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753A -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753A
KR20090026753A KR1020087029175A KR20087029175A KR20090026753A KR 20090026753 A KR20090026753 A KR 20090026753A KR 1020087029175 A KR1020087029175 A KR 1020087029175A KR 20087029175 A KR20087029175 A KR 20087029175A KR 20090026753 A KR20090026753 A KR 2009002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ection
mold
peripheral zone
contact len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275B1 (ko
Inventor
이안 브루스
스튜어트 베일리
롭 오아그
스테판 사운더스
Original Assignee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filed Critical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9002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Moulds for lenses having means for aligning the front and back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둘 이상의 개별 구역에서 두 개의 주형 섹션을 결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보어를 형성하며, 상기 보어는 주형 섹션들 중 하나를 완전히 관통하고 다른 주형 섹션을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보어의 형성 동안, 형성될 보어 부근의 주형 재료는 용융되어 보어로부터 확산된다. 용융된 주형 재료의 일부는 두 개의 주형 섹션들 사이의 접촉 지점에 제공되어, 용융된 재료가 냉각되면 재료는 주형 섹션들 사이에 스팟 용접부를 형성한다. 주형 조립체에 다수개의 중공 스팟 용접부를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주형 섹션들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용 렌즈의 제조 동안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주형 섹션, 주형 조립체, 스팟 용접부

Description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본 발명은 실리콘 하이드로겔(silicon hydrogel) 렌즈,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용 렌즈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주형 섹션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된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안구내 렌즈(intraocular lens) 및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일 방법은 주조 성형(cast molding)에 의한 방법이다. 콘택트 렌즈의 주조 성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애플턴(Appleto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466,147호와, 모리스(Morris)에 의한 미국 특허 제6,405,993호와, 딘(Dean)에 의한 미국 특허 제6,732,993호를 참조한다.
콘택트 렌즈 주조 성형법에 있어서, 단일 콘택트 렌즈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단일 주형 조립체는, 제조될 렌즈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오목 광학면을 갖는 암형 주형 섹션과, 제조될 렌즈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볼록 광학면을 갖는 수형 주형 섹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형 주형 섹션과 암형 주형 섹션이 조립되면, 콘택트 렌 즈 형상 공동(cavity)이 암형 섹션의 오목면과 수형 섹션의 볼록면 사이에 형성된다.
렌즈를 주조 성형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중합성 렌즈 재료, 예를 들면 단위체(monomeric) 재료 또는 기타 렌즈 전구체 재료를 콘택트 렌즈 주형 섹션의 오목면에 배치한다. 이는 주형 반부 또는 주형 섹션에 다량의 렌즈 전구체 재료를 분배함으로써 수행된다.
충진되면, 렌즈 전구체 재료를 수납하는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하도록 제2 주형 섹션을 제1 주형 섹션과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의 결합을 위한 일 유형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억지 끼움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2 주형 섹션은 가압 끼움에 의해 제1 주형 섹션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가압 끼움은 제2 주형 섹션의 일부에 작용하는 제1 주형 섹션의 일부에 의해 제공된다.
결합을 위한 다른 유형은 지점 접촉 결합(point contact coupling)이다. 지점 접촉 주형 섹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주형 섹션은 상호 접촉하여 배치되고, 두 개의 주형 섹션들이 함께 유지되도록 추가의 결합 기구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지점 접촉 주형 섹션들은 주형 섹션들을 함께 물리적으로 클램핑함으로써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지점 접촉 주형 섹션들은 두 개의 주형 섹션들의 일부를 함께 용융시킴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759,318호는 두 개의 주형 섹션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초음파 에너지의 이용을 개시하고 있다.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의 유형은 주형 섹션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과 종종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무극성이거나 소수성인 중합체 수지와 같은 보다 탄성적이거나 가요성의 중합체 재료가 억지 끼움 주형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적 극성이거나 친수성인 중합체 재료와 같은 보다 강성이거나 비가요성의 중합체 재료는 지점 접촉 주형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주형 섹션을 폐쇄한 후에, 콘택트 렌즈 전구체 재료는 충진된 주형 조립체에 예를 들면 열 및/또는 광을 가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절한 중합화 수단을 적용시킴으로써 경화되고, 이에 의해 주형 섹션들 사이에 중합체 콘택트 렌즈 제품이 생산된다. 다음, 생산된 콘택트 렌즈는 주형 섹션으로부터 분리된다. 콘택트 렌즈 제품은 종종 하나 이상의 마무리 단계, 예를 들면 최종 콘택트 렌즈를 생산하기 위해 추출(extration) 및/또는 수화(hydration)와 같은 통상의 마무리 단계가 필요한 미완성의 콘택트 렌즈이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형성에 있어서, [일본에 소재하는 니폰 고쎄이 엘티디(Nippon Gohsei Ltd.)]로부터 상용가능한 쏘어라이트 에스(Soarlite S)와 같은 비교적 친수성 중합체 수지 또는 극성 수지의 사용은, 표면 처리 또는 콘택트 렌즈에 중합체 내부 습윤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안용으로 바람직한 표면 습윤성을 갖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생산에 유용하다. 주조 성형 공정과 관련한 하나의 장애는, 특히 렌즈 전구체 재료가 주형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 후에 그리고 렌즈 전구체 재료의 중합화 전에, 주형 섹션의 적절한 배치와 부착을 유지하는 것이다. 초음파 에너지가 두 개의 주형 섹션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때, 렌즈 컵(예를 들면, 렌즈 전구체 재료를 수납하는 주형 섹션의 구역)에서는 불투명화(opacification), 피팅(pitting) 또는 버블 형성(bubble form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전구체 재료가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도 있다. 즉, 렌즈는 렌즈 컵의 일부 구역에서의 렌즈 전구체 재료의 두께화(thickening)로 인한 원치않는 프리즘을 갖지 않아야 한다.
