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939A -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 Google Patents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9939A KR20090029939A KR1020070095139A KR20070095139A KR20090029939A KR 20090029939 A KR20090029939 A KR 20090029939A KR 1020070095139 A KR1020070095139 A KR 1020070095139A KR 20070095139 A KR20070095139 A KR 20070095139A KR 20090029939 A KR20090029939 A KR 200900299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bottle cap
- beverage container
- peripheral surface
- sea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65D41/265—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봉인테가 절취되면서 용기본체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에 병마개가 밀봉된 상태에서 병마개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이 컵의 하부면에 노출되고 병마개의 외주면 요철이 컵 외주면으로 요철을 형성하도록, 음료용기에 밀봉된 병마개의 외주면에 컵의 하단 내주면을 압착 고정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컵을 회전시키면 음료용기와 봉인테에 의해 결합된 병마개가 컵과 함께 회전하면서 음료용기로부터 탈리되므로, 내용물의 음용을 위해 컵을 음료용기로부터 탈리시킨 후, 마개를 회전을 통해 오픈시키지 않아도 되어, 음용을 위한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컵과 병마개가 압착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병마개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므로, 병마개의 오염에 의해 컵으로 오염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료수나 주류 등은 플라스틱 내지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캔 등의 용기 내에 채워져 유통된다. 특히, 근래에는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플라스틱 용기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는 내용물이 충만된 후 마개로 밀봉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내용물이 충만된 플라스틱 용기는 소비자가 언제든지 마개를 딴 후 내용물을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는 여러 명이 마시고자 할 때에는 컵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소비자는 별도의 컵을 준비하거나 일회용 컵을 구입해서 마셔야만 되기 때문에 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컵을 구하기 힘든 야외에서 음료를 여러 명이 마실 경우, 컵이 준비되지 않으면 여러 명이 용기에다 입을 대고서 마셔야만 되므로 보기에도 좋지 않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 본원인은 국내특허출원 제 10-2001-3865(컵을 갖는 용기)를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인 컵을 갖는 용기는 병마개가 구비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병목 아래부 또는 용기의 하단의 외벽에 원형의 요홈인 돌기 수용홈이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 형성되고, 이 돌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돌기부가 돌기 수용홈의 수만큼 형성되는 컵이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선출원 된 본원인의 컵을 갖는 용기 및 종래 컵을 갖는 용기는 내용물의 음용을 위해 컵을 음료용기로부터 탈리시킨 후, 마개를 회전을 통해 오픈시켜야 하므로, 두 번의 오픈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컵을 갖는 음료용기는 컵과 마개가 분리되되, 상호 접하거나 인접되어 있어, 마개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경우, 오염된 마개가 덮여진 컵을 오 염시켜 위생상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특히, 생수)와 주류는 국세청에 환경부담금 또는 주류세를 납세필하여야 하며, 이의 확인이 병마개 상부면에 표시되는데, 종래의 경우 컵이 마개를 가리고 있어 납세필 확인이 불가능하여 국세 수납과 관련하여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컵을 갖는 음료용기의 겁은 음료용기와 유사한 두께로 비교적 얇게 이루어져 있어,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지면 손으로 파지가 어려우며, 차가운 내용물이 담겨지거나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지면 그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보온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봉인테가 절취되면서 용기본체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에 병마개가 밀봉된 상태에서 병마개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이 컵의 하부면에 노출되고 병마개의 외주면 요철이 컵 외부로 형성되도록, 음료용기에 밀봉된 병마개의 외주면에 컵의 하단 내주면을 압착 고정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컵을 회전시키면 음료용기와 봉인테에 의해 결합된 병마개가 컵과 함께 회전하면서 음료용기로부터 탈리되어 오픈되므로, 내용물의 음용을 위해 컵을 음료용기로부터 탈리시킨 후, 마개를 회전을 통해 오픈시키지 않아도 되어, 음용을 위한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컵과 병마개가 압착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병마개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므로, 병마개의 오염에 의해 컵으로 오염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특히, 생수)와 주류의 환경부담금 또는 주류세의 납세를 확인하도록 병마개 표면에 표시되는 납세필 표시를 확연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도록 제공하는 첨부도면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하부면의 압착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 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은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봉인테(3)가 절취되면서 음료용기본체(1)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2)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본체(1)에 병마개(2)가 밀봉된 상태에서 병마개(2)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2b)이 컵(10)의 하부면으로 노출되고, 병마개(2)의 외주면 