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702A -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 Google Patents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702A
KR20090028702A KR1020087029879A KR20087029879A KR20090028702A KR 20090028702 A KR20090028702 A KR 20090028702A KR 1020087029879 A KR1020087029879 A KR 1020087029879A KR 20087029879 A KR20087029879 A KR 20087029879A KR 20090028702 A KR20090028702 A KR 2009002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onding
suture
edge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백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to KR102008702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702A/ko
Publication of KR2009002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중첩 방식으로 함께 맞붙인 봉합부로서, 중첩된 부분이 중첩된 부분(3)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접합 패턴(4)으로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상기 봉합부가 형성된다. 접합 패턴은 중첩된 부분(3)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 접합 패턴(8), 및 중첩된 부분의 적어도 한 측면 가장자리(1a, 2a)에 인접하여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접합 면적은 중앙 접합 패턴의 전체 접합 면적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접합 면적을 더한 것의 30% 이하를 점유한다. 봉합부는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에 존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4203593-PCT00001
흡수 물품, 기저귀, 생리대, 실금보호대, 봉합, 접합

Description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A SEAM JOINING TOGETHER AT LEAST TWO WEB MATERIALS}
본 발명은 적어도 제 1 웹 재료와 제 2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에 관한 것으로서,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는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하며, 제 1 웹 재료의 측면 가장자리와 제 2 웹 재료의 측면 가장자리가 중첩되고, 상기 웹 재료들이 중첩된 곳에서 중첩된 부분이 형성된다.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서, 중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접합 패턴으로, 상기 중첩된 부분의 웹 재료들이 함께 접합되어 상기 봉합부가 형성된다.
섬유성 웹이든, 필름이든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이든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하는 웹 재료는 보호용 의류 및 위생 물품, 특히 기저귀, 생리대 및 실금보호대 같은 일회용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 등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 대부분에서는 웹 재료들을 맞붙여야 하며, 종래에 이것은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레이저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한 접합은 웹 재료의 열 용융성 성분이 용융되고, 이로써 함께 접합되는 다수의 접합 부위를 포함하는 접합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접합은 공정 라인에서 행해지는데, 여기서 재료 변형 및 공정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것은 웹 재료의 중첩되는 측면 가장자리와 관련하여 접합 패턴의 정확한 배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일 접합 패턴이 중첩부에 대해서 약간 어긋나 위치되어 끝난다면, 중첩부의 가장자리가 맞붙인 웹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것은 봉합부의 품질 및 물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것이며,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서 착용되는 물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부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US-A-5,919,539는, 예를 들어 보호용 의류에 사용되는 스펀본디드 폴리올레핀 시트의 초음파 봉합을 개시한다. 중첩되는 시트 가장자리가 초음파 혼과 바람직한 접합 패턴에 상응하는 융기된 패턴을 가진 패턴드 롤 사이에 공급된다. 와플형 접합 패턴이 만들어지고, 봉합부를 따라서 돌출된 시트 가장자리가 제거되도록 시트의 가장자리가 전체적으로 용접된다.
US-A-5,626,574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이 서로 접합되어 측면 봉합부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용접된 측면 봉합부는 상이한 모양의 간헐적으로 배치된 접합 부위의 패턴에 의해 한정된다. 이것의 목적은 측면 가장자리가 용접 구역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인열 개방될 수 있는 용접 패턴을 만드는 것이다.
US-A-4,938,817은 2개의 중첩된 재료 웹을 맞붙이기 위한 용접 패턴을 도시하며, 상기 용접 패턴은 직물의 가장자리와 평행하여 연장되는 짧은 점선을 포함한다.
US-A-4,205,679는 중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중첩된 측면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용접 라인에 의해 강한 초음파 용접 봉합부가 형성된 일회용 속옷을 개시한다.
상기 언급된 종류의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이는 봉합부에 적합한, 중첩부를 따라서 강한 봉합부를 제공하는 한편, 봉합부를 따라서 가장자리가 돌출할 위험이 감소되는 개선된 접합 패턴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 및 가장 중요한 특징
본원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며, 상기 접합 패턴이 중첩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 접합 패턴 및 상기 측면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여 그것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의 접합 면적은 주 접합 패턴의 전체 접합 면적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의 접합 면적을 더한 것의 30% 이하를 점유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것은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에서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과 주 접합 패턴을 더한 것에서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면적의 30% 이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 접합 패턴은 중첩부를 따라서 강한 봉합부를 제공하고,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중첩부를 따라서 측면 가장자리 아래쪽을 접합한다. 측면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제한된 접합 면적으로 인해, 봉합부의 이 영역에서 부드러움과 가요성이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중앙 접합 패턴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5% 이상, 바람직하게 7% 이상을 점유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중앙 접합 패턴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25% 이하를 점유한다.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각각 4 ㎟ 이하의 면적을 갖는 다수의 작은 접합 부위들의 형태일 수 있다.