또한, 중합체 콘택트 렌즈 제품의 잠재적인 깨지기 쉬운(fragile) 성질로 인해, 주형 섹션들은 렌즈 제품에 대한 파손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 및 시스템,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의 제조 동안 주형 섹션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재료와 같은 콘택트 렌즈 전구체 재료가 충진된 주형 조립체의 각각의 콘택트 렌즈 주형 섹션들을 함께 고정하여, 고정되고 충진된 주형 섹션들을 전구체 재료의 중합화 단계를 포함한 상기 중합화 단계 이전까지의 단계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하류 콘택트 렌즈 제조 단계 동안 서로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콘택트 렌즈는 일회용 착용 렌즈와, 긴 수명을 갖는 착용 렌즈 또는 연속 착용 렌즈를 포함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콘택트 렌즈의 자동화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주형 조립체의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접촉 용접부 또는 스팟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태양에서, 안용 렌즈, 예를 들면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주형 조립체로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복수개의 중공의 스팟 용접부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주형 섹션의 개별 구역(들)에 하나 이상의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주형 섹션의 개별 구역(들)에 하나 이상의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주형 섹션의 보어는 주형 섹션의 구역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2 주형 섹션의 보어는 주형 섹션의 일부만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면, 보어는 주형 섹션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보어는 구역에 주형 재료를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연화되거나 용융된 주형 재료는 보어를 통과한다. 연화되거나 용융된 주형 재료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주형 재료가 냉각되거나 경화될 때, 이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용접부 또는 부착부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주형 섹션 모두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보어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용융된 주형 재료의 접착 현상(stringing)을 배제시키면서, 및/또는 이런 주형 조립체로부터 얻어진 중합체 렌즈에 결함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두 개의 지점 접촉 주형 섹션이 함께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어는 주형 재료의 일부를 연화시키거나 용융시키기 위해 열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주형 섹션에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는 연속적 방식 또는 간헐적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보어 형성 요소 및 용융된 주형 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보어에 또는 보어 근처에 냉각제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구조상 대체로 동일한 두 개의 주형 섹션에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은 보어 형성 요소의 팁(tip)이 주형 섹션들을 관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보어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말단부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은 편평한 말단부 표면을 갖는 원추형 말단부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팁은 편평한 말단부 표면을 구비한 갖는 끌형(chiseled) 말단부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팁은 돔 형상 또는 볼록한 말단부 표면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은 팁의 말단부 표면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가진다. 보어는 공기 또는 가스와 같은 냉각제를 팁의 말단부와 주형 섹션의 주변 구역으로 전달하기에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핑 장치는 보어의 형성 동안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에 원하는 양의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하우징과, 가열기 카트리지와, 슬리브와 팁을 포함한다. 팁은 슬리브에 부착되거나 슬리브로부터 연장된다. 슬리브는 가열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슬리브는 하우징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팁은 슬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팁은 소성 재료를 연화시키거나 가열하기에 효과적인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팁 재료의 예로서는 구리와,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강과, 그리고 구리, 니켈, 청동 및 이들의 조합체를 포함한 합금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주형 섹션을 함께 부착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콘택트 렌즈의 생산을 위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공급하는 단계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공동,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하도록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함께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공동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을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제1 주연 구역에 단부 개방식 보어와 제2 주연 구역에 단부 폐쇄식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에 에너지를 가하여,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재료를 연화시키거나 및/또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의 공간에 재료를 축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축적된 재료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과 접촉되고, 이에 의해 주형 섹션은 보어에 인접한 영역에서 함께 용융된다. 제1 주연 구역 및 제2 주연 구역에 가해진 에너지는 열 에너지, 초음파 에너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형성 단계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다른 위치에서 적어도 한번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형성 단계는 복수개의 단부 개방식 보어, 예를 들면 세 개와 같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부 개방식 보어와, 복수개의 단부 폐쇄식 보어, 예를 들면 세 개와 같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부 폐쇄식 보어를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각각에 대체로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류 공정 동안에 주형 조립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부 개방식 보어와 단부 폐쇄식 보어는 공동 주위에 대체로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태양에서, 형성 단계는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으로 세장형 요소(elongated element)를 통과시키는 단계와, 후속하여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으로부터 세장형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부 개방식 보어와 단부 폐쇄식 보어의 형성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단일 통로 또는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통로 또는 공극은 제2 주연 구역 또는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을 완전히 통과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공동이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조성물,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 조성물(예컨대,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 및 주형 조립체에 사용되는 각각의 콘택트 렌즈 주형 섹션은 렌즈 형상부 또는 형상면(들)과, 상기 렌즈 형상부 또는 형상면(들)의 경계를 정하는 플랜지 또는 주연 구역을 포함한다. 플랜지 또는 주연 구역은 렌즈 형상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연장하는 플랜지이거나 주연 구역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주형 조립체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주형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대체로 오목 렌즈 형상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주형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대체로 볼록 렌즈 형상 표면을 포함한다. 제1 주형 섹션은 암형 주형 섹션이고 제2 주형 섹션은 수형 주형 섹션임을 이해할 수 있다. 주형 조립체가 결합될 때,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제1 주형 섹션의 렌즈 형상 표면과 제2 주형 섹션의 렌즈 형상 표면 사이에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한다. 주형 조립체는 조립된 주형 섹션의 플랜지의 표면들이 상호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구역을 포함한다.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이 함께 결합될 때, 이들은 주형 섹션 양자의 주연 구역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역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 구역은 주연 구역(circumferential region)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구역은 비주연 접촉 구역(non-circumferential contact region)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갭은 상기 비주연 접촉 구역들을 분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암형 주형 섹션과 수형 주형 섹션은 대체로 동일하고, 오목한 렌즈 형성 표면과 볼록한 렌즈 형성 표면을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주형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제1 렌즈 형상 표면과, 상기 제1 렌즈 형상 표면에 대체로 대향하는 콘택트 렌즈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 렌즈 형상 표면을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은 주형 섹션의 렌즈 형상 표면에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면 실리콘 함유 중합성 조성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조성물을 갖는 중합체 콘택트 렌즈 전구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형 주형 섹션이 중합성 조성물을 수용하면, 수형 주형 섹션은 중합체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이 주형 섹션들 사이의 렌즈 형상 공동을 채우는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암형 주형 섹션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다음, 충진되고 결합된 주형 섹션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함께 고정되거나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주형 섹션들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들 사이의 접촉 지점에 복수개의 이격된 보어를 형성함으로써 함께 고정된다. 보어는 열 에너지, 초음파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렌즈 형상 공동 주위의 개별 구역에 열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가하면, 두 개의 주형 섹션들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들 사이에 형성된 둘 이상의 중공 스팟 용접부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형성 단계는 가열된 팁을 갖는, 에너지가 공급된 세장형 요소를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역 구역으로 통과시키는, 바람직하게는 제2 주연 구역의 두께를 완전히 통과시키지는 않으면서 제2 주연 구역으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열된 팁은 주형 섹션의 일부, 예를 들면 주연 구역의 일부를 용융시키거나 연화시킨다. 용융된 주형 재료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고, 냉각되면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용접부 또는 부착부를 형성한다.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관통한 후에, 세장형 요소는 주연 구역으로부터 후퇴된다. 세장형 요소의 팁 또는 말단부는 간헐적 가열 또는 연속적 가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초음파 에너지가 세장형 요소에 가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에너지는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로부터 방출되어 주형 재료를 용융시키거나 연화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는 테이퍼링되거나 뾰족하다.
