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890A -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890A
KR20090028890A KR1020070094010A KR20070094010A KR20090028890A KR 20090028890 A KR20090028890 A KR 20090028890A KR 1020070094010 A KR1020070094010 A KR 1020070094010A KR 20070094010 A KR20070094010 A KR 20070094010A KR 20090028890 A KR20090028890 A KR 20090028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wer generation
solar
amount
installa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250B1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성창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창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며, 영상 획득부, 위치정보 측정부, 영상 처리부, 데이터 저장부, 및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는 발전기의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위치정보 측정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한다. 영상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한다.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발전량 계산을 위해 필요한 태양발전상수들의 값들을 저장한다.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스캔 영상, 상기 측정된 방위, 및 측정된 방위에서의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상기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시뮬레이션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설치장소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설치되는 발전기의 집광판의 방위와 각도가 최적화되도록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amount of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using solar heat}
본 발명은 발전량 시뮬레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 주변을 스캔한 스캔 영상을 이용하여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발생하기 위한 발전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최근까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화력 발전이나 우라늄과 같은 등의 방사성 원소를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 등이 널리 이용되었으나, 화석연료의 매장량의 한계, 방사성 원소의 처리 비용, 환경오염 등의 문제 때문에, 자연력을 이용하는 발전방법들이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자연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 수력 발전, 조력 발전, 풍력 발전 등이 있다. 이 중 태양광 발전은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방식으로는 탑집광 방식, 포물면 집광방식, 태양전지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의 효율은 태양광을 얼마나 많이 받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되므로, 발전 방식에 관계없이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수집할 수 있는 곳에 발전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태양광 발전기의 설치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므로, 설치 전에 발전기가 설치될 설치위치에서 태양광 발전량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량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설치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서의 날씨, 일조량 등의 통계들을 이용된다.
그러나 통계를 이용하는 이러한 방법은, 설치위치가 포함되는 지역에서의 일사량 통계를 이용하여 전체 발전량과 소비 전력량 등을 추산하여 단순히 비교하는 수준에서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을 뿐, 설치위치에서의 정확한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설치위치에 특정된 환경(예를 들어 지형 지물 등)에 따라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어느 설치위치에서나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 주변을 스캔한 스캔 영상을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 량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며, 영상 획득부, 위치정보 측정부, 영상 처리부, 데이터 저장부, 및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는 발전기의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한다. 위치정보 측정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한다. 영상 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한다.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발전량 계산을 위해 필요한 태양발전상수들의 값들을 저장한다.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스캔 영상, 상기 측정된 방위, 및 측정된 방위에서의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상기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시뮬레이션 한다.
한편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반구면 영상을 획득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은 대기권 밖에서의 태양에너지량과 위도 별 대기권 두께, 태양고도에 따른 공기 밀도, 대기권 투과율, 투과 에너지량, 일출 및 일몰 시간, 일사량 및 일조량, 집광판의 발전효율, 운량, 인버터계통연계효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션부에서 시뮬레이션 되는 발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상기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은,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며, 발전기의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영상, 상기 측정된 방위, 및 측정된 방위에서의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상기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시뮬레이션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션 되는 발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상기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는, 태양광 발전기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설치장소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설치되는 발전기의 집광판의 방위와 각도가 최적화되도록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도이다.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처리부(130), 데이터 저장부(150), 및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70)를 포함하며, 위치 결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의 영상 획득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공간에서 획득된 스캔 영상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3의 공간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기(미도시)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위치에서 태양광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 먼저 태양광 발전기의 집광판(미도시)이 설치될 위치에 영상 획득부(110)를 위치시킨다(도 3 참조).
