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03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035A
KR20090028035A KR1020070093296A KR20070093296A KR20090028035A KR 20090028035 A KR20090028035 A KR 20090028035A KR 1020070093296 A KR1020070093296 A KR 1020070093296A KR 20070093296 A KR20070093296 A KR 20070093296A KR 20090028035 A KR20090028035 A KR 2009002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cover
knob
flang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기
손창우
장호성
이길룡
전용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035A/ko
Priority to FR0856073A priority patent/FR2921078A1/fr
Priority to US12/208,419 priority patent/US20090091222A1/en
Priority to DE102008046829.0A priority patent/DE102008046829B4/de
Priority to CNA2008102159500A priority patent/CN101387060A/zh
Publication of KR2009002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각종 버튼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누른 상태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장착부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한 번의 조립작업으로 양자를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컨트롤 패널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커버와 컨트롤 패널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Refresher)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의류처리장치의 예로써 드럼세탁기를 제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의 캐비넷(1)을 구비한다. 캐비넷(1)의 내부에는 터브(미도시) 및 드럼(미도시)이 장착되며, 캐비넷(1)의 전면은 이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캐비넷(1)의 개방된 전면에는 커버(2)가 결합된다. 또한, 커버(2)의 하단부는 캐비넷(1)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마련되거나 하단부에 결합된다.
커버(2)의 상단에는 절곡된 상부턱(25)가 형성되고, 캐비넷(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부턱(25)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제2결합부(21)가 마련된다. 제 2결합부(21) 상에는 나사(26) 결합을 위한 제 2나사공(22)들이 복수로 마련된다. 또한, 제 2결합부(21)와 접하는 커버(2)의 상부 측에는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부분 에 후크 결합공(23)이 형성된다.
한편 캐비넷(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 및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 장착부(11)가 마련된다. 컨트롤패널 장착부 (11)의 하부에는 커버(2)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 1결합부(12)가 수직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1결합부(12)에는 제 1 나사공(13)이 복수로 마련되며, 제 1결합부(12)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간부분에는 후크(14)가 마련된다. 후크(14)는 제1 결합부(12)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후크(14)는 캐비넷(1)의 상측과 커버(2)의 상단 어느 일측에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럼세탁기는 조립과정에서 작업자가 캐비넷에 커버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나사결합을 시켜야 한다. 조립과정이 이러하므로 작업자가 한 손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금이라도 움직이게 되면 캐비넷의 나사공과 커버의 나사공이 일치하지 않아 나사결합이 매우 곤란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를 컨트롤 패널 장착부에 장착한 후에 다시 컨트롤 패널을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즉, 드럼세탁기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부품들을 여러 번에 걸쳐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한 번의 작업으로 조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가 컨트롤 패널에 눌리면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컨트롤 패널을 고정함으로써 커버도 한꺼번에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각종 버튼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커버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누른 상태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장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커버와 상기 컨트롤 패널을 각각 조립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를 먼저 조립한 후에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립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와 상기 컨트롤 패널을 동시에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커버에 많은 나사 등 을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로터리 노브를 설치하기 위한 노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홀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노브의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노브 데코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 데코를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브홀에 결합시키는 노브 데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 데코 결합수단의 하나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브홀 둘레에 후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브 데코에 걸림 후크를 형성하거나 노브 데코의 가장 자리에 장착용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창에는 터치 버튼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커버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다면 상기 터치 버튼을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통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가장자리에는 윈도우 플랜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플랜지의 하단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끼워지고, 상기 윈도우 플랜지의 상단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후크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버의 플랜지는 상기 컨트롤 패널 장착부의 둘레에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 패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 장착부의 둘레에 플랜지를 형성해야 하며, 상기 커버의 조립 후에 상기 커버 또는 컨트롤 패널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랜지는 상기 커버의 후방을 향해 절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의 둘레에는 패널 플랜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패널 플랜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체결공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여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플라스틱 프레임에 상기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커버와 컨트롤 패널의 조립구조가 간단해져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한 번의 조립작업으로 양자를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가 컨트롤 패널에 눌리면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서도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조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된 커버와 컨트롤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커버를 구비한 고급 의류처리장치의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하나인 드럼세탁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 패널과 커버의 조립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드럼세탁기의 구성은 도 1에 개시된 드럼세탁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커버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100)는 도어(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104)가 대략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1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하나의 몸체를 가진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하나의 몸체를 가진 커버(100)를 만들기 위해서는 드로잉 공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드로잉을 통해 만들어지는 커버(100)의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스테인레스 스틸들의 물성(properties)을 조사하여 STS 300 계열의 소재들을 선택하 였다.
