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713A -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713A
KR20090019713A KR1020080080846A KR20080080846A KR20090019713A KR 20090019713 A KR20090019713 A KR 20090019713A KR 1020080080846 A KR1020080080846 A KR 1020080080846A KR 20080080846 A KR20080080846 A KR 20080080846A KR 20090019713 A KR20090019713 A KR 2009001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point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deo data
featur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로 가끼따
게이따 시라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부;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을 기억하는 제2 기억부;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기초한 제1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기; 제1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제1 기억부에 기억된 특징량을 판독하는 제2 판독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을 제2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특징량과 비교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가 제2 기억부에 기억된 특징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와 맞는지를 판정하는 대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80080846
콘텐츠 검색 장치, 동화상 입력부, 비디오 디코드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 DC 사전 등록부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7년 8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7-213221호에 관련된 기술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록된 동화상 콘텐츠로부터 입력된 동화상 콘텐츠와 유사한 것을 검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기술이 향상하고, 각 정보를 고속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이 통신에 관한 신뢰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동화상 관리 서버에 동화상을 업 로드해 두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퍼스널 컴퓨터) 간에서 동화상을 공유하여 열람하는 것이 가능한 동화상 공유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자택의 퍼스널 컴퓨터와 동화상 관리 서버를 접 속하고, 자택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동화상 관리 서버에 동화상을 업 로드해 두고, 이 동화상을 다른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열람하는 것이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동화상 공유 시스템에서는, 업 로드된 동화상이, 유저에 의해 스스로 작성된 것인 경우가 있음과 함께,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 동화상인 경우도 생각된다.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 동화상이 업 로드된 경우에는, 그 동화상을 업 로드 금지로 하는 등에 의해 타인에게 열람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동화상 관리 서버의 관리자가 업 로드된 각 동화상을 보고,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업 로드되는 동화상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모든 동화상을 관리자가 보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정 화상과의 일치 판정이나 유사 판정을 행하고, JPEG2000 시스템 등에 따라서 압축 부호화된 영상 콘텐츠를 완전하게 복호하지 않고, 특정 화상과 일치하는 화상을 검색하는 화상 검색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285615호 공보 (도 1) 참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코드 스트림과 특정 화상 사이에서, 동일한 위치의 코드 블록끼리의 제로비트 플레인 수(number of zero-bit planes)를 비교함으로써, 코드 스트림을 완전하게 복호 하지 않고 일치 판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동화상 콘텐츠는 시계열로 배열하는 대량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동화상 콘텐츠로부터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특징량을 추출하면, 그 특징량이 방대하게 되고, 그들을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 많아지고, 또한, 비교 처리에 필요로 하는 연산량이 많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화상 콘텐츠로부터 추출하는 특징량을 삭감하고, 효율적으로 동화상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부(memory);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을 기억하는 제2 기억부;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기초한 제1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기; 제1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제1 기억부에 기억된 특징량을 판독하는 제2 판독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을 제2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특징량과 비교하여, 입력 비디오 데이터가 제2 기억부에 기억된 특징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와 맞는지를 판정하는 대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화상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특징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동화상 콘텐츠의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대상들은,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도시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텐츠 검색 장치(100)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콘텐츠 검색 장치(100)는, 동화상 입력부(110)와, 비디오 오디오 디멀티플렉서(120)와, 비디오 디코드부(130)와, 특징량 추출부(200)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와, 특징량 대조부(150)와, 판정 결과 출력부(160)를 구비한다. 이 콘텐츠 검색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로 촬영된 동화상(동화상 콘텐츠)에 대해서, 영상 해석에 의해 특징량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특징량을 이용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동화상 입력부(110)는, 동화상을 입력하는 동화상 입력부로서, 입력된 동화상을 비디오 오디오 디멀티플렉서(120)에 출력한다. 동화상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동화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에서 촬영된 동화상이나 텔레비전 방송에 서 수신된 동화상 등이 생각된다.
비디오 오디오 디멀티플렉서(120)는, 동화상 입력부(110)로부터 출력된 동화상에 대해서, 비디오 데이터(신호)와 오디오 데이터(신호)로 분리하는 것이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드부(130)에 출력한다.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이용되지 않는다.
비디오 디코드부(130)는, 비디오 오디오 디멀티플렉서(120)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생성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특징량 추출부(200)에 출력한다.