중앙 접합 패턴은 외부 한계선에 의해 길이 방향(y)으로 한정되고,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내부 한계선에 의해 길이 방향(y)으로 한정되며, 한 구체예에서 상기 외부 한계선과 상기 내부 한계선 사이의 거리는 1.5 mm 이상이다.
한 구체예에 따라서, 상기 접합 패턴은 중앙 접합 패턴의 각 측면에 하나씩 2개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2개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내부 한계선 사이의 거리는 횡 방향(x)의 봉합부 폭의 25% 내지 95%, 바람직하게 30% 내지 80%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횡 방향(x)의 봉합부의 폭은 8 mm 내지 30 mm이다.
한 구체예에 따라서, 주 중앙 접합 패턴은 10% 내지 80%, 바람직하게 20% 내지 60%의 접합 밀도를 가진다.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2%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 30% 이하의 접합 밀도를 가진다.
본원에서 "접합 밀도"는 접합 부위 사이의 비-접합 면적을 포함하는 접합 패턴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체 면적과 관련하여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서, 웹 재료는 25 g/㎡ 내지 130 g/㎡의 기본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료이다.
또 다른 양태로서, 봉합부는 함께 맞붙여져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는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웹 재료와 흡수 구조를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에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서,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은 제 1 본체 패널, 제 2 본체 패널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이 설명된 접합 패턴에 의해 중첩 방식으로 함께 맞붙여져 측면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는 팬티형 의류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은 제 1 본체 패널, 제 2 본체 패널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이 함께 맞붙여져 측면 연결부를 형성하고, 탄성 허리밴드가 더 제공되며, 상기 탄성 허리밴드가 설명된 접합 패턴에 의해 중첩 방식으로 제 1 및/또는 제 2 본체 패턴과 맞붙여져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는 팬티형 의류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은 제 1 본체 패널, 제 2 본체 패널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이 각각 허리 부분을 가지고, 의류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제 1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된, 제 1 본체 패널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대향 측면 연장된 벨트 부재가 상기 의류에 추가로 제공되고, 제 2 본체 패널에는 그것의 허리 부분에 벨트 부재에 고정되도록 적합하게 된 제 2 고정 수단이 제공되고, 이로써 의류가 팬티형 모양을 취하게 되며, 상기 벨트 부재가 설명된 접합 패턴에 의해 중첩 방식으로 제 1 본체 패널에 맞붙여져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는 기저귀 및 실금보호대와 같은 흡수 의류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일부 구체예를 참조하여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2개의 중첩된 웹 재료 사이의 용접 봉합부의 도식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웹들 사이의 중첩부보다 좁은 접합 패턴을 나타내는 대응 도면이다.
도 2a는 2개의 중첩된 웹 재료 사이에 용접 봉합부를 생성하는 초음파 용접 방치의 도식적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웹 재료들 사이의 중첩부에 대해 약간 어긋나 위치된 초음파 장치를 나타내는 대응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으로 접합된 2개의 중첩된 웹 재료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중첩부에 대해 약간 어긋나 있는 접합 패턴을 나타내는 대응 도면이 다.
도 4a 및 4b는 대안 접합 패턴으로 접합된 2개의 중첩된 웹 재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팬티형 흡수 물품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벨트 방식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물품과 벨트의 부착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도 1a 및 1b는 2개의 중첩된 웹 재료(1 및 2)를 도식적으로 예시하는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한다. 웹은 섬유 부직 재료,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2개 웹 사이의 중첩된 부분은 부재번호 3으로 표시된다. 웹(1 및 2)은 중첩된 부분에서 다수의 접합 부위를 포함하는 접합 패턴(4)에 의해 맞붙여진다. 접합은 열 용융성 재료를 용융시켜 웹(1)과 웹(2)을 함께 접합시키는 본 분야에 공지된 어떤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레이저 용접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접합된 중첩된 부분이 2개의 웹 재료(1 및 2)가 함께 맞붙여진 봉합부를 형성한다. 봉합부는 2개의 웹 재료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두 웹은 모두 중첩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진다.
도 1a에서, 중첩된 부분(3)은 다소 좁고, 접합 패턴(4)은 중첩된 부분의 전 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2개 웹 재료의 각 측면 가장자리(1a 및 2a)가 접합 패턴(4)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된다. 이것은 봉합부를 위한 매력적인 모양이지만, 고속으로 가동되는 공정 라인에서는 달성하기가 어렵다.