영상 획득부(110)가 설치된 후, 영상 획득부(110)는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한다(S201).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는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평하지 않은 곳에 설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영상 획득부(110)는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의 편의를 위해, 영상 획득부(110)는 DSP 기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컨트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치정보 측정부(130)는 영상 획득부(110)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한다(S203). 이하에서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상부 반구면 영상이 획득되는 동작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치된 후 영상 획득부(110)는, 수평감지 센서와 모터 등을 이용하여 틸트(tilt)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수평을 유지한다. 수평을 유지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영상 획득부(110)는 콤파스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북을 확인하고, 위도 및 경도, 그리고 진북 보정표 등을 이용하여 진북을 찾아, 진북 방향으로 방향을 초기화한다. 다른 방법으로 영상 획득부(110)는 GPS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을 GPS 위성에 의한 절대좌표와 연동시킬 수도 있다. 진북 방향으로 방향을 초기화한 후, 영상획득부(110)는 전방위각(360도)과 고도(90도)에 대해 움직이며, 상부 반구면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10)와 위치정보 측정부(130)에 의해 획득된 상부 반구면 영상, 그리고 방위와 위도, 경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 처리부(150)로 전송된다.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영상 획득부(110)와 위치정보 측정부(130)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은 블루투스 또는 기타 무선통신표준에 의한 방법으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110)와 위치정보 측정부(13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영상 획득부(110)와 위치정보 측정부(130)에 의해 획득된 모듈화 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70)는 획득된 상부 반구면 영상을 처리하여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스캔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진북을 기준으로 각각 30도, 220도, 그리고 315도의 방위각 위치에 건물, 나무, 그리고 전신주가 각각 위치하고, 건물, 나무, 그리고 전신주의 고도는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각각 30도, 40도, 45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상부 반구면 영상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부(170)로 전송한다. 획득된 정보들이 블루투스 또는 기타 무선통신표준 에 의한 방법으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경우, 영상 처리부(170)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통신 모듈을 통해 영상 획득부(110)와의 통신 소켓이 구성된다.
획득된 정보들을 수신한 후, 영상 처리부(170)는 영상 획득부(110)의 상태값(즉 방위각, 고도 등의 값)과 획득된 영상을 고도각 단위로 분리하여 합성함으로써 전방위각과 고도에 대한 스캔 영상을 생성한다(S205).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영상은 전방위각과 고도에 대해 생성된다(도 4의 400 참조). 이 때 투과율 계산을 위해서, 전방위각과 고도에 대한 매트릭스가 함께 생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영상 처리부(170)는 매트릭스와 스캔 영상에서 지형지물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즉 건물, 나무, 전신주 등)과 가려지지 않는 부분(하늘)을 구분하여, 단위 방위각, 단위 고도에 대한 투과율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아래의 표는, 도 3의 공간에서 10도의 단위로 방위각과 고도를 나타내어 생성된 투과율 매트릭스이다.
Figure 112007066995196-PAT00001
한편 본 발명에서 영상 처리부(170)는, 도시계획 또는 지형변화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반영시키기 위해서 투과율 매트릭스에 변형될 지형의 투과율을 수정할 수도 있다. 즉 추후 변경될 지형이나 도시계획 등을 고려하여, 영상 처리부(170)는 스캔 영상을 생성할 때 변형될 지형을 임의적으로 입력하여 변형된 지형에서의 발전량이 예측되어 시뮬레이션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캔 영상, 즉 투과율 매트릭스가 생성된 후,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스캔 영상(즉 투과율 매트릭스), 측정된 방위, 측정된 방위에서의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한다(S207). 한편 데이터 저장부(170)는 발전량 계산을 위해 필요한 태양발전상수들(구체적인 항목에 대해서는 후술함)의 값들을 저장한다. 이하 시뮬레이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에서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시뮬레이션은 일사량 계산, 발전량 계산, 그리고 결과값 산출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태양발전상수들의 값들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양발전상수들은 대기권 밖에서의 태양에너지량과 위도 별 대기권 두께, 태양고도에 따른 공기 밀도, 대기권 투과율, 투과 에너지량, 일출 및 일몰 시간, 일사량 및 일조량, 집광판(또는 태양전지)의 발전효율, 운량, 인버터계통연계효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태양발전상수들과 스캔 영상을 이용하여 설치위치에서의 일사량 및/또는 일조량 등을 산출하고, 또한 태양발전상수들과 산출된 일사량 및/또는 일조량 등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계산한다.
