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843A -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843A
KR20090028843A KR1020097004116A KR20097004116A KR20090028843A KR 20090028843 A KR20090028843 A KR 20090028843A KR 1020097004116 A KR1020097004116 A KR 1020097004116A KR 20097004116 A KR20097004116 A KR 20097004116A KR 20090028843 A KR20090028843 A KR 2009002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message
service
user de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851B1 (ko
Inventor
게오르그 마이어
타오 하욱카
한누 히에탈라흐티
미익카 포이크셀캐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5955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2884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4Reaction to server failures by a load bal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Abstract

사용자 기기, 제1네트워크 요소, 및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구비한다.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제1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된 사실을 검출한다.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제1메시지의 타입을 판단하고, 제1메시지 타입에 따라,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 서비스 네트워크가 서비스 중단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A method for handling service failures}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의 통신 세션 제어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와 같은 둘 이상의 개체들 사이 및/또는 통신 시스템과 결부된 기타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 세션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라고 볼 수 있다. 통신 세션은 가령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등등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통신 세션을 통해 두 방향 전화 통화나 다중 방향 회의 통화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통신 세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AS)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개체로 연결할 때에도 사용되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소정 규격이나 사양에 따라 동작한다. 이 규격 또는 사양은 통신 시스템과 결부된 다양한 개체들이 무엇을 행하도록 허용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규격 또는 사양은 사용자, 혹은 보다 엄밀히 말해 사용자 기기가 회로 교환형 서비스 및/또는 패킷 교환형 서비스에 지원되는지를 규정할 수 있다. 접속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파라미터들 역시 정의될 것이다. 즉, 통신이 기반할 수 있는 특정한 "규칙들"의 집합이, 시스템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정의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 기기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다. 무선 시스템들의 한 예가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이다. 다른 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신 위성 사용에 기반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역시 무선 랜(WLAN)과 같은 다른 구성을 통해 지원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에서의 통신은 알맞은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스테이션 설비 및 기타 통신에 필요한 설비의 동작은 한 개나 여러 개의 개체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제어 개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노드들 역시 한 통신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들에 연결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가 IP (인터넷 프로토콜) 및/또는 다른 패킷 교환형 데이터 네트워크들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사용자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의 한 예가 소위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이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예가 인터넷 프로토콜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이다. IP 멀티미디어 (IM) 기능들이 IP 멀티미디어 코어 네트워크 (CN) 서브 시스템, 줄여서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을 통해 지원될 수 있다. IMS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개체들을 포함한다.
삼세대 공동 프로젝트(3GPP)는 IMS 서비스 제공을 위한 IP 연결 액세스 네트 워크로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의 사용을 정의하였으며, 여기서 GPRS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가능한 IP 연결 액세스 네트워크의 비한정 예로서 주어진다. 삼세다 공동 프로젝트(3GPP)는 사용자 기기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삼세대(3G) 네트워크의 기준 구조 역시 규정하였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RFC 3261의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에 의해 개발된 것과 같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지원한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은 하나 이상의 당사자들 (단말 지점들)과의 세션을 생성, 변경, 및 종료시키는 어플리케이션-계층 제어 프로토콜이다.
사용자 기기가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과 통신하게 될 수 있기 전에, GPRS 부착 절차가 수행되어야 하고, SIP 시그날링을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라고 알려진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야 한다. PDP 컨텍스트는 가내 GGSN이나 방문한 네트워크를 향해 설정된다. PDP 컨텍스트는 사용자 기기에 적절한 IP어드레스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면 이 어드레스는 PDP 컨텍스트의 지속기간(duration) 동안 호스트 어드레스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요건은 GPRS 액세스 및 PDP 컨텍스트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타입의 액세스 시스템들과 통신 채널들에도 역시 해당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들이 적절한 제어기 개체들에 의해 다뤄지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사용자는 일련의 제어기들을 거치고 데이터 네트워크를 거쳐 서비스들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들은 보통 서버들에 의 해 지원된다. IMS 사양은 서비스가 액세스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SIP 서버들을 규정한다. 이 제어기들은 콜 세션 제어 기능(CSCF)들과 같은 기능들을 지원한다. CSCF들은 콜 상태 제어 기능들이라고도 불릴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콜 세션 기능들은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I-CSCR(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과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들로 나눠질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기 위해 S-CSCF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P-CSCF는 그 다음에 사용자와 사용자가 등록한 S-CSCF 사이의 통신을 프록싱하기 위한 것이다. 즉, IMS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등록 후, 사용자는 아웃바운드(outbound) 프록시 (보통 P-CSCF)와 할당된 레지스터 (S-CSCF)를 가진다. 사용의 어떤 동작은 이러한 데이터 네트워크 제어기 개체들을 거친다.
그러나, S-CSCF나 P-CFCS 같은 제어 기능 서버가 서비스를 못하게 되는 시기들이 있다. 오류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경우 같은 몇몇 경우, S-CSCF나 P-CSCF는 셧 다운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이러한 서버들을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들은 서비스 불연속성을 경험하게 되고 이들의 통신 요건을 변경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보통은 사용자 기기를 재시작함으로써 통신이 재개될 것이다. 이는 데이터 캐리어(carrier)가 빠져서 재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제어기 기능이 셧 다운되었거나 셧 다운될 것임을 알 수 없으므로, 스스로 어떤 복구 절차를 시작하겠다고 결정할 수도 없다.
