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31A -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 Google Patents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731A
KR20090007731A KR1020087026191A KR20087026191A KR20090007731A KR 20090007731 A KR20090007731 A KR 20090007731A KR 1020087026191 A KR1020087026191 A KR 1020087026191A KR 20087026191 A KR20087026191 A KR 20087026191A KR 20090007731 A KR20090007731 A KR 2009000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region
absorbent
leak
crotc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리카 칼슨
한스 엔
잔 와스트룬드-칼슨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to KR102008702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731A/ko
Publication of KR2009000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전방 영역(2), 후방 영역(3) 및 그것들 간의 가랑이 영역(4)을 포함하는 흡수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출 장벽(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출 장벽(14)의 각각은 자유로운 옆으로 안쪽 탄성부여된 변(16)과 옆으로 바깥 변(15)을 가지며, 누출 장벽의 탄성부여된 변(16)이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6)로부터 융기되어 있다.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6)를 따르는 가랑이 영역(4)은 융기된 누출 장벽(14)이 없는 한편, 융기된 누출 장벽이 물품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3)에는 존재한다.
Figure 112008074193769-PCT00001
흡수 물품, 누출 장벽, 탄성, 내부 커버, 융기, 기저귀.

Description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ABSORBENT ARTICLE WITH LEAK BARRIERS}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액을 흡수 및 보유하도록 의도된 기저귀, 팬티 기저귀, 실금 브리프, 생리용 냅킨 등과 같은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구조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출 장벽들을 갖는 상기한 종류의 흡수 물품은 공지되어 있다. 소위 확산방지(containment) 또는 장벽 플랩이라고도 하는 이들 누출 장벽들은 자유로운 옆으로 안쪽의 탄성부여된 변과 옆으로 바깥 변을 가지며, 누출 장벽의 탄성부여된 변은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로부터 융기되어 있다. 이러한 융기된 누출 장벽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 물품으로부터 누출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US 6,620,145는 융기가능한 누출 장벽을 구비한 기저귀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서 누출 장벽의 옆으로 바깥 변의 안쪽 위치에서 물품의 신체에 면하는 시트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누출 장벽의 융기된 높이가 기저귀의 전방 및 후방 영역에서보다 가랑이 영역에서 더 적게 되어 있다.
US 2004/0127882는 기저귀의 다리 개구부의 윤곽을 따르는 옆으로 바깥 변을 갖는 누출 장벽을 구비한 팬티 기저귀를 개시한다.
WO 97/29722는 굴곡진 방법으로 흡수 물품에 누출 장벽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누출 장벽은 물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가지며 물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관하여 굴곡진 구조로 연장되는 접점 선을 까라 물품에 본딩된다.
JP 2002-058703은 직사각형 조각의 재료로부터 기저귀 커버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다리 구멍은 재료의 조각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 내부에서 절단되는데 이것은 다음에 구멍을 가로지르는 길이방향 접는 선을 따라 안쪽으로 접혀서, 각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향한 다리 윤곽을 조장하도록 한다. 안쪽으로 접혀진 부분은 탄성부여되어 가랑이 영역에서 낮은 높이를 갖는 누출 장벽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흡수 물품이 사용 중 착용자의 가랑이(가랑이 영역)에서 적용되는 경우에 영역의 폭을 좁힘으로써 개선된 쾌적감을 갖는 흡수 물품은 수많은 종래 기술 문헌, 예를 들면 EP-A-1 384 459를 통해 공지되어 있다. 좁은 가랑이 폭을 갖는 흡수 물품에 누출 장벽을 적용할 때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누출 장벽은 물품의 신체에 면하는 커버 시트로부터 완전히 융기되지 않았을 때 특히, 물품의 밖으로 체액의 누출을 가져올 수도 있는 물품의 가랑이 영역으로의 체액의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및 가장 중요한 특징
본 발명의 목적은 가랑이 영역에 쾌적하고 잘 들어맞는 성질과 효과적인 누출 보호를 조합한 흡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품은 상기한 종류의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출 장벽을 포함하는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를 따르는 물품의 가랑이 영역은 융기된 누출 장벽이 없는 한편, 융기된 누출 장벽이 물품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에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의 횡방향으로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누출 장벽의 옆으로 바깥 변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는 적어도 3 ㎝이다.
