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522A -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522A
KR20090025522A KR1020070090443A KR20070090443A KR20090025522A KR 20090025522 A KR20090025522 A KR 20090025522A KR 1020070090443 A KR1020070090443 A KR 1020070090443A KR 20070090443 A KR20070090443 A KR 20070090443A KR 20090025522 A KR20090025522 A KR 20090025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device
elastic
insert
piece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165B1 (ko
Inventor
황종오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황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황종오 filed Critical 임효빈
Priority to KR102007009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3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press-buttons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결속장치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탄성편과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턱이 돌출 구비되는 누름판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결속장치의 해제가 가능하여 종전에 비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누름 조작 요소가 중앙에 배치됨에 따라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이를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방, 신발, 결속, 버클

Description

결속장치{Tying tool for shoelace}
본 발명은 각종 물품에 구비된 벨트나 스트랩(strap) 또는 끈 등의 양쪽 끝에 장착되어 상호 착탈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조작에 의해 결속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속장치는 레저용 배낭, 가방, 벨트, 의류, 스트랩(strap), 신발 등의 물품에 한쌍의 암수 부재로 장착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결속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체결요소로서 대부분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결속장치는 다양한 물품에 적용되며, 일예로 신발끈에 적용된 구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신발은 발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발등 부분이 개구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발등 부분 양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대응되게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신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신발끈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신발끈을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연결고리에 일단을 끼워 넣은 뒤 차례로 좌·우 엇갈리게 다음 위치의 연결고리를 통과시켜 끼워 넣은 후, 가장 상단의 연결고리를 통과한 신발끈의 양 끝단을 서로 묶어주는 것에 의해 결속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신발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기 위해서 상기 신발끈의 매듭을 풀고 나서 좌·우로 벌린 뒤 발을 몸체의 수용공간에 집어넣은 뒤 다시 상기 신발끈을 당겨서 그 양끝단을 묶어야 하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기가 대단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불편함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걸을 때 신발끈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발끈 풀림은 운동이나 레저 활동시 발생하는 경우 자칫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상호 간격을 두고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가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게 슬롯을 형성하면서 양측면에 상기 각 탄성편의 걸림돌기가 끼움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이루어진 버클 형태로 제공되는 결속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결속장치는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를 착탈하는 조작만으로 신발의 조임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한쌍의 탄성편을 상호 근접되는 방향으로 변위를 갖도록 가압해야 하므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한쌍의 탄성편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즉,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변위를 가지며, 이러한 탄성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체의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홈으로 돌출된 상기 한쌍의 탄성편의 각 걸림돌기를 강한 힘으로 동시에 가압해야 하는데, 상기 탄성편의 크기가 작으므로 가압조작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한 힘으로 손가락을 이용해 가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신발끈에 적용되는 결속장치 외에도 종래 대부분의 결속장치는 대부분 한쌍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있으므로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을 동시에 가압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방식에 의해 결속이 해제되게 하는 결속장치(100)가 제안된 바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속장치(100)는 삽입체(110)와 수용체(120)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체(110)는 상기 수용체(120)의 슬롯(121) 내벽면을 따라 진입할 수 있도록 양측부에 가이드편(111) 돌출 형성되고 이들 가이드편(111) 사이에 걸림턱(113b)을 형성한 걸림판(113)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120)는 상기 삽입체(110)가 슬라이드 끼움될 수 있게 슬롯(121)을 형성하고 이 슬롯(1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을 받는 탄성 누름판(123)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탄성 누름판(123)의 하부면에 상기 걸림판(113)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삼각형상의 누름돌부(123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120)는 상기 탄성 누름판(123)의 하부면 양측으로 상기 ′T′자형상을 갖는 걸림판(113)의 걸림턱(113b)에 걸림되는 돌기(123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결속장치(100)는 탄성 누름판(123)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삽입체(110)와 수용체(120)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상기 삽입체(110)와 수용체(120)간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이나 신발과 같이 개구 부분을 조여주는 끈이나 스트랩 또는 밴드 등에 연결되어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되는 결속장치로서 누름조작에 의해 결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탄성편과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턱이 돌출 구비되는 곡면 누름판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저면에 간격을 두고 한쌍의 삼각편상의 확장돌부가 하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누름판 그리고 상기 누름판과 