주형 섹션은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주형 섹션은 용접에 적합한 재료인 에틸렌 비닐 알코올(ethylene vinyl alcohol; EVOH)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 및 조립체의 접촉 지점 주형 섹션과 같은 렌즈 주형 섹션을 제조하기 위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보어 형성 단계를 달성하기 위해 주형 조립체에 다양한 유형의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점이 맞추어진 적외선, 무선 주파수 에너지, 및/또는 기타 마찰열이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주연 구역에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어의 경계를 정하는 주형 섹션의 접촉 영역의 재료를 용융시킨 후에 후속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사이의 접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된 주형 섹션은 보어 형성 단계 동안 주형 섹션을 제 위치에 결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면 클램프(예컨대, 공기압 작동식 클램프)를 이용함으로써 보어 형성 단계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된다. 다른 장치 또는 방법, 예를 들면 플레이트 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체를 이용한 기계적 클램프가 수형 주형 섹션과 암형 주형 섹션 사이에 이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어의 형성에 의해 생성된 용융 구역 또는 용접 구역은 주형 조립체의 렌즈 공동 주위에 연속성 링을 형성하지 않는다. 대신에, 공동 주연부 주위에 개별적으로 이격된 "지점"에 약 세 개의 용융 구역 또는 용접 구역과 같은 개별 용접 구역 또는 부착 구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사실상 스팟 용접된다. 주형 조립체 사이의 용접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의 스팟 용접부로서 언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용융 구역 또는 구역들은, 의도되지 않은 주형 조립체의 오정렬 또는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면서 주형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후-용융 공정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주형 섹션들을 함께 유지시킨다. 이런 후-용융 공정은 예를 들면 렌즈 형상 공동의 렌즈 전구체 재료를 중합시키도록 중합용 방사선을 주형 조립체에 가하는 단계와, 다양한 후-용융 공정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주형 조립체의 기계적 승강(lifting) 및 다른 이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형 섹션이 충진되고 조립되어 결합되면, 주형 조립체의 렌즈 형상 공동의 중합성 조성물은 경화되거나 중합되어 중합체 콘택트 렌즈 제품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구체 조성물은 주형 조립체를 중합용 광, 예를 들면 자외선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중합된다. 다음, 주형 섹션들은, 콘택트 렌즈 제품을 노출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분리기,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절삭기, 또는 용융 구역을 관통하는 다른 기구를 통과시키거나 안내시켜, 콘택트 렌즈 제품으로부터 주형 섹션들 중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이형되거나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안용 렌즈를 제조하기에 유용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대체로 고정된 위치에 주형 조립체를 유지하거나 지지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주형 조립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 예를 들면 이들 사이에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되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렌즈 형상 공동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을 각각 가진다.
시스템은 말단부를 갖는 세장형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세장형 요소는 말단부가 예를 들면 말단 방향을 따라 제1 주형 섹션의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형 섹션의 제2 주연 구역으로 통과한 다음, 예를 들면 선단 방향을 따라 제2 주연 구역과 제1 주연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위치설정되고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복수개의 세장형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세장형 요소는 예를 들면 다른 세장형 요소가 통과한 위치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을 통과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시스템은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을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세장형 요소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세장형 요소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에너지원을 추가로 포함한다. 에너지원은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장형 요소에 공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너지원은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내외를 통과할 때 세장형 요소에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원은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내외로 통과할 때 세장형 요소에 에너지를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너지원은 세장형 요소에 열 에너지를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은 세장형 요소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냉각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 조립체는 세장형 요소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외부로 이동할 때 또는 이동한 후에 최종 폐쇄 보어와 개방 단부 보어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킨다.
시스템은 세장형 요소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구동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는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를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내외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 조립체는 손실 이동 스프링(loss mot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자동식으로 및/또는 로봇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각의 장점 및 모든 장점들과, 이런 장점들 중 둘 이상의 각각의 조합 및 모든 조합들은, 이런 조합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 특징들이 제공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또한, 장점들 중 임의의 장점 또는 조합은 특히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 특히 유사한 구성요소에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하다.
도1A, 도1B 및 도1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형 조립체의 평면도, 단면도, 확대 단면도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되어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하는 주형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2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주형 조립체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3은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주형 조립체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의 와관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제조를 위해 유용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다른 유형의 안용 렌즈와 일반적으로 주조 가능한 제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방법, 조립체 및 이들의 구성요소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유용하게 설계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시스템, 방법 및 이들의 구성요소는 특히 긴 수명을 갖는 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및/또는 일회용 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 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주조 가능한 재료 또는 중합성 재료를 포함한 다른 생물 의학적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태양에서,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주형 섹션이 렌즈 형상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이 이들 사이에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 또는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단계와, 렌즈 전구체, 예를 들면 중합성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하나의 주형 섹션의 렌즈 형상 공동에 제공하는 단계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함께 결합 및 배치하는 단계와, 결합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함께 용융하는 단계와, 렌즈 형상 제품을 형성하도록 렌즈 형상 공동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1A, 도1B 및 도1C를 참조하면,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용 렌즈를 제조하기에 유용한 주형 조립체(20)가 제공된다.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조립체(20)는 제1 주형 섹션(22)과 제2 주형 섹션(24)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주형 섹션(22)과 제2 주형 섹션(24)은 사이에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26)을 형성한다.
제1 주형 섹션(22)은 제1 공동 면(36)을 포함한다. 제1 공동 면(36)은 콘택트 렌즈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볼록면이다. 제2 주형 섹션(24)은 제2 공동 면(38)을 포함한다. 제2 공동 면공동 면 콘택트 렌즈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오목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주형 조립체(20)에서, 제1 주형 섹션(22)과 제2 주형 섹션(24)은 구조상 대체로 동일하며 함께 고정되기 전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주형 섹션(22, 24)은 "보편적인(universal)" 주형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주형 섹션(22)과 제2 주형 섹션(24) 모두는 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제1 렌즈 형상 표면과, 상기 제1 렌즈 형상 표면에 대체로 대향하여 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제2 렌즈 형상 표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런 보편적인 주형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중량, 반경 또는 다른 특성에 있어 약 5%보다 작은 차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조립체는 보편적인 주형 섹션이 아닌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은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구조물들을 위해 설계된 기계 장치 또는 장비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형 섹션(22)은 제1 공동 면(36)에서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 주연 구역(42)을 더 포함하며, 제2 주형 섹션(24)은 제2 공동 면(38)에서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2 주연 구역(44)을 포함한다.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은 제1 주연 구역 및 제2 주연 구역에서 서로 접촉한다. 두 개의 주형 섹션을 함께 고정하기 전에,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렌즈 형상 공동 둘레의 주연 접촉 지점에서 헐겁게 배치된다.