요철(2a)이 컵(10) 외주면으로 요철(10a)을 형성하도록, 병마개(2)의 외주면에 컵(10)의 바닥면이 되는 하단 내주면을 위치시키되,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을 압착 고정하여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압착 고정은 열 압착방식(열프레스 압착, 열수축 압착, 고주파 용착 등)일 수 도 있고, 강제적으로 힘을 가해 끼우는 억지끼움식일 수 도 있으며, 접착제를 통한 결합일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마개(2)의 납세필 표시 부분이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컵(10)의 바닥면이 되는 하단 부분을 병마개(2) 상부로 연장하여 압착 고정할 수 도 있고, 적어도 바닥면이 되는 하단부가 투명하면서 밀폐된 형상으로 제조된 컵(10)의 내측 하부면 및 내주면이 병마개(2)의 상부면 및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병마개(2)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2a)이 컵(10)의 하단 외주면(병마개의 외주면 요철과 접한 부분까지의 외주면)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도록 압착시켜서 고정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된 음료용기본체(1)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봉인테(3)를 통해 병마개(2)로 밀봉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바닥면이 되는 하단 내주면 부분을 내용물을 수용한 음료용기본체(1)를 밀봉한 병마개(2)의 요철(2a)이 형성된 외주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바닥면이 되는 하단 내주면 부분을 압착 예컨대, 일실시예적으로 열 압착시킨다.
그리하면, 병마개(2)에 표시된 납세필마크면(2b)이 컵(10)의 하부면으로 노출되고, 병마개(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2a) 부분이 컵(10)의 하단 외주면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병마개(2)와 컵(10)이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해 얻고자하는 컵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열 압착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압착부재가 병마개(2) 외주면을 감싸고 위치한 컵(10)의 하단 외주면 부분을 가압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음료(특히, 생수)와 주류의 환경부담금 또는 주류세의 납세를 확인하는 납세필 마크면(2b)을 병마개(2)와 컵(1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며, 컵(10) 외주면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요철(10a)에 의해 손으로 개폐시키기 용이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봉인 테(3)가 절취되면서 음료용기본체(1)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2)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2)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2b)이 노출되도록, 상기 봉인테(3)를 통해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와 결합 밀봉되는 병마개(2)의 외주면 부분에 컵(10)의 바닥면이 되는 하단 내주면 부분을 위치시키되,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이 압착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컵(10)의 상단 테두리 부분 즉, 내주연은 음료용기본체(1)의 외주면 부분으로 덮여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중 상기 병마개(2)와 컵(10)의 압착 고정은 병마개(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2a) 부분에 컵(10)의 하단 내주면이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압착 고정은 열 압착방식(열프레스 압착, 열수축 압착, 고주파 용착 등)일 수 도 있고, 강제적으로 힘을 가해 끼우는 억지끼움식일 수 도 있으며, 접착제를 통한 결합일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봉인테(3)는 병마개(2)의 개방 단부 주연부분에 부분 절결되어 결합되며, 일정 가압 회전에 의해 절결 부위가 파괴되면서 오픈되도록 된 것으로, 병마개(2)와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용기 주둥이)의 돌출테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후, 병마개(2)가 컵(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오픈되면,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 돌출테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컵(10)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마개(2)의 외주면 부분에만 압착 고정될 수 도 있으나,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마개(2)의 납세필 표시 부분이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병마 개(2) 상부면으로 연장 절곡 형성되고, 그 부분까지 압착 고정될 수 도 있고, 그 밖에도,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바닥면이 되는 하단부가 투명하면서 밀폐된 형상으로 제조된 컵(10)을 병마개(2)의 상부면과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병마개(2) 외주면의 요철(2a)이 컵(10)의 하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도록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이 압착 고정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병마개(2)와 컵(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10)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외주면 일측 하단 부분으로부터 평면 상태로 돌출되어서 상단부분에 이르는 손잡이(10c)가 형성될 수 도 있는데, 이러한 손잡이(10c)는 양측에 또는 세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를 갖으며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직경이 좁은 컵(10) 하단부분이 바닥면에 위치할 때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도 있고, 컵(1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컵(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와 나사 결합되었던 병마개(2)가 회전하게 되고, 병마개(2)가 회전하게 되면, 음료용기본체(1)의 돌출테에 끼워져 이탈 되지 않게 고정된 봉인테(3)는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려 하고, 병마개(2)는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탭을 타고 상승하면서 오픈되려고 한다.
