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150A - 치간칫솔 - Google Patents

치간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150A
KR20090023150A KR1020080082846A KR20080082846A KR20090023150A KR 20090023150 A KR20090023150 A KR 20090023150A KR 1020080082846 A KR1020080082846 A KR 1020080082846A KR 20080082846 A KR20080082846 A KR 20080082846A KR 20090023150 A KR20090023150 A KR 2009002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ending
interdental
groove
interdent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695B1 (ko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ublication of KR2009002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간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한 상기 브러쉬결합부의 일 방향 굽힘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 굽힘을 한정하는 굽힘부를 갖는 솔대와; 상기 브러쉬결합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전치와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이 협소한 어금니 영역에서도 브러쉬가 치간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삽입되는 치간칫솔이 제공된다.
치간칫솔, 솔대, 브러쉬, 연질

Description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치간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간칫솔은 치아와 치아 사이(이하 '치간"이라 함)을 세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과 프러그 등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치간칫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대(110)와 브러쉬(120)가 일자 형태인 I타입의 치간칫솔(10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대(210)의 선단부(211)와 브러쉬(220)가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L타입의 치간칫솔(201)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I타입의 치간칫솔은 솔대와 브러쉬가 일자 형태이기 때문에, 브러쉬를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삽입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의해, I타입의 치간칫솔은 주로 전치 부분의 치간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L타입의 치간칫솔은 솔대의 선단부에서 브러쉬가 거의 직각으로 꺽인 구조이기 때문에, I타입에 비해서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브러쉬를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이에 의해, L타입의 치간칫솔은 주로 어금니 영역의 치간 세정용으로 이용된다.
또한, L타입의 치간칫솔은 전치 영역의 치간도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I타입의 치간칫솔에 비해서 L타입의 치간칫솔이 보다 널리 이용되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L타입 치간칫솔이 시판되고 있다.
L타입 치간칫솔의 대표적인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꺽인 솔대의 선단부에 브러쉬가 일체로 인서트 결합되어 있는 브러쉬 일체형의 L타입 치간칫솔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93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솔대의 선단부에 브러쉬를 솔대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러쉬 교체형의 L타입 치간칫솔을 꼽을 수 있다.
한편, 다른 형태의 치간칫솔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93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솔대의 선단부에 브러쉬가 힌지를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브러쉬 회동형 치간칫솔이 개발된 바 있다.
이 브러쉬 회동형 치간칫솔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브러쉬를 솔대에 대해 일자 형태 또는 직교하는 형태로 회동시킴으로써, 전치와 어금니 부분의 치간 세정시 브러쉬를 일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형태의 치간칫솔로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6213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 와이어를 자유롭게 절곡시키거나, 브러쉬 와이어가 인써트된 솔대의 선단부에 절곡이 자유로운 잘록한 목부분을 형성한 브러쉬 자유절곡형 치간칫솔이 개발된 바 있다.
이 브러쉬 자유절곡형 치간칫솔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브러쉬 부분을 절곡시킴으로써, 전치와 어금니 부분의 치간 세정시 브러쉬 부분을 적절히 절곡시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간칫솔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L타입 치간칫솔은 브러쉬 부분이 솔대에 대해 L자 형상으로 꺽여져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브러쉬를 삽입할 때, 어금니와 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어금니와 볼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브러쉬가 어금니에 접촉하면서 치간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치간 외측에서 빈번하게 구부러진다.
브러쉬 회동형 치간칫솔은 사용자가 일일이 브러쉬 부분을 회동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브러쉬 자유절곡형 치간칫솔 역시, 사용자가 일일이 브러쉬 부분을 절곡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브러쉬 부분이 외력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브러쉬가 어금니 영역의 치간 입구에 걸리면서 치간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치간 외측으로 빈번하게 구부러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전치와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이 협소한 어금니 영역에서도 브러쉬가 치간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삽입되는 치간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치간칫솔에 있어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파지부에 대한 상기 브러쉬결합부의 일 방향 굽힘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 굽힘을 한정하는 굽힘부를 갖는 솔대와; 상기 브러쉬결합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굽힘부는 파지부의 선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굽힘홈과 굽힘억제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굽힘홈과 굽힘억제홈은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굽힘홈의 양 내측면은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굽힘억제홈의 양 내측면은 상호 협소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굽힘홈의 양 내측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며, 상기 굽힘홈의 양 내측면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파지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굽힘홈은 사용자의 치간에 대응하는 상기 파지부의 제1만곡면 측에 형성되고, 굽힘억제홈은 상기 제1만곡면의 반대측 제2만곡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파지부의 양측에는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브러쉬의 심선은 브러쉬결합부에 인서트되거나, 브러쉬는 브러쉬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전치와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이 협소한 어금니 영역에서도 브러쉬가 치간으로 간단하고 정확하게 삽입되는 치간칫솔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치간칫솔 선단부의 굽힘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1)은 솔대(3)와, 솔대(3)의 선단부 영역에 결합되어 치간을 세정하는 브러쉬(5)와, 브러쉬(5)를 감싸는 브러쉬캡(7)을 포함한다.