매 상황마다 사용자 기기를 재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좀 더 간단한 해법은 여러 문제들을 극복해야만 한다. 우선, 에러 및, 서비스 서버 밖의 지역의 식별이다. 둘째, 서비스 서버 밖이 S-CSCR인가, 어떻게 I-CSCF가 다른 S-CSCF를 선택하는가? 셋째, 시그날링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 즉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기기(UE)와 어플리케이션 서버(AS)들과 개설했던 액티브 다이얼로그의 처리이다. 넷째, 어플리케이션 서버(AS)들과 P-CSCF 네트워크 요소들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개체들에 새 등록 사항들을 알리는 것이다.
위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삼세대(3G) 통신 시스템 및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참조하여 등록 과정과 관련 문제점들을 논의하였지만, 이와 유사한 단점들은 다른 시스템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연관될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이 이 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 상기 문제들을 다루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 제1네트워크 요소, 및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고,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제1메시지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메시지 타입에 따라,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에러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제1메시지 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제2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기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기기와 제1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그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는 시그날링 혹은 일반 PDP 컨텍스트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요소는 I-CSCF (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일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요소는 P-CSCF (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일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는 S-CSCF (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일 수 있다.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메시지 내 소정 정보 요소의 내용에 기반하여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통신 네트워크 안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또는 제1메시지가 소정 회수만큼 전송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시지 타입은 재등록 요청일 수 있다.
제2메시지 타입은 초기 등록 요청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요소는 상기 요청이 무결성 보장(integrity protected) 전송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 요소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내 정보 요소는 메시지의 인증(Authorization) 헤더에 있는 무결성 보장(integrity protected) 플래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 및 사용자 기기를 더 구비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되며, 이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메시지를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전달하고;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고; 제1메시지 타입을 판단하고,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 타입에 따라 사용자 기기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 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추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제1네트워크 요소와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내 사용자 기기가 제공되며, 이 사용자 기기는,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기기에 대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됨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제1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추가 메시지를 전송하여 에러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시그날링하기 위한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를 포기하여 상기 에러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그날링을 위한 상기 베어러는 시그날링 또는 일반 PDP 컨텍스트 베어러일 수 있다.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전송되는 상기 추가 메시지의 타입은 초기 등록 요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요소를 구비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기기가 제공되며, 이 사용자 기기는, 제1네트워크 요소로 요청을 보내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어떤 응답도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때 제1네트워크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고 판단하고; 제1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고 판단시,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날링 베어러를 포기하고, 새로운 다른 제1네트워크 요소를 찾아 선택하고; 그 다른 네트워크 요소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등록을 위한 초기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 제1네트워크 요소, 및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구비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제1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 사 용자 기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로의 시그날링 베어러를 포기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 또는 찾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 요소로 초기 등록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사용자 기기 및 네트워크 요소를 구비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등록 타입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요소에서 수신한 요청에 들어 있는 정보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 정보 요소의 내용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정보 요소의 내용에 따라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인지 제2타입 등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가 적어도 제1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하지 않을 때 서비스 네트워크가 서비스 중단되었다고 검출하고,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 요청이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는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고, 등록 요청이 제2타입 등록 요청이면 제1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타입 등록은 재등록일 수 있고, 제2타입 등록은 초기 등록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를 구비한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되며, 이 네트워크 요소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 요청 안에 든 정보 요소를 검출하고; 정보 요소의 내용을 판단하 여, 판단된 정보 요소의 내용에 따라, 수신된 등록 요청이 제1타입의 등록인지 제2타입의 등록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요소는 요청이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ed)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요소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 내 정보 요소는 무결성 보호 플래그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네트워크 요소, 및 상기 청구된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며, 이 방법은,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시그날링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제1타입 등록으로서 사용자 기기를 통신 네트워크 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에 등록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 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기기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로의 제2타입 등록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가 보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한 네트워크 요소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서비스 중단 중이라는 표시를 사용자 기기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다른 실시예는 제1네트워크가 P-CSCF일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제1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제2타입 등록 중에 서비스 중단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에 응하여 사용자 기기가 시그날링 베어러를 포기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가 통신 네트워크로 제1타입 등록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제2시그날링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시그날링 베어러가 시그날링 혹은 일반 PDP 컨텍스트일 것이고, 통신 네트워크는 IMS 네트워크이며, 제1타입 등록은 초기 등록이고, 제2타입 등록은 재등록이고, 제1네트워크 요소는 I-CSCF이고 서비스 네트워크는 S-CSCF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네트워크 요소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그 요청 안의 정보 요소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 단계의 결과에 따라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인지 제2타입 등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 내 등록 타입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들은,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하지 않는 단계,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이면 UE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등록 요청이 제2타입 등록이면 제1네트워크 요소가 새로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부가 실시예들에서, 제1타입 등록은 재등록이고 제2타입 등록은 초기 등록임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사 단계에서 요청시의 정보 요소의 존재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정보 요소가, 요청이 무결성 보호 전송된 것임을 나타냄을 기술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정보가,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낸다는 것을 기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요청 안의 정보가 무결성 보호 플래그일 수 있음을 기술한다.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네트워크로/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자 기기로 서비스할 수 없다는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및 사용자 기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요소가 등록 요청 수신 수단과, 등록 요청이 제1타입인지 제2타입인지를 검사하는 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다.
다른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자 기기에 서비스할 수 없음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과 사용자 기기로 메시지를 보내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다.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 내 사용자 기기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자 기기에 대해 서비스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베어러들을 포기함으로써 메시지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다.