두 웹 재료(1 및 2)가 모두 전체 접합 패턴(4)을 덮는 것이 유리하다. 접합 패턴(4)이 중첩된 부분(3)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면, 이 영역에서는 접합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이것은 접합 면적이 더 작게 되고 실제 접합 면적에서 에너지 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재료에 연소 관통(burn through)을 일으킬 수 있다.
도 1b는 중첩된 부분(3)이 접합 패턴(4)의 폭보다 넓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웹 재료의 가장자리(1a 및 2a)가 접합 패턴의 가장자리를 지나서 연장된다. 이것은 공정 라인에서 쉽게 달성되지만, 웹 재료의 측면 가장자리(1a 및 2a)가 웹 재료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할 것이므로 도 1a에 나타낸 봉합부만큼 매력적이지는 않다.
도 2a 및 2b는 초음파 혼(5)과 접합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돌출부(7) 패턴을 가진 모루 롤(6)을 포함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한 쌍의 중첩된 웹 재료(1 및 2)가 초음파 혼(5)과 모루 롤(6)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해 함께 용접된다.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모루 롤(6) 위의 돌출부(7)가 혼(5)에 접하여 재료를 프레스하는 영역에서 혼(5)에 접하여 프레스되는 웹 재료의 부분이 순간적으로 용융됨으로써 웹 재료들이 함께 접합된다. 도 2b에 나타낸 대로, 접합 패턴을 생성하는 돌출부(7) 패턴이 2개 웹 재료의 중첩된 부분 바깥쪽으로 연장된 다면, 접합 면적이 감소되고, 그 결과 단위 접합 면적 당 초음파 에너지가 증가된다. 상기 논의된 대로, 이것은 웹 재료의 연소 관통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된 부분의 폭 및/또는 그것의 정확한 위치에 작은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고속으로 가동되는 공정 라인에서 웹 재료들 사이에 높은 품질의 봉합부를 달성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 변형에 덜 민감하며 접합 패턴이 웹 재료들의 중첩된 부분에 대해 약간 어긋나 끝날 수 있는 경우에도 높은 품질의 봉합부를 제공하는 접합 패턴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접합 패턴의 예가 도 3a 및 3b에 도시된다. 접합 패턴(4)은 중첩된 부분(3)을 따라서 중앙에서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된 주 접합 패턴(8), 및 웹 재료의 각 측면 가장자리(1a 및 2a)에 인접하여 주 접합 패턴(8)의 두 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을 포함한다. 대안적 구체예에서, 단지 하나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9)만이 제공되며, 이 경우 주 접합 패턴(8)은 중첩된 부분(3)의 길이 방향 중심에 대해 어긋나,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이 없는 대향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주 접합 패턴(8)이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9)에 비해 더 큰 접합 면적을 점유하며,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9)은 주 접합 패턴(8)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30% 이하, 바람직하게 25% 이하를 점유한다. 상기 언급된 대로, 이것은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9)에 있는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9)과 주 접합 패턴을 더한 것에 있는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면적의 30% 이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 접합 패턴의 각 측면에 하나씩 가장자리 접합 패턴에 2개 있는 경우,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중앙 접합 패턴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5% 이상, 바람직하게 7% 이상을 점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장자리 접합 패턴이 단지 1개만 제공되는 경우,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중앙 접합 패턴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2% 내지 20%를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접합 패턴(8)은 어느 한 측면에 길이 방향 외부 한계선(8a)을 가지며, 상기 한계선(8a)은 그것의 대향 측면을 따라서 주 접합 패턴에 접해 있다. 각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은 길이 방향 내부 한계선(9a)을 가지며, 상기 한계선은 주 접합 패턴(8)과 대면하고 있는 측면을 따라서 가장자리 접합 패턴(9)과 접해 있다. 주 접합 패턴(8)의 외부 한계선(8a)과 각 가장자리 접합 패턴(9) 사이의 거리는 도 3a에서 a로 표시된다. 거리 a는 바람직하게 1.5 mm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내부 한계선(9a) 사이의 거리는 횡 방향(x)의 중첩된 부분(3)의 폭의 25% 내지 95%, 바람직하게 30% 내지 80%이다.
바람직하게는, 주 접합 패턴(8)은 10% 내지 80%, 바람직하게 20% 내지 60%의 접합 밀도를 가지고, 가장자리 접합 패턴은 2%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 30% 이하의 접합 밀도를 가진다.
