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851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851A
KR20090024851A KR1020070089733A KR20070089733A KR20090024851A KR 20090024851 A KR20090024851 A KR 20090024851A KR 1020070089733 A KR1020070089733 A KR 1020070089733A KR 20070089733 A KR20070089733 A KR 20070089733A KR 20090024851 A KR20090024851 A KR 2009002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ector
heater core
air conditioner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922B1 (ko
Inventor
한성석
주영복
김진국
임연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9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케이스 외부에 히터코어파이프와 레지스터를 각각 설치하는 프로텍터를 일체화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에 수용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32)와, 상기 히터코어(32) 쪽으로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1쌍의 히터코어파이프(34a,34b)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파이프용 프로텍터(36)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터코어파이프, 파이프 커버, 레지스터, 프로텍터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케이스 외부에 히터코어파이프와 레지스터를 각각 설치하는 프로텍터를 일체화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차실내로 유입된 외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유니트(Evaportor Unit) 또는 차량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 유니트(Heater Core Unit)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페이스벤트(Face Vent) 및 플로어벤트(Floo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0)와, 공기유입구(102) 쪽에 장착된 증발기(110)와, 상기 증발기(110) 뒤쪽에 배치된 히터코어(120)와, 상기 증발기(110)와 히터코어(120) 사이에 배치되어 풍량을 쿨링통 로(C)와 히팅통로(H)로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온도조절도어(130)와, 디프로스트벤트(DV), 페이스벤트(FV), 플로어벤트(FLV)로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2,3모드조절도어(140,142,1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입구에 설치되는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히터코어(120)는 엔진을 순환하며 연소시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더운 공기를 공급해주는 열교환기로서, 냉각수의 흐름방식에 따라 유턴흐름 방식(U-turn flow type)과 일방향흐름 방식(One way flow type)으로 구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흐름 방식의 히터코어(120)는 하부/상부 탱크(121,122)와, 고온의 냉각수를 유입/배출하는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와, 상기 하부/상부 탱크(121,122)의 길이방향으로 적층되어 냉각수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123)와, 상기 튜브(123)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방열핀(124) 및 상기 튜브(123) 및 방열핀(124)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12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 상기 히터코어파이프(120a)를 통해 상기 하부 탱크(122)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상기 튜브(123)를 통해 상부 탱크(122) 쪽으로 흐르면서 방영핀(124) 및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히터코어파이프(120b)를 통하여 재차 엔진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120)의 상부 탱크(122)에서 공조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곡되면서 외부로 연장되고, 차량의 대쉬 패널(미도시)의 홀을 통해 엔진룸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는 파이프 커버(126)를 덮어서 사용자의 발부위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126)는 공조케이스(100)의 외부면을따라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를 감싸면서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파이프 커버(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를 덮는 부분이 일정 길이만으로 형성되어 히터코어파이프(120a,120b)의단부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부주위에 따른 발부위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 커버(126)는 공조케이스(100)에 직접 고정구를 사용하여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바, 차량의 장시간 운행에 따른 진동 등으로 고정구가 분리되어 파이프 커버(126)가 원위치에서 자중에 의하여 처지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파이프 커버(126)는 아래쪽을 받쳐주거나 지지하는 부재없이 고정구를 통하여 공조케이스(100)에 부착되는 것이 이탈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조 케이스 외형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파이프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부위에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에 수용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와, 상기 히터코어 쪽으로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1쌍의 히터코어파이프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의 외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파이프용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는 레지스터용 프로텍터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는 상기 히터코어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 커버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가 끼워지는 파이프 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가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 안착부는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의 측벽에 비하여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커버가 장착될 때 상기 레지스트용 프로텍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는 상기 파이프 커버가 맞닿는 측벽 부분을 따라 접촉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커버가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레지스트용 프로텍터와 파이프 안착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공조케이스 외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파이프 커버가 레지스트용 프로텍터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파이프 커버를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파이프 커버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이프 커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등 부위에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파이프 커버를 분리한 요부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주요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 상부에 송풍기 유니트(20)가 장착되어 스크롤케이스(12) 쪽으로부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0) 내부로 강제로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20)의 아래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유니트(미도시)와 엔진의 고온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 유니트(30)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코어 유니트(30)는 공조케이스(10)에 수용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32)와, 상기 히터코어(32) 쪽으로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1 쌍의 히터코어파이프(34a,34b)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파이프용 프로텍터(36)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 커버(37)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가 끼워지는 파이프 안착부(3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는 차량 엔진과 연결되기 위해 공조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일정한 길이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37)는 운전자의 발에 접촉되는 위치에 있는 히터코어파이프(34a,34b)를 덮어서 화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 안착부(38)는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의 일측벽에 연장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파이프 안착부(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의 측벽에 비하여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파이프 안착부(38)에 파이프 커버(37)가 장착될 때, 상기 파이프 커버(37)가 상기 레지스트용 프로텍터(40)에 의해 맞닿아 지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파이프 안착부(3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코어파이프(34a,34b) 각각이 끼워져 안착되는 삽입홈(38a,38b)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홈(38a,38b)의 개구가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8a,38b)의 개구(L1,L2)가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경(D1,D2)보다 약간 크 게 형성되어, 히터코어파이프(34a,34b)를 밀어넣을 때 개구(L1,L2)가 넓혀지면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삽입홈(38a,38b)의 개구(L1)와 개구(L2)는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경(D1)과 외경(D2)이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는 일측벽에 상기 파이프 안착부(38)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38)가 형성된 위쪽 측벽을 따라 접촉패드(42)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패드(42)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38)에 파이프 커버(37)를 장착할 때, 파이프 커버(37)가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압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는 파이프 안착부(38)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는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레지스터(미도시)가 송풍통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공조케이스(10) 외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파이프 커버와 히터코어파이프를 분리한 프로텍터의 요부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주요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 상부에 송풍기 유니트(20)가 장착되어 스크롤케이스(12) 쪽으로부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0) 내부로 강제로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20)의 아래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유니트(미도시)와 엔진의 고온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 유니트(30)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코어 유니트(30)는 공조케이스(10)에 수용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32)와, 상기 히터코어(32) 쪽으로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1쌍의 히터코어파이프(34a,34b)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파이프용 프로텍터(36)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 커버(37)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가 끼워지는 파이프 안착부(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커버(3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커버(37)가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파이프 커버(37)의 일측면과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의 일측벽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안착부(38)는 레지스트용 프로텍터(40)와는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용 프로텍터(36)의 파이프 안착부(38)와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가 일체로 성형되고, 파이프 커버(37)가 레지스트용 프로텍터(40)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파이프 커버(37)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용 프로텍터(36)의 파이프 커버(37)가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어, 파이프 커버(37)가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조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공조장치의 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공조케이스에 히터코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파이프 커버와 히터코어파이프를 분리하여 프로텍터를 도시한 요부도,
도 6은 프로텍터에 히터코어파이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파이프 커버와 히터코어파이프를 분리한 프로텍터의 요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케이스 12 : 스크롤케이스
20 : 송풍기 유니트 30 : 히터코어 유니트
32 : 히터코어 34a,34b : 히터코어파이프
36 : 파이프용 프로텍터 37 : 파이프 커버
38 : 파이프 안착부 38a,38b : 삽입홈
40 : 레지스터용 프로텍터 42 : 접촉패드