일사량은 설치위치의 위도, 경도, 설치위치가 속한 지역의 운량(즉 구름의 양), 태양전지효율, 인버터계통연계효율 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일사량 계산을 위해 설치위치의 위도, 경도, 설치위치가 속한 지역의 운량(즉 구름의 양), 태양전지효율, 인버터계통연계효율 등이 입력되며, 그 후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일사량을 계산한다.
일사량 계산 시,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태양고도에 따른 공기밀도, 대기권 투과율, 투과 에너지량 등이 이용된다.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입력된 값들과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값들을 이용하여 입력된 위도, 경도에 따른 현 위치에서의 365일 24시간에 대한 태양고도, 태양방위각을 산출하고, 현위치에서의 365일 24시간에 대한 전방위각, 전고도에 대하여 수직한 면(집광판의 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량을 산출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일별/시간별 일사량의 통계를 가질 수 없을 경우에도 태양광 발전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을 산출한 후,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발전량을 계산한다. 발전량 계산은 단위면적 단위시간당 전력발전량을 먼저 계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일간, 연간 발전량을 계산한다.
먼저 단위면적 단위시간당 전력발전량은 다음 식,
단위면적 단위시간당 전력발전량 = 단위면적이 받는 태양 에너지량 × 태양전지효율 × 구름투과율(일조율) × 스캔투과율(투과율 매트릭스 참조) × 인버터계통연계효율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일 발전량은 시간당 발전량을 24시간 동안 합산 하여 구할 수 있으며, 1년 발전량은 1일 발전량을 365일 동안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발전량을 계산한 후,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결과값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사진, 그래프, 엑셀 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결과값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190)는 스캔결과 파노라마 사진(방위각, 고도가 함께 표시, 도 4 참조), 추정 지형변화 사진, 일간, 날짜 별 및 시간 별 월간 일조량 추이, 일간 및 월간 수평 일사량 추이(즉 지표면에 수평한 에너지량), 일간 및 월간 입사체 일사량 추이(즉 태양전지판이 받는 실질적인 에너지량), 총일사량 및 발전량, 고정 방위각 및 입사각에 대한 총일사량 및 발전량, 시간별 및 날짜별 일간 및 월간 발전량 추이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태양광 발전에서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위치 결정부(195)를 더 포함하며, 위치 결정부(195)는 시뮬레이션 되는 발전량, 특히 각 방위각 및 입사각에 대해 산출되는 총일사량 및 발전량을 이용하여 설치위치에서의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한다(S20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태양광 발전량을 산출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각각의 동작은 독립적으로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전량을 계산하기 위해 스캔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일사량을 측정하는데, 일사량을 측정하는 구 성은 태양광 발전 이외에 태양열을 이용하는 시설이나 농업용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캔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일사량(광량)과 일조량(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은, 일조권 분석 및 이를 통한 일조권 분쟁의 해결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획득부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공간에서 획득된 스캔 영상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전기의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부;
    상기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발전량 계산을 위해 필요한 태양발전상수들의 값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스캔 영상, 상기 측정된 방위, 및 측정된 방위에서의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상기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시뮬레이션 하는 태양발전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반구면 영상을 획득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은 대기권 밖에서의 태양에너지량과 위도 별 대기권 두께, 태양고도에 따른 공기 밀도, 대기권 투과율, 투과 에너지량, 일출 및 일몰 시간, 일사량 및 일조량, 집광판의 발전효율, 운량, 인버터계통연계효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에서 시뮬레이션 되는 발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상기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5. 태양광 발전기의 발전량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전기의 집광판이 설치될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반구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방위와 위도, 경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반구면 영상에 대응하는 스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 영상, 상기 측정된 방위, 및 측정된 방위에서의 태양발전상수들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태양광 발전량을 상기 집광판의 방위 및/또는 각도 별로 시뮬레이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발전상수들은 대기권 밖에서의 태양에너지량과 위도 별 대기권 두께, 태양고도에 따른 공기 밀도, 대기권 투과율, 투과 에너지량, 일출 및 일몰 시간, 일사량 및 일조량, 집광판의 발전효율, 운량, 인버터계통연계효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되는 발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위치에서의 상기 집광판의 최적의 각도와 방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070094010A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21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010A KR101210250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010A KR101210250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890A true KR20090028890A (ko) 2009-03-20
KR101210250B1 KR101210250B1 (ko) 2012-12-10

Family