다른 실시예들은 사용자 기기가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 초기 등록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인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기기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의 통신에 있어 불연속성을 피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떤 일시적 오류들에 대해 반드시 알아채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개체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재설정하는데 개입할 필요 역시 없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은, 삼세대(3G)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 구조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들이 다른 적절한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통신 시스템은 CDMA 2000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의 예를 보이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서,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45)가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가입자들에게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P 멀티미디어(IM) 서비스로의 액세스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지원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보통 통신 시스템의 적어도 한 기지국(31)과 사용자 기기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기기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CN) 사이에서 논리적으로 나눠질 수 있다.
기지국(31)은 모바일 사용자 기기(30)로 그 사용자 기기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응하여, 모바일 사용자 기기(3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신호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사용자 기기(30)는 기지국(31)과 결부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IMS 네트워크(45)를 액세스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도 1이 오직 한 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은 보통 다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포함함을 알아야 한다.
3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은 보통 적절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기는 간결한 표현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제어기가 각 기지국마다 할당되거나, 가령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레벨에서 한 제어기가 복수의 기지국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의 이름, 위치, 및 개수는 시스템에 따라 좌우된다.
도 1의 모바일 사용자 기기(30)는 네트워크에 연결할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에 알맞은 임의의 적절한 모바일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PC), PDA, 모바일 스테이션(MS) 등등을 통해 셀룰라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다음의 예들은 모바일 스테이션들을 참조해 설 명될 것이다.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일반적인 모바일 스테이션의 특성과 동작에 대해 낯익을 것이다. 따라서, 전화 통화를 발신 및 수신하고, 데이터를 네트웍에/으로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내용을 감상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모바일 스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로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또, 모바일 사용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임지 및 기타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포획하기 위해 카메라 수단이 지원될 수도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의 동작은 제어 버튼, 음성 명령 등등의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 모바일 스테이션은 프로세서 개체 및 메모리 수단과 함께 제공된다.
간결성을 위해 도 1에는 단지 약간의 모바일 스테이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상당 수의 모바일 스테이션들이 통신 시스템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코어 네트워크(CN)는 보통 여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또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다른 셀룰라 시스템들 및/또는 고정 라인 통신 시스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다양한 스위칭 및 기타 제어 개체들 및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한다. 3GPP 시스템에서, 무선 액 세스 네트워크는 보통 적절한 코어 네트워크 개체, 혹은 반드시 거기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비스하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GSN)(33)과 같은 개체들에 연결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lu 인터페이스 등의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GPRS 지원 노드와 통신한다. 서비스 GPRS 지원 노드는 보통, 다시, GPRS 백본 네트워크(32)를 통해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34) 등과 같은 알맞은 게이트웨이와 통신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공통적으로 교환형 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이다.
3GPP 네트워크에서, 패킷 데이터 세션이 네트워크에 걸친 트래픽 플로우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세션을 흔히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라 부른다. PDP 컨텍스트는 사용자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에 제공되는 무선 베어러(bearer), 사용자 기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SGSN(33) 사이에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 및 서빙하는 GPRS 서비스 노드(33) 및 게이트웨이 GPRS 서비스 노드(34) 사이에서 제공되는 교환형 패킷 데이터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PDP 컨텍스트는 보통, 특정 사용자 기기와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사이에 통신 경로를 제공하고, 일단 설정되면 보통은 여러 플로우들을 운반할 수 있다. 각각의 플로우는 보통, 특정 서비스 및/또는 특정 서비스의 미디어 성분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PDP 컨텍스트는 흔히 네트워크에 전역의 하나 이상의 플로우에 대한 논리적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와 서빙하는 GPRS 지원 노드 사이에 PDP 컨텍스트를 구축하기 위해, 보통 사용자 기기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적어도 한 무선 액세스 베어러(RAB)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리적이고도 물리적인 채널들의 구축에 대한 지식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전형적 인터넷 프로토콜(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45)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들(50) 역시 보인다. 사용자 기기(30)는 GPRS 네트워크(32) 및 IMS 네트워크(45)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들(5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수많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이 하나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은 알맞은 제어 개체들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3세대 무선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구조에서, 다양한 제어 기능들을 지원하는 서로 다른 여러 서버들이 제어에 사용된다고 전제한다. 이들은 콜(call) 세션 같은 기능들이나 콜 상태 제어 기능들(CSCFs)을 포함한다. 콜 세션 기능들은 여러 카테고리들로 나눠질 수 있다. 도 1은 P-CSCF(35 및 37), I-CSCF(38 및 39), 및 S-CSCF(36)을 보인다. 이와 유사한 기능들이 다른 시스템들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불려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IMS 시스템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하고자 하는 한 사용자는, S-CSCF(36)과 같은 서비스 제어기에 먼저 등록할 필요가 있다. 등록은, 사용자 기기가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S-CSCF(36) 및 사용자 기기(30) 사이의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P-CSCF(35)를 통해 라우팅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록시 CSCF(35)는 GGSN(34)에서 서비스 콜 세션 제어 기능(36)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반대로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록시로서 작동한다.
