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176A -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 Google Patents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176A
KR20090023176A KR1020080083503A KR20080083503A KR20090023176A KR 20090023176 A KR20090023176 A KR 20090023176A KR 1020080083503 A KR1020080083503 A KR 1020080083503A KR 20080083503 A KR20080083503 A KR 20080083503A KR 20090023176 A KR20090023176 A KR 2009002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diphenhydramine
macrogol
mass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이치로 다카노
유이치로 가노
히로유키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52Proteins, e.g. albumin
    • A61K9/5057Gelatin

Abstract

복용시에 컴플라이언스 상 양호하고, 또한, 캡슐 피막의 연화·균열이 발생되기 어려운,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의 제공.
마크로골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캡슐 피막에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

Description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DIPHENHYDRAMINE-FILLED CAPSULES}
본 발명은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에 관한 것이다.
디펜히드라민은 아미노알킬에테르계의 항히스타민제이고, 경구제로서 두드러기, 피부 질환에 수반되는 알레르기성 비염, 소양, 급성 비염 등에 사용되는 것 외에, 최근에는 수면 개선약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펜히드라민을 알레르기성 비염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 회당 복용량이 10㎎ 인 것에 비해, 수면 개선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1 회당 복용량이 50㎎ 으로, 복용하는 제제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제 자체를 크게 하는 수 밖에 없어, 디펜히드라민 함유 제제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의약 경구제의 양태로서, 필름 코팅정, 당의정 등의 정제, 경캡슐제, 연캡슐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제는 위 내의 환경에 따라 용출성에 차이가 생기는 것이 염려되고, 또, 신속한 약효 발현 면에서 반드시 바람직한 제형은 아니라는 문제가 있다.
또, 캡슐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기술이 이미 알려져 있다.
(1)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캡슐에 충전시키면 캡슐 피막이 연화되기 때문에, 연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충전액의 물의 양을 20 질량%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2)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마크로골 400 과 물의 혼액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충전액 400㎎ 중 12.5㎎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3%) 배합시킨 캡슐제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이 농도로 1 회당 복용량을 50㎎ 으로 하면, 캡슐이 커지거나 (000 호의 캡슐) 또는 1 회에 복용하는 캡슐의 수가 많아지기 (4 캡슐) 때문에, 컴플라이언스 상 문제가 있다.
또, 디펜히드라민은 광으로 인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디펜히드라민 제제를 차광시킨 용기에 보관하거나, 차광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복함으로써 (특허 문헌 2) 변색을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용기에 보관한 경우, 복용시에 제제가 광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어, 근본적인 해결 수단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한편, 디펜히드라민 제제를 피막으로 피복하는 방법은, 제제로부터의 디펜히드라민의 용출성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3553562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00872호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용시에 컴플라이언스 상 양호하고, 또한, 캡슐 피막의 연화나 균열이 발생되기 어려워, 안정성이 우수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디펜히드라민 함유 캡슐제의 컴플라이언스 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용액을 캡슐에 충전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먼저, 캡슐의 연화를 억제하기 위해, 종래 기술과 같이 물의 양을 20 질량% 미만으로 하여 충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물의 양을 감소시킨 것만으로는 젤라틴 캡슐에 균열이 발생되었다. 한편,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지 않는 충전액을 충전한 경우에는 캡슐의 균열은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은 젤라틴 캡슐에 대해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더욱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충전액의 개선이 아니라, 젤라틴에 마크로골을 배합시킨 캡슐 피막을 채용하고, 이것에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결과, 연화나 균열을 발생하지 않고,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고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마크로골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캡슐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캡 슐에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하기 쉽고 안정성이 우수한, 상품 가치가 높은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캡슐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슐 피막으로서 마크로골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피막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마크로골의 함유량은 캡슐의 