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17A -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 Google Patents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617A
KR20090024617A KR1020080077509A KR20080077509A KR20090024617A KR 20090024617 A KR20090024617 A KR 20090024617A KR 1020080077509 A KR1020080077509 A KR 1020080077509A KR 20080077509 A KR20080077509 A KR 20080077509A KR 20090024617 A KR20090024617 A KR 2009002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cylinder
vertical
support
wi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443B1 (ko
Inventor
최상룡
Original Assignee
최상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룡 filed Critical 최상룡
Publication of KR2009002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게시 된 현수막이 강풍에 찢기고 떨어져 바람에 흩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풍압의 세기에 따라 현수막 게시각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이의 구성은, 다수의 세로형 현수막(1)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형 현수막(1)은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의해 지지대(2)에 상.하부가 지지되면서 세로형 현수막(1)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세로형 현수막(1)의 게시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세로형 현수막, 지지대, 현수막걸이봉, 자동방향조절장치, 와이어로프,

Description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Automatic Banner Hanger adjusting wind pressure}
본 발명은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시 된 세로형 현수막이 강풍에 찢기고 떨어져 바람에 흩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풍압의 세기에 따라 현수막 게시각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기관이나 각종 단체에서 홍보용 현수막은 현수막 전용게시대를 만들어 놓고 게시를 하고 있다. 현수막을 게시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게시하는 가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게시하는 세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가 있다. 보통은 가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세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세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는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 다양하게 게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가 까다롭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반적으로 현수막게시대에는 적게는 1장에서 많게는 5장 이내의 현수막을 게시하고 있다.
보통 사용되어지고 있는 게시 방법은 현수막게시대에 홍보용 현수막을 고정 하는데 있어 철사 혹은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서 강풍에 쉽게 떨어지고 흩날리는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수막을 게시 하고자 할 때 사다리등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현수막게시대에 올라가서 작업을 함으로서 안전사고 발생과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갖고 있다. 또한 난잡하게 게시되어 도시미관을 해치고, 강한 바람으로 인해 관리의 어려움을 격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장치나 수단이 제공되어 왔다. 그중에는 특허청 특허등록 제0348769호 접철식현수막게시대가 있다. 이 제안에 의하면 작업자는 체인을 구동하여 현수막 지지대를 차곡차곡 접은 후 고정막대 브래킷에 현수막을 끼운 후 현수막을 게양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청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05299에 의하면 스프링을 사용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게시하며 일정한 크기의 스프링력에 의해 균일한 장력이 현수막에 작용하여 강한 바람등의 원인으로 현수막에 가해지는 힘이 주변 게시부에 전달되지 않고 해당 게시부에서 흡수되어 파손을 방지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청 실용등록 제20-0423829에 의하면 토숀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현수막에 가해지는 풍압을 흡수하여 탄성 복원력으로 긴장시킨다고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안에 의하면 현수막을 지상에서 탈착하고, 게시부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들 제안에 의할 경우 현수막에 가해지는 풍압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함으로써 강풍에 대한 대비가 취약하며, 한장의 현수막을 교체하기 위해 모든 현수막을 내려 접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있다. 또한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 다양하게 게시할 수 있는 세로방향의 현수막게시대에 관한 게시방법 제안이 전무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천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므로 떨어져 나가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법과 스프링력에 의한 완충력 가지고는 강풍에 대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 설령 현수막 천이 풍압을 견뎌낸다 하더라도 현수막게시대 구조물이 더욱 튼튼해져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상당히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게시된 세로형 현수막이 강풍에 찢기고 떨어져 바람에 흩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풍압의 세기에 따라 세로형 현수막의 게시각도를 자동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세로형 현수막의 탈착 어려움을 해소하고 바람으로 인한 세로형 현수막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다양하게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각각의 세로형 현수막을 1장씩 선별하여 지상에서 사다리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세로형 현수막을 승.