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505A -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505A
KR20090030505A KR1020070095862A KR20070095862A KR20090030505A KR 20090030505 A KR20090030505 A KR 20090030505A KR 1020070095862 A KR1020070095862 A KR 1020070095862A KR 20070095862 A KR20070095862 A KR 20070095862A KR 20090030505 A KR20090030505 A KR 2009003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hosphate
polyester composition
retardant polyester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183B1 (ko
Inventor
김세현
최기대
주현진
조해철
오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9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42 내지 80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30중량%, 질소계 난연 상승제 1 내지 15 중량%, 층상 실리케이트 0.5 내지 5 중량% 및 무기 활성화제 0.1 내지 8중량%를 포함하는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이며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색상표현이 자유로운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층상 실리케이트, 무기 활성화제

Description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with Enhanced Thermal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할로겐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층상 실리케이트 및 무기 활성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전기적 성질과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뛰어나 자동차, 전기·전자기기, 사무기기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는 탁월한 전기적 특성 및 우수한 성형성으로 5대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불에 잘 타는 성질 때문에 난연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는 유기 할로겐계 난연제 및/또는 보조 난연제를 별도로 첨가 하는 방법으로 난연성을 부여하여 왔다. 그러나, 염소 또는 브롬 원소를 함유하는 할로겐계 난연제는 할로겐화 수소에 의한 가공기기의 부식이나 수지 분해와 같은 문제점을 낳는다. 또한, 화재시에 발생하는 다량의 할로겐화 화합물에 의한 유독 가스로 인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한다. 게다가, 유기 할로겐 난연제 및/또는 난연 보조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실제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성형품에 접촉하고 있는 금속을 부식시켜 부품의 작용을 방해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전기 접촉 부품의 접촉 금속은 쉽게 오염되어 전기 저항치의 변화를 유발한다. 또한 할로겐계 화합물 및/또는 안티몬 화합물계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전기적 특성 중의 하나인 내트래킹성의 급격한 저하를 가져 온다.
한편, 유럽 일부 국가들은 화재 및 소각 시의 다이옥신 발생을 우려하여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바이페닐(Polybrominated biphenyl, PBB) 및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바이페닐에테르(Polybrominated biphenylether, PBDE) 등의 난연제 사용 규제를 제안한 바 있으며,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에서의 환경 안정성 평가에 따라 유해 중금속 및 브롬계 난연제 일부 및 안티몬 화합물 등의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는 시도도 있었다. 따라서, 비할로겐계 난연제에 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난연제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3,951,908호 및 제4,403,052호는 적인을, 미합중국 특허 제4,278,591호는 멜라민 파이로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유럽 특허공보 제83768Al호는 적인과 무기 필러,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평8-259787호는 인산에스테르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미합중국 특허 제3,878,162호는 적인과 인산에스테르를 함께 사용한 경우 등에 관하여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로는 바람직한 난연 정도를 얻기 위해서 다량의 난연제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과다한 비용 상승, 물성 저하, 내열성 감소 및 전기적 특성 저하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적인을 포함하는 난연제는 고온 안정성 저하로 가공 중 미량의 수분 접촉에 의해서도 포스핀 가스을 발생하며, 적인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은 적인 자체에 의한 적색 발현으로 인하여 제품 색상 구현에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할로겐계 난연제 및 적인을 포함하지 않는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 상승제, 층상 실리케이트 및 무기 활성화제를 포함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구성하면, 효과적인 난연 상승을 발휘하고,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내열성의 저하 없이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며, 색상 표현이 자유로우면서 환경 친화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난연성을 발휘하고, 과다한 비용 상승 및 내열성의 저하 없이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며, 색상 표현이 자유롭고, 내열성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42 내지 80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30중량%, 질소계 난연 상승제 1 내지 15 중량%, 층상 실리케이트 0.5 내지 5중량% 및 무기 활성화제 0.1 내지 8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가 액상 또는 분말상 인산에스테르, 포스페이트, 파이로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금속치환 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파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계 난연 상승제는 멜라민(melamin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melamine cyanurate) 및 트리페닐 아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군 그리고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alkylamine phosphate), 및 피퍼라진 산 폴리포스페이트(piperazine acid polyphosphate)로 이루어진 질소-인 함유 난연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계 물질, 버미쿨라이트계 물질, 일라이트계 물질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활성화제는 하이드로 탈사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 칼슘 하이드레이트, 징크 설파이드, 징크 옥사이드,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징크 보레이트,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 또는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로부터 선택되어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색상 표현이 자유롭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환경 친화적인 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과다한 비용의 상승 및 내열성의 저하 없이 균형잡힌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42 내지 80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30중량%, 