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045A -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045A
KR20090024045A KR1020070089707A KR20070089707A KR20090024045A KR 20090024045 A KR20090024045 A KR 20090024045A KR 1020070089707 A KR1020070089707 A KR 1020070089707A KR 20070089707 A KR20070089707 A KR 20070089707A KR 20090024045 A KR20090024045 A KR 2009002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sects
amphibian
net
amphib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국
Original Assignee
전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국 filed Critical 전창국
Priority to KR102007008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4045A/ko
Publication of KR2009002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살아 움직이는 곤충을 양식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것으로 각 곡식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유충 곤충을 양식장의 양서류의 먹이로 공급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자(1)에 곡식중 적두(팥)를 가득 담고 개방된 상부는 양식 양서류의 출입을 차단하고 팥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망.철망(2)을 씌워 결착한다. 그리고 여기에 팥을 담으면 팥벌레가 자연 발생하고 이 팥벌레는 철망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는데 이 위에 햇빛과 비를 막아주는 지붕(3)을 설치하고 양식장에 설치시 놓여지는 장소에 바닥판(4)을 깔아 주어 발생한 유충곤충이 상자 밖 바닥판으로 나오면 양식되는 양서류먹이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양서류양식장.상자.팥.철망.지붕.바닥판.

Description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omitted}
도1은 상자
도2는 철망
도3은 지붕
도4는 바닥판
이 기술은 각 곡식에서 자연 발생하는 곡식 특유의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활용하는 방법인데 이를 양서류 양식장에서 먹이로 활용된 바는 사례가 없다.
이 기술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곡식에서는 특유의 유충 곤충은 계절에 관계없이 따뜻하고 습도만 맞으면 자연 발생하는데 착안 곡식중 2mm정도 크기의 곤충이 팥에서 다량 발생하므로 팥을 그릇이나 상자에 담고 이 위에 망.철망을 결착하여 막고 이 상자위에 햇빛과 비를 막는 지붕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현장에 설치시 팥 상자 아래에 바닥판을 낄고 이 위에 놓아 설치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팥을 담을 수 있는 그릇등 상자(1)에 개방된 입구를 양서류가 출입하지 못하고 팥이 쏟아 지지않게 망.철망(2)을 씌워 결착한다. 또한 바닥부분 외의 모두를 철망이든 모든 망으로 제작해도 되는데 팥벌레는 곡물보다 작으므로 곡물이 빠져 나오지 못할만한 크기의 구멍으로 된 망을 사용한다. 이는 상자안의 곡물이 양서류 피부에 묻어 밖으로 나와 흩어져 곡물이 허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곡물은 물론 유충과 곤충은 햇빛과 빗물에 취약하므로 이를 막아주는 지붕(3)을 설치한다. 그리고 여기에 곡물을 가득 담아놓으면 봄부터 초가을까지는 자연히 팥에서는 팥벌레가 무수히 발생한다. 이를 양서류 양식장 안에 놓아 두면 되는데 이 때에는 아래에 합판등 넓은 바닥판(4)을 깔아 놓는다. 이유는 양서류 양식장 안의 땅바닥은 거칠고 풀도 많이 불규칙적으로 자라있어 유충이나 곤충이 밖으로 나오면 바닥의 흙이나 풀사이에 숨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먹이로서의 효용이 없어지므로 곡물상자 바닥에 넓은 바닥판을 깔아주어 팥벌레가 멀리 달아나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곤충이 양서류의 눈에 잘 띄여 신속히 먹이가 된다.
위와 같이 하면 자연상태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보온하면 계절에 관계없이 각 곡물에서는 특유의 유충 곤충이 발생하는데 대개 곡물에서 발생하는 유충과 곤충은 그 개체는 많고 크기는 작아 양서류가 변태한 직후의 훌륭한 먹이로 이용된다. 또한 변태직후의 양서류는 연약하여 작은 먹이를 취할 수 밖에 없고 소화력도 약한데 이들에게는 더욱 유리한 먹이가 되고 시간에 따라 먹이를 급여해야 하는 노 동력을 절약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이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곡물을 담아 놓는 그릇이나 판재로 된 상자위에 망을 씌우거나 바닥외 모두를 망으로 제작하고 이 위에 햇빛과 비를 차단하는 지붕과 설치시의 바닥판.
  2. 청구항1에 있어서
    양서류의 먹이로 이용하기 위한 곤충 육성용 팥
KR1020070089707A 2007-09-03 2007-09-03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KR20090024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07A KR20090024045A (ko) 2007-09-03 2007-09-03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07A KR20090024045A (ko) 2007-09-03 2007-09-03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45A true KR20090024045A (ko) 2009-03-06