대향하는 슬롯의 바닥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편 사이에 위치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는, 일측에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끝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 및 이 탄성편을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을 갖는 곡면 밴드부를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아 상기 곡면 밴드부를 가압하여 탄성편을 확장 연동시키는 누름판 그리고 상기 누름판과 대향하는 슬롯의 바닥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탄성편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작용을 하는 제3걸림턱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는, 일측에 한쌍의 가이드편 및 가이드편 사이에 구비되고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면서 그 일측에 연동돌기가 돌출된 랙크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랙크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누름판 그리고 상기 슬롯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랙크편이 끼움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형성하면서 일측에 요철과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는, 일측에 한쌍의 가이드편 및 가이드편 사이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것으로 일면에 단차진 끼움부가 돌출된 수직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수직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이에 수직하는 일면에 상기 수직 탄성편의 끼움부가 끼워 맞춤되는 끼움구멍을 형성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는, 결속 대상물(가방, 신발끈 등)의 양 끝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결속부와 고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안정되고 신속한 결속 및 해제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누름판을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향하여 가압하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결속장치의 해제가 가능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누름판이 중앙에 배치됨에 따라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이를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신발이나 가방 등과 같이 개구된 부분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고리(미도시)에 교차 결속된 끈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조임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속장치(1)는 크게 삽입체(10)와 수용체(20)로 구성되며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결속장치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결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발등을 향하여 한 손가락만으로도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삽입체(10)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미부호)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편(11)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은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삽입체(1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편(10')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가이드편(10')은 후술할 수용체(20)의 슬롯(21)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게 구비된다.
수용체(2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끼워 맞춤 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21)을 형성하고, 이 슬롯(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누름판(23)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완만한 곡률을 갖는 볼록한 판 형태로 제공되며, 그 일측이 수용체(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수용체(20)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누름판(23)은 도면에서 바라보면 저면측에 상기 한쌍의 탄성편(11)과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턱(23a)이 하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구비된다.
즉, 상기 누름판(23)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쌍의 제1걸림턱(23a)이 돌출 형성되고, 이들 한쌍의 제1걸림턱(23a)의 사이에 상술한 한쌍의 탄성편(11)이 탄력적으로 끼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턱(23a)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11a)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17,27)는 상기 삽입체(10)의 타측과 상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슬롯(21)과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을 조이기 위한 끈(미도시)이나 밴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7,27)는 상호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관통구멍(h)이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17a,17b),(27a,27b)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17,27)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는, 상기 수용체(20)의 슬롯(21) 내부로 삽입체(10)의 탄성편(11)을 밀어 넣으면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가 상기 수용체(20)의 누름판(23) 저면에 일체로 구비된 제1걸림 턱(23a)에 걸림되어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누름판(23)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23)이 눌려지면서 상기 한쌍의 제1걸림턱(23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체(10)의 각 탄성편(11)에 작용하는 걸림력을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고리(미도시)에 교차 결속된 끈 또는 스트랩 또는 밴드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조임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속장치(1)는 크게 삽입체(10)와 수용체(20)로 구성되며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발등을 향하여 한 손가락만으로도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삽입체(10)와 수용 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삽입체(10)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1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편(11)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은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11a)가 돌출 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삽입체(1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편(10')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가이드편(10')은 후술할 수용체(20)의 슬롯(21)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게 구비된다.