질소계 난연 상승제 1 내지 15 중량%, 층상 실리케이트 0.5 내지 5중량% 및 무기 활성화제0.1 내지 8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내열성 등의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난연성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의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거나, 70중량% 이상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배합물이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부탄-1,4-디올과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이나 부탄-1,4-디올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중합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다른 공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 배합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다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화학적 변성을 이용하여 중합시에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을 공중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 변성을 이용하여 충격 보강제 (impact modifier)를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충격 보강제로는 코아(core)가 고무이고 쉘(shell)이 플라스틱인 구조의 메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MBS), 전 아크릴계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삼원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copolymer, 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 styrene,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 SB), 스티렌-이소프렌 (Styrene-isoprene)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Ethylene ethyl acrylate, EEA), 에틸렌-비닐알콜(Ethylene-vinylalchol, EVOH)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PBT)계 탄성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Nylon)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상기 언급된 수지 이외에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충격 보강제를 첨가하여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는데, 상기 상용화제 또는 분산제로는 말레인산 무수물, 옥사졸린, 또는 에폭시 그룹을 말단기 또는 측쇄에 갖는 올리고머나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주쇄 또는 측쇄 개질 첨가제로 대표되며, 주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아니한다.
이밖에도, 폴리에스테르의 강인화, 외관 개선, 또는 유동성 개선의 목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페놀 수지(phenol resin) 등을 블렌드할 수도 있고 증량 등의 목적으로 다른 수지와 블렌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변성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용융 혼련 전에 순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다 른 수지를 함께 첨가하여 혼합 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42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경친화적인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나 적인이 아닌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액상 또는 분말상 인산에스테르, 상기 인산에스테르와 화학적으로 유사한 포스페이트, 파이로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금속치환 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파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방향족기를 갖는 단량체로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TPP), 트리크실레닐 포스페이트(Trixylenyl phosphate, TXP),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TCP) 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고, 2종 이상의 방향족 기를 갖는 것으로 레조르시닐 디페닐 포스페이트(Resorcinyl diphenyl phosphate, RDP), 페닐 디레조르시닐 포스페이트(Phenyl diresorcinyl phosphate), 크레실 디페닐 포스페이트(Cresyl diphenyl phosphate), 크실레닐 디페닐 포스페이트(Xylenyl diphenyl phosphate), 페닐 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Phenyl di(isopropylphenyl) phosph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량체 이상인 올리고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 등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된 것 이외의 인계 난연제를 단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인산에스테르 화합 물 외에 인 질소 복합계 난연제, 포스파진(Phosphazine)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5중량% 미만에서는 난연 상승 효과가 저하되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질소계 난연 상승제로는 질소 함유 난연제 또는 질소-인 함유 난연제가 있다. 질소 함유 난연 상승제로는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멜라민(melamine)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melamine cyanurate)와 트리페닐 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이 있고 질소-인 함유 난연제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alkylamine phosphate), 피퍼라진 산 폴리포스페이트(piperazine acid polyphosphate)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질소계 난연제 및 또는 인튜메슨트(intumescent) 첨가제 (예를 들면 디펜타에리트리톨, 전분, 덱스트린 등의 폴리하이드릭 화합물 (polyhydric compounds), 무기산 등)를 1종 또는 2종 이상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질소계 난연 상승제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 % 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열성 향상 및 연소 지연효과를 위하여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로는 몬트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텔라이트, 본콘스코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및 케니아이트 등의 스멕타이트 계 물질, 버미쿨라이트 계 물질, 레디카이트 등의 층상 일라이트 계 물질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몬트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본콘스코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및 케니아이트이다.
층상 실리케이트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5중량% 미만에서는 난연 상승 효과가 저하되고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비할로겐 난연제와 더불어 난연 활성화를 위하여 무기 활성화제를 포함하는데, 상기 무기 활성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이드로 탈사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 칼슘 하이드레이트, 징크 설파이드, 징크 옥사이드,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징크 보레이트,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 또는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를 들 수 있다.
