, 파라미터를 변경할 필요가 생겼다고 한다. 이때,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는 MAC 제어 PDU가 생성되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 이동국으로 초회 송신된다.
초회 송신이 성공한 경우, 즉, 이동국으로부터 Ack를 수신한 경우에, 다음의 프레임 #N에서,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변경된 TTI 길이, 혹은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동국의 측에서도, 수취한 MAC 제어 PDU에 파라미터의 변경 타이밍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도, MAC 제어 PDU를 수신한 다음의 프레임 #N에서, 변경 후의 파라미터에 기초한 수신처리로 이행한다.
이동국으로의 MAC 제어 PDU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 즉 일정 시간 이내에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확인응답이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는, 프레임의 나머지의 구간에서, MAC 제어 PDU를 재송한다. 최대재송횟수는, 프레임의 후반부분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국으로부터의 MAC 제어 PDU의 확인응답(Ack)은, HARQ-Ack로 대용하여도 좋다.
MAC 제어 PDU가, 프레임 #N-1의 후반부분에서 생성되는 경우는, 생성된 MAC 제어 PDU는, 다음의 프레임 #N의 전반부분에서 송신된다. 이 경우, 변경 후의 파라미터에서의 송수신은, 후속 그 다음의 프레임 #N+1에서 수행되게 된다.
도 4는, 무선기지국이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101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통신 파라미터의 변경의 필요 여부는, 유저단말로부터 보고되는 측정결과나 요구 QoS 등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S101에서 YES), 단계 S102에서, 임의의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송신 시간 간격(TTI)이나 리소스 할당의 스케줄링의 종류에 대한 파라미터라면, MAC 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이다. 또한, QoS 설정제어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나, RLC 층에서 재송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재송제어 설정 파라미터는, RLC 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이다.
해당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S102에서 NO), 단계 S103에서, 변경을 수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통지를 생성하고, 상위 레이어(upper layer)의 시그널링(signaling)으로 통지한 다. 전부 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S102에서 YES), 단계 S104에서, 해당 레이어나 또는 서브레이어에서의 제어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어 PDU에는, 변경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계 S105에서, 제어 PDU는, 현재의 프레임(#N-1)의 전반부분에서 생성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전반부분에서 생성된 경우는(S105에서 YES), 현재의 프레임(#N-1)의 전반부분에서 제어 PDU의 초회 송신을 수행한다. 단계 S111에서, 일정시간 내에서의 ACK의 유무를 판단하고, ACK가 있으면(S111에서 YES), 단계 S113으로 진행하고, 다음의 프레임 #N부터 변경 후의 파라미터로 통신을 수행한다. ACK가 없는 경우에는(S111에서 NO), 단계 S112로 진행하고, 현재의 프레임 #N-1의 후반부분에서 제어 PDU를 재송한다. 재송은, 후반 프레임 내에서 재송가능한 최대횟수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어 PDU의 생성이, 현재의 프레임(#N-1)의 후반부분에서 수행된 경우에는(S105에서 NO), 단계 S106으로 진행하고, 다음의 프레임 #N의 전반부분에서, 생성된 제어 PDU의 초회 송신을 수행한다. 단계 S107에서 ACK의 유무를 판단하고, ACK가 있으면(S107에서 YES), 단계 S109에서 후속의 다음의 프레임 #N+1부터, 변경 후의 파라미터로 통신한다. 일정시간 내에 ACK가 없는 경우는(S107에서 NO), 단계 S108에서, 다음의 프레임 #N의 후반부분에서 제어 PDU의 재송을, 최대재송횟수까지 수행한다.
이와 같이, MAC 제어 PDU를,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는 간단한 메시지로 구성하고, 그 송신 타이밍을 프레임의 전반부분으로 한정하여 송신하는 것에 의해, 재송구간을 확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과 이동국은, 다음 프레임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변경 후의 파라미터 값으로의 송수신으로 이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무선기지국(1)은, RRC층의 처리블록인 RRC 엔티티(10)와, RLC 처리블록(20)과, MAC 처리블록(30)과, 물리 레이어 처리 블록(40)을 포함한다.