한편, 스테인레스 스틸 대신 이종접합강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을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하고, 후면에 연신율이 좋은 알루미늄과 같은 연신율이 좋은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색 외관을 가지며 성형성이 높고 가공 경화가 작은 재질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100)의 상단, 보다 자세하게는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102)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02)는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20) 또는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이 장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의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은 은 커버 또는 전면커버 (10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102)를 누른 상태로 커버(100)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커버(100)와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을 각각 조립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커버(100)를 먼저 조립한 후에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을 조립할 필요 없이 커버(100)와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을 동시에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은 각종 전장부품이 고정 내지 설치되는 플라스틱 프레임(미도시)을 장착하는 부품인데, 컨트롤 패널(120)에 플라스틱 프레임을 덮으면서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이 때,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과 컨트롤 패널(120)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플라스틱 프레임 및 컨트롤 패널(120)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세제박스를 인입출하기 위한 세제박스홀(123)이 형성되며, 거의 가운데 부분에는 로터리 노브(미도시)가 삽입 장착되는 노브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정보가 제시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30)를 장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버튼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가장자리에는 컨트롤 패널(120)을 커버(100)에 장착하기 위한 패널 플랜지(125)가 형성된다. 패널 플랜지(125)는 컨트롤 패널 (12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패널 플랜지(125)에는 복수개의 체결공 (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공(126)은 컨트롤 패널(125)을 컨트롤 패널(125)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프레임(미도시)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 패널(120)과 커버(100) 등의 조립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는 도 8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 Ⅳ-Ⅳ에 따른 부분은 컨트롤 패널(120)의 후방에 별다른 전장부품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다. 즉, 절단선 Ⅳ-Ⅳ부분의 컨트롤 패널(120)의 하단은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의 플랜지(102)를 누르며, 컨트롤 패널(120)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127)에 의해 커버(100)에 컨트롤 패널(120)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패널 플랜지(125)는 커버(100)의 플랜지(102)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커버(100)의 컨트롤 패널 장착부 (101)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02)는 컨트롤 패널(120)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후크(127)는 컨트롤 패널(120)의 후방에서 형성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구조를 가지며, 커버(100)의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의 위쪽 테두리가 후크(127)와 패널 플랜지(125) 사이에서 눌리면서 커버(100)와 컨트롤 패널(120)이 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후크(127)는 패널 플랜지(125)를 따라 적어도 6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00)는 컨트롤 패널(120)에 형성된 후크(127)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컨트롤 패널(120)에 커버(100)를 고정하기 위해 커버(100)에 많은 나사 등을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120)에는 로터리 노브(미 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노브홀(121)이 형성되고, 노브홀(121)에는 로터리 노브의 둘레에 설치되어 로터리 노브의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노브 데코(150)가 설치되며, 노브 데코(150)를 컨트롤 패널(120)의 노브홀(121)에 결합시키는 노브 데코 결합수단(128)을 포함하며, 노브 데코 결합수단(128)의 하나로써 컨트롤 패널(120)의 노브홀(121) 둘레에 후크(12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브 데코(150)는, 컨트롤 패널(120)의 뒷면에 위치하는 플라스틱 프레임(140)에 형성된 후크(128)에 의해 컨트롤 패널(120)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128)는 컨트롤 패널(120)의 후방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 지는 모양이므로, 컨트롤 패널(120)의 후방에서 노브 데코(150)를 밀어 주면 용이하게 후크(128)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패널 플랜지(125)가 커버(100)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노브 데코 결합수단으로서, 노브 데코(150)의 가장자리에 걸림 후크(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장착용 플랜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2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122)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창(122)에는 터치 버튼(131, 도 3 참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130)가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커버(100)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다면 터치 버튼(131)도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하여 커버(100)와 터치 버튼(131)의 외관을 통일시켜 동일한 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130)의 가장자리에는 윈도우 플랜지(132)가 절곡 형성되며, 윈도우 플랜지(132)의 하단은 컨트롤 패널(120)과 플라스틱 프레임(140) 또는 컨트롤 패널 프레임(110) 사이에 끼워지고, 윈도우 플랜지(132)의 상단은 컨트롤 패널(120)에 형성된 후크(129)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플랜지(132)는 컨트롤 패널(120)의 패널 플랜지(125) 또는 커버(100)에 의해 눌려지며, 커버(100)의 끝단은 컨트롤 패널(120)의 패널 플랜지(125)에 의해서 눌려진다.