접합 밀도는 접합 부위 사이의 비-접합 면적을 포함하는 접합 패턴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체 면적과 관련하여 접합 부위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 접합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은 다수의 작은 접합 부위들, 예를 들어 점, 선 등의 형태이며, 각각은 ... ㎟ 이하의 면적을 가진다. 주 접합 패턴(8)은 더 큰 접합 부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달리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의 접합 부위보다 조밀하게 위치된 다수의 작은 접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접합 패턴(8)은 중첩된 부분(3)을 따라서 강한 봉합부를 제공하고,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은 주 접합 패턴의 가장자리를 지나 측면 연장된 측면 가장자리(1a, 2a) 아래쪽을 접합한다. 측면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제한된 접합 면적으로 인해, 봉합부의 이 영역에서 부드러움과 가요성이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도 3b에서, 중첩된 부분(3)에 대하여 약간 어긋나 위치된 접합 패턴(4)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 접합 패턴(8)이 중첩된 부분 안에 위치되고, 1개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의 단지 일부분만이 중첩된 부분의 측면으로 바깥쪽에서 끝난다. 중첩된 부분(3)의 바깥쪽에 위치된 접합 패턴의 작은 부분이 작은 정도로만 접합 면적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단위 접합 면적 당 초음파 에너지의 증가가 작을 것이므로 봉합부의 품질은 여전히 높을 것이다.
횡 방향(x)의 접합 패턴의 폭은 횡 방향의 중첩된 부분(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단지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이것은 웹 재료(1 및 2)의 측면 가장자리(1a 및 2a)가 웹 재료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가장자리 접합 패턴(9)에 의해 아래쪽에서 접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은 종래의 접합 패턴에 비해 중첩된 부분(3)의 길이 방향 중심에 대하여 접합 패턴이 약간 어긋나 끝나도록 할 수 있는 공정 변형에 덜 민감하다.
본 발명은 특히 25 내지 130 g/㎡의 기본 중량을 가진 웹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웹 재료는 탄성 재료, 예를 들어 탄성 필름, 탄성 부직포 또는 이들로부터의 탄성 라미네이트이다. 탄성 재료는 하기 설명되는 탄성 시험에서 30%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서 정의된다.
횡 방향(x)의 중첩된 부분(3)의 폭은 바람직하게 8 mm 내지 30 mm이다.
본 발명의 한 중요한 용도는 물품의 상이한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맞붙여지는 웹 재료와 흡수 구조를 포함하는 기저귀, 실금보호대, 생리대 등과 같은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을 사용할 수 있는 흡수 물품의 봉합부의 예가 도 5-7에 도시된다.
도 5는 한정된 허리 개구(11)와 한 쌍의 다리 개구(12)를 갖는 팬티형 흡수 물품(10)을 나타내며, 이것은 다리 개구로 다리를 삽입하고 허리 위로 물품을 끌어올림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위로 끌어 올려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 물품의 예들로는 팬티 기저귀, 훈련용 팬츠, 수영 팬츠 및 실금 성인에 의해 착용되는 실금 팬티가 있다. 이후 이 물품은 "팬티 기저귀"로 언급될 것이다. 이 물품은 길이 방향 y와 횡 방향 x를 가진다.
팬티 기저귀는 사용시 착용자의 복부와 앞쪽 둔부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의도된 팬티 기저귀 부분인 전방 본체 패널(13)을 포함한다. 또한, 이 물품은 사용시 착용자의 등과 뒤쪽 둔부 영역 위로 연장되도록 의도된 물품 부분인 후방 본체 패널(14)을 포함한다. 팬티 기저귀 물품의 가랑이 부분(15)은 사용시 다리 사이의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을 통해 연장되도록 의도된 기저귀 부분이다.
흡수 코어(16)가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13 및 14) 쪽으로 연장되어 가랑이 부분(15)에 배치된다. 흡수 코어는 내부 커버시트(17)와 외부 커버시트(18) 사이에 배치된다.