하강시켜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세로형 현수막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형 현수막은 자동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지지대에 상.하부 가 지지되면서 세로형 현수막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세로형 현수막의 게시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자동방향조절장치는 세로형 현수막의 상.하단부에 풀어지지 않게 연결되는 걸이봉지지대와; 상기 걸이봉지지대와 이격되게 지지대에 회전되지 않게 구비되는 피스톤축과; 상기 피스톤축에 설치되고, 나사선 모양의 안내홈을 갖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실린더돌출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걸이봉지지대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실린더하우징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축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회전축 및 상기 실린더회전축과 실린더의 실린더돌출부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봉지지대는 내부에, 세로형 현수막의 상.하단부에 삽입되어 걸어진 현수막걸이봉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봉지지대는 일측방향으로 개방부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상.하부에 이탈방지부 및 전면판이 형성되며, 파이프의 내부에는 상부측이 한 쌍의 핀에 의해 전면판의 높이까지 제한되고 하부측은 코일압축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현수막걸이봉은 상기 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상.하부에 걸이봉지지대의 이탈방지부에 끼움 고정되는 이탈방지끼움부 및 다수의 풀림방지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형 현수막은 현수막 게양수단에 의해 게양 및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수막 게양수단은 지지대의 내부에 다수의 도르레와 감김장치 및 와이어로프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감김장치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현수막의 상부측 자동방향조절장치에 연결되어 감김장치의 정.역회전으로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 현수막을 게양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하단부가 지지대의 상.하부에 고정되고 세로형 현수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안내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안내 와이어로프에 양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횡방향의 승.하강 안내대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 안내대는 세로형 현수막의 상부측 자동방향조절장치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방향조절장치에 의해 세로형 현수막이 지지대에 지지되고, 이와 동시에 세로형 현수막에 가해지는 강풍의 세기에 따라 세로형 현수막의 게시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로형 현수막에 풍압이 증가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로형 현수막을 강풍에도 안전하게 게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 게양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세로형 현수막을 각각 1장씩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로형 현수막의 안전한 탈부착 및 게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세로형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평상시 바람이 약한 일기 상태에서나 현수막이 비에 젖어있는 상태에서도 처짐현상없이 일정한 장력으로 현수막을 안정적으로 게시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 현수막게시대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세로형 현수막(1)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형 현수막(1)은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의해서 지지대(2)에 상.하부가 지지되면서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형 현수막(1)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세로형 현수막(1)의 게시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자동방향조절장치(6)의 구조는 도 2의 (가) 내지 (라)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의 (가)는 피스톤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 도 2의 (나)는 실린더돌출부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2의 (다)는 자동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2의 (라)는 자동방향조절장치의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방향조절장치(6)는 나사선 모양의 안 내홈(62A)을 갖는 피스톤(62)과, 상기 피스톤(62)의 안내홈(62A)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돌출부(63A)가 내측에 다수 형성된 실린더(63)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62)은 지지대(2)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피스톤축(61)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축(61)의 단부는 걸이봉지지대(4)와 이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3)는 일측단부가 걸이봉지지대(4)에 고정된 실린더하우징(6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실린더돌출부(63A)는 피스톤(62)의 안내홈(62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축(61)에, 베어링(6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회전축(64)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회전축(64)과 실린더(63)는 코일인장스프링(6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세로형 현수막이 강풍에 의해 풍압을 