기계적 강도나 성형시의 피막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검토하면 되는데, 캡슐 피막 전체량에 대해 0.5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1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슐 피막 중에 함유되는 마크로골의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950 ∼ 25000 이 바람직하고, 2500 ∼ 70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마크로골 1000, 마크로골 1500, 마크로골 1540, 마크로골 4000, 마크로골 6000 이 더욱 바람직하며, 마크로골 4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크로골은 1 종만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슐 피막 중의 젤라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열변화에 수반되어 졸겔 변화됨으로써, 소, 돼지, 새, 생선 등을 원료로 하는 젤라틴이나 숙신화 젤라틴 등의 아실화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의 함유량은 캡슐의 기계적 강도나 성형시의 피막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검토하면 되는데, 캡슐 피막 전체량에 대해 50 ∼ 99.5 질량% 가 바 람직하고, 65 ∼ 99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슐 피막은 마크로골, 젤라틴 이외의 물질을 함유하여도 되고, 당해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법정 색소 등의 색소, 산화티탄 등의 안료,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방부제, 방향제, 붕괴제, 글리세린이나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에는 경캡슐제 및 연캡슐제 모두가 포함되는데, 신속한 약효 발현 면에서 경캡슐제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슐 피막의 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제의 상품성 면에서 캡슐 충전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은 공지된 화합물로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도 되고, 또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디펜히드라민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염, 시트르산염, 숙신산염, 살리실산염, 디페닐디술폰산염, 타르타르산염, 타닌산염, 라우릴황산염, 황산염, 말레산염 등의 산부가염을 들 수 있고, 특히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수면 개선약으로서 복용하는 경우의 컴플라이언스 향상 면에서 1 캡슐 중에 50㎎ 또는 25㎎ 함유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의 농도는 용액 중 4 ∼ 25 질량% 가 바람직하고, 5 ∼ 2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은 다른 항히스타민제로 대체할 수도 있다. 대체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로서는, 예를 들어, 독시라민, 클레마스틴, 디페닐피라린, 카르비녹사민, 프로메타진, 멕타진, 알리메마진, 이소티펜딜, 히드록시딘, 호모클로르시클리진, 시프로헵타딘, 클로르페닐라민, 트리프롤리딘, 브롬페닐라민 등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이 중, 독시라민 숙신산염, 클레마스틴 푸마르산염, 디페닐피라린 테오클레이트, 디페닐피라린 염산염, 카르비녹사민 말레산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의 용액의 용매로서는 통상적으로 액체를 캡슐에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1) 물, (2) 물과 혼화되지 않거나 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액체 (식물유,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염소화 탄화수소,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유기산류), (3) 물과 혼화되는 비휘발성 액체, (4) 기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케톤, 산, 아민, 에스테르류 등) 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중 1 종만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 중, 컴플라이언스 향상이나 신속한 약효 발현의 관점에서, 디펜히드라민을 잘 용해시키는 물,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등의 용매와, 캡슐 피막을 연화시키지 않고, 또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용해시키는 용매의 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과 다가 알코올의 혼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전액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적절히 검토하면 되는데, 충전액 전체량에 대해 40 ∼ 96.9 질량% 가 바람직하고, 50 ∼ 96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 고, 55 ∼ 95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혼액에 있어서의 물,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등의 함유량은 적절히 검토하면 되는데, 충전액 전체량에 대해, 0.1 ∼ 3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 ∼ 27.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25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물,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등과 다가 알코올의 함유 비율은, 물 등 1 질량부에 대해 다가 알코올이 1 ∼ 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 ∼ 20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인 다가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마크로골,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으며, 마크로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중 1 종만이어도 되고, 복수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용매로서 사용되는 마크로골의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 ∼ 800 이 바람직하고, 150 ∼ 700 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 ∼ 630 이 더욱 바람직하고, 마크로골 200, 마크로골 300, 마크로골 400, 마크로골 6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마크로골은 1 종만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충전액에 캐러멜을 첨가함으로써,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의 안정화, 즉, 변색의 억제 및 함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캐러멜은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백당, 전화당, 물엿, 전분 가수 분해물, 당밀 등을 열처리시켜 얻을 수 있다. 