더 이상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의 옆으로 바깥 변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는 가장 좁은 가랑이 폭과 적어도 같거나 또는 그 보다 크거나, 바람직하게는 4 ㎝ 더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더 크다.
대안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의 옆으로 바깥 변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는 가장 좁은 가랑이 폭과 같거나 또는 그 보다 작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융기된 누출 장벽은 물품의 전방 및 후방 영역 둘다에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누출 장벽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를 따르는 가랑이 영역에서는 없고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에서 누출 장벽은 가랑이 영역에서 또는 가랑이 영역에 인접하여 끝 지점을 갖는다.
더 이상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은 가랑이 영역을 따라 연장되나, 상기 영역에서, 물품의 내부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그것의 옆으로 안쪽의 탄성부여된 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에 걸쳐 비활성화되어 있고, 따라서 그것이 융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비활성화(deactivation)"는 누출 장벽과 누출 장벽에서의 신장이 남을 수 있으나 누출 장벽은 비활성화 영역에서 편평하게 놓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전히 더 이상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은 각각 횡방향 측 가장자리와 가랑이 영역에 면하는 그 각각의 끝 부분들에서 편평하게 놓이고 또한 그것들의 옆으로 안쪽 변에서 내부 커버시트에 부착되어 각각의 누출 장벽은 포켓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서 물품은 팬티 기저귀, 생리용 팬티 또는 실금 팬티와 같은 팬티형 흡수 물품이고, 상기 물품은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 영역과,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틀(chassis)을 가지며, 상기 틀은 전방, 후방 및 허리 영역을 포함하는 한편, 코어 영역은 물품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위치하고, 액체 불침투성 외부 커버는 흡수 코어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 코어 영역에서 적어도 배치되며, 액체 침투성 내부 커버는 흡수 코어의 착용자에 면하는 쪽에 코어 영역에서 적어도 배치되며, 상기 물품은 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웹 재료의 형태의 외부 커버시트를 포함한다.
더 이상의 관점에서 누출 장벽은 물품의 코어 영역에 배치된다. 여전히 더 이상의 관점에서 흡수 코어의 표면적은 물품이 편평한 상태에서 측정한 바, 물품의 전체 표면적의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기저귀, 팬티 기저귀 또는 실금 의복의 형태로 흡수 물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을 다음에서 첨부 도면에 나타낸 일부 구체예들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편평한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저귀의 형태로 흡수 물품의 단순화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선 II-II에 따르는 단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선 III-III에 따르는 단면이다.
도 4는 팬티 기저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신체에 면하는 쪽에서 보아 형성에 앞서 편평한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팬티 기저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선 VI-VI에 따르는 단면이다.
정의
흡수 물품
용어 "흡수 물품"은 요, 대변 및 생리혈과 같은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함유하도록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놓이는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은 주로 일회용 흡수 물품을 말하는데, 이것은 세탁을 의도하거나 사용 후 흡수 물품으로서 달리 회수 또는 재사용하도록 의도하지 않는 물품이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는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를 형성하고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해 놓인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는 부직 재료, 예를 들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카디드, 유체 결합(hydroentangled), 웨트레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부직 재료는 우드펄프 또는 목면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스코스 등과 같은 인조 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인조섬유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 재료는 또한 예를 들면 EP-A-1 035 818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딩 패턴으로 서로에 본딩될 수도 있는 토우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 재료의 더 이상의 예들은 다공성 폼, 구멍들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 등이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 재료로서 적합한 재료는 유연하고 피부에 비자극적이어야 하며 체액, 예를 들면 요 또는 월경혈이 쉽게 침투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는 흡수 물품의 다른 부분들에서 다를 수도 있다.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는 흡수 물품의 적어도 코어 영역에서 흡수 물품의 외부 커버를 형성한다.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액체 불침투성 재료로 코팅된 부직 재료, 액체 침투에 저항하는 소수성 부직 재료, 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및 부직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 재료는 여전히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흡수 코어로부터 증기가 이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숨쉬는 기능이 있을 수도 있다. 숨쉬는 기능이 있는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 재 료는 다공성 중합체 필름, 스펀본드 및 멜트 블로운 층으로부터의 부직 라미네이트, 다공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의 라미네이트 및 부직 재료이다.