Claims (5)

  1. 공조케이스(10)에 수용되어 열을 방출하는 히터코어(32)와, 상기 히터코어(32) 쪽으로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1쌍의 히터코어파이프(34a,34b)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고 지지하는 파이프용 프로텍터(36)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 커버(37)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가 끼워지는 파이프 안착부(38)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38)가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38)는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의 측벽에 비하여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커버(37)가 장착될 때 상기 레지스트용 프로텍터(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는 상기 파이프 커버(37)가 맞닿는 측벽 부분을 따라 접촉패드(4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프로텍터(36)는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의 외면을 감싸는 파이프 커버(37)와 상기 히터코어파이프(34a,34b)가 끼워지는 파이프 안착부(38)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커버(37)가 상기 레지스터용 프로텍터(4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70089733A 2007-09-05 2007-09-05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49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33A KR101349922B1 (ko) 2007-09-05 2007-09-0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33A KR101349922B1 (ko) 2007-09-05 2007-09-0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51A true KR20090024851A (ko) 2009-03-10
KR101349922B1 KR101349922B1 (ko) 2014-01-23

Family

ID=406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733A KR101349922B1 (ko) 2007-09-05 2007-09-0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121A (ko) * 2010-08-25 2012-03-0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50052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8752A (ja) * 1997-07-31 1999-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0338933Y1 (ko) * 2003-10-17 2004-01-16 한라공조주식회사 레지스터 프로텍터가 구비된 송풍 유니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121A (ko) * 2010-08-25 2012-03-0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50052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922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73411A1 (en)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US785684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WO2014068828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499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1760323A2 (en) Heat exchanger for motor vehicle
US8151591B2 (en) Air conditioning case and drain for condensate removal
KR200500619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7331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코어 파이프의 커버구조
JP2007210598A (ja) 空調装置
JP46614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07204B2 (ja) ラジエータ
US760404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05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5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38418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 유니트의 모터커버
KR1017793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53744B1 (ko) 블로워모터 레지스터를 갖는 자동차 에어컨디셔너 시스템의 에바코어
KR102657841B1 (ko) 차량용 러기지룸 냉난방장치
JP58606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1953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66713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822526B1 (ko) 히터 코어
JP311189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51524B1 (ko) 자동차 공조케이스의 히터코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