솔대(3)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0)와, 파지부(10)의 선단부에서 사용자의 치아측으로 굽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20)와, 브러쉬결합부(20)를 굽힘 가능하게 하는 굽힘부(30)를 가지고 있다. 이 솔대(3)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파지부(10)와 브러쉬결합부(20) 및 굽힘부(3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대(3)의 파지부(10)는 만곡된 형상이 바람하다. 이는 일반적인 인체의 치아교열 구조를 평면에서 볼 때 어금니 영역으로부터 전치를 향하는 구간이 만곡된 구조인 것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이에 의해, 어금니 영역의 치간을 세정할 때, 솔대(3)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지부(10)가 사용자의 치열에 밀착된다. 물론, 솔대(3)의 파지부(10)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일자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솔대(3)의 파지부(10)는 사용자가 솔대(3)를 움직일 때, 이 힘이 브러쉬(5)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치아 교열 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치간을 세정할 때, 적절한 힘이 브러쉬(5)로 전달되고, 사용자가 구강 내에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된다.
또한, 파지부(10)의 길이방향 중간 영역 양 측면에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찰면(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찰면(15)은 사용자가 검지와 엄지 손가락으로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미세한 돌기 등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솔대(3)의 브러쉬결합부(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5)가 결합되어 있는데, 브러쉬(5)의 결합구조는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5)의 심선(5a) 후단부 영역이 브러쉬결합부(20)에 인서트 사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브러쉬(5)의 결합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5)의 후단부와 솔대(3)의 브러쉬결합부(20)에 상호 착탈 가능한 형상 맞춤 구조(21)나 나사 체결 구조(23)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솔대(3)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브러쉬(5) 부분만을 리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항상 위생적인 브러쉬(5)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솔대(3)의 굽힘부(30)는 브러쉬결합부(20)의 일 방향 굽힘을 허용하는 굽힘홈(31)과, 브러쉬결합부(20)의 반대 방향 굽힘을 한정하는 굽힘억제홈(33)과, 굽힘홈(31)과 굽힘억제홈(33)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편(35)으로 이루어진다.
굽힘홈(31)과 굽힘억제홈(33)은 파지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연결편(35)은 솔대(3)의 사출 성형시 굽힘홈(31)과 굽힘억제홈(33)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파지부(10)와 브러쉬결합부(20)가 연결되는 구조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 중 굽힘홈(31)은 양 내측면이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브러쉬(5)와 파지부(10)의 선단부 영역이 거의 직선을 이룰 때 굽힘홈(31)의 양 내측면이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브러쉬결합부(20)는 도 5와 같이, 굽힘홈(31)의 양 내측면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서 파지부(10)의 선단부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꺽인다.
이 굽힘홈(31)은 파지부(10)의 양 만곡면 중 사용자의 치간에 대응하는 제1만곡면(11) 측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브러쉬결합부(20)가 꺽인 위치에서 브러쉬(5)는 사용자의 치간을 향한다.
여기서, 굽힘홈(31)은 원호 형상의 홈 등 브러쉬결합부(20)를 파지대의 선단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굽힐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굽힘억제홈(33)은 파지부(10)의 반대측 제2만곡면(13) 측에 형성되며, 양 내측면이 상호 협소한 간격으로 인접하게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굽힘억제홈(33)의 양 내측면 간의 간격은 거의 접하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과 같이, 브러쉬결합부(20)가 굽힘홈(31)의 반대측으로 굽혀지려고 할 때, 굽힘억제홈(33)의 양 내측면이 접하면서 브러쉬결합부(20)의 반대 방향 굽힘이 한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브러쉬(5)가 어금니 영역에서 임의로 사용자의 볼 측으로 꺽이지 않는다.
여기서, 굽힘억제홈(33)은 브러쉬결합부(20)가 굽힘홈(31)의 반대측으로 최대한 굽혀지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굽힘억제홈(33)의 양 내측면이 협소한 각도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굽힘부(30)는 도 10에 도시된 치간칫솔(1')과 같이, 파지부(10)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굽힘홈(31)과 연결편(35)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브러쉬캡(7)은 브러쉬(5)를 감싸면서 파지부(10)의 선단부 영역에 형상 맞춤되면서 전후방 관통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브러쉬캡(7)은 치간칫솔(1)을 사용하지 않을 때 브러쉬(5)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후방으로 관통된 구조에 의해서 브러쉬(5)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물론, 브러쉬캡(7)은 전방이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1)을 이용하여 어금니 영역의 치간 세정 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치간칫솔(1)을 브러쉬(5) 측부터 사용자 구강내부의 치아와 볼 사이로 삽입시켜서 브러쉬(5)의 선단부가 원하는 치간으로 이동하여 그 치간 입구 영역의 치아에 닿는다.
그리고, 파지부(1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도 8 같이, 굽힘부(30)의 굽힘홈(31) 부분이 꺽이면서 브러쉬(5)가 치간 측으로 꺽이게 된다. 이때, 브러쉬(5)는 굽힘억제홈(33)에 의해서 치간 반대측인 사용자의 볼 측으로 꺽이지 않는다. 즉, 굽힘억제홈(33)을 구성하는 2개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브러시(5)는 사용자의 볼 측으로 꺽이지 않고 치간측으로만 꺽이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계속하여 파지부(10)를 밀면 치간측으로 꺽인 브러쉬(5)가 도 9와 같이, 해당 치간으로 간단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부(10)를 반복적으로 조금씩 밀고 당기면 브러쉬(5)가 치간 사이에서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치간을 세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강 내 깊숙한 영역에 위치하는 어금니들의 치간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은 파지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서 브러쉬결합부가 일 방향 굽힘은 허용되고 반대 방향 굽힘은 한정됨으로써, 어금니와 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브러쉬가 치간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간단하게 치간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구강 내에서 브러쉬가 치간 입구의 치아에 닿는 것으로 브러쉬결합부가 자연스럽게 치간 측으로 꺽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어금니 영역의 치간을 포함하여 전치 부분의 치간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치간칫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형태의 치간칫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치간칫솔 선단부의 굽힘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간칫솔의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간칫솔의 다양한 브러쉬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솔대 5 : 브러쉬
7 : 브러쉬캡 10 : 파지부
20 : 브러쉬결합부 30 : 굽힘부
31 : 굽힘홈 33 : 굽힘억제홈