등록 절차 중에, UE는 네트워크로 초기 등록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은 CSCF(들)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S-CSCF로 라우팅되고, 그것은 UE의 IP 어드레스를 사용자 신원과 결부시킨다. 등록은 소정 시간 동안 유효하며, 등록을 살아있게 유지하는 것은 UE의 일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UE는 등록이 만료되기 전에 S-CSCF로 새 등록 요청을 보낸다. 이러한 절차를 등록 절차라 부른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련의 실시예들을 보인다. 도 2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이 S-CSCF 서비스 에러로부터 복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며, 이러한 에러의 검출은 재등록 요청에 응해서 이뤄진다.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시피, 사용자의 초기 등록 다음에(3GPP TS 23.228에 기술됨), 그리고 등록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UE가 S-CSCF로 재등록 요청을 보낸다.
최초의 단계(101)에서, 사용자 기기(UE)가 P-CSCF로 재등록 요청을 보낸다.
두 번째 단계(103)에서, P-CSCF가 그 재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그 메시지를 I-CSCF로 보낸다.
세 번째 단계(105)에서, I-CSCF는 P-CSCF로부터 그 재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그 요청을 S-CSCF로 보내려고 시도한다. S-CSCF가 서비스 중단 중이므로, 요청에 대해 응답을 받을 수 없다.
S-CSCF가 그 요청에 응답할 수 없기 때문에, I-CSCF 안의 타이머가 소정 시간 후 만료되어, 107 단계에서, I-CSCF가 그 요청을 가지고 S-CSCF를 접촉하려는 시도를 중단한다. I-CSCF는 그 요청을 여러 번, 소정 회수로 전송 시도할 수 있 다.
네 번째 단계(109)에서, I-CSCF는 에러 표시, 가령, 서버 타임아웃 에러 메시지 (504 에러 메시지로도 알려짐)를 도로 P-CSCF로 보낸다.
다섯 번째 단계(111)에서, P-CSCF는 504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504 에러 메시지를 도로 사용자 기기(UE)에 보낸다.
여섯 번째 단계(113)에서, UE는 504 에러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UE는 그 재등록 프로세스와 관련한 모든 시그날링 및 데이터 트래픽을 포기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기기는 시그날링 PDP 컨텍스트와 관련된 시그날링 정보 만을 포기할 뿐 멀티미디어 PDP 컨텍스트들은 계속 실행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두 번째 부분이 S-CSCF 에러를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사용자 기기는 원격 서비스/단말과의 접촉을 계속 유지하도록 허용된다. 일반 PDP 컨텍스트가 설정되었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 일반 PDP 컨텍스가 포기된다.
일곱 번째 단계(115)에서, 사용자 기기는 P-CSCF로 초기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UE 초기 등록은, 새 시그날링 PDP 컨텍스트를 설ㄹ정하거나 기존의 시그날링 PDP를 이용해 통신을 재설정하는 최초의 단계이다. (범용 컨텍스트가 포기되었던 실시예들에서, UE는 새로운 일반 PDP 컨텍스트를 설정하려고 시도한다).
여덟 번째 단계(117)에서, P-CSCF는 UE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그 초기 등록 요청을 I-CSCF로 보낸다.
아홉 번째 단계(119)에서, I-CSCF는 그 요청을 수신한 후 사용자를 위한 두 번째 S-CSCF2를 선택한다.
121 단계의 그 두 번째 S-CSCF (S-CSCF2)는 긍정적인 확인 신호 (200 ok 메시지로도 알려짐)를 I-CSCF로 전송한다.
123 단계에서 I-CSCF는 수신된 200 ok 메시지를 P-CSCF로 전송한다.
P-CSCF는 125 단계에서, 그 수신된 200 ok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은 비록 무거운 절차로 인식되고는 있지만-왜냐면 이것이 사용자와 그 사용자와 연결된 어떤 먼 거리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공급의 완전 중단을 야기하므로-, UE의 하드(hard) 리셋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이 절차는 UE와 네트워크의 어떤 남은 상태들을 '정리(clear up)'한다.
현재의 타임 아웃된 요청이 재등록 요청인지 초기 등록 요청인지의 여부를 I-CSCF가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도 4와 관련해 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I-CSCF가 초기 등록 요청을 처리할 것인지 재등록 요청을 처리할 것인지 여부의 판단이 더 논의된다. 도 4는 초기 등록이 처리되고 있고 I-CSCF에 의해 지정된 S-CSCF가 서비스 중단 중인 경우의 예를 보인다.
301, 303, 및 305 단계들에서, 초기 등록 요청이 UE로부터 P-CSCF로 보내지고(301 단계), 그런 다음 P-CSCF에서 I-CSCF로 재전송되며(303 단계), 그 후 I-CSCF에서 S-CSCF로의 재전송이 시도된다(305 단계)-최초 시도에서 지정된 S-CSCF는 S-CSCF 1이다.
307 단계에서, S-CSCF 1가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데 대한 오류가 I-CSCF 타 이머를 기한 만료되게 만들어 그 요청이 만료되었음을 표시한다. I-CSCF는 여러 번 소정 회수에 걸쳐 그 요청을 S-CSCF 1으로 재전송하는 시도를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I-CSCF는 만료된 요청이 초기 등록 요청이었는지 재등록 요청이었는지 여부를 요청 헤더 안의 '무결성 보호(integrity-protected)' 플래그를 검사해 판단한다.
무결성 보호 플래그는 UE와 P-CSCF가 성공적 인증/등록에 이어 수행된 이벤트인 보안 관계를 형성했을 때에만 가능하므로, 비어 있는 '무결성-보호' 플래그는 I-CSCF에, 그것이 초기 등록 프로세스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S-CSCF가 서비스 중단 중일 때 발생된 것과 같이) 만료된 요청시 '무결성 보호' 플래그가 존재하면, 그 만료 요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I-CSCF로 하여금 P-CSCF를 통해 UE로 504 에러 메시지를 보내게 만든다.