도1C를 참조하면, 주형 섹션(22 및 24)이 본 발명 방법의 태양에 따라 함께 용합되거나 또는 부착될 때, 제1 주연 구역(42)은 개방 단부 보어(52)를 가지며, 제2 주연 구역(44)은 폐쇄 단부 보어(54)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개방 단부 보어(52)는 일반적으로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하는 보어 또는 채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주형 섹션(22)의 개방 단부 보어(52)는 주형 섹션의 노출면에 개방부를 포함하며, 제2 주형 섹션과 별개로 고려한다면, 주형 섹션의 대향면에 개방부를 포함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폐쇄 단부 보어(54)는 일반적으로 주형 섹션의 일 표면에 개방 단부를, 개방 단부 아래의 일정 깊이에 폐쇄 단부를 갖는 보어 또는 채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폐쇄 단부 보어는 주형 섹션의 전체 두께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형 섹션에 디벗(divot) 또는 만입부와 같은 것이 갖춰질 수 있다.
조립된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에의 개방 단부 보어(52)와 폐쇄 단부 보어(54)의 형성은 제1 주형 섹션(22)과 제2 주형 섹션(24) 사이의 분리된 융합 구역을 유발한다. 개방 단부 보어(52)와 폐쇄 단부 보어(54)는 개방부(57a) 및 폐쇄 단부 또는 경계부(terminus; 57b)를 갖는 단일 채널(57)을 함께 형성한다.
본원에 더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채널(57)이 형성될 동안,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주형 재료가 각각 주형 섹션(22) 및 주형 섹션(24)을 효율적으로 함께 부착시킨다.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의 부착 영역(A)은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에 각각 형성된 보어(52, 54)에 사실상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제 도1A를 참조할 때, 조립된 주형 조립체(20)의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에 이러한 복수의 보어[예를 들어 채널(57)]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주형 조립체(20)의 평면도는 제1 주형 섹션(22)의 외부면(62)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조립체(20)는 각각의 채널 개방부(57a)에 의해 도면에 나타난, 세 개의 이격된(예를 들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57)은, 제2 주연 구역(도1에 미도시)의 폐쇄 단부 보어와 정렬되는 제1 주연 구역(42)의 개방 단부 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 사이에 렌즈 형상 공동을 형성하도록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 예를 들어 주형 섹션(22 및 24)을 함께 배치하는 단계와, 렌즈 형상 공동이 안용 렌즈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안용 렌즈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안용 렌즈 조성물은 안용 렌즈 조성물과 안용 렌즈의 전구체 조성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이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은 공동에 제공된다.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은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생성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실리콘 함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형 조립체의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에 위치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폴리실록사닐 디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모노머, 또는 폴리실록사닐 디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모노머와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타크릴 레이트 유도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조성물의 예가 WO2006026474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성 렌즈 전구체 조성물은 중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과 같은 복사 에너지를 사용하여 주형 조립체에 중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이 가능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변경되어 다른 중합성 조성물의 형태로부터 형성된 다른 형태의 주형 렌즈의 이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이러한 모든 변경된 방법 및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재료, 예를 들어 재료의 연화된 또는 용융된 블레브(bleb) 또는 용융된 중합체 재료가 연화되게 하기 위해, 또한 주형 섹션의 다른 부분에 접촉되거나 주형 섹션의 다른 부분과 융합되도록 하게 하기 위해 제1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에의 개방 단부 보어 및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에의 폐쇄 단부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형성 단계 동안, 연화된 재료가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들 사이의 공간에 축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주형 조립체의 조성물이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안용 렌즈 제품을 형성하기에 유효한 상태로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중합시키거나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주형 조립체는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을 포함하며, 상기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보어는 각각 이 개방 단부 보어(52) 및 폐쇄 단부 보어(54)에 의해 형성된, 본원에 개시된 채널(57)을 포함한다.
보어 형성 단계는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는 열 에너지, 초음파 에너지, 복사 에너지, 레이저 에너지와 같은 광 에너지, 및 이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1C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련 태양에는 안용 렌즈를 제조하는데 효율적인 시스템(70)이 갖춰진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스템(70)은 사실상 고정된 위치에 주형 조립체(20)와 같은 주형 조립체를 운반하거나 지지하도록 구성된 표면(72) 및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의 주연 구역(42, 44)에 개방 단부 보어(52) 및 폐쇄 단부 보어(54)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기구(7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72)은 제2 주형 섹션의 외곽면에 대체로 순응하는 외곽을 가질 수 있어서, 주형 조립체(20)는 표면(72)에 맞춰진다.
보어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74)는 말단부(7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요소(76)를 포함하며, 이는 말단부(77)가 제1 주연 구역(42)을 [말단 방향(78)으로] 통과하여 제2 주연 구역(44)으로 들어가도록 표면(72)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말단부(77)은 폐쇄 단부 보어(54)를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만 제2 주연 구역(44)으로 들어간다. 환언하면, 폐쇄 단부 보어(54)는 주연 구역(44)의 전체 두께에 걸쳐 전체적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말단부(77)가 제2 주연 구역(44)에 들어간 후에, 세장형 요소(76)는 방향을 바꾸어 제2 주연 구역(44)과 제1 주연 구역(42) 밖으로 [선단 방향(82)으로] 이동한다. 이는 개방 단부 보어(52) 및 폐쇄 단부 보어(54)로 형성되는 채널(57), 및 제1 주연 구역(42)과 제2 주연 구역(44) 사이에 융합 구역(A)을 형성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으로 보어(52, 54)[예를 들어 채널(57)]를 형성하는 프로세스는, 주형 섹션(22, 24)들 사이의 개별 "지점" 또는 개별 구역에서 제1 주형 섹션(22) 및 제2 주형 섹션(24)이 함께 융합되거나 고정되게 유도한다.