흡수 코어
흡수 코어는 어떤 종래의 것도 될 수 있다. 통상 일어나는 흡수 재료의 예들은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티슈 층, 고 흡수성 중합체(소위 초흡수재), 흡수성 폼 재료, 흡수성 부직 재료 등이다. 흡수 코어에서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를 초흡수재 중합체와 조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초흡수재 중합체는 0.9 중량 퍼센트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자체 중량의 적어도 약 20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의 수불용성 유기 또는 무기 재료이다. 초흡수재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재료는 다당류, 폴리펩티드 등과 같은 천연 재료, 뿐만 아니라 합성 히드로겔 중합체와 같은 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히드로겔 중합체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피리딘,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중합체는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 전분, 및 이소부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히드로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가볍게 가교시켜 재료가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 되게 한다. 바람직한 초흡수재 재료는 더 표면 가교시켜 초흡수재 입자, 섬유, 플레이크, 구 등의 외표면 또는 껍질을 초흡수재의 내부 부분보다 더 높은 가교 밀도를 지니도록 한다. 초흡수재 재료는 입자, 섬유, 플레이크, 구 등을 포함하는 흡수재 복합체의 사용에 적합한 어떤 형태도 될 수 있다.
높은 흡수 용량은 높은 양의 초흡수재 재료의 사용에 의해 제공된다. 셀룰로스 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와 초흡수재 재료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에 대해, 초흡수재 재료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이다.
액체 수용 용량, 액체 분포 용량 및 저장 용량에 관하여, 다른 성질들의 층들을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갖는 것이 흡수 물품에서 통상적이다. 예를 들면, 유아용 기저귀 및 실금 보호대에서 통상적인 얇은 흡수 본체는 종종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및 초흡수재 중합체의 압착된 혼합 또는 층으로 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흡수 코어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유아 또는 성인 실금 환자들에 대해서와 같은 다른 용도들에 적합하도록 다양할 수 있다.
흡수 코어는 또한 1차 흡수 코어에 의해 흡수되기 전에 방출된 액체를 신속히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적합하게 만든, 1차 흡수 본체의 맨 위에 놓인 포착 분포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착 분포 층은 본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고 다공성 섬유성 솜(waddings) 또는 발포체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누출 장벽
누출 장벽, 또는 확산방지 또는 장벽 플랩이라고도 하는 것들은 흡수 구조물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누출 장벽은 자유로운 옆으로 안쪽의 탄성부여된 변(원단 변: distal side)과 물품의 내부 커버에 부착된 옆으로 바깥 변(기단 변: proximal side)을 갖는데, 누출 장벽의 탄성부여된 원단 변은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로부터 융기되어 있다. 이러한 융기된 누출 장벽은 흡수 물품 으로부터의 신체 삼출물의 누출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도 1은 편평한, 수축되지 않은 상태의 흡수 물품의 단순화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흡수 물품은 길이방향(y) 및 횡방향(x)을 갖는 기저귀(1)의 형태이고, 길이방향으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영역(2), 후방 영역(3) 및 그들 사이의 가랑이 영역(4)을 포함한다. 물품은 한쌍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5 및 6)와 한쌍의 횡방향 측 가장자리(7 및 8)에 의해 정의된다. 가랑이 영역(4)은 물품의 각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5 및 6)에서 안쪽으로 향한 다리 윤곽에 의해 규정된다.
가장 통상적인 형태로, 기저귀는 흡수 코어(9)와 흡수 코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흡수 코어(9)의 착용자에 면하는 쪽에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10)와 흡수 코어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11)를 포함한다. 내부 액체 침투성 커버(10)는 종종 톱시트라고 하는 한편, 외부 액체 불침투성 커버(11)는 종종 백시트라고 한다.