ID=4069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010A KR101210250B1 (ko) 2007-09-17 2007-09-17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2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39B1 (ko) * 2009-03-03 2011-03-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의 신뢰도 지수 산출방법, 전자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465367B1 (ko) * 2013-10-23 2014-11-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정보 및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녹화 시스템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6143958A1 (ko) * 2015-03-12 2016-09-15 ㈜하이레벤 태양광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KR101879332B1 (ko) * 2011-09-07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천사진으로부터 운량을 계산하는 방법, 그 계산한 운량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구름 관측 장치
CN109783852A (zh) * 2018-12-10 2019-05-21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仿真装置及其仿真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41B1 (ko) * 2018-01-16 2019-05-21 강문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 시뮬레이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4354A (ja) * 2006-01-05 2007-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39B1 (ko) * 2009-03-03 2011-03-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의 신뢰도 지수 산출방법, 전자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879332B1 (ko) * 2011-09-07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천사진으로부터 운량을 계산하는 방법, 그 계산한 운량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구름 관측 장치
KR101465367B1 (ko) * 2013-10-23 2014-11-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정보 및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녹화 시스템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6143958A1 (ko) * 2015-03-12 2016-09-15 ㈜하이레벤 태양광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CN109783852A (zh) * 2018-12-10 2019-05-21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仿真装置及其仿真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250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557B2 (en) Solar site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10250B1 (ko) 태양광 발전량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Hofierka et a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otovoltaic power plants in relation to solar resource potential: the case of the Czech Republic and Slovakia
Yuan et al. A method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rooftop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a region
US119838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olar access of a structure
Yousuf et al. Solar energy potential estimation by calculating sun illumination hours and sky view factor on building rooftops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Agugiaro et al. Estimation of solar radiation on building roofs in mountainous areas
Moudrý et al. Evaluation of a high resolution UAV imagery model for rooftop solar irradiation estimates
KR102008017B1 (ko)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소 건설부지의 일사량 계산 방법
Santos et al. Solar potential analysis in Lisbon using LiDAR data
CN114881399A (zh) 一种基于gf7遥感影像的光伏发电潜力与经济性评估方法
KR20160078920A (ko) 목표 지점의 일사량 계산 방법 및 장치
Yildirim et al. Rooftop photovoltaic potential in Istanbul: Calculations based on LiDAR data, measurements and verifications
Cellura et al. A photographic method to estimate the shading effect of obstructions
JP2015094596A (ja) 太陽エネルギー利用計算システム
Gualla Sun position and PV panels: a model to determine the best orientation
Salimzadeh et al. High-level framework for GIS-based optimization of building photovoltaic potential at urban scale using BIM and LiDAR
Hofierka et al. Spatially distributed assessment of solar resources for energy applications in Slovakia
Giannelli et 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different gis software tools to estimate solar irradiation
Kesler et al. A low cost shading analyzer and site evaluator design to determine solar power system installation area
Ludwig et al. Sun-area towards location-based analysis for solar panels by high resolution remote sensors (LiDAR)
Davybida et al. Using GIS and SDSS Tools in the Design of a Photovoltaic System for a Built-up Roof
Sharma et al. Assessment of roof-top solar energy potential in proposed smart cities of india
Mahboob et al. Modelling topographic variation of solar radiation using GIS
Gomes et al. Mapping of solar potential for electric micro-generation: The case of the city of Ilhé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