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080A -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 Google Patents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080A
KR20090027080A KR1020070092275A KR20070092275A KR20090027080A KR 20090027080 A KR20090027080 A KR 20090027080A KR 1020070092275 A KR1020070092275 A KR 1020070092275A KR 20070092275 A KR20070092275 A KR 20070092275A KR 20090027080 A KR20090027080 A KR 20090027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handle
rice cooker
electric rice
po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성금태
Original Assignee
이종호
성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성금태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07009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080A/ko
Publication of KR2009002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밥솥용 내솥은 용기형 내솥 본체와 이 내솥 본체에 결합되는 걸이형 손잡이를 가진다. 내솥 본체는 통상의 전기밥솥 내솥과 같은 금속 원통형 용기로 주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는 내솥 본체와 달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열이 낮아서 가지고 있는 내솥 가열 상태에서 열을 빨리 없앨 수 있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밥솥, 내솥, 걸이형 손잡이, 패킹, 실리콘

Description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 전기밥솥{inner pot having hanger type grip and electric po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조절 회로, 스위치와 저부에 가열용 열판을 가지는 외솥과, 이러한 외솥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열용 열판 위에 놓이는 내솥으로 이루어진다.
외솥은 전기밥솥의 종류가 압력형인가의 여부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질 수 있고, 통상 보온 작용을 하도록 하우징 내에 단열재가 사용된다. 내솥은 통상 금속으로 된, 바닥을 가지는 하나의 원통형 용기와, 용기를 덮는 내솥 뚜껑으로 이루어지나 내솥 뚜껑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솥은 일종의 가열 용기이므로 가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솥은 매우 높은 온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상태에서 솥을 맨손으로 다루고, 옮기기 불편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열 용기는 손잡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기 밥솥의 내솥의 경우, 외솥에 포함되어야 한다. 내솥이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가질 경우 외솥의 내부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전기밥솥의 내솥은 매끈한 외관을 가져 외솥에 가득 채워지는 단순한 원통형 용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기밥솥의 외솥은 상당히 무겁고, 특히 압력 용기의 경우 견고한 구조로 인해 더 무거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진 후에는 내솥만을 다른 가열 용기처럼 별도로 옮겨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것도 많이 필요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솥은 외부가 단순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열 공간 이용상 바람직하므로 가열된 내솥을 옮기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 된다. 즉, 직접 내솥을 만지면 내솥은 금속이므로 즉시로 뜨거운 열이 전해지고, 돌출되는 손잡이가 없어 파지가 쉽지 않은 구조이므로 한 손으로 음식물이 든 내솥을 잡고 이동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의 전기밥솥의 내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가열된 상태에서의 내솥을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이 되는 내솥은 용기형 내솥 본체와 이 내솥 본체에 결합되는 걸이형 손잡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내솥 본체는 통상의 전기밥솥 내솥과 같은 금속 원통형 용기로 주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는 내솥 본체와 달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이형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본체의 열을 손으로 쉽게 전달하지 않는 열절연체로 이루어지며, 비열이 낮아서 가지고 있는 내솥 가열 상태에서 열을 빨리 없앨 수 있는 재질, 가령,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손잡이는 외솥이 이루는 공간에서 내솥 본체와 함께 가열되는 상태가 되므로 솥으로 하는 조리에 적합한 수준의 내열성, 가령 150도씨까지 연화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손잡이가 걸이형이라 함은 손잡이 양단이 내솥 본체의 두 부분과 연결되며, 내솥 본체의 개방된 부분이 위쪽을 향한다고 정할 때, 손잡이가 사용 상태(내솥을 옮길 때)에서 내솥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개방된 부분을 가로지르게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손잡이 양 끝단이 내솥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내솥 본체에 연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을 통해 조리용 음식물이 끓어 넘칠 수 있으므로 홀은 내솥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과 손잡이 끝단이 접속되는 부분에 물이나 음식물이 홀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탄성재질로 패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손잡이가 형성된 솥을 내솥으로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된 상태로 전기밥솥의 내솥을 간편하게 외솥과 분리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 등과 함께 한손으로도 편리하게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여 내솥 본체의 열이 손잡이를 통해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손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에는 따라서, 외솥 부분이 전체적으로 도시된다. 외솥의 뚜껑부와 본체부가 있고, 뚜껑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뚜껑부에는 조리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를 열면 내솥을 놓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열판이 있어서, 열판에 내솥이 놓이고, 스위치가 닫히면 내솥이 가열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을 나타낸다. 내솥은 크게 내솥 본체(110)와 손잡이(120)로 구분될 수 있고 내솥 본체에는 손잡이의 연결을 위한 홀(111)과 홈(117,119)이 형성된다. 이 가운데 홀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119) 외에 손잡이가 내솥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117)이 있다.