내부 커버(10) 및 외부 커버(11)는 흡수 코어(9)의 주변 가장자리 밖으로 연장되며 아교접착 또는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용접에 의해 서로에 본딩된 내부 표면을 갖는다. 내부 및 외부 커버 재료는 또한 예를 들어서 접착제에 의해 흡수 코어(9)에 접착될 수도 있다. 흡수 코어는
다리 개구부에 인접한 물품의 영역은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 부재(12)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기저귀의 탄성부여된 다리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신장 된 상태에서 내부 커버(10)와 외부 커버(11) 사이에 본딩되어 있다. 대응하는 탄성 부재(도시않음)는 기저귀의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횡방향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전방 영역(2) 및 후방 영역(3)에서 횡(x)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12)는 대안으로 어떤 수단, 예를 들면 열에 의해 탄성부여된 상태로 활성화가능한 재료로 될 수 있고, 그것들은 신장되지 않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물품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이어서 수축된 탄성 상태로 활성화된다.
후방 영역(3)은 거기에 부착된 패스너(13)를 구비한다. 패스너는 물품의 전방 영역에 고정하여 팬티 같은 형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패스너(13)는, 예를 들어서 기저귀의 외부 커버시트를 형성하는 부직 재료의 형태로, 루프 재료에 부착하도록 적합하게된 접착 테입 또는 후크 요소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기저귀는 또한 옆으로 바깥 기단 가장자리(15), 옆으로 안쪽 원단 가장자리(16) 및 원단 가장자리(16)를 내부 커버시트(6)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 부재(17)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누출 장벽(14)을 포함한다. 이들 누출 장벽(14)은 그것들의 기단 가장자리(15)에서, 흡수 코어(9)의 옆으로 외부에 또는 흡수 코어(9)의 위에 흡수 코어(9)의 측 가장자리에 가까운 내부 커버시트(6)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은 예를 들어서,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열 본딩에 의해 행해진다. 도 1에서, 누출 장벽(14)의 원단 가장자리(16)는 수축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었는데, 그것들은 내부 커버시트(6)로부터 융기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2에서 누출 장벽(14)은 그것들의 융기된 상태로 나타내었고, 여기서 그것들의 원단 가장자리(16)는 내부 커버시트(6)로부터 올라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구체예에 따르면, 탄성 누출 장벽(14)은 기저귀의 전방 영역(2) 및 후방 영역(3)에서 존재하는 한편 가랑이 영역(4)의 실질적인 부분은 탄성 누출 장벽(14)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랑이 영역(4)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를 따라 융기된 누출 장벽이 없다.
누출 장벽(14)은 각각 횡방향 측 가장자리(7 및 8)와 가랑이 영역(4)에 면하는그것들의 각각의 끝 부분들에서 편평하게 놓이고 또한 그것들의 원단 가장자리에서 예를 들어서 접착제, 초음파 용접, 열 본딩 등에 의해 내부 커버 시트에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누출 장벽(14)은 포켓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도 1에서, 누출 장벽(14)의 부착된 부분을 어둡게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두 누출 장벽(14)의 기단 가장자리(15) 사이의 거리(c)와 원단 가장자리(16) 간의 거리(d)는 내부 커버시트(6)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는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기저귀의 최소 가랑이 폭(a)과 같거나 또는 더 크다. 가랑이 폭은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기저귀로 측정된다.