예로서, 세장형 요소(76)에는 예를 들어, 열, 초음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에너지가 주입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76)의 말단부(77)(도1C 참조)가 가열되며, 말단부(77)가 주형 섹션(22, 23)으로 들어감에 따라. 가열된 말단부(77)는 주형 재료의 일부가 용융 또는 연화되게 한다. 세장형 요소(76)가 주연 구역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용융 또는 연화된 주형 재료의 블레브는 말단부(77)에 의해 운반되고 제1 주연 구역(42)과 제2 주연 구역(44) 사이의 접촉 구역을 각각 형성하여 인출된 세장형 요소(76)에 의해 형성된 보어에 인접한 융합 구역 또는 용접부를 형성한다.
상기 세장형 요소(76) 또는 말단부(77)는 펄스 열(pulsed heat) 또는 연속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세장형 요소(76)는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빠르게 가열되고 냉각될 수 있는 구리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음파 에너지가 세장형 요소(76)에 가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에너지는 주형 재료가 용융 또는 연화되도록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스템(70)은 세장형 요소(76)가 새롭게 형성된 보어로부터 인출될 때 용융 주형 섹션 재료의 "스트링잉(stringing)"이 없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세장형 요소에 포트(미도시)가 갖춰질 수 있으며, 이는 스트링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말단부(77)에 냉각제(예를 들어 공기 또는 다른 기체)를 분출시킨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형성된 세장형 요소(76) 및 채널(57)은 약 0.5mm 내지 약 2.0mm의 직경, 예를 들어 약 1.5mm의 직경을 갖는다. 상세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76)의 말단부(77)는 평평한 말단부를 갖는 원추형이다. 끌형 단부 및 돔형의 원추형 단부를 포함하는 다른 구조가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70)은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융합된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세장형 요소(76), 더 구체적으로는 세 개의 세장형 요소(76)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1A 참조). 각각의 세장형 요소(76)는 말단부(77)가 제1 주연 구역(42)을 통과하여 다른 세장형 요소(76)가 통과하는 곳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주연 구역(44)으로 들어가도록 위치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70)은 세장형 요소(76)에 예를 들어 열 에너지와 같은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세장형 요소(76)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에너지원(8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에너지는 세장형 요소(76)의 말단부(77)가 제1 주연 구역(42)을 통과하여 제2 주연 구역(44)으로 들어가게 하는데 효율적이다. 시스템(70)에서, 에너지원(86)은 세장형 요소(76)에 연결된 개별 카트리지 히터(88)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카트리지 히터는 영국의 쿠퍼 툴스(Cooper Tools)(http://www.cooperhandtools.com/europe/contact_us/index.htm)로부터 상용 화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된 WSD 151 전기 제어식 디지털 솔더링 스테이션(WSD 151 electronically controlled digital soldering station)이 세장형 요소를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제어는 50℃ 내지 550℃로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너지원(86)은 보어가 형성될 동안 세장형 요소(76)에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원(86)은 말단부(72)가 각각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의 내외로 통과할 때 세장형 요소(76)에 간헐적으로 에너지를 제공한다.
보어 형성 단계 중 세장형 요소(76)에 제공된 에너지는 렌즈 형상 공동(26)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 조성물에 임의의 상당한 또는 유해한 영향을 야기할 수 있는 양보다 적은 에너지이다. 예를 들면, 세장형 요소(76)가 도시된 바와 같은 열 카트리지(88)에 의해 가열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장형 요소(76)로부터 복사되는 열은 공동(26)의 주연 에지(89)에 위치된 렌즈 조성물을 실질적으로 가열하지 않는다(도1C 참조). 유사하게, 초음파 에너지가 보어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초음파 에너지는 렌즈 조성물로 복사되어 그 진공 현상(cavitation)을 야기하기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냉각 조립체(90)가 제공된다. 냉각 조립체(90)는 세장형 요소(76)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세장형 요소(66)가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으로부터 각각 이동될 때 또는 그 후에 최종 폐쇄 단부 보어(54) 및 개방 단부 보어(52)를 냉각하기에 효과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 조립체는 미치 에어 테크놀러지(Meech Air Technology)(영국)로부터 공개적으로 입수 가능한 와관(vortex tube)과 같은 와관 장치(200)(도4)를 포함할 수 있다. 와관(200)은 입구(21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수용한다. 압축 공기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챔버(204)로 지향된다. 공기는 제너레이터로 지향되고, 공기는 장치[예를 들면, 열 교환기 관(202)]의 중앙 종축 주위로 회전된다. 공기의 회전 기둥은 상기 기둥의 중앙에 비해 기중의 외측에서 더 높은 온도를 갖는다. 따뜻한 공기는 와관 장치의 일 단부(208)(가열된 공기 출구)쪽으로 배출되고, 차가운 공기는 대향 단부(206)(냉각 공기 출구)쪽으로 지향된다. 가요성 튜브와 같은 도관은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에 형성된 스폿 용접부쪽으로 냉각 공기를 효과적으로 반송하도록 와관의 차가운 공기 출구로부터 가열 요소쪽으로 연장된다. 와관은 공기를 -60℃까지 냉각하고 110℃까지 가열할 수 있다. 스폿 용접부 근처의 공기 온도를 예를 들면 약 40℃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스폿 용접 공정과 관련된 스트링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양자 모두를 감소시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개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용접 장치에 대해, 3개의 냉각 노즐이 가열 요소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가열 요소 및 냉각 노즐의 다른 수의 조합도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70)은 양호하게는 서보 모터(95a) 및 슬라이드(95b) 및 세장형 요소(76)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구동 조립체(94)를 더 포함하여, 세장형 요소(76)의 말단부(77)를 제1 주연 구역(42) 및 제2 주연 구역(44) 내부 및 외부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세장형 요소(76)는 예를 들면 손실 이동(loss motion) 스프링 기구를 사용하여 스프링 부하가 가해져서, 주형 조립체(20)에 대한 요소(76)의 내향 및 외향 이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70)은 보어 형성 단계 중 주형 조립체(20)를 표면(72)에 대해 유지하기에 효과적인 공압 클램프(95c)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램프(95c)는 제1 주연 구역(42)의 표면(예를 들면, 상부 표면)에 접촉하는 평면 또는 편평 말단 표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도시된 클램프(95c)의 실시예는 세장형 요소(76)를 수납하도록 복수의 절결부 또는 구멍을 포함한다. 클램프(95c)는 약 0N 내지 약 2000N의 압력/힘을 반송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램프(95c)는 보어 형성 단계 중 약 150N의 힘을 주형 조립체(20)로 반송한다.