용어 "내부 커버시트"는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를 형성하는 액체 투과성 재료 시트를 말하며, 사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놓인다. 내부 커버시트는 부직 재료, 예를 들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카디드, 하이드로언탱글드, 웨트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부직 재료는 천연 섬유, 예를 들어 목재펄프나 면 섬유, 인조 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 레이온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커버시트 재료는 삼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EP-A-1 035 818에 개시된 결합 패턴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내부 커버시트 재료의 추가의 예는 다공성 폼,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등이다. 내부 커버시트 재료로서 적합한 재료는 부드럽고 피부에 자극이 없어야 하며, 소변이나 생리액과 같은 체액에 의해 쉽게 침투되어야 한다. 또한, 내부 커버시트는 흡수 물품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외부 커버시트"는 흡수 물품의 외부 커버를 형성하는 재료를 말한다. 외부 커버시트는 흡수 물품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흡수 코어의 영역에서 외부 커버시트는 액체 불투과성 재료, 얇은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코팅된 부직 재료, 액체 침투에 저항하는 소수성 부직 재료,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 재료의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외부 커버시트 재료는 통기성일 수 있으며, 이로써 액체의 통과는 계속해서 방지하면서 증기는 흡수 코어로부터 나갈 수 있게 된다. 통기성 외부 커버시트 재료의 예로는 다공성 폴리머 필름, 스펀본드와 벨트블로운 층의 부직 라미네이트 및 다공성 폴리머 필름과 부직 재료의 라미네이트가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커버시트는 적어도 의류에 면하는 표면에 부직 재료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 물품의 두 커버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구조이다. 흡수 코어는 어떤 종래의 종류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생각되는 흡수 재료의 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 티슈 층, 고도 흡수성 폴리머(소위 초흡수체), 흡수성 폼 재료, 흡수성 부잭 재료 등이다. 흡수 코어에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를 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흡수성 폴리머는 염화나트륨을 0.9중량% 함유하는 수성 용액을 자신의 중량의 적어도 약 20배까지 흡수할 수 있는 물-팽윤성, 물-불용성 유기 또는 무기 재료이다. 초흡수성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합한 유기 재료는 다당류, 폴리펩티드 등과 같은 천연 재료뿐만 아니라 합성 히드로겔 폴리머와 같은 합성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로겔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금속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리딘 등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폴리머로는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 녹말, 및 이소부틸렌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히드로겔 폴리머를 가볍게 가교-결합하여 재료를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으로 만드는 것 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초흡수성 재료는 초흡수성 입자, 섬유, 플레이크, 구체 등의 외면 또는 외피에 초흡수체의 내부 부분보다 높은 가교결합 밀도가 주어지도록 더 표면 가교-결합된다. 초흡수성 재료는 입자, 섬유, 플레이크, 구체 등을 포함하는 흡수 복합체에 사용되기 적합한 어떤 형태일 수 있다.
높은 액체 저장 용량이 다량의 초흡수성 재료의 사용에 의해 제공된다.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와 초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에 있어서, 초흡수성 재료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10중량%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 30중량% 내지 70중량%이다.
종래에는 흡수 물품은 액체 수용능, 액체 분배능 및 저장 능력에 관하여 상이한 특성의 층들을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가졌다. 예를 들어, 유아용 기저귀 및 실금보호대에 일반적인 얇은 흡수체는 주로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의 압착, 혼성 또는 층상 구조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의 크기 및 흡수 능력은 유아 또는 실금이 있는 성인 등, 상이한 용도에 맞춰 변화될 수 있다.
흡수 코어는 배출된 액체를 신속히 수용하여 그것이 주 흡수 코어에 의해 흡수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적합하게 된, 주 흡수체의 상부에 배치된 획득 분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 분포층은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다공성 섬유 충전솜 또는 폼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13 및 14) 또는 흡수 코어 영역의 바깥쪽에 위치된 이들의 일부분은 가랑이 부분(15)과는 상이한 재료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 따라서, 흡수 코어 영역 바깥쪽에 위치된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13 및 14) 영역은, 예를 들어 본체 대면측 및 의류 대면측을 갖는 라미네이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수 코어 영역에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시트 및/또는 액체 투과성 내부 커버시트만이 존재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내부 및 외부 커버시트는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13 및 14)과 가랑이 영역(15)에서 동일하다.
전방 및 후방 본체 패널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탄성 재료일 수 있다. 탄성 웹 재료는 탄성 부직 재료, 그 자체는 탄성이 아니지만 탄성 실 등에 의해 탄성이 부여된 부직 재료, 외부 섬유 재료 층과 중앙 탄성 필름 층으로 이루어진 탄성 라미네이트의 형태일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패널(13 및 14)이 길이 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맞붙여짐으로써 측면 봉합부(19)가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 패널(13 및 14)은 대향 패널의 외부 커버시트(18)와 대면하는 전방 또는 후방 패널 중 어느 한쪽의 내부 커버시트 (17)와 맞붙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봉합부는 도 5에 도시된 대로 측면 봉합부에서 안쪽으로 대면하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의 인접 부분들과 동일한 평면에 있을 것이다. 또는 달리, 이들은 안쪽과 대면하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의 내부 커버시트와 접합되며, 이 경우 측면 봉합부(19)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될 것이다.
전방 및 후방 패널(13 및 14)은 주 중앙 접합 패턴(8) 및 2개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4)에 의해 측면 봉합부(19)를 따라서 맞붙여진다.
허리 개구를 따라서 탄성 허리밴드(20)가 전방 및 후방 패널(13 및 14)에 고 정된다. 가장 흔한 형태로서, 탄성 허리밴드(20)는, 부직 재료와 같은 재료 층들 사이에 수축 가능하게 고정된, 탄성 실 또는 밴드와 같은 기다란 탄성 부재(21)에 의해 탄성이 부여된 실질적으로 비-탄성인 부직 재료를 포함한다. 또는 달리, 탄성 허리밴드는 탄성 부직포 또는 탄성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탄성 허리밴드(20)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4)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패널(13 및 14)에 맞붙여진다.