그리되면, 결국 힘의 어느 한계점에서 병마개(2)와 봉인테(3)의 절결 부분이 완전 절결 상태 즉, 파괴되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마개(2)가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로부터 회전 이탈하면서 오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컵(10)을 회전시키면, 병마개(2) 역시 회전하면서 오픈되며, 그 상태에서 컵(10)의 직경이 좁은 부분을 아래로 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따라 음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개방된 상단 주연부분에 홈(10b)을 형성하고,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과 중간 부분 사이에 외주면 부분에 고정홈(1a)을 형성하고, 개방부 내주연에 고정돌기(20a)가 형성된 별도의 컵a(20)을 마련하여서 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컵a(20)은 평상 시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 부분에 끼워져 고정홈(1a)과 고정돌기(20a)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컵a(20)의 개방부 내주연은 상기 다른 컵(10)의 최대 폭을 이루는 개방부 외주연 보다 큰 주연을 갖되, 상기 각 주연은 상호 면접된 상태에서 컵(10)의 홈(10b)과 컵a(20)의 고정돌기(20a)가 결합 고정될 수 있어,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뜨거운 내용물을 쉽게 들어서 마실 수 있으며, 뜨거운 내용물이든 차가운 내용물이든 그 온도를 오래 유지하면서 음용할 수 있다.
그밖에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a(20)가 끼워지는 음료용기본체(1) 하단 부분을 단턱(1b) 지게 형성하고, 음료용기본체(1) 하단 외주연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컵a(20)의 하단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는 수직 형태로 연속되는 탄발요철(20b)을 형성시켜서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컵a(20)이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 단턱(1b)진 부분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단턱(1b)의 지름보다 좁은 지름을 갖는 컵a(20)의 탄발요철(20b)이 벌어지면서 음료용기본체(1)의 단턱(1b)과 결합되어 견고히 결합되며, 돌출된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 외주연 부분에 컵a(20)의 하단 내주연 부분이 끼워져, 컵a(20)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결합되는 과정에서 돌출된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 외주연 부분과 컵a(20)의 하단 내주연 부분이 결합되는 시점에서 경쾌한 음향이 발생하여 청각적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하부면의 압착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 부분 단면도 및 평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 10a : 요철
10b : 홈 10c : 손잡이
1 : 음료용기본체 1a : 고정홈
2 : 병마개 2a : 요철
2b : 납세필마크면 3 : 봉인테
20 : 컵a 20a : 고정돌기
Claims (15)
- 회전에 의해 봉인테(3)가 절취되면서 음료용기본체(1)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2)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1)에 병마개(2)가 밀봉된 상태에서 병마개(2)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2b)이 컵(10)의 하부면으로 노출되고, 병마개(2)의 외주면 요철(2a)이 컵(10) 외주면으로 요철(10a)을 형성하도록, 병마개(2)의 외주면에 컵(10)의 하단 내주면을 위치시키되,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을 압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병마개(2)의 납세필 마크면(2b)이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컵(10)의 하단 부분을 병마개(2) 상부로 연장하되,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을 압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바닥면이 되는 하단부가 투명하면서 밀폐된 형상으로 제조된 컵(10)의 내측 하부면 및 내주면이 병마개(2)의 상부면 및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병마개(2) 외주면의 요철(2a)이 컵(10)의 하단 외주면에 자 연적으로 형성되도록,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을 압착시켜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은 열 압착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 회전에 의해 봉인테(3)가 절취되면서 음료용기본체(1)로부터 탈리되는 병마개(2)를 갖는 음료용기를 위한 컵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2)의 국세청 납세필 마크면(2b)이 노출되도록, 상기 봉인테(3)를 통해 음료용기본체(1)의 개구부와 결합 밀봉되는 병마개(2)의 외주면 부분에 컵(10)의 하단 내주면 부분이 위치하되, 병마개(2)와 컵(10)이 접하는 면이 압착 고정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2)와 컵(10)의 압착 고정은 병마개(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2a) 