또한 클램프(95c)는 자가 교정 기구를 포함한다. 자가 교정 기구를 포함하는 클램프는 주형 부재들의 경계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주형 부재들을 함께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결합을 제공함으로써, 중합 렌즈 재료의 플래쉬 링(flash ring) 및 렌즈 프리즈밍(lens prisming)이 감소될 수 있다. 클램프(95c)는 주형 종료 중 플래쉬 링 및 원하지 않는 렌즈 프리즘의 형성(예를 들면, 중합 렌즈 제품의 부분들의 굵어짐)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적절한 개량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자동으로, 예를 들면, 로봇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택트 렌즈를 위한 대량 생산 라인에 통합될 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주형 섹션 중 하나는 조립된 주형 섹션의 충전된 렌즈 형상 공동의 외측으로 위치된 개별 접촉 구역 또는 접촉 지점을 형성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촉 지점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은 돌기부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 구역, 예를 들면, 언더컷 구역(undercut region; 미도시), 예를 들면, 더브테일(dove-tail shaped) 형상 언더컷 구역을 포함한다. 언더컷 구역은 개별 주형 섹션을 주형하도록 사용되는 공정의 부산물일 수 있다.
시스템(70)은 대량 생산/고속 렌즈 제작 시스템에 매우 적응성이 있다. 당업자가 알고 이해하는 적절한 개량에 의해, 본 시스템은 예를 들면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작 시스템의 일부로서 자동으로 그리고/또는 로봇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70으로 도시된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 시스템(170)은 시스템(70)과 유사하며, 시스템(70)의 특징에 상응하는 시스템(170)의 특징은 100 만큼 증가된 상응하는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시스템(170)은 시스템(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주요한 차이점은 열 에너지가 초음파 에너지로 대체되거나 또는 초음파 에너지와 함께 사용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시스템(170)은 진동 에너지, 구체적으로 초음파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에너지 조립체(96)와, 변환기(96a)를 구비하는 에너지 조립체(96)에 작동식으로 결합되며 에너지 조립체(96)로부터 세장형 부재(176)로 초음파 에너지를 전달하기에 효과적인 혼(98)을 포함하고, 세 장형 부재(176)는 내부에 개방 단부 보어 및 폐쇄 단부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 섹션 주연 구역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예시적 시스템(170)에서, 세장형 요소(176)를 구비하는 혼(98)은 일련의 손실 이동 스프링(102)이 압축될 때까지 서보 모터(195a)/슬라이드(195b) 조립체에 의해 주형 조립체(120)와 접촉하게 된다. 변환기(96a)로부터 초음파 펄스가 활성화될 때, 손실 이동 압축력의 결과로 주형 섹션을 통해 용해된 세장형 요소(176)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형들을 함께 융합 또는 용접하게 된다. 그 후 혼(98) 및 세장형 부재(176)는 예를 들면 용해된 구역이 냉각된 후 모터(195a)에 의해 후퇴되어, 주형 섹션들을 함께 밀봉한다. 그 후 결합된 주형 조립체(120)는 표면(172)으로부터 제거된다.
세장형 부재(176)에 인가된 초음파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약 20kHz 내지 약 40kHz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70, 179)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세장형 부재(76, 176)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 개 미만의 세장형 부재, 또는 세 개 초과의 세장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주형 조립체는 초음파 용접에 적합한 재료인 폴리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을 포함한다. 다른 극성 수지 또는 접촉 지점 주형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가 여기에 설명된 렌즈 주형 섹션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수 개의 인자가 열 및/또는 초음파 에너지에 의한 재료의 용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나의 인자는 주형 섹션 재료의 용해 또는 연화 온도이며, 재료의 용해 또는 연화 온도가 높을수록, 용접을 하는 데 보다 많은 에너지가 요구된다. 다른 인자는 결합 경계면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재료의 능력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용접될 재료의 강성이다. 일반적으로 강성이 큰 재료가 보다 양호한 초음파 전달 능력을 갖는다.
여기에 개시된 내용을 고려할 때, 본 방법의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작 방법은 중합성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형 조립체는 오목한 렌즈 형성 표면을 구비하는 제1 주형 섹션, 및 오목한 렌즈 형성 표면쪽으로 배향된 볼록한 렌즈 형성 표면을 구비하는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한다. 각 주형 섹션은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가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으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이격된 주연 구역을 포함하도록 각 렌즈 형성 표면의 각각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주연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가열된 요소를 제1 및 제2 주형 섹션의 각각의 주연 구역을 통해 지향시킴으로써 제1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과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 사이에서 콘택트 렌즈 조립체의 주연 구역에 복수의 개별 스폿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폿 용접부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함께 물리적으로 결합하기에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된 요소는 콘택트 렌즈 조립체의 주연 구역에 연속 개방 단부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주형 섹션 모두의 주연 구역을 완전히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된 요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들 중 하나에 폐쇄 단부 보어를 형성하도록 주형 섹션들 중 하나를 완전히 통과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스폿 용접부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은 와관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폿 용접부를 향해 공기와 같은 냉각 기체를 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체는, 중합성 실리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중합하여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형성하도록 중합 가능한 양의 복사선에 노출될 수 있다. 그 후,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수납한 주형 조립체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기계적으로 분리함으로 이형된 후,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은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과 주형 섹션을 액체로 접촉시킴으로 주형 섹션 중 하나로부터 렌즈분리(delens)된다. 그 후 렌즈분리된 제품은 상기 제품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알콜과 같은 용매 등의 추출 조성물과 접촉 상태로 배치되며, 그 후 수화된 콘택트 렌즈를 생성하기 위해 수용성 조성물과 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수화된 콘택트 렌즈는 연속하여 밀봉 및 살균되는 패키지로 옮겨질 수 있다.
수 개의 양호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개량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주형 폐쇄 시스템의 추가 실시예는 복수의 개별 구역에서 2개의 주형 부재를 함께 용접하도록 열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된 주형의 외주연부 주위에 위치된 복수의 접촉 용접부를 형성하도록 개별 구역에서 조립된 주형의 외주연 에지에 열이 인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주형 부재를 서로 부착하기 위해 보어 구멍은 요구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는 주형 부재들 중 하나만의 주형 부재에 보어 구멍을 형성하도록 가열 또는 가열된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가능한 요소는 상부 주형 부재를 통해 통과되어 바닥 주형 부재에 보어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회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가능한 요소에 의해 제공된 열은, 제1 주형 부재로부터 생성된 용융 주형 재료가 제2 주형 부재를 용융 및 접촉하여 용융 재료가 제1 및 제2 주형 부재 사이에서 냉각됨에 따라 스폿 용접부를 형성하도록 주형 재료를 용해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주형 부재에 보어를 형성하고 제2 주형 부재에 보어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용접부가 얻어질 수 있다.