또한, 다리 개구(12)에도 탄성이 부여되는데, 상기 탄성화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시트와 내부 커버시트 사이에 수축 가능하게 고정된 탄성 실과 같은 다수의 탄성 부재(12a)에 의해 달성된다.
도면의 도 6 및 7은 제 1 본체 패널(23)과 제 2 본체 패널(24), 그리고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25)을 포함하는 기저귀 또는 실금보호대(22) 형태의 흡수 의류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흡수 코어(26)가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23 및 24) 쪽으로 연장되어 가랑이 부분(25)에 배치된다. 흡수 코어(26)는 내부 커버시트(27)와 외부 커버시트(28) 사이에 배치된다. 내부 및 외부 커버시트와 흡수 코어는 팬티 기저귀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의류는 길이 방향 y과 횡 방향 x을 가진다.
한 쌍의 벨트 부재(29)가 제 2 본체 패널(24)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는데, 이것은 의류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는 목적을 가지며, 제 1 고정 수단(30), 예를 들어 기계적 고정장치, 특히 후크-루프 고정 수단의 후크 고정장치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대향 벨트 부재의 외면은, 특히 이것이 섬유 부직포를 포함할 경우, 루프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후크-루프 고정장치"는 "후크" 부분과 "루프" 부분을 갖는 상보적 고정 수단을 말하며, 재고정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후크"는 다른 요소, 소위 "루프"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어떤 요소를 말한다. 용어 "후크"는 일반적 의미의 "후크"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단-방향이든 양-방향이든 모든 형태의 맞물리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루프"는 일반적인 의미의 "루프"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크" 고정장치와 맞물릴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루프" 재료의 예는 부직 재료와 같은 섬유 구조이다. 후크-루프 고정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 Velcro 사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또는 달리, 제 1 고정 수단(30)은 테이프 탭과 같은 접착 고정 수단이며, 이 경우 대향 벨트 부재(29)의 외면은, 예를 들어 WO 01/00129에 설명된, 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벨트 부재(29)의 폭은 5 cm 내지 20 cm, 바람직하게 7 cm 내지 15 cm이어야 한다. 벨트 부재(29)는 바람직하게 벨트의 외면을 형성하는 캐리어 재료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벨트 내부를 형성하는 부드러운 부직포의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된다.
적합한 부직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의 스펀본드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복합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부직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복합 섬유의 카디드 열접합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캐리어 재료는 고정 수단(30)의 수용 표면으로서 기능하도록 적합하게 되어야 한다. 고정 수단이 후크 고정장치인 경우, 부직 재료가 캐리어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수단(30)이 테이프 탭인 경우, 플라스틱 필름이 캐리어 재료로서 적합하다.
그 다음, 일반적으로 전방 본체 패널인 제 1 본체 패널(23)이 착용자의 다리 사이를 지나, 전방 패널(23)의 허리 부분의 측면 가장자리에 제공된 제 2 고정 수단(31)에 의해서 벨트 부재(29)의 바깥쪽에 고정된다. 이들 제 2 고정 수단(31)은 후크 고정장치와 같은 기계적 고정장치, 또는 접착 테이프 고정장치이다.
각 벨트 부재(29)는 제 1 본체 패널(24)에 인접한 그것의 근단부에 탄성 영역(29a)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영역(29a)은 탄성 필름, 탄성 부직포, 탄성 라미네이트 등과 같은 탄성 웹 재료의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라미네이트는 2개 이상의 부직층, 2개 이상의 필름층 또는 필름층과 부직층의 조합의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탄성 영역(29a)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탄성 라미네이트의 예는 본 분야에 공지된 모든 탄성 라미네이트이다. 소위 "신장-접합" 라미네이트라고 하는 일군의 탄성 라미네이트가 있는데, 여기서는 탄성층이 하나 이상의 비-탄성층과 라미네이트되기 전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신장된다. 탄성층으로부터 인장력이 제거된 후, 탄성층은 그것의 비인장 상태로 자유롭게 수축될 수 있으며, 거기에 라미네이트된 비-탄성층(들)이 모이게 되어 3-차원의 주름이 제공된다.
폭이 줄어들거나 또는 병목 형태로 되는 조건하에 비-탄성 부재가 연장되면서 탄성 재료가 비-탄성 재료에 접합된 라미네이트를 말하는 소위 "병목 접합" 라 미네이트라고 하는 다른 군의 탄성 라미네이트도 있다. "병목 접합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두 층을 갖는 복합 재료를 말하며, 여기서 한 층은 병목 형태의 비-탄성층이고, 나머지 층은 탄성층이다. 이 층들은 비-탄성층이 연장된 상태에서 함께 접합된다.