받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걸이봉지지대(4)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63)의 실린더돌출부(63A)는 코일인장스프링(6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피스톤축(61)에 고정된 피스톤(62)의 안내홈(62A)을 따라 강제로 이동하면서 실린더회전축(64)과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세로형 현수막의 게시각도를 조절하여 세로형 현수막에 풍압이 더이상 증가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로형 현수막에 대한 풍압이 해제되면, 상기 실린더돌출부(63A)는 인장되었던 코일인장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피스톤(62)의 안내홈(62A)을 따라 원위치로 이동 및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로형 현수막은 다시 본래의 게시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코일인장스프링(65)에 의해 실린더돌출부(63A)와 연결 된 실린더회전축(6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6은, 피스톤축(61)으로부터 피스톤(6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핀이고, 67,67A는 롤러체결부, 67B는 롤러로써 이동로(20)를 통하여 현수막을 승하강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 현수막걸이봉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3의 (나)는 본 발명 걸이봉지지대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의 (나)에 도시된 걸이봉지지대(4)는 자동방향조절장치(6)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 결합은 용접과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봉지지대(4)의 내부에 도 3의 (가)에 도시된 현수막걸이봉(5)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현수막걸이봉(5)은 사각파이프의 전면 상부측에 상향으로 직각 절곡된 이탈방지끼움부(51)가 형성되고, 봉체의 상.하부 양측면에는 상.하 한 쌍으로 풀림방지핀(5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걸이봉지지대(4)는 전방측으로 개방된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개방부 상단에 걸림턱 역할을 하는 이탈방지부(41)가 형성되며, 개방부 하부측에는, 하부측이 코일압축스프링(43)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판(4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2)은 한 쌍의 핀(44)에 의해서 그 개방부의 하부측을 가리는 전면판(45)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핀(44) 사이의 거리는 상기 현수막걸이봉(5)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좌.우로 관통되게 재봉마감된 세로형 현수 막(1)의 상.하단부에 현수막걸이봉(5)을 일측의 측방향으로 삽입하여 현수막에 걸어지게 끼운 다음, 이 끼워진 현수막걸이봉(5)을 자동방향조절장치(6)와 연결된 걸이봉지지대(4)의 내부에 끼워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그 결합과정은 먼저, 현수막걸이봉(5)의 하부측을, 걸이봉지지대(4)의 개방부를 통하여 지지판(42)의 상부측 스토퍼 기능을 하는 한 쌍의 핀(44) 사이로 코일압축스프링(4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삽입하면서 현수막걸이봉(5)의 상부측도 걸이봉지지대(4)의 내부에 끼운다.
그런 다음, 현수막걸이봉(5)으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압축스프링(43)이 원래의 상태로 팽창하게 되고, 이 팽창에 의해 지지판(42)이 현수막걸이봉(5)을 상부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현수막걸이봉(5)의 상부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끼움부(51)가 걸이봉지지대(4)의 이탈방지부(4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로형 현수막(1)은 세로형 현수막 상.하부측의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연결된 걸이봉지지대(4)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야만 하고, 그 길이가 걸이봉지지대(4)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긴 경우에는 세로형 현수막에 걸어진 현수막걸이봉(5)을 걸이봉지지대(4)에 끼워 조립하기 전에 현수막걸이봉(5)에 세로형 현수막을 감아 세로형 현수막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감긴 세로형 현수막은 현수막걸이봉(5)에 형성된 풀림방지핀(52)과 현수막걸이봉(5)이 사각파이프로 형성됨에 따라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연결된 세로형 현수막은 자동방향조절장치(6)를 구성하는 코일인장스프링(65)의 탄 성력에 의해서 팽팽하게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세로형현수막게시대에 적용된 현수막 게양수단(1)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도르레(81)와 와이어로프(83) 및 감김장치(82)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83)의 일측단부는 현수막(1)의 상단부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연결 및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감김장치(82)의 드럼(82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감김장치(82)의 드럼(82A)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83)를 풀게 되면, 세로형 현수막(1)은 하강하고 다시 상기 드럼(82A)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83)를 감게되면, 국기를 게양하는 것과 같이 세로형 현수막(1)을 상승 및 게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세로형 현수막을 올리고 내릴 때 현수막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로형 현수막(1)의 양측에, 그 상.하단부가 지지대(2)의 상.하부에 고정된 한 쌍의 승강안내 와이어로프(9)(9A)가 구비되고, 세로형 현수막(1)의 상부측에는 양단이 통상의 고리와 같이 상기 승강안내 와이어로프(9)(9A)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자동방향조절장치(6)의 피스톤축(61)에 일체로 형성된 횡방향의 승.하강 안내대(9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축(61)에 전술한 현수막 게양수단(8)의 와이어로프(83)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승.하강 안내대(91)에 더하여 세로형 현수막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자회전방지판(93)과 끼움체결부(92)가 더 구비된 다.