Claims (40)

  1.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며,
    중합성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은 제1 주형 섹션의 일부와 제2 주형 섹션의 일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주형 조립체는 콘택트 렌즈 형상 공동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이격된 주연 구역을 포함하는, 단계와,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서로 결합시켜 용접된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콘택트 렌즈 조립체의 주연 구역에 복수의 개별 스폿 용접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의 주연 구역에 걸쳐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된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복사 에너지에 노출시킴으로써, 렌즈 형상 공동 내에 존재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단계와,
    용접된 콘택트 렌즈 주형 조립체를 이형시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은 주형 섹션들 중 하나와 접촉하는, 단계와,
    중합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주형 섹션으로부터 렌즈분리하여, 렌즈분리된 중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와,
    렌즈분리된 중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재료를 추출하여, 추출된 중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와,
    추출된 중합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제품을 수화시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스폿 용접부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는 와관 장치로부터 스폿 용접부를 향해 냉각 기체를 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 용접부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각각의 주연 구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요소를 지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5. 두 개의 주형 섹션을 서로 부착시키는 방법이며,
    공동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서로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공동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을 각각 구비하는, 단계와,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재료가 상기 섹션들 사이의 공간에 축적되어 제1 주연 구역 및 제2 주연 구역과 접촉하도록, 제1 주연 구역에는 개방 단부 보어를 형성하고 제2 주연 구역에는 폐쇄 단부 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열 에너지, 음향 에너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은 콘택트 렌즈의 제작을 위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은 실질적으로 동일하 게 구성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적어도 한 번 반복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단부 보어와 폐쇄 단부 보어는 공동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세장형 요소를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상기 세장형 요소를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조성물과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을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여,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공동이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 성물인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주형 섹션의 부착 방법.
  18. 주형 조립체이며,
    제1 공동 면과, 제1 주형 면의 외측으로 연장하며 개방 단부 보어를 갖는 제1 주연 구역을 구비하는 제1 주형 섹션과,
    제2 공동 면과, 제2 공동 면의 외측으로 연장하며 폐쇄 단부 보어를 갖는 제2 주연 구역을 구비하는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서로 부착되어 그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주형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재료가 상기 제1 주형과 제2 주형을 서로 부착시키는데 유효한 주형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의 부착 영역은 상기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보어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주형 조립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작을 위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주형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연 구역은 복수의 개방 단부 보어를 갖고, 상기 제2 주연 구역은 복수의 폐쇄 단부 보어를 갖는 주형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단부 보어와 폐쇄 단부 보어는 공동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주형 조립체.
  24. 제21항에 있어서, 공동 내에 위치한 조성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 조성물과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주형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인 주형 조립체.
  26.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이며,
    공동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서로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공동 둘레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및 제1 주연 둘레와 제2 주연 둘레를 각각 구비하 는, 단계와,
    안용 렌즈 조성물과 안용 렌즈 전구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안용 렌즈 조성물을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여,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공동이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단계와,
    공동의 둘레와 제1 및 제2 주연 둘레 사이에 복수의 이격된 스폿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형 조립체 내의 조성물을 상기 조성물로부터 안용 렌즈 제품을 형성하는데 유효한 상태로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안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인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조성물과 콘택트 렌즈 전구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을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여,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 사이에 형성된 공동이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복수의 이격된 스폿 용접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열 에너지, 음향 에너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형 섹션 및 제2 주형 섹션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세장형 요소를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용 렌즈의 제조 방법.
  33.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이며,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주형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표면으로서, 상기 주형 조립체는 공동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함께 배치된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형 섹션과 제2 주형 섹션은 상기 공동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을 각각 구비하는, 표면과,
    말단부를 갖는 세장형 요소로서, 상기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 내로 통과한 후 제2 주연 구역과 제1 주연 구역을 빠져나오도록 상기 표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세장형 요소와,
    상기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 내로 통과하도록 하는 에너지를 상기 세장형 요소에 공급하도록 상기 세장형 요소에 작동 식으로 결합되는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은 상기 세장형 요소에 열 에너지와 초음파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은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내외로 통과할 때 세장형 요소에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은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 내외로 통과할 때 세장형 요소에 에너지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원은 세장형 요소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세장형 요소가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외부로 이동할 때 또는 이동한 후에 최종 폐쇄 단부 보어와 개방 단부 보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요소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세장형 요소의 말단부를 제1 주연 구역과 제2 주연 구역의 내외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40. 제3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장형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세장형 요소는 다른 세장형 요소가 통과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말단부가 제1 주연 구역을 통해 제2 주연 구역 내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안용 렌즈 제조용 시스템.