수용체(2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21)을 형성하고, 이 슬롯(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누름판(23)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평평한 판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가압조작을 하게 되면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누름판(23)은 그 저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삼각편상을 갖는 확장돌부(23a)가 하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20)는 상기 누름판(23)과 대향하는 슬롯(21)의 바닥 상면측으로 한쌍의 탄성편(11)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 한쌍의 탄성편(11)이 탄력적으로 끼움조립될 수 있게 하는 제2걸림턱(23b)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걸림턱(23b)은 상기 탄성편(11)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예각을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후면은 수직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편(11)은 상기 제2걸림턱(23b)의 양측에 접촉되면서 그 후면 즉, 수직면에서 걸림돌기(11a)가 걸림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사출성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17,27)는 상기 삽입체(10)의 타측과 상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슬롯(21)과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을 조이기 위한 끈(미도시)이나 밴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는, 상기 수용체(20)의 슬롯(21) 내부로 삽입체(10)의 탄성편(11)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가 상기 슬롯(21)의 바닥 상면에 마련된 제2걸림턱(23b)에 걸림되어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누름판(23)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23)이 눌려지면서 그 저면에 마련된 확장돌부(23a)가 일체로 연동하여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 사이로 진입하면서 이들 한쌍의 탄성편(11)을 벌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 변위됨에 따라 상기 각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가 제2걸림턱(23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C-C″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신발이나 가방 등과 같이 개구된 부분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고리(미도시)에 교차 결속된 끈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조임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속장치(1)는 크게 삽입체(10)와 수용체(20)로 구성되며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발등을 향하여 한 손가락만으로도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삽입체(10)와 수용 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삽입체(10)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1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편(11)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11)은 후술할 수용체(20)의 슬롯(21)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위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체(1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반원호 형상을 갖는 곡면 밴드부(14)가 형성되며, 이러한 곡면 밴드부(14)는 후술할 수용체(20)의 누름판(23)에 연동하여 하방향으로 눌러지는 것에 의해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미설명 부호 (11a)는 걸림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수용체(20)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21)을 형성하고, 이 슬롯(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누름판(23)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가압조작을 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태로 탄성 변형을 일으키면서 상술한 삽입체(10)의 곡면 밴드부(14)를 가압하여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체(20)는 상기 누름판(23)과 대향하는 슬롯(21)의 바닥 상면측으로 한쌍의 탄성편(11)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 한쌍의 탄성편(11)이 탄력적으로 끼움 조립될 수 있게 하는 제3걸림턱(23c)이 상향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3걸림턱(23c)은 상기 탄성편(11)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예각을 갖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후면은 수직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편(11)은 상기 제3걸림턱(23c)의 양측에 접촉되면서 그 후면 즉, 수직면에서 걸림돌기(11a)가 걸림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사출성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17,27)는 상기 삽입체(10)의 타측과 상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슬롯(21)과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을 조이기 위한 끈(미도시)이나 밴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는, 상기 수용체(20)의 슬롯(21) 내부로 삽입체(10)의 탄성편(11)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가 상기 슬롯(21)의 바닥 상면에 마련된 제3 걸림턱(23c)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누름판(23)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23)이 눌려지면서 그 저면에 위치된 상기 수용체(20)의 곡면 밴드부(14)가 눌러지게 되고, 이때의 상기 곡면 밴드부(14)는 한쌍의 탄성편(11)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가압 조작력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1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 변위됨에 따라 상기 각 탄성편(11)의 걸림돌기(11a)가 제3걸림턱(23c)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14은 도 13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신발이나 가방 등과 같이 개구된 부분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고리(미도시)에 교차 결속된 끈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조임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속장치(1)는 크게 삽입체(10)와 수용체(20)로 구성되며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하 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발등을 향하여 한 손가락만으로도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삽입체(10)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한쌍의 가이드편(10 ')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삽입체(10)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10 ') 사이에 일면에 요철(15a)이 형성되고, 이 요철(15a)의 일측으로 연동돌기(15b)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랙크편(15)이 마련된다.