또, 캐러멜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캐러멜의 충전액 중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0 ∼ 1500 질량ppm 이 바람직하고, 40 ∼ 1200 질량ppm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캡슐 피막의 색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 충전액이 캐러멜 유래의 색에 기초하여 미황색 또는 갈색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충전액의 색이 외관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이 색이 차분함이나 안정감·안도감의 이미지를 가져와, 릴렉스되어 기분 좋게 수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충전액이 캐러멜을 함유하는 경우, 충전액 중의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과 캐러멜의 배합비는 적절히 검토하여 결정하면 되는데, 1:0.00005 ∼ 1:1 이 바람직하고, 1:0.0001 ∼ 1: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충전액에는 추가로 pH 조절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할 수 있다. 그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등의 산이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염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액의 pH 는 3 ∼ 9 가 바람직하고, 3.5 ∼ 8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슐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라틴을 흡수 팽윤시킨 후 가열 용해시키고, 이어서 캡슐 피막 중에 함유시켜야 하는 마크로골을 적당량 첨가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색소나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적절히 점도를 조정한 후, 탈포 처리하여 캡슐 성형용 젤리를 얻는다. 얻어진 젤리를 캡슐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캡슐로 성형하고, 이것에 본 발명에 관련된 캡슐 충전액을 충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캡 슐제 (경캡슐제) 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젤라틴을 흡수 팽윤시킨 후 가열 용해시키고, 이어서 캡슐 피막 중에 함유시켜야 하는 마크로골을 적당량 첨가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이나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 등의 가소제, 색소나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적절히 점도를 조정한 후, 탈포 처리하여 캡슐 성형용 젤리를 얻는다. 얻어진 젤리 및 본 발명에 관련된 캡슐 충전액을 이용하고, 로터리 다이법이나 적하법 등에 기초함으로써, 본 발명의 캡슐제 (연캡슐제) 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의 포장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병이나 PTP 포장 등의 통상적인 캡슐제의 포장 형태로 포장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경캡슐제 (1)
마크로골 400 을 140g 및 정제수 36g 을 혼합 후, 약 60℃ 로 가온시켜 용해 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6 으로 조정하여 충전액으로 하였다. 이 충전액을 통상적인 사이즈 3 호인 젤라틴 하드 캡슐에 250㎎ 씩 충전하여, 정제수 농도가 20.5 질량% 인 경캡슐제를 15 캡슐 제조하였다.
제조예 2:경캡슐제 (2)
마크로골 400 을 140g 및 정제수 36g 을 혼합 후, 약 60℃ 로 가온시키고, 이것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50g 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용해 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6 으로 조정하여 충전액으로 하였다. 이 충전액을 통상적인 사이즈 3 호인 젤라틴 하드 캡슐에 250㎎ 씩 충전하여, 정제수 농도가 15.9% 질량% 인 경캡슐제를 15 캡슐 제조하였다.
제조예 3:경캡슐제 (3)
마크로골 400 을 172g, 정제수를 28g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정제수 농도가 11.2 질량% 인 경캡슐제를 15 캡슐 제조하였다.
시험예 1:디펜히드라민의 젤라틴 캡슐에 대한 영향의 검토
제조예 1 ∼ 3 의 경캡슐제 (1) ∼ (3) 에 대해, 제조 후부터 2 일간 보존하여, 시간 경과적인 영향 (캡슐 균열) 을 제조 2 시간 후, 1 일 후 및 2 일 후에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경캡슐제 (1) (2) (3)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 - 22.1% 20%
물의 농도 20.5% 15.9% 11.2%
균열 수 (전체 15cap 중) 2 시간 후 0 1 15
1 일 후 0 13 -
2 일 후 0 15 -
표 1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캡슐 충전액 중에 물을 2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함유하지 않으면, 캡슐 균열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경캡슐제 (1)). 한편, 캡슐 충전액 중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면, 물을 20 질량% 미만으로 조정하여도 캡슐 피막에 균열이 발생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경캡슐제 (2) 및 (3)).
따라서,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면, 물의 질량% 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캡슐 피막의 균열을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제조예 4:경캡슐의 제조
젤라틴 10.0㎏ 에 정제수 18.0 리터를 첨가하고, 약 1 ∼ 2 시간 정도 자연 방치하여 흡수 팽윤시켰다. 젤라틴이 충분히 팽윤된 후 60℃ 로 가온하고, 교반시켜 젤라틴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또한 이 젤라틴 용액 중에 마크로골 4000 의 50 질량% 수용액을 1.0㎏ (5 질량% 농도) 첨가하고 교반시켜 그 점도를 조정한 후, 탈포 처리하여 캡슐 성형용 젤리를 얻었다. 이 젤리를 캡슐 성형 장치에 주입하여, 사이즈 3 호의 캡슐을 성형하였다.