KR1020087029175A 2006-05-31 2007-05-30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354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352406P 2006-05-31 2006-05-31
US60/803,524 2006-05-31
US11/754,870 2007-05-29
US11/754,870 US7731872B2 (en) 2006-05-31 2007-05-29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PCT/IB2007/004339 WO2008062321A2 (en) 2006-05-31 2007-05-30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753A true KR20090026753A (ko) 2009-03-13
KR101354275B1 KR101354275B1 (ko) 2014-01-23

Family

ID=3844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175A KR101354275B1 (ko) 2006-05-31 2007-05-30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731872B2 (ko)
EP (1) EP1862294B8 (ko)
JP (2) JP5245170B2 (ko)
KR (1) KR101354275B1 (ko)
CN (1) CN101495297B (ko)
HK (1) HK1128905A1 (ko)
MY (1) MY144872A (ko)
TW (1) TWI331959B (ko)
WO (1) WO20080623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68B1 (ko) * 2011-07-28 2014-02-14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5744A1 (en) * 2007-02-01 2008-08-07 Bausch & Lomb Incorporated Thermal Conductive Curing of Ophthalmic Lenses
US8313675B2 (en) * 2009-08-31 2012-11-2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during the manufacture thereof
WO2012013945A1 (en) * 2010-07-30 2012-02-02 Neil Goodenough Ophthalmic device molds and related methods
KR101742352B1 (ko) 2011-02-28 2017-05-31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CA2877380A1 (en) * 2012-06-29 2014-01-0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precursor with features for the fabrication of an ophthalmic lens
US10302968B2 (en) 2013-01-28 2019-05-28 Onefocus Vision, Inc. Fluidic module for accommodating soft contact lens
CA2899442A1 (en) * 2013-01-30 2014-08-07 Onefocus Technology, Llc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ccommodating soft contact lens
GB201302268D0 (en) * 2013-02-08 2013-03-27 Ocutec Ltd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9352493B2 (en) 2013-02-08 2016-05-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GB2520297B (en) * 2013-11-14 2015-11-18 Contact Lens Prec Lab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for contact lenses
EP3084486A4 (en) 2013-12-20 2017-11-22 Onefocus Vision, LLC Fluidic module for accomodating soft contact lens
US9907498B2 (en) * 2014-09-04 2018-03-06 Verily Life Sciences Llc Channel formation
GB2533407B (en) * 2014-12-19 2018-10-03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ure of ophthalmic lens molds
US9937640B2 (en) 2014-12-19 2018-04-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ure of ophthalmic lens molds
WO2016189280A1 (en) * 2015-05-22 2016-12-0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JP2019500238A (ja) 2015-11-30 2019-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吐出選択信号生成回路
EP3479984B1 (en) 2016-06-30 2022-06-15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forming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eyeglass lens, and eyeglass lens
CA3032588C (en) 2016-09-20 2021-03-23 Novartis Ag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lubricious coating thereon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6949B (de) * 1962-08-16 1968-04-25 Siemens Ag Verschliessvorrichtung fuer eine zwischen den Elektroden eines Hochfrequenzfeldes angeordnete zwei- oder mehrteilige Form
DE1177320B (de) * 1963-06-19 1964-09-03 Eltro G M B H & Co Ges Fuer S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ektralfiltern
US3353221A (en) * 1963-11-13 1967-11-21 Loma Ind Inc Lock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4208364A (en) 1976-03-24 1980-06-17 Shepherd Thomas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GB2191144B (en) 1985-03-19 1988-06-08 Coopervision Optics Casting lenses
GB8507007D0 (en) 1985-03-19 1985-04-24 Coopervision Optics Casting lenses
CA1278447C (en) * 1985-07-11 1991-01-02 Vladimir Portnoy Iol and method of attaching a fixation member to an optic
GB8601967D0 (en) *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GB8900616D0 (en) 1989-01-12 1989-03-08 Galley Geoffrey H Methods of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IL102556A (en) 1991-08-16 1998-02-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Device and process for fusing detachable lens mold units
US5271875A (en)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US6800225B1 (en) 1994-07-14 2004-10-05 Novartis Ag Process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mouldings and moulding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at process
US5658602A (en) 1994-06-10 1997-08-1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lens mold filling and assembly
US5804107A (en) 1994-06-10 1998-09-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solidated contact lens molding
US5981618A (en) 1994-06-10 1999-11-0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 clamping and precure of a polymerizable hydrogel
US5760100B1 (en) * 1994-09-06 2000-11-14 Ciba Vision Corp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US5770125A (en) * 1995-11-27 1998-06-23 Mentor Corporation Haptic attachment system for intraocular lenses using diode laser
US5759318A (en) * 1996-03-26 1998-06-02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ably fusing mold lens pieces
JPH1014955A (ja) * 1996-07-05 1998-01-20 Hoya Corp 軟性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TW429327B (en) 1997-10-21 2001-04-11 Novartis Ag Single mould alignment
ATE229413T1 (de) 1998-03-10 2002-12-15 Novartis Ag Formwerkzeug zur herstellung von präzisionsteilen,insbesondere von kontaktlinsen
GB9906240D0 (en) 1999-03-19 1999-05-12 Ocular Sciences Limited Lens mould
US6383419B1 (en) 1999-12-09 2002-05-07 Gregg A. Dea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ES2328009T5 (es) * 1999-12-16 2013-12-1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Lente de contacto blanda con capacidad de ser utilizada a largo plazo
US6514436B1 (en) 2000-05-31 2003-02-04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lamping and releasing contact lens molds
US6872335B2 (en) * 2002-03-12 2005-03-29 Technology Resourc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a mold assembly and molding an optical lens using the same
US20040075182A1 (en) 2002-04-10 2004-04-22 Stephane Gobron Stackable contact lens molds
US7384590B2 (en) 2002-12-17 2008-06-10 Novartis Ag System and method for curing polymeric moldings
US20040119176A1 (en) * 2002-12-23 2004-06-2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es
DE602004015240D1 (de) 2004-02-27 2008-09-04 Insa Inst Nat Des Sciences Ap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iner optischen Linse
US7731873B2 (en)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7320587B2 (en) 2005-08-09 2008-01-22 Cooper Vision, Inc. Contact lens mol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68B1 (ko) * 2011-07-28 2014-02-14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4872A (en) 2011-11-30
EP1862294A2 (en) 2007-12-05
EP1862294A3 (en) 2012-07-25
CN101495297A (zh) 2009-07-29
US8147727B2 (en) 2012-04-03
TW200812790A (en) 2008-03-16
EP1862294B1 (en) 2014-11-12
WO2008062321A2 (en) 2008-05-29
JP2008023991A (ja) 2008-02-07
US20100201009A1 (en) 2010-08-12
WO2008062321A3 (en) 2009-04-23
TWI331959B (en) 2010-10-21
US20070296096A1 (en) 2007-12-27
CN101495297B (zh) 2013-10-16
KR101354275B1 (ko) 2014-01-23
JP2013080262A (ja) 2013-05-02
JP5245170B2 (ja) 2013-07-24
US7731872B2 (en) 2010-06-08
EP1862294B8 (en) 2015-01-21
HK1128905A1 (en) 200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75B1 (ko) 안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281270B1 (ko) 콘택트렌즈 주형 조립체 및 시스템과 그의 제작 방법
CN1325240C (zh) 制造眼用装置的模子和模制机
JP494809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型及びそれ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55936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ably fusing lens mold pieces
KR101284995B1 (ko)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JPS61293816A (ja) レンズ注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8079677A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結合部材の成形のための射出装置、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結合部材の射出方法、及びその結合部材の射出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US57593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ably fusing mold lens pieces
US20150247959A1 (en) Lens Array, Lens Array Laminate Body , Lens Array Manufacturing Method, Lens Array Laminate 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Lens Unit Manufacturing Method
JPH01263034A (ja) レンズブロック製造装置
KR20180123219A (ko)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컴포넌트와 열가소성 폴리머로부터 또는 열가소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컴포넌트의 재료 연속성 또는 재료 연속성과 형상 매칭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192548B2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a flexible tub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