Family

ID=4069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707A KR20090024045A (ko) 2007-09-03 2007-09-03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404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9384A (zh) * 2014-01-14 2014-04-30 李金秀 一种养龟装置
CN105248359A (zh) * 2015-09-09 2016-01-20 湖南水韵湾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野生甲鱼的养殖方法
WO2018045675A1 (zh) * 2016-09-08 2018-03-15 广东省生物资源应用研究所 一种平胸龟幼苗的饲养装置
CN109197768A (zh) * 2018-09-30 2019-01-15 鲍源 池中养鳖方法
CN110547251A (zh) * 2019-09-29 2019-12-10 赵为娜 一种绿色生态水产饲养装置
CN110742019A (zh) * 2019-12-09 2020-02-04 周久高 一种甲鱼喂养用投料装置
CN112753653A (zh) * 2021-01-12 2021-05-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温棚工厂化养鳖方法及其应用
CN114208773A (zh) * 2021-12-22 2022-03-22 湖南省河洲生态甲鱼养殖有限公司 一种太阳能温室养殖甲鱼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9384A (zh) * 2014-01-14 2014-04-30 李金秀 一种养龟装置
CN105248359A (zh) * 2015-09-09 2016-01-20 湖南水韵湾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野生甲鱼的养殖方法
WO2018045675A1 (zh) * 2016-09-08 2018-03-15 广东省生物资源应用研究所 一种平胸龟幼苗的饲养装置
CN109197768A (zh) * 2018-09-30 2019-01-15 鲍源 池中养鳖方法
CN110547251A (zh) * 2019-09-29 2019-12-10 赵为娜 一种绿色生态水产饲养装置
CN110742019A (zh) * 2019-12-09 2020-02-04 周久高 一种甲鱼喂养用投料装置
CN112753653A (zh) * 2021-01-12 2021-05-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温棚工厂化养鳖方法及其应用
CN114208773A (zh) * 2021-12-22 2022-03-22 湖南省河洲生态甲鱼养殖有限公司 一种太阳能温室养殖甲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4045A (ko)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장치
Nordhaus et al. Activity patterns, feeding and burrowing behaviour of the crab Ucides cordatus (Ucididae) in a high intertidal mangrove forest in North Brazil
CN104770326A (zh) 蝗虫养殖新模式与技术
US8615923B2 (en) Crop protector
CN103518673B (zh) 林蛙立体养殖方法
US10196321B2 (en) Composting method
CN108551974A (zh) 一种黑木耳的野生栽培方法
Apoznañski et al. Barbastelles in a production landscape: where do they roost?
CN102742553A (zh) 一种蚯蚓养殖方法
CN202043566U (zh) 防治虫害及驱赶鸟兽器
KR101534581B1 (ko) 곤충 사육장
Kleppel et al. Using sheep to control purple loosestrife (Lythrum salicaria)
KR20170005923A (ko) 맹꽁이 인공사육시설
Smith et al. Portable electric fencing for bear deterrence and conservation
Graae et 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regeneration of plants from seeds in boreal, subarctic, and subalpine regions
CN103026930A (zh) 一种甘蔗病虫害的防治方法
CN207626369U (zh) 一种多功能蜂场转地控飞装置
CN208211246U (zh) 一种平台型鱼类养殖装置
Rusch et al. Competing seed consumers drive the evolution of scatter-hoarding: why rodents do not put all their seeds in one larder
CN201905017U (zh) 一种促使种子发芽的贮藏装置
CN206658424U (zh) 一种果树种子催芽辅助装置
CN114532293B (zh) 一种分层养殖及能源自给的方法
CN214758603U (zh) 啄木鸟喂食器
KR20200004221A (ko) 태양광 원두막겸 유해동물 퇴치기
CN113142144B (zh) 一种黑水虻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