특징량 추출부(200)는, 비디오 디코드부(130)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추출하는 것으로서, 추출된 특징량을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 및 특징량 대조부(15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징량 추출부(200)가 추출하는 특징량으로서, 동화상에서의 체인지점의 간격(이하, 체인지점 간격이라고 함)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체인지점은, 예를 들면, 동화상에서 촬영 장면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그 경계점을 나타내는 컷트 체인지점이나, 동화상에서 촬영 장면이 비교적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서의 그 경계점을 나타내는 크로스페이드점(crossfade point)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체인지점 간격은, 연속하는 체인지점간의 구간에서의 시간이나 프레임수 등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징량 추출부(200)에 의해 추출된 체인지점 간격은, 시계열로 배열되어,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구성한다.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는, 특징량 추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체인지점 간 격 리스트를 동화상 콘텐츠마다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는, 특징량의 대조 시에, 저장되어 있는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특징량 대조부(150)에 출력한다.
특징량 대조부(150)는, 특징량 추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대조하고, 이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동화상 입력부(110)에 입력된 동화상과,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대응하는 동화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 특징량 대조부(150)에 의한 대조 판정 결과는, 일치 리스트로서 판정 결과 출력부(160)에 출력된다. 즉, 특징량 대조부(150)는, 동화상 입력부(110)에 입력된 동화상과 일치하는 동화상에 대응하는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중으로부터 검색한다.
판정 결과 출력부(160)는, 특징량 대조부(150)로부터 출력된 일치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징량 대조부(150)로부터 출력된 일치 리스트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텐츠 검색 장치(100)는, 동화상 콘텐츠의 체인지점 간격을 대조함으로써, 동화상 콘텐츠의 내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동화상 콘텐츠와 체인지점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체인지점의 일례로서, 컷트 체인지점을 예로 들어 설명 한다. 도 2는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29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271 내지 279)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화상(271 내지 279)은, 1개의 동화상(290)에 포함되는 화상이지만, 촬영된 시각 및 장소가 상이한 4개의 씬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씬이 절환하는 프레임에서는 피사체의 구도나 색 등이 순간적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연속하는 2프레임간에서의 그러한 변화를 검출하여, 컷트 체인지점으로서 판별한다.
예를 들면, 화상(271 내지 273)은, 거리를 걷고 있는 인물을 촬영한 것으로서, 인물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인물의 위치가 다소 상이하지만, 화상 전체에서는 유사한 인상으로 된다. 이 때문에, 화상(271 내지 273)에 관한 연속하는 2프레임간에서 변화가 없기 때문에, 그 연속하는 2프레임간은 컷트 체인지점이 아니라고 판별된다.
화상(274 또는 275)은, 산 앞의 늘어선 집을 촬영한 것으로서, 촬상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소 상이하지만, 화상 전체에서는 유사한 인상으로 된다. 그러나, 화상(273)과 화상(274)을 비교한 경우에는, 촬영된 시각 및 장소가 상이한 씬의 절환 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화상 전체가 크게 상이하다. 이 때문에, 화상(273)과 화상(274)의 경계가 컷트 체인지점(281)으로 된다.
또한, 화상(275)과 화상(276)의 경계, 및, 화상(277)과 화상(278)의 경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컷트 체인지점(282 및 283)으로서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출된 컷트 체인지점에 의해 구획되는 구간을 컷트 체인지 점 구간(leg between cut-change points)이라고 부르고, 그 컷트 체인지점 구간의 길이를 컷트 체인지점 간격(cut-chage point interval)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체인지점의 일례로서 컷트 체인지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체인지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체인지점에 의해 구획되는 구간을 체인지점 구간이라고 부르고, 그 체인지점 구간의 길이를 체인지점 간격이라고 부른다.
이 체인지점은, 동화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의 계조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판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체인지점 판별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모두 화상 전체에서의 각 화소의 휘도 신호 Y, 색차 신호(청) Cb 및 색차 신호(적) Cr의 각 요소 또는 전체 요소에 의한 히스토그램이며, 횡축은 계조를 나타내고, 종축은 빈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3a은 동화상 a의 히스토그램이고, 도 3b은 동화상 a에 계속되는 동화상 b의 히스토그램이다. 또한, 도 3c은 동화상 a 및 b의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차분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3c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이, 도 3a 및 3b에 도시하는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차분값에 상당하는 영역이다. 이 차분값의 총합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동화상 a와 동화상 b 사이가 컷트 체인지점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추출부(200)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특징량 추출부(200)는, 컬러 히스토그램 추출부(210)와,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와, 임계값 유지부(230)와, 컷트 체인지 점 판별부(240)와,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250)를 구비한다.