내솥 입구에는 내솥을 외솥에 삽입할 때 걸림부를 형성하는 턱진 부분(113)이 있다. 홀(111)은 이런 턱진 부분과 같이 내솥의 상단에 특히 상단 1cm 이내 구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111)을 내솥의 중단 부분에 형성하면 홀을 통해 내솥에 수용된 음식물 가운데 물이나 국물이 흘러나와 외솥 내부를 오염시키거나 작동불량을 만들거나, 가열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가능한한 방지하기 위해 홀을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이나 손잡이의 회전하는 범위 한정을 위해 홈(119,117)을 형성하였으나, 이들 홈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손잡이(120)는 내솥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 삽입부(121)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123)이 있다. 손잡이부는 반원 원주 형태로 대략 이루어지며, 중심부에는 손잡이 회전을 한정하기 위해 형성된 홈(117)의 상단에 잘 걸리도록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3에는 손잡이의 홀 삽입부(121)가 내솥 본체(110)의 홀(111)과 쉽게 결합되면서도 잘 빠지지 않도록 홀 위쪽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홀 삽입부(121)의 하부에는 홀 위쪽의 홈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손잡이를 거꾸로 하여 홀 삽입부(121)를 홀(111)에 넣고 180도 회전시켜 정상적인 위치로 가도록 하면 홀 삽입부는 홀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내솥의 사시도이다. 전체적인 내솥 본체와 손잡이의 형태는 도2의 실시에와 유사하지만 도4의 실시예에서는 내솥에 도2의 홈(117,119)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 도2의 손잡이 외전을 한정하는 홈(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손 본체를 변형한 엠보(217a, 217b)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2의 홀(111)이 형성되는 자리에는 내솥 본체(210)에 손잡이와의 결합을 위해 홀을 형성하지만 구체적인 홀과 손잡이의 결합구조는 달라진다.
즉, 도4의 AA 단면으로 볼 때 도5와 같은 단면을 볼 수 있다. 도5에서는 단순히 내솥 본체(210)에 홀을 뚫고 손잡이의 홀 삽입부(221)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 홀에 패킹을 먼저 결합시킨다. 패킹은 실리콘과 같이 연질,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150도씨 이상의 연화온도를 가져 통상의 조리 온도에서 변형없이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독성 물질을 용출시켜서는 안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도씨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내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도 150도씨 이상의 연화 온도를 가져 조리 범위 온도에서 변형없이 견딜 수 있는 내열 수지로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킹 및 손잡이 재료의 내열 온도 상한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므로 별도로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패킹(230)은 외측 턱부(231), 내측 턱부(233), 목부(235)를 가지며, 내부에는 내측 턱부로부터 외측 턱부를 향하는 홈(2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킹(230)을 먼저 내솥 본체(210)에 형성된 홀에 삽입할 때에는 홈(237)이 빈 상태이므로 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턱부(233)도 턱이 크지 않아 패킹(230)의 연성과 탄성을 이용하면 삽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손잡이(220)의 홀 삽입부(221)를 내솥 본체(210) 내측에서 패킹(230)의 홈(237)에 끼워 넣는다. 홀 삽입부의 끝단(221a)는 약간의 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단 홀 삽입부(221)가 홈(237)에 끼워지면 잘 빠지지는 않지만 끼워지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리고, 홈(237)에 홀 삽입부(221)가 끼워짐으로써 패킹(230)은 내솥 본체(210)에 압력을 가지고 밀착된다. 따라서, 조리중에도 음식물이 내솥 본체(210)에 형성된 홀을 통해 누액될 위험성이 없게 된다. 그리고, 홀 삽입부(221)가 내솥 벽체를 관통하므로 손잡이가 내솥을 이동시킬 때에도 쉽게 빠지는 일 없이 힘을 충분히 잘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패킹(230)도 홀 삽입부(221)가 홈(237)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내측 턱부(233)가 잘 작용하여 홀에서 빠지는 것이 어렵고, 전체 결합구조가 잘 유지된다.