물리층 제어부(43)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SIR 등의 측정결과를, RRC 엔티티(10)로 보고한다. RRC 엔티티(10)는, 보고결과에 기초하여, MAC층 및 물리층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MAC 제어부(33)와 물리층 제어부(43)로 각각 공급한다. RRC 엔티티(10)는 또한, 사용가능한 무선 베어러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RLC층 송신처리부(22)로 입력한다. 이 메시지는, MAC층 송신처리부(32) 및 물리층 송신처리부(42)를 통해, 이동국으로 송신된다.
MAC 제어부(33)는, TTI 길이의 변경이나,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으로의 이행이 필요해 질 때는,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 값을 결정하고, MAC 제어 PDU 생성부(36)로 통지한다. MAC 제어 PDU 생성부(36)는,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MAC 제어 PDU를 생성한다. 이 MAC 제어 PDU는, 파라미터 변경 타이밍의 지정은 포함하지 않고, MAC층 처리부(32)에 의해,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 송신된다. MAC 제어 PDU가, 프레임의 후반부분에서 생성된 경우는, 다음의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 송신한다.
MAC 제어 PDU가 송신되었다면, 무선기지국(1)은,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U-plane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한다.
물리층 수신처리부(41)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확인응답(ACK/NACK)을 수신한다. MAC층 수신처리부(31)는, 수신확인응답에 기초하여, 재송의 요부를 판단한다. 또한, MAC 제어 PDU에 대해서는, 송신하고나서 일정 시간 내에 수신확인응답이 없는 경우는, 재송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는, 스케줄러(34)의 재송제어부(35)로 입력된다. 재송제어부(35)는, 재송 판단결과에 따라서, 재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재송에 사용하는 프로세스 번호는, RRC 엔티티(10)에 의해 결정되며, MAC 제어부(33)를 통해 스케줄러(34)로 통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파라미터의 변경을, 프레임의 전반부분으로 한정하여 MAC 제어 PDU에서 통지한다. 프레임 후반부분에서 MAC 제어 PDU의 재송구간이 확보되며, 변경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가 없어도,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파라미터로의 송수신으로 이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에 수반하는 제어지연이나 제어부하가 저감된다.
그리고, RLC 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 예를 들어, 재송제어를 RLC층에서 수행하는 경우나, QoS 설정제어 등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변경에 대해서도,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RLC 제어 PDU를 생성하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특히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RLC 처리블록(20)은, MAC 처리블록(30)과 동일하게, RLC 제어 PDU 생성부와, 재송제어부나 QoS 제어를 수행하는 RLC 제어부를 포함하며, RLC 제어부와 RRC 엔티티와의 사이에, 측정보고와 제어신호의 공급이 수행된다. 생성된 RLC 제어 PDU는, 이동국(유저단말)에서 수신되고, 이동국의 RLC 처리부에서 직접처리되게 된다.
상술한 방법 및 구성은,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 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통신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이라면, 그와 같은 시스템이 채용하는 통신방식의 차이와 상관없이,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본 건 출원은, 2006년 6월 1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6-16945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Claims (13)

  1.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어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한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한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는 MAC층이며,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MAC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는, 가변 전송 타임 인터벌(TTI)을 채용하는 경우의 TTI 길이,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의 퍼시스턴트ㆍ스케줄링으로의 이행지시, 액티비티ㆍ레 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는, RLC 층이며, RL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RLC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RL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는, 재송제어를 RLC층에서 수행하는 경우의 재송제어 설정정보, 및 서비스 품질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이, 현재의 송신 프레임(#N-1)의 전반부분에서 생성된 경우는, 해당 송신 프레임(#N-1)의 전반부분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고,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N)에서,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이, 현재의 송신 프레임(#N-1)의 후반부분에서 생성된 경우는, 그 제어 데이터 유닛을 다음의 프레임(#N)의 전반부분에서 송신하고, 변경 후의 파라미터 하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후속의 다음 프레임(#N+1)에서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이 이동국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제어 PDU를 송신한 프레임의 후반부분에서 재송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파라미터의 변경제어방법.