(S-CSCF가 서비스 중단 중일 때 발생된 것과 같이) 만료된 요청시 '무결성 보호' 플래그가 존재하지 않으면, I-CSCF는 자신이 처리 중인 그 요청이 초기 등록 요청이라고 식별하여,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새 초기 등록 요청을 다른 S-CSCF (뉴 S-CSCF)로 보낸다. 이것이 307 단계에서 보여진다.
UE가 다른 S-CSCF에 등록될 수 있고, 그 다른 S-CSCF가 서비스 중이면, 이 S-CSCF는 등록 작업을 수행하고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시피 I-CSCF 및 P-CSCF를 통해 다시 UE로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UE는 다른 S-CSCF를 이용하도록 인가되지 않으므로, 401 '인가불허' 메시지가 발생된다. 401 메시지는 UE로 다시 보내진다(309, 311, 및 313 단계). 309 단계에서 그 메시지는 S-CSCF로부터 I-CSCF로 보내지고, 311 단계에서는 I-CSCF에서 P-CSCF로 보내지고, 313 단계에서는 P-CSCF에서 UE로 보내진다.
따라서, 도시된 두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초기 등록이나 재등록 요청에 대해 발생하는 에러들을 판단할 수 있고, 요청 메시지 헤더의 한 요소나 부분을 검사해 요청 타입에 따른 복구를 초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없이는, I-CSCF가 자신이 처리했던 등록 요청의 타입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 가령 I-CSCF가 모든 등록 요청들에 대해 UE로 다시 504 타임 아웃 메시지들을 보내고, UE는 다시 I-CSCF로 새 등록 요청을 보내며, I-CSCF는 서비스 중단 중인 S-CSCF 만을 지정함으로써 새로운 타임아웃이 생기게 하고 새 504 메시지가 UE로 보내지게 하는 무한 루프 발생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해 설명된다. 이 실시예는 비등록 요청을 처리할 때 504 메시지를 수신한 P-CSCF가 그 504 에러 메시지를 다시 UE로 보내고, UE는 비등록 요청에 따라 P-CSCF로부터 504 에러 메시지를 수신할 때 재등록을 수행한다.
201, 203, 및 205 단계는 UE(201 단계)가 비등록 SIP 포맷 메시지를 P-CSCF(203 단계)와 S-CSCF(205 단계)를 거쳐 어플리케이션 서버(AS) 등의 IP/SIP 네트워크 내 개체로 전송하는 것을 보인다.
IP/SIP 네트워크 어딘가의 에러로 인해, 요청이 그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대신 504 에러 메시지가 UE로 리턴된다 (리턴된 504 메시지는 상술한 것과 같이 리 턴되는 504 메시지와 유사한 것이다). 207, 209, 및 211 단계에서, 이 에러 메시지는 IP/SIP 네트워크로부터(207 단계) S-CSCF(209 단계), P-CSCF(211 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 UE로 다시 보내진다.
그러나, UE는 그 에러 수신으로부터 에러가 S-CSCF에서 발생된 것인지 다른 곳에서 발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213 단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그 S-CSCF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UE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 요청 프로세스를 초기화하여 에러 메시지가 S-CSCF에서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것이 도 3의 215, 216, 및 217 단계들로서 보여지고, 여기서, 재등록 요청은 UE에 의해 전송되고(215 단계), P-CSCF에 의해 수신된 후 재전송되고(216 단계), I-CSCF에 의해 수신되어 S-CSCF로 다시 전송된다(217 단계).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S-CSCF는 서비스 중이고 재등록 프로세스는 200 ok 메시지가 S-CSCF에 의해 전송되어(219 단계), I-CSCF에 의해 수신되고 재전송되며(221 단계), P-CSCF에 의해 수신되어 UE로 재전송되는(223 단계) 단계들과 함께 진행된다.
그러나, S-CSCF가 문제의 진원지였다면, I-CSCF는 추가 에러 메시지를 다시 보냈을 것이고, 프로세스는 새 등록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자체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UE가 등록되어, P-CSCF(P-CSCF1)으로 SI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402 단계).
P-CSCF1은 서비스 중단 상태이므로 응답하지 않는다. UE 타이머가 만기되면 UE는 요청이 만료되었음을 인식한다(403 단계).
404 및 405 단계에서, UE는 S-CSCF 서비스 중단 상황을 따라 수행될 때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한다. 상술한 이전 방법에서, 서비스 중단 상황은 재등록 요청 오류를 일으키고, UE는 시그날링 PDP 컨텍스트나 메시지와 관련된 일반 PDP 컨텍스트를 포기하였다. 404 단계에서, P-CSCF 서비스 중단 오류는 일반 요청 오류를 일으키고, 이것이 UE로 하여금 UE와 관련된 일반 PDP 컨텍스트나 시그날링 PDP 컨텍스트를 포기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UE는 멀티미디어 PDP 컨텍스트들을 더 포기할 수 있다. 404 단계 중에, UE는 P-CSCF1의 대체 연락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새 P-CSCF를 찾을 것이다.