수용체(20)는 상기 랙크편(15)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21)을 형성하고, 이 슬롯(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누름판(23)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2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가압조작을 하게 되면 상술한 삽입체(10)의 연동돌기(15b)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15b)를 일체로 형성한 랙크편(15)이 하방향으로 탄성변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체(20)는 상술한 슬롯(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랙크 편(15)이 끼움될 수 있는 삽입구멍(h')을 형성하면서 그 일측에 상술한 랙크편(15)의 요철(15a)과 다단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돌기(11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사출성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17,27)는 상기 삽입체(10)의 타측과 상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슬롯(21)과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을 조이기 위한 끈(미도시)이나 밴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는, 상기 수용체(20)의 슬롯(21) 내부로 삽입체(10)의 랙크편(15)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10 ') 사이에 배치된 랙크편(15)이 삽입구멍(h')에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구멍(h')의 일측에 제공되는 걸림돌기(11b)에 의해 상기 랙크편(15)의 요철(15a)이 걸림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누름판(23)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누름판(23)이 눌려지면서 그 저면에 위치된 상기 수용체(20)의 연동돌기(15b)가 눌러지 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랙크편(15) 전체가 하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랙크편(15)이 하방향으로 위치 변위를 갖게 됨에 따라 상기 수용체(20)의 걸림돌기(11b)와 상기 랙크편(15)의 요철(15a)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에서 누름판(23)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랙크편(15)과 걸림돌기(11b)간의 구속력이 해제되는 특징을 갖는다면 그 형태와 위치는 적절히 변경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신발이나 가방 등과 같이 개구된 부분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연결고리(미도시)에 교차 결속된 끈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것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조임과 이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속장치(1)는 크게 삽입체(10)와 수용체(20)로 구성되며 상호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결속상태를 유지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발등을 향하여 한 손가락만으로도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를 구성하는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삽입체(10)는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한쌍의 가이드편(10 ')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삽입체(10)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10 ')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수직 탄성편(16)이 일체로 구비되며, 이러한 수직 탄성편(16)은 그 일단이 삽입체(1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에 의해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탄성편(16)은 최상단 부분에 단차진 끼움부(16a)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후술할 수용체(20)의 끼움구멍(26)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다.
수용체(20)는 상기 수직 탄성편(16)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21)을 형성하고, 이 슬롯(21)과 수직하는 일면에 상기 삽입체(10)의 수직 탄성편(16)에 마련된 끼움부(16a)가 끼움될 수 있는 소정크기의 끼움구멍(26)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체(10)의 끼움부(16a)와 수용체(20)의 끼움구멍(26)은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분리가 가능하면서 수평 방향으로는 안정된 결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는 양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사출성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 탄성편(16)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도 17과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17,27)는 상기 삽입체(10)의 타측과 상기 수용체(20)에 형성된 슬롯(21)과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신발이나 가방과 같이 개구된 부분을 조이기 위한 끈(미도시)이나 밴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5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1)는, 상기 수용체(20)의 슬롯(21) 내부로 삽입체(10)의 수직 탄성편(16)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한쌍의 가이드편(10 ') 사이에 배치된 수직 탄성편(16)의 끼움부(16a)가 상기 수용체(20)의 끼움구멍(26)에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가 수평 방향 즉,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용체(20)의 끼움구멍(26)에 끼워 맞춤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 탄성편(16)의 끼움부(16a)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 탄성편(16)이 하방향으로 탄성 변위되는 것에 의해 결과 적으로 상기 수용체(20)의 끼움구멍(26)에서 분리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체(10)와 수용체(20)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4은 도 13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결속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장치
10 : 삽입체
11 : 탄성편
20 : 수용체
21 : 슬롯
23 : 누름판

Claims (26)

  1.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탄성편과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턱이 돌출 구비되는 곡면 누름판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누름판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쌍의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탄성편은 상기 한쌍 의 제1걸림턱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움된 상태에서 각 제1걸림턱과 걸림 접촉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 또는 1~2개의 고리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7. 일측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각 끝단부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것으로 저면에 간격을 두고 한쌍의 삼각편상의 확장돌부가 하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누름판 그리고 상기 누름판과 대향하는 슬롯의 바닥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편 사이에 위치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탄성편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예각을 가지면서 후면은 수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탄성편은 제2걸림턱의 양측에 접촉되면서 그 후면에서 걸림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 또는 1~2개의 고리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결속장치.