무기 활성화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0.1중량% 미만에서는 난연 활성화 효과가 저하되고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중량%이다.
상기와 같은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물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리콘계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부여제, 미네랄 필러,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커플링 에이전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기타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상기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슈퍼 믹서에서 일차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인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 일축 압출기 (single-screw extruder), 롤밀 (roll-mills), 니더 (kneader) 또는 밤바리 믹서 (banbury mixer) 등 다양한 배합 가공기기 중 하나를 이용 용융 혼련한 후 펠릿타이저로 펠릿을 얻은 다음 제습 건조기 또는 열풍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한 후 사출 가공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부품, 전자 부품, 자동차용 부품 및 산업용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표 1의 성분 및 함량대로 혼합한 후 슈퍼 믹서(super mixer)로 잘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으로 만든 다음 건조한 후 사출 성형하여 상온에서 충분히 컨디셔닝시킨 다음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열변형온도(HDT): 18.6kgf/cm2의 하중을 사용하여 ASTM D648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아이조드 충격강도(Izod Impact)는 ASTM D256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난연성: 미국의 언더 라이터즈 래보러토리사(Underwriter's Laboratory Inc.)가 규정하는 방법인 UL 94시험에 의하여 측정하였는데, 이는 수직으로 유지한 크기의 시편에 버너의 불꽃을 10초간 접염한 후의 잔염 시간이나 드립성으로부터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잔염시간은 착화원을 멀리 떨어뜨린 후 시편이 유염연소를 계속하는 시간의 길이이고, 드립에 의한 면의 착화는 시편의 하단으로부터 약 300mm 아래에 있는 표지용의 면이 시편으로부터의 적하(드립)물에 의해 착화되는 것에 의 해 결정되며, 난연성의 등급은 하기 표에 따라 나누어진다.
구분 V2 V1 V0 HB
각 시료의 잔염시간 30초 이하 30초 이하 10초 이하 난연불가
5 시료의 전체잔염시간 250초 이하 250초 이하 50초 이하
드립에 의한 면의 착화 있음 없음 없음
◎ 내트래킹성(Tracking Resistance) : 절연체가 오염이나 부식에 의해 두 전극사이에서 표면에 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에 대한 절연체의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ASTM D2863 방법에 의하여 표준 오염물질을 시편에 떨어뜨린 후 트래킹이 일어나지 않는 최고 전압(CTI)을 측정하였다.
◎ 색상 표현성 : 자연색 표현이 가능한지를 비교하였다.
◎ 포스핀 가스 발생량 : 1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포스핀 가스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68329571-PAT00001
* PBT : GP-2000(LG화학 제품)
* PET : BB-8055(SK화학 제품)
* 층상 실리케이트 : Cloisite 44A(SCP 제품)
* 무기활성화제 1 : 하이드로 탈사이트(DHT, Kyowa 제품)
* 무기활성화제 2 : 징크 옥사이드(ZEHUI 제품)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할로겐 난연제, 질소계 난연상승제, 층상 실리케이트 및 무기활성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들은 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적인과 무기활성화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되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3, 비할로겐 난연제, 층상실리케이트 및 무기활성화제를 포함하되 질소계 난연상승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4에 비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난연성을 발휘하며, 인장강도, 신율, 열변형 온도, 충격강도 및 내트래킹성의 물성이 비교예에 비하여 저하되지 않으며, 색상표현도 자유로움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폴리에스테르 42 내지 80 중량%, 인계 난연제 5 내지 30중량%, 질소계 난연 상승제 1 내지 15 중량%, 층상 실리케이트 0.5 내지 5중량% 및 무기 활성화제 0.1 내지 8중량%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70 내지 100중량%의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거나, 70 내지 100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머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에서 나머지 반복단위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이거나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이고, 상기 수지 혼합물에서의 나머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거나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및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공단량체가 공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가 액상 또는 분말상 인산에스테르, 포스페이트, 파이로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금속치환 포스피네이트 및 포스파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TPP), 트리크실레닐 포스페이트(Trixylenyl phosphate, TXP),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TCP), 레조르시닐 디페닐 포스페이트(Resorcinyl diphenyl phosphate, RDP), 페닐 디레조르시닐 포스페이트(Phenyl diresorcinyl phosphate), 크레실 디페닐 포스페이트(Cresyl diphenyl phosphate), 크실레닐 디페닐 포스페이트(Xylenyl diphenyl phosphate), 페닐 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Phenyl di(isopropylphenyl) phosphate), 및 이들의 이량체 이상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계 난연 상승제는 멜라민(melamine),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melamine cyanurate) 및 트리페닐 아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진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군 그리고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alkylamine phosphate), 및 피퍼라진 산 폴리포스페이트(piperazine acid polyphosphate)로 이루어진 질소-인 함유 난연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계 물질, 버미쿨라이트계 물질, 일라이트계 물질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멕타이트계 물질은 몬트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텔라이트, 본콘스코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및 케니아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층상 일라이트계 물질은 레디카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활성화제는 하이드로 탈사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 칼슘 하이드레이트, 징크 설파이드, 징크 옥사이드,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징크 보레이트,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 