컬러 히스토그램 추출부(210)는, 비디오 디코드부(130)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버퍼에 유지하여, 이 버퍼에 유지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로부터 화면 전체에서의 각 화소의 휘도 신호 Y, 색차 신호(청) Cb 및 색차 신호(적) Cr의 컬러 히스토그램을 샘플링하고, 이 샘플링된 컬러 히스토그램에 대해서, 계조를 N단계(예를 들면, N=16)로 나누고, 각 계조에서의 빈도의 합이 일정하게 되도록 정규화를 행하는 것이다. 이 히스토그램의 일례는, 도 3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이 컬러 히스토그램 추출부(210)는, 정규화가 실시된 Y, Cb 및 Cr의 히스토그램을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에 출력한다.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는, 컬러 히스토그램 추출부(210)로부터 출력된 프레임마다의 Y, Cb 및 Cr의 컬러 히스토그램에 대해서, 연속하는 2프레임간에서의 컬러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차분값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산출된 히스토그램 차분값을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에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속하는 2프레임에 대응하는 도 3a 및 b에 도시하는 컬러 히스토그램의 면적의 차분값으로서, 도 3c에 사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의 면적의 값이 산출된다.
임계값 유지부(230)는, 연속하는 2프레임간이 컷트 체인지점인지의 여부를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가 판별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임계값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유지되어 있는 임계값을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에 출력한다.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는,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로부터 출력된 히스토그램 차분값이, 임계값 유지부(230)에 유지되어 있는 임계값 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연속하는 2프레임간이 컷트 체인지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즉,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는,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로부터 출력된 히스토그램 차분값이, 임계값 유지부(230)에 유지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히스토그램 차분값에 대응하는 연속하는 2프레임간이 컷트 체인지점이라고 판별하여, 그 프레임간에 대응하는 시각을 컷트 체인지점의 시각으로서,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250)에 출력한다. 한편,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는,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220)로부터 출력된 히스토그램 차분값이, 임계값 유지부(230)에 유지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그 히스토그램 차분값에 대응하는 연속하는 2프레임간이 컷트 체인지점이 아니라고 판별한다. 이와 같이 컷트 체인지점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250)에는 시각이 출력되지 않는다.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250)는,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로부터 출력된 컷트 체인지점의 시각에 기초하여, 인접하는 2개의 컷트 체인지점간의 시간 간격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산출된 컷트 체인지점의 간격을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 및 특징량 대조부(150)에 출력한다. 즉,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250)는,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240)로부터 컷트 체인지점의 시각이 출력된 경우에는, 이 시각과, 이 시각의 직전에 출력된 시각의 차의 값을 산출하여, 인접하는 2개의 컷트 체인지점간의 시간 간격을 산출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컷트 체인지점간의 간격으로서, 이 컷트 체인지점간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프레임수를 컷트 체인지점의 간격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는, 1 또는 복수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 805, 806)가 저장되어 있다.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는, 특징량 추출부(200)로부터 출력된 컷트 체인지점의 간격을 순차 저장하여 작성하도록 해도 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추출된 컷트 체인지점의 간격을 순차 저장하여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에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이 시계열로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대응하는 동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에 관련지어져 있다. 콘텐츠 ID는, 콘텐츠 검색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을 검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ID로서, 예를 들면,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로서, "#123"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서는, 대응하는 동화상에서 추출된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식별 번호로서 노드 ID(802)를 붙여서 설명한다.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은, 대응하는 동화상에서 추출된 컷트 체인지점 간격을 시간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각이 빠른 순서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1 또는 복수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동화상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동화상에 대하여 일치 검색을 하는 경우에는,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1개씩 읽어내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대조부(150)에 의한 대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읽어낸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 및 검색 대상으로서 동화상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동화상에서 추출된 컷트 체인지점 간격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대조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와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를 대조하여, 이들 리스트에 대응하는 동화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의 비교 대상으로 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된다. 예를 들면,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가 판출된다. 계속해서,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의 값과,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을 노드 ID의 순번으로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값이 검출된다. 예를 들면,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에서의 노드 ID(802)의 "11"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의 값 "0:00:05.605"과,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에서의 노드 ID(822)의 "21"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 "0:00:05.605"이, 화살표(83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치한다(841). 도 7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각 값의 전반 부분을 생략하여 도 시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값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 일치한 값의 다음의 노드 ID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값이 2개의 리스트의 각각으로부터 판독된다. 예를 들면,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에서의 노드 ID(802)의 "12"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의 값"0:00:03.603"과,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에서의 노드 ID(822)의 "22"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 "0:00:03.570"이 취출된다. 그리고, 취출된 2개의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842). 일치한 경우에는, 이 일치한 값의 다음의 노드 ID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값이 2개의 리스트의 각각으로부터 판독되고,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한편, 도 6 및 도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된 2개의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842), 비교 대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값 중의 작은 값이 취출된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로부터, 이 값의 다음의 노드 ID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값이 취출되고, 취출된 값과, 비교 대상으로 되어 있는 값이 가산된다. 예를 들면, 컷트 체인지점 간격(803)의 값 "0:00:03.603"과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0:00:03.570"을 비교한 경우에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0:00:03.570"이 작다. 이 때문에,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에서의 노드 ID(822)의 "23"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 "0:00:01.634"가 취출되고, 컷트 체인지점 간격(823)의 값 "0:00:03.570"에 가산된다(843).