405, 407, 및 409 단계들에서, UE는 새로운 초기 등록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405 단계에서, UE는 P-CSCF의 새 연락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그 새 P-SCSC(뉴 P-CSCF)로 초기 등록 요청을 보낸다. 407 단계에서, 초기 등록 요청이 새 P-CSCF에 의해 수신된 후 I-CSCF로 계속해서 보내진다. 409 단계에서, 초기 등록 요청이 I-CSCF에 의해 수신된 후 I-CSCF에서 S-CSCF로 전송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P-CSCF가 서비스 중단될 때 발생하는 에러들을 다루는 모습을, S-CSCF 서비스 중단시와 유사한 방법을 통해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모바일 스테이션들 같은 사용자 기기와 관련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증될 필요가 있는 어떤 다른 타입의 기기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무선 랜(WLAN) 통신 시 스템을 통해 IP/SIP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용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들은 IMS 시스템 및 GPRS 네트워크들의 맥락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임의의 다른 규격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예들은 모든 SIP 개체들을 갖는 소위 모든 SIP 네트워크들과, PDP 컨텍스트라고 알려진 통신 채널들의 맥락에서 기술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무선 시스템을 막론하고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시스템들, 통신 규격들, 및 통신 프로토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 국한하지 않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들을 허용하는 다른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예들에는,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i-폰 또는 CDMA2000 및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시스템,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 등과 같은 3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다. 유선 시스템들의 예들로는 집과 사무실 같이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요자들에게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광대역 기술들이 포함된다.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규격 및 프로토콜과 무관하게, 본 발명은 네트워크 개체로의 등록이 요구되는 모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록시 및 서비스하는 콜 상태 제어 기능들에 비추어 논의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용가능한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청구범위에서 규정된 것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개시된 해법에 대해 여러 변형과 수정이 이뤄질 수 있음도 알아야 한다.
출원인은 여기서, 본 발명이 청구항들의 범주 상에서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서비스 동작 중지라는 용어는,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오류 또는 사용자 기기가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는 것을 통신 네트워크가 방해함에 따른 오류로 인해, 상기 사용자 기기와 통신하지 못함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사용자 기기는 모바일 전화, 퍼스널 통신 기기, 및 PDA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그날링 베어러를 설정하는 동작은, 통신 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될 수 있으며, 통신 노드는 통신 세션에 의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네트워크는 통신 세션 설정에 권한을 부여하는 세션 인증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노드는 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세션 권한을 받도록 세션 인증 노드와 통신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 노드는 통신 세션 중에 상기 인증 노드에 세션 권한을 요청할 수 있고, 그러한 요청에 응한 네트워크로부터 세션 인증 노드의 그 요청 응답 오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적어도 세션의 시그날링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출원인은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개별 특징과 둘 이상의 그러한 특징들이 결합한 형태를 분리하여 개시하며, 그러한 특징들 또는 특징들이 결합된 형태는 이들이 여기서 언급한 어떠한 문제들을 해결하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그리고 청구범 위를 제한함이 없이, 이 분야의 당업자의 일반 지식에 비추어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기반해 달성될 수 있다. 출원인은 본 발명의 양태들이 임의의 상기 특징 또는 그러한 특징들의 결합 형태로 이뤄질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상술한 바에 비추어,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뤄질 수 있음을 당연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 예로서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환경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신호 흐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호 흐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중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신호 흐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중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신호 흐름에 대한 흐름도이다.

Claims (32)

  1.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제1메시지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1메시지 타입에 따라,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에 상기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상기 제1 메시지 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시지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로의 등록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날링을 위 한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가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메시지를 상기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는 시그날링 혹은 일반 PDP 컨텍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는 I-CSCF (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는 P-CSCF (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제2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는 S-CSCF (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메시지 내 소정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의 내용에 기반하여 메시지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통신 네트워크 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1메시지가 소정 회수만큼 전송되었음을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제2항,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시지 타입은 재등록 요청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제2항,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시지 타입은 초기 등록 요청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요청이 무결성 보장(integrity protected) 전송된 것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 정보 요소는 메시지의 인증(Authorization) 헤더에 있는 무결성 보장(integrity protected) 플래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메시지를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전달하고;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인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1메시지의 타입을 판단하고;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사용자 기기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제1메시지 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또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19.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사용자 기기에 대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제1타입과 다른 제2타입의 또 다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에러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시그날링하기 위한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를 포기하는 것으로 상기 에러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링을 위한 베어러는 시그날링 또는 일반 PDP 컨텍스트 베어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전송되는 상기 또 다른 메시지의 타입은 초기 등록 요청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3.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제1네트워크 요소로 요청을 보내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어떤 응답도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때 제1네트워크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고 판단하고;
    제1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고 판단시, 사용자 기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시그날링하기 위한 베어러를 포기하고,
    제2네트워크 요소를 찾거나, 선택하고;
    상기 제2네트워크 요소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등록을 위한 초기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24.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1네트워크 요소로 제1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제1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임을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로의 시그날링 베어러를 포기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제2네트워크 요소를 선택 또는 찾는 단계;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제2네트워크 요소로 초기 등록 요청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에서 사용자 기기로부터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수신된 요청에 들어 있는 정보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소의 내용을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 요소의 내용에 따라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인지 제2타입 등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적어도 한 개의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1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아무 응답도 수신하지 않을 때 서비스 네트워크가 서비스 중단되었다고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이 제1타입 등록 요청이면,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중단 중이라는 메시지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 요청이 제2타입 등록 요청이면, 제1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제2 서비스 네트워크 요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등록은 재등록이고, 제2타입 등록은 초기 등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 요청 안에 포함된 정보 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정보 요소의 내용을 판단하여, 판단된 정보 요소의 내용에 따라, 수신된 등록 요청이 제1타입의 등록인지 제2타입의 등록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상기 요청이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ed) 전송된 것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 정보 요소는 무결성 보호 플래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요소.