홀 삽입부(221)의 길이는 4~5mm로도 충분할 수 있으며, 외측 턱부(231)가 형성되는 패킹의 내솥 외측의 돌출 높이도 5mm 정도이면 충분할 수 있다. 한편, 패킹 을 형성하여 손잡이와 내솥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때에도 내솥 외측으로 벽체에서 두드러지는 높이는 5mm 정도로 하면 외솥 내부의 공간을 활용할 때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내손 상단에 내솥 뚜껑의 결합을 위한 턱진 부분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5mm 이상 되므로 그 범위 내에서 패킹의 외측 돌출된 부분(외측 턱부:231)을 형성하는 것은 공간의 손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손잡이에 비해 패킹을 이루는 실리콘 등 재질은 내솥 벽체에 보다 직접적으로 결합되므로 보다 내열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킹과 손잡이의 홀 삽입부(221)는 접한 면에서 미끄러짐이 적당히 이루어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손잡이가 회전하기 편한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별히 도시되지 않으나, 내솥에는 내솥 뚜껑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부(223)는 내솥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질 때 뚜껑 아래쪽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내솥 뚜껑은 내솥 본체의 턱진 부분(도4의 213)에 얹히게 되므로 손잡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나 기타 결합수단은 턱진 부분(213)보다 더 내솥 본체(210)의 상단에 형성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손잡이부(223)은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 뚜껑 위에 높이거나, 뚜겅과 함께 내솥의 턱진 부분(213)에 얹힐 수 있다.
도4의 손잡이 회전 한정용의 엠보(217a, 217b)는 통상 내솥을 형성할 때 함께 프레싱이나 주조를 통해 형성할 수 있지만 일단 원통형 내솥을 형성한 후 다른 공정에서 펀칭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엠보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4의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6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들도 내솥 부분에 걸이형 손잡이를 형성한다는 본원의 주된 개념에 속하는 한도에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전기밥솥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전기 밥솥의 내솥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내솥의 홀과 손잡이 부분의 결합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전기 밥솥의 내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도4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6은 도4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9)

  1. 용기형 내솥 본체와 상기 내솥 본체에 결합되는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본체는 금속 원통형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150도씨까지 연화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양 끝단이 상기 내솥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내솥 본체에 연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내솥 본체의 상단부 1cm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양 끝단이 상기 내솥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내솥 본체에 연결을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과 상기 손잡이 양 끝단 부분의 사이에는 누액을 방지하는 패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내솥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턱 부분과, 상기 내솥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턱 부분과 상기 내턱 부분 및 상기 외턱 부분 사이의 목부와 상기 내턱 부분에서 시작되어 상기 외턱 부분까지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의 양 끝단 부분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솥 본체의 벽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내솥의 조리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으로 볼록한 엠보나 홈부가 상기 내솥 본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용 내솥.
  9. 내솥과 외솥을 가지며,
    상기 내솥은 제 1 항 내지 제 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전기밥솥용 내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070092275A 2007-09-11 2007-09-11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KR20090027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75A KR20090027080A (ko) 2007-09-11 2007-09-11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75A KR20090027080A (ko) 2007-09-11 2007-09-11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80A true KR20090027080A (ko) 2009-03-16

Family

ID=4069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75A KR20090027080A (ko) 2007-09-11 2007-09-11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70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90B1 (ko) * 2009-08-21 2012-01-20 설용석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90B1 (ko) * 2009-08-21 2012-01-20 설용석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46550B (en) Cookware handle assembly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EP1348362B1 (en) High-functionality bowl structure
CN100348140C (zh) 煮饮料水壶、电热水壶及煮饮料无绳电热水壶
CN206443575U (zh) 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090027080A (ko) 걸이형 손잡이를 가지는 내솥 및 이를 내솥으로 사용한전기밥솥
CN206612598U (zh) 一种双层电饭锅
CN103222798B (zh) 用于蒸汽蒸煮的组件及电蒸汽蒸煮装置
CN208926147U (zh) 炖盅支架、炖盅结构和养生壶
KR20110118072A (ko) 조리용기
KR101230419B1 (ko) 중탕조리기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102578198B1 (ko) 전기포트용 즉석밥 용기
KR200463678Y1 (ko) 냄비 뚜껑과 냄비
CN215777269U (zh) 一种改进结构型组合多用的养生锅
JP4877357B2 (ja) 炊飯器用蒸し板
CN209733560U (zh) 一种餐饮器皿
JP4429959B2 (ja) 炊飯器用蒸し板
CN209090905U (zh) 高温蒸汽发生装置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0283338Y1 (ko) 뚝배기
CN206979308U (zh) 早餐机
KR100625291B1 (ko) 찜 조리용 가열기구
KR200252369Y1 (ko) 소형 전열포트
KR101686527B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중탕기
KR101823423B1 (ko) 가정용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