  9. 어느 레이어 또는 서브레이어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대해서,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변경 타이밍의 지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어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는 제어 데이터 유닛 생성부; 및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 프레임의 전반부분에서만 송신하는 송신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의 재송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한 프레임의 후반부분에서의 재송을 지시하는 재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A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대해서, 파라미터의 변경을 지시하는 MAC 제어부이며,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 생성부는, MAC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LC층에서 전부 처리가 가능한 송신 파라미터에 대해서, 파라미터의 변경을 지시하는 RLC 제어부이며,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 생성부는, RLC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한 프레임의 다음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변경 후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송신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KR1020097000228A 2006-06-19 2007-06-13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 KR20090031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69458 2006-06-19
JP2006169458A JP5001590B2 (ja) 2006-06-19 2006-06-19 送信パラメータ変更制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405A true KR20090031405A (ko) 2009-03-25

Family

ID=3883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28A KR20090031405A (ko) 2006-06-19 2007-06-13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46442A1 (ko)
EP (1) EP2045993A4 (ko)
JP (1) JP5001590B2 (ko)
KR (1) KR20090031405A (ko)
CN (1) CN101507232B (ko)
TW (1) TW200810479A (ko)
WO (1) WO2007148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698B2 (en) 2009-05-21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Failure indication for one or more carriers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environment
GB201000449D0 (en) 2010-01-12 2010-02-24 Nec Corp Relay communication system
GB2520923B (en) * 2013-11-01 2017-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rer reconfiguration
CN108141718A (zh) * 2016-02-05 2018-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Tti长度的通知方法、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933A (ja) * 1987-10-23 1989-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出方法
JP3301462B2 (ja) * 1994-03-29 2002-07-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変調多値数情報伝送方法
US5910959A (en) * 1997-01-06 1999-06-08 Conexant Systems, Inc. Control channel for modems
US6393007B1 (en) * 1997-10-16 2002-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a system for voice and data radio communication providing improved interference diversity
US6950399B1 (en) * 2000-07-06 2005-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scheduling transport of variable bit-rate data over a network
KR100651364B1 (ko) * 2002-03-11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 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전송대역폭할당 방법
JP3645895B2 (ja) * 2002-08-26 2005-05-1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送受信機、QoS制御装置および送信データのQoS制御方法
JP2005064961A (ja) * 2003-08-15 2005-03-1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JP4194091B2 (ja) * 2003-09-02 2008-12-1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5151013A (ja) * 2003-11-13 2005-06-09 Fujitsu Ltd 通信装置
KR20050118591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제어(rlc) 데이터처리방법
US8233431B2 (en) * 2004-08-13 2012-07-31 Nokia Corporation WCDMA uplink HARQ operation during the reconfiguration of the TTI length
JP2006067236A (ja) * 2004-08-26 2006-03-09 Sharp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169458A (ja) 2004-12-20 2006-06-29 Nippon Paint Co Ltd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0479A (en) 2008-02-16
EP2045993A1 (en) 2009-04-08
CN101507232B (zh) 2012-10-10
CN101507232A (zh) 2009-08-12
US20100046442A1 (en) 2010-02-25
EP2045993A4 (en) 2012-12-05
JP2007336502A (ja) 2007-12-27
JP5001590B2 (ja) 2012-08-15
WO2007148573A1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321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UE) for managing HARQ procedure for multiple numerologies
US8774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enhanced dedicated channel transmissions
US8537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operation of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TWI462555B (zh) 支援增強上鏈之媒體存取控制層架構
US8391244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3988455B (zh) 移动通信系统中用于发送反向控制信号的方法和设备
KR202100532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피드백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037695A1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KR2006010530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및장치
CN101971548A (zh) 通过考虑测量间隔来处理harq的方法
EP2187669B1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70028272A (ko) 강화된 업링크 소프트 핸드오버 동작을 지원하는 재구성가능한 아키텍처를 갖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20312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periodic sidelink resources and discontinuous recep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36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재전송 타이밍을 조정해서패킷을 신속하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08324A (ko)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장치
CN101677282A (zh) 无线资源调度的配置方法以及基站
WO2010066171A1 (zh) 调度信息上报方法、装置及系统
KR20090031405A (ko) 송신 파라미터 변경제어방법 및 무선기지국
EP410109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30232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control signaling for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769623A (zh) 用于处置时间敏感传输的方法及设备
WO2021213606A1 (en) Use of priority mismatch indic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for wireless networks
KR200391830Y1 (ko) 향상된 업링크를 지원하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아키텍처를가진 장치
EP3905827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