  32. 제18항에 따른 네트워크 요소 및, 제19항에 따른 청구된 사용자 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97004116A 2003-10-21 2004-10-21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KR101018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324597.4A GB0324597D0 (en) 2003-10-21 2003-10-21 A communication system
GB0324597.4 2003-10-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43A Division KR20060063992A (ko) 2003-10-21 2004-10-21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843A true KR20090028843A (ko) 2009-03-19
KR101018851B1 KR101018851B1 (ko) 2011-03-04

Family

ID=295955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43A KR20060063992A (ko) 2003-10-21 2004-10-21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KR1020097004116A KR101018851B1 (ko) 2003-10-21 2004-10-21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43A KR20060063992A (ko) 2003-10-21 2004-10-21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150393B2 (ko)
EP (1) EP1676415B2 (ko)
JP (1) JP2007510328A (ko)
KR (2) KR20060063992A (ko)
CN (1) CN1871831B (ko)
AU (1) AU2004306986B2 (ko)
BR (1) BRPI0416008A (ko)
CA (1) CA2541331C (ko)
ES (1) ES2710655T3 (ko)
GB (1) GB0324597D0 (ko)
MX (1) MXPA06004388A (ko)
PL (1) PL1676415T3 (ko)
RU (1) RU2386219C2 (ko)
TR (1) TR201902096T4 (ko)
TW (1) TWI289984B (ko)
WO (1) WO2005039108A2 (ko)
ZA (1) ZA200604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4597D0 (en) 2003-10-21 2003-11-26 Nokia Corp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86980A1 (en) * 2005-06-15 2006-12-2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ultiple registration and incoming call routing for mobile user equipment in wireless/IMS networks
CN100382503C (zh) * 2005-06-20 2008-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用户注册过程中注册异常的处理方法
CN100388685C (zh) 2005-08-30 2008-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Ip多媒体子系统中ims注册触发实现方法
US8849800B2 (en) * 2005-09-19 2014-09-30 Tektronix, Inc.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end user correlated user and control plane or network states to OSS system
CN100512495C (zh) 2006-02-20 2009-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被叫服务的方法和系统
US9635062B2 (en) * 2006-06-20 2017-04-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ss of signalling bearer transport
PT2099156E (pt) * 2006-12-29 2014-07-18 Huawei Tech Co Ltd Método, sistema e elemento de rede para processamento de serviço após invalidação de dados de elemento de rede e ocorrência de falha
KR100946900B1 (ko) 2007-01-1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Ims 재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80182575A1 (en) * 2007-01-30 2008-07-31 Motorola, Inc. Ims reliability mechanisms
US9055517B2 (en) * 2007-02-26 2015-06-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user-directed dynamic domain selection
US7995562B2 (en) * 2007-02-26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trigger a mobile device in different domains based on unsuccessful initialization or handover
JP2010525623A (ja) * 2007-03-29 2010-07-2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573064B2 (ja) * 2007-04-02 2010-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Ims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ータリストア方法
KR101486352B1 (ko) 2007-06-1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상태 제어방법
KR101341515B1 (ko) 2007-06-18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복 전송 정보 갱신 방법
WO2008156314A2 (en) 2007-06-20 2008-12-24 Lg Electronics Inc. Effective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WO2009012814A1 (en) * 2007-07-23 2009-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782208B2 (en) * 2007-07-23 2014-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090016431A (ko) 2007-08-10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보고 수행 방법
WO2009022837A1 (en) 2007-08-10 2009-02-19 Lg Electronics Inc. A control method for uplink connection of idle terminal
KR101490253B1 (ko) 2007-08-10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495913B1 (ko) 2007-08-10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cp 계층의 제어 데이터 전송방법, 수신 방법, 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US9008006B2 (en) 2007-08-10 2015-04-14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method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MBMS)
KR101435844B1 (ko) 2007-09-18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KR101513033B1 (ko) 2007-09-18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KR101591824B1 (ko) 2007-09-18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WO2009038377A2 (en) 2007-09-20 200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ffectively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809961B (zh) * 2007-09-28 2013-03-27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Ip多媒体子系统网络中的故障恢复
CN102138312B (zh) * 2007-09-28 2016-11-23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Ip多媒体子系统网络中的故障恢复
KR20090043465A (ko) * 2007-10-29 2009-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베어러 타입에 따른 오류 해결 방법
CN101217407B (zh) * 2008-01-04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代理呼叫会话控制功能故障的处理方法
CN102098652B (zh) * 2008-01-18 2012-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为用户提供业务的方法、系统和装置
JP5205990B2 (ja) * 2008-01-30 2013-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Imsネットワーク、imsノード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ビス提供方法
WO2009096743A2 (en) 2008-01-31 200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ding status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KR101594359B1 (ko) 2008-01-31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에서 백오프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US8027356B2 (en) 2008-01-31 2011-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ing back-off information in random access
KR101163275B1 (ko) 2008-03-1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상태 보고 전송 방법
US7995466B2 (en) * 2008-03-26 2011-08-09 Avaya Inc. Failover/failback trigger using SIP messages in a SIP survivable configuration