계속해서, 가산된 가산값과, 가산의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값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844). 일치한 경우에는, 이 일치한 값의 다음의 노드 ID에 대응하는 컷트 체인지점 간격의 값이 2개의 리스트의 각각으로부터 판독되고,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와 같이, 최초의 일치한 값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값을 순차적으로 가산하여, 2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소정의 범위로서, 예를 들면, 노드 ID가 3개인 범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화살표(831)로 연결되는 최초로 일치한 값으로부터, 노드 ID가 3개인 범위(832) 내에서, 가산 처리(843, 845, 847)가 행해짐과 함께, 비교 처리가 행하여진다(842, 844, 846, 848). 그 결과, 노드 ID가 3개인 범위(832) 내에서, 화살표(833)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비교 대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값이 일치한다(848).
이와 같이, 최초로 일치한 값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서, 2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값이 일치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이 일치한 각 값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값을 순차적으로 가산하여, 2개의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소정의 범위로서, 예를 들면, 최초의 범위와 마찬가지로, 노드 ID가 3개인 범위로 하도록 해도 되고, 상이한 값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화살표(833)로 이어지는 일치한 값으로부터,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00)에서의 노드 ID가 3개인 범위(835) 내, 및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820)에서의 노드 ID가 3개인 범위(834) 내에서, 가산 처리(850, 852)가 행하여짐과 함께, 비교 처리가 행하여진다(849, 851, 853). 그리고, 노드 ID가 3개인 범위(834 또는 835) 내에서, 화살표(836)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비교 대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값이 일치한다(853).
또한, 최초로 일치한 값 또는 2회째 이후에 일치한 값을 기준으로 하여 판독된 2개의 값 중의 적어도 1개가 가산 전에 일치한 경우에는, 그 1개의 값에 대해서는 가산 처리를 하지 않고, 이 일치한 값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의 비교 처리를 행한다.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산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리스트에서, 일치하는 값의 검출을 다시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텐츠 검색 장치(100)는, 동화상 콘텐츠의 체인지점 간격을 대조함으로써, 동화상 콘텐츠의 내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대조 시, 인접하는 체인지점 구간의 체인지점 간격을 가산함으로써, 체인지점의 검출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트 레이트가 상이한 동화상 콘텐츠끼리의 비교에서 검색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을 수반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징량으로서 체인지점 간격을 이용함으로써, 비트 레이트나 화상 틀이 상이한 동화상 콘텐츠를 높은 정밀도로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데이터베이스의 주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의 특징량 추출부(20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 및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를, 도 1의 특징량 데이터베이스(14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를, 도 1의 특징량 대조부(15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특징량 대조부(340)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는,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 특징량을 등록하는 대상으로 되는 동화상 콘텐츠(이하, 등록 동화상이라고 함)로부터 그 특징량으로서 체인지점 간격을 추출하는 것이다.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는, 검색 대상으로 하여 입력된 동화상 콘텐츠(이하, 입력 동화상이라고 함)로부터 그 특징량으로서 체인지점 간격을 추출하는 것이다. 양자는, 특징량의 추출 대상인 동화상 콘텐츠가 상이하지만, 기본적인 구성에 상위는 없고, 도 4에 의해 설명한 특징량 추출부(2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는,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을 기억부로서 갖고, DC 사전(600)에 등록 동화상을 등록하기 위한 DC 사전 등록부(321)와, CD 사전(700)에 등록 동화상을 등록하기 위한 CD 사전 등록부(322)와, DC 사전(600)을 참조하기 위한 DC 사전 참조부(323)와, CD 사전(700)을 참조하기 위한 CD 사전 참조부(324)를 구비하고 있다. DC 사전(600)은, 체인지점 간격(Duration)을 키로 하여 콘텐츠 ID(Content ID)를 참조하기 위한(Duration to Content ID) 사전이다. 한편, CD 사전(700)은,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체인지점 간격을 참조하기 위한(Content ID to Duration) 사전이다.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에 의해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이 추출되면, 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및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는 신호선(319)을 통하여 DC 사전 등록부(321) 및 CD 사전 등록부(322)에 공급된다. 그리고, DC 사전 등록부(321)로부터 DC 사전(600)에, CD 사전 등록부(322)로부터 CD 사전(700)에, 각각 등록이 행하여진다.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에 의해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이 추출되면, 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및 입력 동화상의 콘텐츠 ID는 신호선(339)을 통하여 DC 사전 참조부(323) 및 특징량 대조부(340)에 공급된다. 그리고, DC 사전 참조부(323)는,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DC 사전(600)을 참조하여, 읽어내어진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를, 신호선(328)을 통하여 CD 사전 참조부(324)에 공급한다. CD 사전 참조부(324)는, DC 사전 참조부(323)로부터 공급된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CD 사전(700)을 참조하여, 읽어내어진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특징량 대조부(340)에 공급한다.
