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993A -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993A
KR20090022993A KR1020070117507A KR20070117507A KR20090022993A KR 20090022993 A KR20090022993 A KR 20090022993A KR 1020070117507 A KR1020070117507 A KR 1020070117507A KR 20070117507 A KR20070117507 A KR 20070117507A KR 20090022993 A KR20090022993 A KR 2009002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ilet paper
roll toilet
rotating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857B1 (ko
Inventor
오태용
Original Assignee
오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용 filed Critical 오태용
Publication of KR2009002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8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53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one or more reserve ro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복수 개의 롤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되 전방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방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과,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롤 화장지를 복수 개 삽입할 수 있는 걸이봉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회전판과, 회전판을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의 중심에서 캡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한다.이러한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에 의하면, 롤화장지가 회전방식에 의해 단일 배출구를 통해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해지면서도 장착 가능한 롤화장지의 개수의 확장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롤화장지, 회전판

Description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multi toilet roll keeing case}
본 발명은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롤 화장지를 장착할 수 있으면서 회전에 의해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일명 두루마리 화장지라고 하는 롤화장지를 보관용기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사무실, 공장 등의 화장실에는 화장실의 사용빈도가 잦아 롤화장지의 교체 주기가 매우 짧아, 관리인이 수시로 화장지 걸이에 화장지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화장지가 없는 경우 이를 보충해야 하므로 관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지의 교체시기를 연장하기 위해 1개의 대형 롤 화장지를 수용하는 화장지 보관용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곳도 있으나, 화장지의 보충 주기만이 길어 질 뿐, 화장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는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즉, 관리인이 화장지를 설치하기 위해 대향 롤 화장지 보관용기가 있는 곳에 도착하였을 때 화장지 보관용기에 화장지가 일부 남아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남아 있는 화장지를 새 화장지로 교체하면 사용하지 않은 화장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새 화장지로 교체하지 않으면 화장지의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예측할 수 없어 다 사용된 후 화장지가 없이 장시간 방치될 수 있는 관리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1997-020775호에는 두 개의 롤 화장지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배출구를 어느 한 측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지 보관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화장지 보관용기는 화장지의 장착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배출구만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3개 이상의 화장지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자 할 경우 배출구의 개폐구조가 용이하지 않고, 수평상으로 점유하는 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단일 배출구를 통해 화장지를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롤화장지의 장착 개수의 확장이 용이한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는 내부에 복수 개의 롤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되 전방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롤 화장지를 복수 개 삽입할 수 있는 걸이봉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과 대향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캡방향으로 곡률진 궤적을 갖게 돌출된 구속가이드 벽체와, 상기 구속 구속가이드 벽체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된 걸림턱을 갖는 구속 회전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구속 회전 안내 부재 내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에는 3개의 걸이봉이 회전중 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걸이봉을 잇는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분은 일정길이 직선상으로 면처리된 부분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구속가이드 벽체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면처리된 부분이 안착될 수 있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환형궤적을 갖는 환형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회전판에는 3개의 걸이봉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캡의 상기 걸이봉과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걸이봉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경로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봉이 일정깊이 진입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의 상기 배출구와 대향되는 저부에는 상기 걸이봉이 안착될 수 있게 하방으로 더 깊게 형성된 안착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에 의하면, 롤화장지가 회전방식에 의해 단일 배출구를 통해 사용가능하게 되어 구조가 단순해지면서도 장착 가능한 롤 화장지의 개수의 확장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100)는 하우징(110), 캡(120), 회전판(130), 회전 손잡이(14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복수 개의 롤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112)을 갖되 전방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114)가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 내측에는 캡(120)을 결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 수납구(116)가 마련되어 있고, 수납구(116) 위의 상단에는 수납구(116)와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캡(120)은 하우징(110)의 전방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착탈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캡(120)은 하우징(110)내로 진입될 수 있는 측벽을 갖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캡(110)의 상단에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수납구(116)에 삽입될 수 있는 끼움편(122)이 마련되어 있다. 캡(120)의 중앙에는 후술되는 회전손잡이(14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캡(120)은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10)내의 롤화장지(200)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게 참조부호 126으로 표기된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투명처리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편(122)에는 핀(150)을 삽입될 수 있는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캡(120)은 하우징(110)의 수납구(116)에 끼움편(122)을 삽입시킨 후 핀(150)을 삽입홀(117)을 통해 끼움편(122)의 홀(123)까지 진입시키면 캡(120)이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캡(120)을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시켜 전방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자물쇠에 의해 록킹 시킬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회전판(130)은 하우징(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 베이스부재(132)와, 원형 베이스 부재(132) 상에 3개의 롤 화장지(200)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삽입할 수 있는 위치상에서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걸이봉(135)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이봉(135)은 롤화장지(200)가 삽입시 후술되는 구속회전 안내부재(160)의 걸림턱(161)과은 약간 이격되도록 2단으로 단차진 봉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걸이봉(135)의 개수는 공간 이용율을 고려하여 3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개 이상을 적요하고 하는 경우 회전판(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면 된다.