추가의 탄성 라미네이트 군이, 예를 들어 WO/047488에 개시되는데, 여기서는 비-탄성 부직층이 탄성 필름층에 라미네이트되고, 이 라미네이트가 부직 재료의 파단점을 넘어 신장되어, 비-탄성층이 파괴된다.
탄성 라미네이트의 예는 EP-B-O 646 062, WO 98/29251, WO 03/000165 및 US-A-5,226,992에 설명된다.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탄성 라미네이트의 예는 Tredegar 사의 Fabriflex 306 및 Nordenia 사의 PK 6358이다.
탄성 영역(29a)은 바람직하게 하기 설명되는 탄성 시험에서 측정했을 때 30% 이상의 탄성을 가진다.
또는 달리, 탄성 영역(29a)은 웹 재료 층들 사이에 수축가능하게 고정된 하나 이상의 탄성 실 또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대안적 구체예에서, 단지 한쪽의 벨트 부재(29)에만 탄성 영역(29a)이 제공된다.
허리 탄성 부재(32)는 각 본체 패널(23 및 24)의 허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횡 방향(x)으로 연장된다. 허리 탄성 부재는 탄성 라미네이트, 탄성 필름 등과 같은 탄성 웹 재료일 수 있으며, 내부 커버시트와 외부 커버시트 사이에, 외부 커버시트의 바깥쪽에 또는 내부 커버시트의 착용자 대면측에 수축가능하게 고 정된다.
또는 달리, 이것은 외부 커버시트와 내부 커버시트 사이에 수축가능하게 고정된 2개 이상의 탄성 실 또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또한, 다리 개구에도 탄성이 부여되며, 상기 탄성화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시트와 내부 커버시트 사이에 수축가능하게 고정된 탄성 실과 같은 다수의 탄성 부재(33)에 의해 달성된다.
탄성 영역(29a)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4)에 의해 각 벨트 부재(10) 및/또는 제 1 본체 패널(24) 측면 가장자리에 접합된다.
탄성 시험
이 방법은 탄성 재료가 반복된 하중-하중제거 사이클에서 어떻게 거동하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샘플을 정해진 신율로 신장하고, 0과 상기 정해진 신율 사이에서 순환 운동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하중 및 하중제거 힘을 기록한다. 이완된 재료의 영구, 즉 잔류 신율을 측정한다.
프린터/플로터 또는 소프트웨어 프리젠테이션을 구비한 순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장 시험기 Lloyd LRX를 사용한다. 샘플을 폭 25 mm, 길이는 바람직하게 인장 시험기의 클램프 간 거리보다 20 mm 더 길게 절단하여 샘플을 준비한다.
인장 시험기를 장치 설명서에 따라서 캘리브레이션한다. 시험에 필요한 변수들(하중 및 하중제거 힘)을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 교차전단 속도: 500 mm/분
- 클램프 거리: 50 mm
- 예비하중: 0.05 N
표시에 따라서 샘플을 클램프에 배치하고, 샘플이 클램프 중앙에 수직 고정되도록 확실히 한다. 인장 시험기를 시동하고, 0과 정해진 신율 사이에서 3회 사이클을 수행하는데, 정해진 신율은 가장 높게 한정된 1차 하중과 동등하다. 마지막 사이클 전에, 샘플을 1분간 이완시키고, 0.1 N의 힘이 검지될 때까지 샘플을 신장시켜 영구 신율을 측정하고 신율을 기록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이완 후 영구 신율은 10%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30%의 신율은 웹 재료가 상기 인장 시험기에서 30%의 신율을 받은 후 10% 이하의 연신 후 영구 이완을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30%의 신율은 샘플의 초기 길이보다 30% 더 긴 길이까지의 연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패턴 및 접합 패턴의 적용에 대해 단지 몇 개의 전형적인 구체예가 상기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접합 패턴의 구조와 그것의 적용 모두에 있어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7)

  1. 적어도 제 1 및 제 2 웹 재료(1, 2)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로서, 웹 재료 중 적어도 하나가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하고, 제 1 웹 재료(1)의 측면 가장자리(1a)가 제 2 웹 재료(2)의 측면 가장자리(2a)와 중첩되며, 상기 웹 재료들이 중첩된 곳에서 중첩된 부분(3)이 형성되고, 상기 중첩된 부분(3)의 상기 웹 재료들이, 중첩된 부분(3)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접합 패턴(4)으로, 초음파 용접, 열 접합,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상기 봉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첩된 부분은 길이 방향(y) 및 횡 방향(x)을 가지며, 웹 재료들의 상기 중첩된 측면 가장자리(1a, 2a)에 의해서 한 쌍의 길이 방향 측면 가장자리가 한정되는 봉합부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턴(4)이 중첩된 부분(3)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 접합 패턴(8), 및 상기 측면 가장자리(1a, 2a)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여 그것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의 접합 면적이 중앙 접합 패턴의 전체 접합 면적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들)의 접합 면적을 더한 것의 30% 이하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이 주 접합 패턴(8)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의 조합에 의해서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5% 이상, 바람직하게 7%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이 주 접합 패턴(8)과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의 조합에 의해 점유되는 전체 접합 면적의 25% 이하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이 각각 4 ㎟ 이하의 면적을 갖는 다수의 작은 접합 부위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접합 패턴(8)이 외부 한계선 (8a)에 의해 길이 방향(y)으로 한정되고,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이 내부 한계선(9a)에 의해 길이 방향(y)으로 한정되며, 상기 외부 한계선과 상기 내부 한계선 간의 거리(a)가 1.5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턴이 주 접합 패턴(8)의 각 측면에 하나씩 2개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7.