도 1에 나타낸 기저귀를 제조할 때 이용가능한 두가지 선택의 여지가 있다. 첫번째 안은 다리 윤곽에 대한 절개부를 만들기 전에 연속된 길이의 누출 장벽(14)을 기저귀에 부착하는 것이다. 절개부가 다리 윤곽에 대해 만들어질 때 최소 가랑이 폭을 갖는 가랑이 영역(4)의 그 부분에서 적어도, 누출 장벽은 동시에 절개된다. 탄성 부재(17)를 갖는 원단 가장자리(16)는 절개부가 만들어지기 전에 가랑이 영역(4)에 면하는 끝에서 내부 커버시트에 부착되어 있다. 원단 가장자리(16)는 또한 기저귀의 각각의 횡방향 가장자리(7 및 8)에 면하는 끝에서 내부 커버시트에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7)와의 원단 끝(16)의 부착은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열 본딩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 다른 대안은 가랑이 영역(4)의 적어도 일부는 누출 장벽(4)이 없게 두면서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및 3)에서 누출 장벽(14)의 불연속적인 길이들을 간헐적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누출 장벽(14)은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및 3) 둘다에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전방 영역(2)에서만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후방 영역(3)에서만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의 구체예에서 두 누출 장벽(14)의 기단 가장자리(15) 간의 거리(c)는 내부 커버시트(6)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는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 가랑이 폭(a) 보다 작을 때, 기저귀의 최소 가랑이 폭(a) 및 누출 장벽(14)의 원단 가장자리(16) 사이의 거리(d)와 같거나 또는 보다 작다. 이 경우에 가랑이 영역(4)의 적어도 일부는 누출 장벽(4)이 없게 두면서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및 3)에서 누출 장벽(14)의 불연속적인 길이들이 간헐적으로 부착된다. 대안의 선택의 여지는 연속적 길이의 누출 장벽(14)을 가랑이 영역(4)을 넘어 연장되는 기저귀에 부착하고 누출 장벽(14)의 원단 가장자리(16)를 가랑이 영역(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내부 커버시트에 부착하여, 누출 장벽(14)이 상기 부분에서 융기된 누출 장벽을 형성하지 않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누출 장벽(14)의 원단 가장자리(16)의 부착된(비활성화된) 길이는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 어도 10 ㎝이어야 한다.
도 4 내지 6은 팬티 기저귀, 생리용 팬티 또는 실금 팬티일 수 있는 팬티형 흡수 물품의 형태의 흡수 물품(1)의 더 이상의 예를 나타낸다. 팬티 물품의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은 그것들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에 합해져서 측 이음매(18)를 형성하여 허리 개구부(19)와 한쌍의 다리 개구부(20)를 규정한다.
도 4 내지 6에 나타낸 팬티 물품은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9), 액체 침투성 내부 커버(10) 및 액체 불침투성 외부 커버(11)를 포함하는 코어 영역(21)과, 코어 영역(21) 외부의 틀 영역을 갖는다. 틀은 전방 영역(2), 후방 영역(3) 및 탄성 허리밴드(25)를 포함하는 허리 영역을 포함한다. 틀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웹 재료, 예를 들면 탄성 라미네이트의 형태의 유연하고 쾌적한 재료의 커버시트(22)를 포함한다. 이러한 팬티 물품의 예는 PCT/SE2004/1005 및 PCT/SE2005/000307에 개시되어 있다. 커버시트(22)로서 사용된 탄성 라미네이트에 대해 더 자세한 것은 이들 문헌 중 어떤 것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탄성 라미네이트(22)는 코어 영역(21)과 전체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을 포함하는 전체 물품을 덮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물품의 가랑이 영역(4)의 실질적인 부분은 탄성 웹 재료(22)가 없다. 여기서 사용된 "실질적인 부분"은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를 말한다.
가랑이 영역 웹 재료(23)는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부직 재료인데 물품의 가랑이 영역(4)에 배치되고 탄성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과 겹친다. 가랑이 영역 웹 재료(23)는 초음파 용접(24), 열 본딩, 냉 본딩, 아교 스트링 등에 의해 각각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에 겹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탄성 허리 밴드(25)가 또한 구비되는데 이것은 부직 재료와 같은 재료 층들 사이에 수축가능하게 고정된 탄성사와 같은 길다란 탄성 부재(26)에 의해 탄성부여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비탄성의 부직 재료를 포함한다. 탄성사(12)는 또한 물품의 다리 개구부(5 및 6)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 재료(11)는 흡수 코어(9)의 바로 외부 영역에 인접하여 흡수 코어(9) 밑에 놓인다.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11)에 의해 덮히는 영역은 코어 영역(21)으로 규정된다. 가랑이 부직 재료(23)는 물품의 가랑이 영역(4)에서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11)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 배치된다. 코어 영역(21)은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로 연장되어 탄성 웹 재료(22)와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11)가 코어 영역(21)의 외부에서 겹치도록 하며, 이때 탄성 웹 재료(22)는 액체 불침투성 백시트(11)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 배치된다.