Claims (7)

  1. 치간칫솔(1)에 있어서,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20)와, 상기 파지부(10)에 대한 상기 브러쉬결합부(20)의 일 방향 굽힘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 굽힘을 한정하는 굽힘부(30)를 갖는 솔대(3)와;
    상기 브러쉬결합부(20)에 결합되는 브러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굽힘부(30)는 파지부(10)의 선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굽힘홈(31)과 굽힘억제홈(3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굽힘홈(31)과 굽힘억제홈(33)은 상기 파지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굽힘홈(31)의 양 내측면은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굽힘억제홈(33)의 양 내측면은 상호 협소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굽힘홈(31)의 양 내측면은 상호 둔각을 이루며, 상기 굽힘홈(31)의 양 내측면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4. 제2항에 있어서,
    파지부(10)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굽힘홈(31)은 사용자의 치간에 대응하는 상기 파지부(10)의 제1만곡면(11) 측에 형성되고, 굽힘억제홈(33)은 상기 제1만곡면(11)의 반대측 제2만곡면(1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파지부(10)의 양측에는 마찰면(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브러쉬(5)의 심선은 브러쉬결합부(20)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7. 제1항에 있어서,
    브러쉬(5)는 브러쉬결합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칫솔.
KR1020080082846A 2007-08-27 2008-08-25 치간칫솔 KR101008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12 2007-08-27
KR20070086012 2007-08-27
KR1020080015988A KR20090023014A (ko) 2007-08-27 2008-02-21 치간칫솔
KR1020080015988 200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150A true KR20090023150A (ko) 2009-03-04
KR101008695B1 KR101008695B1 (ko) 2011-01-17

Family

ID=40692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988A KR20090023014A (ko) 2007-08-27 2008-02-21 치간칫솔
KR1020080082846A KR101008695B1 (ko) 2007-08-27 2008-08-25 치간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988A KR20090023014A (ko) 2007-08-27 2008-02-21 치간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900230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4A (ko) 2019-06-28 2021-01-06 김수영 2-way 치간칫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428U (ko) * 1989-09-04 1991-04-25
JPH0349028U (ko) * 1989-09-07 1991-05-13
KR200225939Y1 (ko) * 2001-01-13 2001-06-01 장강식 리필용 치간칫솔
KR100415158B1 (ko) * 2002-03-08 2004-01-16 윤광영 찜통기에 부설된 광고용 회전판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695B1 (ko) 2011-01-17
KR20090023014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KR100971328B1 (ko) 칫솔
WO2009045982A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n adjustable mass centroid
KR10256901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 칫솔
JPS6392307A (ja) 長尺な歯間歯ブラシ用ハンドル
US10888403B2 (en) Interdental brush and cleaning device for the same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US20130276814A1 (en) Toothpick with floss
KR101008695B1 (ko) 치간칫솔
JP3049028U (ja) 歯間ブラシ
TWM555209U (zh) 可替換潔牙組
JP2610879B2 (ja) 歯間擦り棒
US20100101031A1 (en) Toothbrush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JP2009050708A (ja) 歯間ブラシ
KR101812314B1 (ko) 전동 치실장치용 치실 고정구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US20190200741A1 (en) Toothbrush and toothbrush handle
US20090025748A1 (en) Right angle dental flossing device
JP3827339B2 (ja) 歯ブラシ
KR100329218B1 (ko) 가변형 치실홀더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KR102616822B1 (ko) 펜 그립형 칫솔
KR20220072165A (ko) 기능성 칫솔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