부분에 컵(10)의 하단 부분 내주면이 압착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은 병마개(2)의 납세필 마크면(2b)이 노출되는 범위 내에서 병마개(2) 상부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은 적어도 바닥면이 되는 하단부가 투명하면서 밀폐된 형상으로 되고, 내측 하부면 및 내주면이 병마개(2)의 상부면 및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병마개(2) 외주면의 요철(2a)이 컵(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압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은 병마개(2)의 외주면 부분에만 압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외주면 일측 하단 부분으로부터 평면 상태로 돌출되어서 상단부분에 이르는 손잡이(10c)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c)는 컵(10)의 양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c)는 컵(10)의 세 방향에 동일한 각도를 갖으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개방된 상단 주연부분에 홈(10b)을 형성하고, 음료용기본체(1)의 하단과 중간 부분 사이에 외주면 부분에 고정홈(1a)을 형성하고, 개방부 내주연에 고정돌기(20a)가 형성된 별도의 컵a(20)를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컵a(20)의 개방부 내주연은 상기 다른 컵(10)의 최대 폭을 이루는 개방부 외주연 보다 큰 주연을 갖되, 상기 내주연과 외주연은 상호 면접된 상태에서 컵(10)의 홈(10b)과 컵a(20)의 고정돌기(20a)가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 제 13항에 있어서, 컵a(20)가 끼워지는 음료용기본체(1) 하단 부분을 단턱(1b) 지게 형성하고, 음료용기본체(1) 하단 외주연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컵a(20)의 하단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는 수직 형태로 연속되는 탄발요철(20b)을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5139A KR20090029939A (ko) | 2007-09-19 | 2007-09-19 |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5139A KR20090029939A (ko) | 2007-09-19 | 2007-09-19 |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9939A true KR20090029939A (ko) | 2009-03-24 |
Family
ID=4069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5139A KR20090029939A (ko) | 2007-09-19 | 2007-09-19 |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2993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723Y1 (ko) | 2017-12-28 | 2018-10-26 | 주식회사 피스코팩 | 간편한 착탈방식을 갖는 용기 |
-
2007
- 2007-09-19 KR KR1020070095139A patent/KR200900299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723Y1 (ko) | 2017-12-28 | 2018-10-26 | 주식회사 피스코팩 | 간편한 착탈방식을 갖는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8005B2 (en) | Individual bottle coolers | |
US6739471B2 (en) | Container with rotary closure | |
US6588621B2 (en) | Beverage bottle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ssembly for holding ice and water | |
US20160236813A1 (en) | Beverage can marketing device with removable center cover | |
JP2019503313A (ja) | タンパーエビデンスブリッジ | |
KR20090029939A (ko) | 밀봉식 병마개를 이용한 음료용기의 컵 제조방법 및 그 컵 | |
WO2014179849A1 (pt) |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embalagem de bebidas e similares | |
KR101641300B1 (ko) | 컵홀더 | |
JP2005187082A (ja) | 飲料が充填されている飲料容器 | |
US20160015198A1 (en) |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 |
TWI732520B (zh) | 容器蓋以及其製造方法 | |
US20090206079A1 (en) | Pressure Closure for Beverage and Food Containers | |
KR200413218Y1 (ko) | 컵 용도의 마개를 구비한 포장용 병 | |
KR101592184B1 (ko) | 컵 또는 글라스 형태로 전환되는 캔 타입 용기 | |
TWM550720U (zh) | 飲料杯及其杯蓋 | |
JP6969977B2 (ja) | 二重容器 | |
KR101171440B1 (ko) | 개봉형 썸터치 메달-클로져 | |
KR200168661Y1 (ko) | 2중컵구조 | |
CN111806841B (zh) | 隔热容器以及带盖容器 | |
JP3240427B2 (ja) | 冷液器 | |
KR200485289Y1 (ko) | 음료용기 빨대 연결구 | |
KR200174393Y1 (ko) | 캔의 스트로 개봉구조 | |
KR200393417Y1 (ko) | 컵 겸용 병뚜껑 | |
WO2016205492A1 (en) |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 |
KR20230042608A (ko) | 종이컵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