제조예 5:경캡슐의 제조
마크로골 4000 의 50 질량% 수용액을 0.5㎏ (2.5 질량% 농도)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제조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캡슐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1:경캡슐제
마크로골 400 을 414g 및 정제수 36g 을 혼합 후 약 60℃ 로 가온시키고, 이것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50g 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용해 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6 으로 조정하여 충전액으로 하였다. 이 충전액을 상기 제조예 4 에 기재된 캡슐에 250㎎ 씩 충전하여,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가 10 질량% 인 경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경캡슐제
제조예 5 에 기재된 캡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경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경캡슐제
마크로골 400 을 414g 및 정제수 36g 을 혼합 후 약 60℃ 로 가온시키고, 이것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15g 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용해 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6 으로 조정하여 충전액으로 하였다. 이 충전액을 통상적인 사이즈 3 호인 젤라틴 하드 캡슐에 250㎎ 씩 충전하여,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가 3 질량% 인 경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경캡슐제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50g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가 10 질량% 인 경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2:경캡슐제의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경캡슐제에 대해 캡슐 균열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충전 후, 캡슐끼리가 포개지지 않도록 트레이에 펼치고, 실온에서 1 일 방치 후, 40℃ 에서 1 개월 보존 후 및 40℃ 에서 4 개월 보존 후의 균열이나 크랙의 유무를 육안으로 검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표 3 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디페닐히드라민 염산염 농도 10% 10%
캡슐제 종류 PEG 5% 함유 젤라틴 PEG 2.5% 함유 젤라틴
균열의 발생 제조 직후 (1 일 후)
40℃ 1 개월 후
40℃ 4 개월 후
표 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 의 경캡슐제는 제조 직후, 40℃ 에서 1 개월 보존 후, 40℃ 에서 4 개월 보존 후 중 어느 경우에서도 캡슐 균열이나 크랙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1 비교예 2
디페닐히드라민 염산염 농도 3% 10%
캡슐제 종류 젤라틴 젤라틴
균열의 발생 제조 직후 (1 일 후)
40℃ 1 개월 후
40℃ 4 개월 후 무 (연화)
표 3 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의 경캡슐제에서는 제조 직후 및 40℃ 에서 1 개월 보존 후에도 캡슐 균열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40℃ 에서 4 개월 보존 후에 있어서는 캡슐의 연화가 관찰되었다. 또, 비교예 2 의 경캡슐제에서는 제조 직후부터 캡슐 균열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험예 2 로부터, 통상적인 젤라틴 캡슐을 이용하여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을 용해시킨 충전액을 충전한 제품으로서 공급할 수 있는 캡슐제는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의 농도가 3% 까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3% 의 농도에서는, 1 회 복용량을 50㎎ 으로 하면 캡슐을 크게 하거나, 복용 캡슐의 수를 많이 할 필요가 있어, 컴플라이언스 상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1 및 2 의 캡슐제는 제조 직후, 40℃ 에서 1 개월 보존 후, 40℃ 에서 4 개월 보존 후 중 어느 경우에나 캡슐 균열이나 크랙은 관찰되지 않아, 복용 캡슐의 크기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컴플라이언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3:연캡슐제
젤라틴 9.0㎏ 에 정제수 10.0 리터를 첨가하고, 약 1 ∼ 2 시간 정도 자연 방치하여 흡수 팽윤시켰다. 젤라틴이 충분히 팽윤된 후 60℃ 로 가온시키고, 교반시켜 젤라틴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또한 이 젤라틴 용액 중에 진한 글리세린 1㎏ 및 마크로골 4000 의 50 질량% 수용액을 1.0㎏ (5 질량% 농도) 또는 0.5㎏ (2.5 질량% 농도) 첨가하여 교반시켜 그 점도를 조정한 후, 탈포 처리하여 캡슐 성형용 젤리를 얻었다. 이 젤리를 이용하여 로터리식 캡슐 충전기로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충전액을 충전하여 연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연캡슐제
마크로골 4000 의 50 질량% 수용액을 0.5㎏ (2.5 질량% 농도)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연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경캡슐제
마크로골 400 을 414g, 정제수 36g 및 캐러멜 0.06g (캐러멜 S:이케다 당화 공업사 제조) 을 혼합 후 약 60℃ 로 가온시키고, 이것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50g 을 첨가하여 교반시켜 용해 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6 으로 조정하여 충전액으로 하였다. 이 충전액을 상기 제조예 4 에 기재된 캡슐에 250㎎ 씩 충전하여,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농도가 10 질량% 인 경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경캡슐제의 평가
실시예 5 의 경캡슐제에 대해 캡슐 균열, 외관 변화 및 디펜히드라민 염산 염의 잔존율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경캡슐제를 PTP 포장하고, 또한 알루미늄 필로우 포장하여 60℃ 에서 일주일간 보존하였다.