상기 끼움체결부(92)는 인출된 도면과 같이 입구가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 입구의 중간 상부측으로 홈(92A)이 연이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자회전방지판(93)은 자동방향조절장치(6)의 피스톤축(61)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현수막 게양수단(8)의 와이어로프(83)는 피스톤축(61)에 연결되지 않고 자회전방지판(93)에 연결되는 것이며, 이 연결된 와이어로프(83)는 끼움체결부(92)를 관통하여 감김장치(82)에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수막 게양수단(8)의 와이어로프(83)를 감거나 풀어 세로형 현수막(1)을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로프(83)를 풀게 되면, 세로형 현수막(1)은 물론 자동방향조절장치(6) 및 자회전방지판(93), 승.하강 안내대(91)가 함께 하강되게 되는데, 이때 승.하강 안내대(91)가 세로형 현수막(1)의 양측 지지대(2)에 상.하단이 고정된 한 쌍의 승강안내 와이어로프(9)(9A)를 따라 이동하므로 현수막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와이어로프(83)가 감겨지게 되면, 상기한 세로형 현수막(1)과 자동방향조절장치(6) 및 자회전방지판(93), 승.하강 안내대(91)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에도 세로형 현수막(1)은 승.하강 안내대(91)에 의해서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이며, 계속되는 상승에 의해서 피스톤축(61)에 고정된 자회전방지판(93)이 끼움체결부(92)의 홈(92A)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세로형 현수막의 게 시상태에서도 세로형 현수막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게시하거나 (다) 및 (마)와 같이 한 쌍으로 게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세로형 현수막(1)을 동일각도로 나누어 동시에 게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현수막의 배치구성은 현수막의 양면표출이 가능해져 홍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들은 모두 자동방향조절장치에 의한 풍압조절이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도 1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의 자동방향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가)는 피스톤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
도 2의 (나)는 실린더돌출부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2의 (다)는 자동방향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2의 (라)는 자동방향조절장치의 일부절개 정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 현수막걸이봉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의 (나)는 본 발명 걸이봉지지대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작동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일부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6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현수막
2:지지대
4:걸이봉지지대
41:이탈방지부 42:지지판
43:코일압축스프링 44:핀
45:전면판
5:현수막걸이봉
51:이탈방지끼움부 52:풀림방지핀
6:자동방향조절장치
61:피스톤축 62:피스톤
62A:안내홈 63:실린더
63A:실린더돌출부 64:실린더회전축
64A:베어링 65:코일인장스프링
66:방지핀 66A:볼트
67,67A:롤러체결부 67B:롤러
8:현수막 게양수단
81:도르레 82:감김장치
82A:드럼 83:와이어로프
9,9A:승강안내 와이어로프
91:승하강 안내대 92:끼움체결부
92A:홈 93:자회전방지판

Claims (7)

  1. 다수의 세로형 현수막(1)이 횡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형 현수막(1)은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의해 지지대(2)에 상.하부가 지지되면서 세로형 현수막(1)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세로형 현수막(1)의 게시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방향조절장치(6)는 세로형 현수막(1)의 상.하단부에 풀어지지 않게 연결되는 걸이봉지지대(4)와;
    상기 걸이봉지지대(4)와 이격되게 지지대(2)에 회전되지 않게 구비되는 피스톤축(61)과;
    상기 피스톤축(61)에 설치되고, 나사선 모양의 안내홈(62A)을 갖는 피스톤(62)과;
    상기 피스톤(62)의 안내홈(62A)에 삽입되는 실린더돌출부(63A)가 내측에 형성되고, 걸이봉지지대(4)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실린더하우징(6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63)와;
    상기 피스톤축(61)에, 베어링(6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실린더회전축(64) 및 상기 실린더회전축(64)과 실린더(63)의 실린더돌출부(63A)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인장스프링(6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 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지지대(4)는 내부에, 세로형 현수막(1)의 상.하단부에 삽입되어 걸어진 현수막걸이봉(5)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지지대(4)는 일측방향으로 개방부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상.하부에 이탈방지부(41) 및 전면판(45)이 형성되며, 파이프의 내부에는 상부측이 한 쌍의 핀(44)에 의해 전면판(45)의 높이까지 제한되고 하부측은 코일압축스프링(43)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지지판(42)이 구비되고;