  13. 일측에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가지며 끝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탄성편 및 이 탄성편을 연결하는 것으로 곡률을 갖는 곡면 밴드부를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아 상기 곡면 밴드부를 가압하여 탄성편을 확장 연동시키는 누름판 그리고 상기 누름판과 대향하는 슬롯의 바닥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한쌍의 탄성편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작용을 하는 제3걸림턱을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위치 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걸림턱은 상기 탄성편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예각을 가지면서 후면은 수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탄성편은 제3걸림턱의 후면에 걸림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 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 또는 1~2개의 고리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9. 일측에 상호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편 및 이들 가이드편 사이에 구비되고 일면에 요철이 형성되면서 그 일측에 연동돌기가 돌출된 랙크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랙크편이 끼워 맞춤되게 일측이 개구된 슬롯 및 이 슬롯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누름조작을 받는 누름판 그리고 상기 슬롯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랙크편이 끼움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형성하면서 일측에 요철과 걸림작용을 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된 걸림부를 구비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 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랙크편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 또는 1~2개의 고리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4. 일측에 상호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편 및 이들 가이드편 사이에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것으로 일면에 단차진 끼움부가 돌출된 수직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와;
    상기 수직 탄성편이 끼워 맞춤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이에 수직하는 일면 에 상기 수직 탄성편의 끼움부가 끼워 맞춤되는 끼움구멍을 형성한 수용체와;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의 타측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끈 또는 밴드가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연결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편 또는 1~2개의 고리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삽입체와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KR1020070090443A 2007-09-06 2007-09-06 결속장치 KR10091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443A KR100917165B1 (ko) 2007-09-06 2007-09-06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443A KR100917165B1 (ko) 2007-09-06 2007-09-06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522A true KR20090025522A (ko) 2009-03-11
KR100917165B1 KR100917165B1 (ko) 2009-09-15

Family

ID=4069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443A KR100917165B1 (ko) 2007-09-06 2007-09-06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7504A1 (en) * 2017-04-04 2018-10-11 Randall Alley Stretch fastener
WO2018230780A1 (ko) * 2017-06-13 2018-12-20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신체 착용 버클
CN110419827A (zh) * 2019-08-30 2019-11-08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佩戴装置
CN115088935A (zh) * 2022-06-25 2022-09-23 广东足迹鞋业有限公司 一种背包胸腰带结构以及其应用背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502B1 (ko) * 2016-08-01 2018-03-3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원터치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565Y2 (ko) 1977-10-12 1981-10-30
JPS5948217U (ja) 1982-09-22 1984-03-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ツクル装置
TW409509U (en) * 1999-09-13 2000-10-21 Taiwan Ind Fastener Corp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KR100340600B1 (ko) * 2000-05-25 2002-06-12 야마시타마사카즈 회전버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7504A1 (en) * 2017-04-04 2018-10-11 Randall Alley Stretch fastener
US11026483B2 (en) 2017-04-04 2021-06-08 Randall Alley Stretch fastener
US11678727B2 (en) 2017-04-04 2023-06-20 Randall Alley Stretch fastener
WO2018230780A1 (ko) * 2017-06-13 2018-12-20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신체 착용 버클
CN110419827A (zh) * 2019-08-30 2019-11-08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佩戴装置
CN110419827B (zh) * 2019-08-30 2021-09-28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佩戴装置
CN115088935A (zh) * 2022-06-25 2022-09-23 广东足迹鞋业有限公司 一种背包胸腰带结构以及其应用背包
CN115088935B (zh) * 2022-06-25 2024-02-13 广东足迹鞋业有限公司 一种背包胸腰带结构以及其应用背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165B1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15B2 (en) Shoelace binding devic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6418643B1 (en) Shoe structure provided with means to fasten interchangeably various insoles, pads, or instep straps
KR100917165B1 (ko) 결속장치
KR20090036500A (ko) 신발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JP2007195983A (ja) 柔軟な線条部材を固定する装置
BRPI0710391A2 (pt)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JP2006527001A (ja) 靴紐結束装置
KR19980068855U (ko) 신발끈 결속 장치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US4970763A (en) Hook-type speed fastening device with optional integrated, adjustable width, adjustable tension, eyelet capacity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20150040360A1 (en)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JP2019093133A (ja) バックル
JPH11309001A (ja) コードロック
KR20180082378A (ko) 신발끈 결속기
JP4913337B2 (ja) 履き脱ぎ容易な靴
CN211354086U (zh) 鞋类物品
KR20180002153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WO2011157050A1 (zh) 鞋带穿系装置
US899888A (en) Fastening for lacings.
KR19990033746U (ko) 버클이부착되는조임끈을가지는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