보존 후 경캡슐제를 꺼내어 육안으로 캡슐의 균열이나 크랙의 유무, 외관 변화의 유무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 경캡슐제의 충전액 중의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의 함량을 HPLC 법으로 측정하여, 이니셜시의 함량에 대한 잔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실시예 5
균열의 발생
외관 변화의 유무
잔존률 98%
표 4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캐러멜을 함유하는 경캡슐제는 60℃ 에서 1 주일간 보존 후에 있어서 균열이나 크랙, 변색 모두 확인되지 않고, 또 디펜히드라민 염산염의 함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캐러멜은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의 안정화에 유효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Claims (7)

  1. 마크로골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캡슐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캡슐에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충전한 캡슐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 피막 중의 마크로골의 함유량이 캡슐 피막 전체량에 대해 0.5 ∼ 15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캡슐 피막 중의 마크로골이 평균 분자량 950 ∼ 25000 의 마크로골인 캡슐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1 캡슐당 25㎎ 또는 50㎎ 함유하는 캡슐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의 용매가 다가 (多價) 알코올을 함유하는 캡슐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의 용매가 물, 저급 알코올 및 아세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다가 알코올의 혼액인 캡슐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용액이 추가로 캐러멜을 함유하는 것인 캡슐제.
KR1020080083503A 2007-08-29 2008-08-26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KR20090023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1999 2007-08-29
JP2007221999 2007-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176A true KR20090023176A (ko) 2009-03-04

Family

ID=4046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03A KR20090023176A (ko) 2007-08-29 2008-08-26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73829A (ko)
KR (1) KR20090023176A (ko)
CN (1) CN1013803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8636A (ja) * 2009-07-30 2011-04-07 Kowa Co 液体充填カプセル剤
CN103622932B (zh) * 2013-11-09 2016-04-27 安士制药(中山)有限公司 一种抗组胺和促进睡眠软胶囊的制备方法
CN105614936A (zh) * 2016-02-03 2016-06-01 福格森(武汉)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浓度磷脂内容物的软胶囊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73829A (ja) 2009-04-09
CN101380315A (zh)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8401T3 (es) Dispersiones solidas de liberacion controlada de carvedilol.
CN109310687B (zh) 含有阿托品的水性组合物
RU2333745C2 (ru) Композиции с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EP2335697B1 (en) St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 with limited discoloration
EP3188720B1 (en) Tadalafil oral dispersible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20090023176A (ko) 디펜히드라민 충전 캡슐제
CN105193772A (zh) 一种沙格列汀口腔膜剂及其制备方法
US2015028324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inaglipti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3082778B1 (en) Stable liquid filled hard capsule comprising beta-hydroxy-beta-methylbutyric acid
RU2412687C2 (ru) Стабильная твердая дисперсия производного винка-алкалоид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GB2577363A (en) Liqu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paracetamol and codeine phosphate
EP4025194A1 (en) A combination comprising vildagliptin and metformin
JP2011068636A (ja) 液体充填カプセル剤
KR20190117072A (ko) 미라베그론이 함유된 방출 제어 약학적 조성물
JP2010132652A (ja) ジフェンヒドラミン含有カプセル剤
JP2012201597A (ja) モサプリドを含有する固形製剤
KR101501889B1 (ko) 저용량 라모세트론 함유 구강 내 붕괴정
JP4922657B2 (ja) リスペリドン経口用液剤
KR20210096162A (ko) 의약 조성물
JOYES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Ondansetron Hcl Soft Logenzes By Using Natural Sweetner.
JP4099537B2 (ja) ハードゼラチンカプセル及びハードゼラチン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2010229124A (ja) ジフェンヒドラミン含有溶液充填カプセル剤
US1109694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linaglipti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4892264B2 (ja) リスペリドン水性液剤
EP2832353B1 (en) Drug composition, and soft capsule con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