또는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실리콘계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부여제, 미네랄 필러,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충격 보강제 (impact modifi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코아(core)가 고무이고 쉘(shell)이 플라스틱인 구조의 메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MBS), 전 아크릴계 고무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삼원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copolymer, EPDM),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styrene,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SIS),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 SB), 스티렌-이소프렌 (Styrene-isoprene) 고무, 에틸렌-비 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ethyl acrylate, EEA), 에틸렌-비닐알콜(Ethylene-vinylalchol, EVOH)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PBT)계 탄성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Nylon)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부품.
KR1020070095862A 2007-09-20 2007-09-20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20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62A KR101207183B1 (ko) 2007-09-20 2007-09-20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862A KR101207183B1 (ko) 2007-09-20 2007-09-20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505A true KR20090030505A (ko) 2009-03-25
KR101207183B1 KR101207183B1 (ko) 2012-11-30

Family

ID=4069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862A KR101207183B1 (ko) 2007-09-20 2007-09-20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1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8102A1 (en) * 2010-10-06 2012-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halogenated flame retardant adhesives and tapes
KR101291469B1 (ko) * 2009-12-29 2013-07-30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90094735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알에이 고농도 고분산성을 가지는 섬유용 폴리에스터 난연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섬유용 폴리에스터 난연 마스터 배치
WO2020091109A1 (ko) * 2018-10-31 2020-05-07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고난연성 고분자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 수지
WO2021177488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17106233A (zh) * 2023-10-24 2023-11-24 广州市寅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亚磷酸铝的复合阻燃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1887A1 (de) * 2003-07-14 2005-02-17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Zubereitu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469B1 (ko) * 2009-12-29 2013-07-30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US20120088102A1 (en) * 2010-10-06 2012-04-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halogenated flame retardant adhesives and tapes
CN103154173A (zh) * 2010-10-06 2013-06-12 3M创新有限公司 非卤化阻燃粘合剂及胶带
KR20190094735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알에이 고농도 고분산성을 가지는 섬유용 폴리에스터 난연 마스터 배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섬유용 폴리에스터 난연 마스터 배치
WO2020091109A1 (ko) * 2018-10-31 2020-05-07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고난연성 고분자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 수지
WO2021177488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17106233A (zh) * 2023-10-24 2023-11-24 广州市寅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亚磷酸铝的复合阻燃剂及其制备方法
CN117106233B (zh) * 2023-10-24 2024-02-13 广州市寅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亚磷酸铝的复合阻燃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183B1 (ko)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0511A (ko) 전기 특성이 향상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얼로이 수지
KR101207183B1 (ko)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322145B1 (ko) 할로겐-프리 열가소성 abs 난연 수지 조성물
KR2010011837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91462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1697814B1 (ko) 폴리프로필렌 난연수지 조성물 및 압출 튜빙 성형품
WO2018073819A1 (en) Flame-retarded polyester formulations
KR101632571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EP3504261B1 (en) Flame-retarded polyamide composition
KR100383097B1 (ko) 난연 열가소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30130320A (ko) 할로겐―안티몬 프리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난연수지 조성물
KR10048168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스티렌계 공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KR20130021502A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109563304B (zh) 阻燃的聚酯组合物
KR100362344B1 (ko)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65612B1 (ko)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비할로겐 난연성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얼로이수지 조성물
KR20110072828A (ko)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WO1998030632A1 (fr)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JP2021014478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0204263B1 (ko) 난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84909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91338B1 (ko) 비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9980031512A (ko) 난연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 조성물
KR100231063B1 (ko) 난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624755B1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