흡수 코어(9)의 표면적은 물품의 편평한 상태에서 측정한 바, 물품의 전체 표면적의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에 해당한다.
탄성 라미네이트(22)는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의 적어도 일부의 바탕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도 5에서 편평한 상태로 보는 바와 같이, 물품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에서, 탄성 라미네이트(22)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의 바탕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탄성 라미네이트(22)를 사용할 때 전방 및 후방 패널(2 및 3)을 결합하는 추 가의 탄성부여된 측 패널은 필요하지 않다.
누출 장벽(14)은 팬티 물품의 코어 영역(21)에 배치되고 흡수 코어(9)를 따라 연장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구체예에서 물품의 가랑이 폭(a)은 누출 장벽의 원단 가장자리들 간의 거리(d) 보다 크고 누출 장벽(14)의 기단 가장자리(16)들 간의 거리(c)와 대략 같다. 누출 장벽(14)은 누출 장벽(14)의 원단 가장자리(16)를 내부 커버시트(10)에 부착함으로써 가랑이 영역에서 일정한 길이를 따라 비활성화되었다. 이것은 도 6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이 부착부(27)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열 본딩에 의해 만들어진다.
대안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1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3)에 간헐적으로 부착된다. 여전히 더 이상의 구체예에서 누출 장벽의 기단 가장자리(15)와 또한 원단 가장자리(16)들 사이의 거리는 팬티 물품의 가랑이 폭 보다 더 크거나 또는 같고, 이때 연속적인 길이의 누출 장벽이 코어 영역(21)을 따라 부착된 다음 도 1을 참고로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다리 개구부 윤곽을 절단할 때 절단한다.
본 발명은 융기된 누출 장벽을 갖는 어떤 형태의 흡수 물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것은 가장 작은 가랑이 폭(a)으로서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의 좁은 가랑이 폭을 갖는 물품에 특히 유용하다. 좁은 가랑이 폭을 갖는 흡수 물품의 가랑이 영역에서 융기된 누출 장벽을 갖는 것은 누출 장벽이 물품의 내부 커버시트로부터 완전히 융기하지 않을 때 특히 누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누출 장벽은 그때 물품의 가랑이 영역으로 체액의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 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한편, 물품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은 여전히 누출 장벽으로부터 득을 보게 된다. 가랑이 영역에서 다리 개구부 둘레의 밀착 맞음새는 종종 다리 탄성부에 의해 제공되고, 이것은 이 영역에서 누출을 방지할 것이다. 가랑이 영역에서 개선된 쾌적감과 맞음새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Claims (13)

  1. 흡수 코어(9)와 흡수 코어를 봉입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커버는 흡수 코어의 착용자에 면하는 쪽에서 액체 침투성 내부 커버(6)와 흡수 코어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서 액체 불침투성 외부 커버(7)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으로서, 이 흡수 물품은 길이방향(y) 및 횡방향(x)을 가지며 한쌍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5, 6)와 한쌍의 횡방향 측 가장자리(7, 8)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물품은 길이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영역(2), 후방 영역(3) 및 그것들 간의 가랑이 영역(4)을 포함하며, 상기 가랑이 영역(4)은 물품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 가장자리(5, 6)에서 안쪽으로 향한 다리 윤곽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물품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출 장벽(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출 장벽(14)의 각각은 자유로운 옆으로 안쪽 탄성부여된 변(16)과 옆으로 바깥 변(15)을 가지며, 누출 장벽의 탄성부여된 변(16)은 흡수 물품의 내부 커버(6)로부터 융기되어 있는 흡수 물품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를 따르는 물품의 가랑이 영역(4)은 융기된 누출 장벽(14)이 없는 한편, 융기된 누출 장벽이 물품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3)에는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4)의 적어도 일부는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의 횡방향(x)으로의 폭(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의 옆으로 바깥 변(15)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c)는 