US8191100B2 (en) * 2008-06-04 2012-05-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IPTV to multiple IMS users
CN101631344B (zh) * 2008-07-16 2011-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隧道管理方法、装置及通信系统
EP2335389B1 (en) * 2008-08-13 2013-06-19 Alcatel-Lucent USA Inc. Detection of bearer loss in an ip-based multimedia session
US8467306B2 (en) 2008-12-04 2013-06-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 P. Blending telephony services i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KR20100102026A (ko) * 2009-03-10 2010-09-2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 인증 방법과 그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
HUE046329T2 (hu) 2009-04-13 2020-03-30 Blackberry Ltd Rendszer és eljárás SIP üzenetek megbízhatóságának meghatározására
US20100268981A1 (en) * 2009-04-20 2010-10-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unneling System Error Handling Between Communications Systems
US8762549B2 (en) * 2010-01-18 2014-06-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IPTV node recovery
DE102010029301B4 (de) * 2010-05-26 2014-05-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Netzwerk und Erweiterungseinhei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etzwerks
BR112014017289A8 (pt) * 2012-01-20 2017-07-04 Fujitsu Ltd método para analisar uma causa de falha de enlace, método e aparelho de otimização de rede
JP2013219635A (ja) * 2012-04-10 2013-10-24 Ntt Docomo Inc 移動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4094577B (zh) 2012-08-13 2017-07-04 统一有限责任两合公司 用于间接地评定活动实体的状态的方法和装置
CA2899022A1 (en) 2013-01-23 2014-07-31 Cardinalcommerce Corporation Framed implementation for payment widgets
US10148487B2 (en) 2013-09-24 2018-12-04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P-CSCF restoration when a P-CSCF failure has occurred
KR102240727B1 (ko) * 2015-01-28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보안 연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727341B2 (ja) * 2016-05-26 2020-07-22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制御方法および関連するネットワーク要素
WO2020153773A1 (en) 2019-01-22 2020-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lice interwork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11500B1 (en) 2020-07-01 2021-02-02 T-Mobile Usa, Inc. Registration control for wireless networks, such as IMS networks
US11910474B1 (en) * 2021-03-02 2024-02-20 T-Mobile Usa, Inc. IMS selection for multi-HSS route adv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2325A (en) * 1994-09-12 1997-10-2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Level 1 gateway for video tone networks
JP3407002B2 (ja) 1995-03-08 2003-05-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メッセージ中継装置及びメッセージ中継方法
FI107312B (fi) * 1997-10-14 2001-06-29 Nokia Networks Oy Verkonvalvontamenetelmä tietoliikenneverkkoa varten
JP3535388B2 (ja) * 1998-07-27 2004-06-07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及び端末装置
US6771623B2 (en) 2000-12-01 2004-08-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nsuring reliable mobile IP service
GB0110900D0 (en) * 2001-05-03 2001-06-27 Nokia Corp Registr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402705B1 (en) * 2001-07-03 2005-0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le registration
US7337234B2 (en) * 2002-04-05 2008-02-2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etry technique for multi-tier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DE10223248A1 (de) * 2002-05-22 2003-12-04 Siemens Ag Verfahren zum Registrier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US7831247B2 (en) * 2002-11-12 2010-11-09 Nokia Corpo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7421732B2 (en) * 2003-05-05 2008-09-02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neric internet protocol authentication
GB0324597D0 (en) 2003-10-21 2003-11-26 Nokia Corp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324597D0 (en) 2003-11-26
WO2005039108A2 (en) 2005-04-28
US8150393B2 (en) 2012-04-03
ZA200604010B (en) 2007-09-26
KR20060063992A (ko) 2006-06-12
JP2007510328A (ja) 2007-04-19
US20070275710A1 (en) 2007-11-29
WO2005039108A3 (en) 2005-10-27
CA2541331A1 (en) 2005-04-28
KR101018851B1 (ko) 2011-03-04
CN1871831A (zh) 2006-11-29
CA2541331C (en) 2016-07-19
MXPA06004388A (es) 2006-06-14
EP1676415B1 (en) 2018-11-21
AU2004306986A1 (en) 2005-04-28
TWI289984B (en) 2007-11-11
CN1871831B (zh) 2011-07-06
TR201902096T4 (tr) 2019-03-21
EP1676415B2 (en) 2024-03-13
EP1676415A2 (en) 2006-07-05
RU2386219C2 (ru) 2010-04-10
AU2004306986B2 (en) 2010-11-25
BRPI0416008A (pt) 2007-01-02
ES2710655T3 (es) 2019-04-26
TW200527852A (en) 2005-08-16
RU2006117356A (ru) 2007-11-27
PL1676415T3 (pl)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851B1 (ko) 서비스 오류 처리 방법
JP4549414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1878182B1 (en) Sip based session setup method and terminal thereof
JP4545436B2 (ja) ネットワーク識別される非常セッションを取り扱う方法及びシステム
EP2198587B1 (en) Failure recovery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JP4927213B1 (ja) 移動通信方法、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管理ノード及び呼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装置
US20050159156A1 (en)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74009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multimedia session between a caller device and a receiver device of a multimedia sub-domain type network and a communications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03009636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등록
WO2005081490A1 (en)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928449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間のセキュアな通信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1524816B1 (en) Authentication of messag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84516A (ko)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PGW(PDN Gateway) 및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과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