상기 후크(129)는 컨트롤 패널(1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윈도우(130)를 컨트롤 패널(120)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밀면 쉽게 후크(129)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00)의 플랜지(102)는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의 둘레를 따라 절곡 형성된다.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20)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서는 컨트롤 패널 장착부(101)의 둘레에 커버 플랜지(102)를 형성해야 하며, 컨트롤 패널(120)의 조립 후에 커버(100) 또는 컨트롤 패널(120)이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랜지(102)는 커버(100)의 후방 즉,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향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하나의 몸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커버(100)를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커버(100)와 컨트롤 패널(120)의 조립구조가 간단해져 의류처리장치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의류처리장치 의 고급화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로써 드럼세탁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 뿐만 아니라 건조기,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또는 복합세탁시스템,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의류처리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커버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커버 101: 컨트롤 패널 장착부
102: 플랜지 110: 컨트롤 패널 프레임
120: 컨트롤 패널 121: 노브홀
122: 디스플레이창 125: 패널 플랜지
126: 체결공 127,128,129: 후크
130: 디스플레이 윈도우 140: 플라스틱 프레임
150: 노브데코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각종 버튼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커버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누른 상태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컨트롤 패널 장착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후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로터리 노브를 설치하기 위한 노브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홀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 노브의 조작을 지시하기 위한 노브 데코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 데코를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브홀에 결합시키는 노브 데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데코 결합수단은, 상기 노브 데코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패널의 노브홀 둘레에 형성된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창에는 터치 버튼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가장자리에는 윈도우 플랜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플랜지의 하단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끼워지고, 상기 윈도우 플랜지의 상단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형성된 후크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플랜지는, 상기 컨트롤 패널 장착부의 둘레에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의 둘레에는 패널 플랜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패널 플랜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70093296A 2007-09-13 2007-09-13 의류처리장치 KR20090028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96A KR20090028035A (ko) 2007-09-13 2007-09-13 의류처리장치
FR0856073A FR2921078A1 (fr) 2007-09-13 2008-09-10 Machine a laver/seche-linge
US12/208,419 US20090091222A1 (en) 2007-09-13 2008-09-11 Washing/drying machine
DE102008046829.0A DE102008046829B4 (de) 2007-09-13 2008-09-11 Waschmaschine / Trockner
CNA2008102159500A CN101387060A (zh) 2007-09-13 2008-09-12 洗衣/烘干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296A KR20090028035A (ko) 2007-09-13 2007-09-1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035A true KR20090028035A (ko) 2009-03-18

Family

ID=4038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296A KR20090028035A (ko) 2007-09-13 2007-09-1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91222A1 (ko)
KR (1) KR20090028035A (ko)
CN (1) CN101387060A (ko)
DE (1) DE102008046829B4 (ko)
FR (1) FR2921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9707B2 (en) 2013-08-07 2016-06-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ppliance control panel assembly
PL2837729T3 (pl) * 2013-08-13 2017-06-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rządzenie do obróbki prania mające zespół panelu sterowania
WO2015122693A1 (ko) * 2014-02-11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566654B2 (en) 2018-12-19 2023-01-31 Whirlpool Corporation Integrally formed thread lock retention feature
CN113930943B (zh) * 2020-07-14 2023-10-31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主控板模块
CN112538720A (zh) * 2020-12-25 2021-03-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用控制面板组件、洗衣机及装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874A (en) * 1964-06-11 1966-05-31 Mc Graw Edison Co Control panel and support for domestic appliances
US5611609A (en) * 1995-04-04 1997-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housing assembly
US5584563A (en) * 1996-01-16 1996-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control assembly
US5927836A (en) * 1997-04-22 1999-07-27 Maytag Corporation Top cover fastener
KR100971015B1 (ko) * 2002-11-28 201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KR2004004692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KR100935699B1 (ko) * 2002-11-29 201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강성보강구조
US20050183469A1 (en) * 2004-02-25 2005-08-25 Kang Dong W.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20050086199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KR101090555B1 (ko) * 2004-05-20 201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장식패널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
DE102006041789B4 (de) * 2005-09-07 2014-01-23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KR101233156B1 (ko) * 2005-10-13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27480B1 (ko) * 2005-10-14 201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070093296A (ko)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출식 계란케이스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포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46829B4 (de) 2014-05-22
DE102008046829A1 (de) 2009-04-30
US20090091222A1 (en) 2009-04-09
CN101387060A (zh) 2009-03-18
FR2921078A1 (fr)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8035A (ko) 의류처리장치
US1039273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471990B1 (en) Washing machine
EP214005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87069B1 (ko) 도어 어셈블리
KR101162206B1 (ko) 드럼세탁기의 전면 패널과 사이드 데코의 결합 구조
US8049124B2 (en)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and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40169449A1 (en) Cabinet cover of home appliance
US20100141103A1 (en) Door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1084116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20090115004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WO2014161784A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KR101306694B1 (ko) 세탁 장치
EP2204486B1 (en) Electrical home appliance with top cover
KR20060120926A (ko) 세탁물 처리 기기
KR101227480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070028152A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 패널과 어퍼 데코의 체결 구조
KR101258479B1 (ko) 세탁 장치
KR101307575B1 (ko) 세탁 장치
KR100434295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EP2797476B1 (en) A household appliance
KR101253622B1 (ko) 컨트롤부 케이블 손상 방지 구조를 갖는 세탁 또는 건조기
KR101285664B1 (ko) 세탁 장치
KR20040020719A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100463518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