또한, 회전판(130)의 중앙에는 회전판(130)의 중심에서 캡(120)에 형성된 관통홀(1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회전손잡이(140)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140)의 종단은 사용자의 파쥐 및 회전이 용이하게 일자형태로 형성된 파쥐부(142)가 마련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캡(120) 외측에서 파쥐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파쥐부(142) 보다 외경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파쥐부(142)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보조 손잡이를 더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회전판(130)이 하우징(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속함과 아울러 캡(120)을 분리시 회전판(130)의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을 억제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도록 구속 회전 안내 부재(160)가 하우징(110)의 캡(120)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구속 회전 안내 부재(16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서 캡방향으로 원형형태의 곡률진 궤적을 갖게 돌출된 구속가이드 벽체(161)와, 구속 구속가이드 벽체(161)의 상면 중 배출구(114)와 대향되는 저부 일부 영역에서 하우징(110)의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된 걸림턱(16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턱(162)의 형성영역은 반원 보다는 작은 호의 길이를 갖게 적용하면 된다.
또한, 구속 가이드 벽체(161)의 높이는 회전판(120)의 두께 보다 약간 크게 적용하면 되고, 회전판(130)은 구속 회전 안내 부재(160) 내에서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걸림턱(162)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전판(130)을 구속 회전 안내 부재(160)의 걸림턱(162) 내에 삽입되게 장착하고, 걸이봉(135)에 일반 롤 화장지(200)를 삽입한 후 캡(120)을 하우징(11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실제 사용에 있어서, 3개의 걸이봉(135) 중 배출구(114)와 인접된 최하방에 위치한 걸이봉(135)에 장착된 롤 화장지(200)를 모두 사용된 후에는 회전손잡이(140)를 돌려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롤화장지(200)가 장착된 걸이 봉(135)이 배출구(114)와 대향되는 하부 위치로 이동되게 조작하면 된다. 이 경우 소진된 롤화장지(200)에 의해 회전판(130)의 무게중심이 배출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하방과는 다른 위치로 편중되어 자유회전되거나 최하부의 걸이봉(135)의 위치가 회전궤적상의 최하부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판(130)이 구속 가이드 벽체(161)에 대해 약간 힘을 주어야 회전가능하게 이격 공차를 적게 적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0a)의 회전중심에서 걸이봉(135)을 잇는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회전판(130a)의 가장자리부분 즉, 회전판(1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3개의 걸이봉(135)을 각각 잇는 선상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부분까지는 가장자리가 직선상으로 면처리된 부분(132a)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의 배출구(114)와 대응되는 부분의 구속가이드 벽체(161)의 저면에는 회전판(130a)의 면처리된 부분(132a)이 선밀착에 의해 안착될 수 있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61a)과, 수평부분(161a)으로부터 환형궤적을 갖는 환형부분(161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면 된다. 면처리된 부분(132a)과 수평부분(161a)이 상호 선접합된 상태에서 걸이봉(135)을 회전시 회전손잡이(140)를 약간드는 방향으로 조정하면서 회전시키면 된다.