    상기 현수막걸이봉(5)은 상기 핀(4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상.하부에 걸이봉지지대(4)의 이탈방지부(41)에 끼움 고정되는 이탈방지끼움부(51) 및 다수의 풀림방지핀(5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형 현수막(1)은 현수막 게양수단(8)에 의해 게양 및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게양수단(8)은 지지대(2)의 내부에 다수의 도르레(81)와 감김장치(82) 및 와이어로프(83)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83)는 감김장치(82)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세로형 현수막(1)의 상부측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연결되어 감김장치(82)의 정.역회전으로 와이어로프(83)를 감거나 풀어 세로형 현수막(1)을 게양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는 상.하단부가 지지대(2)의 상.하부에 고정되고 세로형 현수막(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승강안내 와이어로프(9)(9A)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안내 와이어로프(9)(9A)에 양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횡방향의 승.하강 안내대(91)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 안내대(91)는 세로형 현수막(1)의 상부측 자동방향조절장치(6)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1020080077509A 2007-09-04 2008-08-07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10092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9287 2007-09-04
KR1020070089287 2007-09-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19A Division KR100877418B1 (ko) 2007-09-04 2007-10-04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17A true KR20090024617A (ko) 2009-03-09
KR100927443B1 KR100927443B1 (ko) 2009-11-19

Family

ID=404822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19A KR100877418B1 (ko) 2007-09-04 2007-10-04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1020080077509A KR100927443B1 (ko) 2007-09-04 2008-08-07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19A KR100877418B1 (ko) 2007-09-04 2007-10-04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77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1B1 (ko) * 2009-11-25 2010-07-16 광주광역시 남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462055Y1 (ko) * 2012-02-15 2012-08-23 (주)더존나라도시미학 강풍 순응형 현수막 게시대
CN105023530A (zh) * 2015-08-20 2015-11-04 朱海青 片式轻型广告牌
CN105023528A (zh) * 2015-08-20 2015-11-04 朱海青 轻型广告牌宣传栏
CN105023529A (zh) * 2015-08-20 2015-11-04 朱海青 栏式轻型广告牌
CN105006212A (zh) * 2015-08-20 2015-10-28 朱海青 轻型广告牌拼接片
CN105006213A (zh) * 2015-08-20 2015-10-28 朱海青 轻型广告牌拼接片的加工方法
CN108847125B (zh) * 2018-06-29 2020-04-28 浙江亚泰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防风抗倒指示牌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3954D0 (en) 1984-05-31 1984-07-04 Storviders Ltd Collapsible display stands
KR200190982Y1 (ko) * 1998-05-23 2000-09-01 박은호 회전식 현수막 고정장치
KR200190311Y1 (ko) 2000-03-02 2000-07-15 김숙현 현수막 게양대
KR100345771B1 (ko) * 2000-06-05 2002-07-26 박근희 조형물 회전식 간판 고정 장치
KR100348769B1 (ko) 2000-10-13 2002-08-14 (주)드림테크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KR200355284Y1 (ko) * 2004-04-17 2004-07-05 주알파(주) 현수막 게첨대용 현수막 걸이장치 및 현수막 게첨대
KR20060010882A (ko) * 2004-07-29 2006-02-03 박준 잭스크류를 이용한 현수막 자동게시대
KR200375435Y1 (ko) * 2004-11-19 2005-03-09 주식회사 남신테크 게시대용 현수막의 상하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418B1 (ko) 2009-01-07
KR100927443B1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KR101436751B1 (ko) 가로등의 기(旗) 게양장치
CN209926230U (zh) 一种基于折叠式灯臂的智能路灯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1227095B1 (ko) 현수막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100720888B1 (ko) 자중 낙하식 현수막 게시대
KR101015605B1 (ko) 화단보호용 시선유도표시대
JP7133529B2 (ja) 日除けの支持構造
CN2529999Y (zh) 折叠式防火帘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0757301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20691623U (zh) 一种方便悬挂指示标志的照明路灯
JP2010158503A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移動システム
KR20070082595A (ko)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CN209926229U (zh) 一种防止折叠式线路故障的智能路灯
KR102311598B1 (ko) 베너 걸이장치
KR200237756Y1 (ko) 현수막 걸이 장치
KR200237895Y1 (ko) 국기 말림 방지장치
JPH08280987A (ja) 物干し構造
KR100528811B1 (ko) 풍압 회전식 현수막
CN201047036Y (zh) 一种晾衣绳连接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