적어도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의 옆으로 바깥 변(15)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c)는 가랑이 영역에서 횡방향(x)으로 가장 좁은 가랑이 폭과 적어도 같거나 또는 그 보다 크거나, 바람직하게는 4 ㎝ 더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의 옆으로 바깥 변(15)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c)는 가랑이 영역에서 횡방향(x)으로 가장 좁은 가랑이 폭 보다 적어도 4 ㎝ 더 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의 옆으로 바깥 변(15)들 사이의 횡방향으로의 거리(c)는 가랑이 영역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가랑이 영역(4)의 폭(a)과 같거나 또는 그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융기된 누출 장벽(14)은 물품의 전방 및 후방 영역(2, 3) 둘다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를 따르는 가랑이 영역(4)에서는 없고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2, 3)에서 누출 장벽(14)은 가랑이 영역(4)에서 또는 가랑이 영역(4)에 인접하여 끝 지점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은 가랑이 영역(4)을 따라 연장되나, 상기 영역에서, 물품의 내부 커버(2)에 부착되어 있는 그것의 옆으로 안쪽 탄성부여된 변(1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 및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의 길이(b)에 걸쳐 비활성화되어 있고, 따라서 그것이 융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은 각각 횡방향 측 가장자리(7, 8)와 가랑이 영역(4)에 면하는 그 각각의 끝 부분들에서 편평하게 놓이고 또한 그것들의 옆으로 안쪽 변에서 내부 커버시트에 부착되어 각각의 누출 장벽은 포켓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팬티 기저귀, 생리용 팬티 또는 실금 팬티와 같은 팬티형 흡수 물품이고, 상기 물품은 흡수 코어(9)를 포함하는 코어 영역(21)과, 코어 영역을 둘러싸는 틀을 가지며, 상기 틀은 전방, 후방 및 허리 영역(2, 3 및 25)을 포함하는 한편, 코어 영역은 물품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19)에서 위치하고, 액체 불침투성 외부 커버(11)는 흡수 코어(9)의 의복에 면하는 쪽에 코어 영역(21)에서 적어도 배치되며, 액체 침투성 내부 커버(10)는 흡수 코어(9)의 착용자에 면하는 쪽에 코어 영역(21)에서 적어도 배치되며,
    상기 물품은 틀 영역(4)의 적어도 일부에서 탄성 웹 재료(11)의 형태의 외부 커버시트(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누출 장벽(14)은 물품의 코어 영역(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흡수 코어(9)의 표면적은 물품이 편평한 상태에서 측정한 바, 물품의 전체 표면적의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KR1020087026191A 2008-10-27 2006-04-05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KR20090007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6191A KR20090007731A (ko) 2008-10-27 2006-04-05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6191A KR20090007731A (ko) 2008-10-27 2006-04-05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31A true KR20090007731A (ko) 2009-01-20

Family

ID=4048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191A KR20090007731A (ko) 2008-10-27 2006-04-05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7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667B2 (ja) 吸収用品
EP2004121B1 (en) Absorbent article with leak barriers
KR101439560B1 (ko) 몸에 접착하는 개인 위생 제품
AU2004325279B2 (en) Absorbent article
JP2014180345A (ja) 吸収性物品
JP2008525148A (ja) パンツ型吸収用品
EP2155134B1 (en) Absorbent article with leak barriers
RU2397744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барьерами от протекания
KR20090007731A (ko) 누출 장벽을 갖는 흡수 물품
RU2417065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барьерами от протекания
RU2362528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RU2362530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JP2023109275A (ja) 股部フィットサポーター
JP2023174068A (ja) 補助吸収性物品
KR20110133188A (ko) 일회용 흡수제품
JP2021016482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