또 다르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0)의 걸이봉(135)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걸이봉(135)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게 걸이봉(135)의 종단이 일정깊이 진입할 수 있는 두 개의 원형 벽체로 된 가이드레일(127)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27)은 걸이봉(135)이 자유회전할 수 있는 원형 경로를 형성하되 가이드레일(127) 상의 배출구(114)와 대향되는 저부에는 진입된 걸이봉(135)이 안착될 수 있게 하방으로 더 깊게 호형으로 형성된 안착구(128)를 갖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구(128)에 걸이봉(135)이 진입된 상태에서는 롤화장지(200)를 인출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롤화장지의 회전 또는 롤화장지(200)의 소모에 의한 편심에 대해서도 걸이봉(135)이 안착구(128)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위치 조정력을 갖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의 하우징과 회전판을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4)

  1. 내부에 복수 개의 롤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되 전방이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롤 화장지를 복수 개 삽입할 수 있는 걸이봉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대향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캡방향으로 곡률진 궤적을 갖게 돌출된 구속가이드 벽체와, 상기 구속 구속가이드 벽체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방향을 향해 연장된 걸림턱을 갖는 구속 회전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구속 회전 안내 부재 내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3개의 걸이봉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걸이봉을 잇는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분은 일정길이 직선상으로 면처리된 부분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구속가이드 벽체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면처리된 부분이 안착될 수 있게 수평상으로 연장된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으로부터 환형궤적을 갖는 환형부분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3개의 걸이봉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캡의 상기 걸이봉과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걸이봉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경로를 갖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봉이 일정깊이 진입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 상의 상기 배출구와 대향되는 저부에는 상기 걸이봉이 안착될 수 있게 하방으로 더 깊게 형성된 안착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KR1020070117507A 2007-08-28 2007-11-16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KR100954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7434 2007-08-28
KR1020070087434 200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93A true KR20090022993A (ko) 2009-03-04
KR100954857B1 KR100954857B1 (ko) 2010-04-28

Family

ID=4069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507A KR100954857B1 (ko) 2007-08-28 2007-11-16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130A (zh) * 2012-08-03 2012-10-31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生活用纸存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3382A1 (fr) * 2017-11-13 2019-05-17 Marcel Genovardo Dispositif pour stocker, distribuer et utiliser le papier toilet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690U (ko) 1987-02-21 1988-08-29
JPH0838389A (ja) * 1994-08-03 1996-02-13 Hiromichi Shimizu 壁掛型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H08228959A (ja) * 1994-12-28 1996-09-10 Hirotoshi Koyama トイレットペーパホルダ
US7461810B2 (en) * 2004-11-12 2008-12-09 Georgia-Pacifiic Consumer Products Lp Tissue roll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130A (zh) * 2012-08-03 2012-10-31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生活用纸存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857B1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3749B2 (ja) キーボックス構造
US8573715B1 (en) Dual hinged dispenser cabinet
KR100954857B1 (ko) 멀티 롤 화장지 장착용 보관 용기
JP2007300960A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101102519B1 (ko) 개폐식 가구용 손잡이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JP3976527B2 (ja) 回胴式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1254920B1 (ko) 휴지롤 교체가 쉬운 휴지 디스펜서
KR200415061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JP4622927B2 (ja) 包丁差し
TWI267579B (en) Electrically controlled padlock
KR200447342Y1 (ko) 양방향 인출식 휴지케이스
CN201356501Y (zh) 一种圆形卷纸盒
JP5297984B2 (ja) 錠前のこじ開け防止装置
JPH0722157Y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CN217907546U (zh) 一种防水纸巾盒
KR102605112B1 (ko) 자동리필 휴지걸이
CN221024940U (zh) 一种收纳箱
CN202299725U (zh) 旋转式门锁
CN210541245U (zh) 一种干手机
CN210495241U (zh) 一种六边形瓦楞纸城堡玩具
EP2375950A1 (en) Storage cabinet for storing flat batches of male hygienic wipes
KR200429637Y1 (ko)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JPH02140120A (ja) 汚物入れ器
KR20090070815A (ko) 다이얼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