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가장자리 접합 패턴의 내부 한계선(9a) 간의 거리가 횡 방향(x)의 봉합부 중첩된 부분(3)의 폭의 25% 내지 95%, 바람직하게 30% 내 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 방향(x)의 중첩된 부분(3)의 폭이 8 mm 내지 3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접합 패턴(8)이 10 내지 80%, 바람직하게 20 내지 60%의 접합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접합 패턴(9)가 2%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 30% 이하의 접합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재료(1, 2)가 25 내지 130 g/㎡의 기본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웹 재료(1, 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께 맞붙여진 웹 재료(1, 2)와 동일한 평면에 봉합부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부가 상기 접합 패턴(14)에 의해서 함께 맞붙여진 열 용융성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웹 재료와 흡수 구조(16, 26)를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이 제 1 본체 패널(13), 제 2 본체 패널(14)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15)을 포함하는 팬티형 의류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이 중첩 방식으로 함께 맞붙여져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접합 패턴(4)에 의해서 맞붙여진 측면 봉합부(19)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이 제 1 본체 패널(13), 제 2 본체 패널(14)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15)을 포함하는 팬티형 의류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털이 함께 맞붙여져 측면 봉합부(19)를 형성하고 있고, 탄성 허리밴드(20)가 더 제공되며, 상기 탄성 허리밴드가 중첩 방식으로 제 1 및/또는 제 2 본체 패널에 맞붙여져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접합 패턴(4)에 의해서 정의된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케어 흡수 물품이 제 1 본체 패널(23), 제 2 본체 패널(24)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25)을 포함하는 기저귀 및 실금보호대와 같은 흡수 의류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패널이 각각 허리 부분을 구비하고, 의류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서 제 1 고정 수단(30)에 의해 함께 고정되도록 적합하게 된 제 2 본체 패널(24)의 허리 부분에 부착된 대향 측면 연장 벨트 부재(29)가 상기 의류에 더 제공되며, 제 1 본체 패널(23)의 허리 부분에는 벨트 부재(29)에 고정되도록 적합하게 된 제 2 고정 부재(31)가 제공되며, 이로써 의류가 팬티형 모양을 취하게 되고, 벨트 부재(17)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본체 패널(24)의 허리 부분에 인접한 상기 벨트 부재의 근단부에 위치된 탄성 영역(17a)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영역(17a)이 중첩 방식으로 각 벨트 부재의 나머지 부분 및/또는 제 2 본체 패널(24)에 맞붙여져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접합 패턴(4)에 의해서 정의된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부.
KR1020087029879A 2008-12-08 2006-07-13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KR20090028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9879A KR20090028702A (ko) 2008-12-08 2006-07-13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9879A KR20090028702A (ko) 2008-12-08 2006-07-13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702A true KR20090028702A (ko) 2009-03-19

Family

ID=4069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879A KR20090028702A (ko) 2008-12-08 2006-07-13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244B2 (ja) 少なくとも二つのウェブ材料を互いに結合するための接合部
US8449519B2 (en) Seam joining together at least two web materials
JP6211777B2 (ja) 吸収性物品
CN101466340B (zh) 束带的吸收性衣物
WO2015146452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US8057457B2 (en) Belted absorbent garment
CN101511315A (zh) 吸收性衣物及其生产方法
JP391685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5016294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3816010A (zh) 带束带的吸收性衣物
JP672641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90028702A (ko) 2개 이상의 웹 재료를 함께 맞붙인 봉합부
RU2445055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JP2023000355A5 (ko)
JP2015173871A (ja) 吸収性物品
JP2015173689A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その伸縮構造を備えた吸収性物品
KR20090007731A (ko)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