특징량 대조부(340)는,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로부터 공급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CD 사전 참조부(324)로부터 공급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대조함으로써, 등록 동화상과 입력 동화상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 대조의 내용은, 도 6 및 도 7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 대한 조작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 시에는,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에 의해 추출되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 등록된다. 이에 의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와 함께 축적되어 간다.
한편,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조 시에는,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에 의해 추출되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읽어내어진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대조된다.
도 9a 및 9b에서는,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 정적으로 등록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대조 시에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추출하였을 때에, 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도 9c와 같이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 동적으로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입력 동화상의 콘텐츠 ID와 함께 축적해 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과 CD 사전(700)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DC 사전(600)은,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서 참조되어,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를 출력한다. 이 예에서는,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 "30"을 키로 하여, 콘텐츠 ID "#20"을 출력하고 있다.
CD 사전(700)은, DC 사전(600)로부터 출력된 콘텐츠 ID를 키로서 참조되어,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출력한다. 이 예에서는, DC 사전(600)로부터 출력된 콘텐츠 ID "#20"을 키로 하여,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출력하고 있다.
CD 사전(700)에는, 등록 동화상 각각에 대해서, 콘텐츠 ID에 관련지어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이 CD 사전(700)의 모든 내용을 참조 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찾아내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과 일치하는 체인지점 간격을,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중으로부터 검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CD 사전(700)의 모든 내용을 참조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C 사전(600)에서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그 체인지점 간격을 포함하는 등록 동화상의 콘텐츠 ID를 출력함으로써, CD 사전(700)에서 참조할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좁히고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은 개념적인 것으로서, 그 실현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DC 사전(600)은, 헤더(610)에 이어서, 제1 레이어(620, 630) 및 제2 레이어(640, 650)의 계층 구조를 취한다. 또한,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는, 각각, 인덱스부와 유닛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1 레이어의 인덱스부를 L1 인덱스(620), 제1 레이어의 유닛부를 L1 유닛(630)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2 레이어의 인덱스부를 L2 인덱스(640), 제2 레이어의 유닛부를 L2 유닛(650)이라고 부른다.
헤더(610)는, 간격 선두값(611), 간격 총수(612), L1 선두 어드레스(613), 및 L2 선두 어드레스(614)를 기억한다. 간격 선두값(611)은, DC 사전(600)에 기억되는 체인지점 간격의 선두의 값을 기억하는 필드이다. 간격 총수(612)는, DC 사전(600)에 기억되는 체인지점 간격의 총수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L1 선두 어드레 스(613)는, L1 인덱스(620)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L2 선두 어드레스(614)는, L2 인덱스(640)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L1 인덱스(620)는, L1 유닛(630)에 대한 인덱스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서, 각 레코드에 대해서, 간격 개시값(621)과, 간격 폭(622)과, 데이터수(623)와, 오프셋(624)을 기억한다. 간격 개시값(621)은, 대응하는 레코드의 체인지점 간격의 개시값을 기억하는 필드이다. 간격 폭(622)은, 대응하는 레코드에 포함될 체인지점 간격의 폭(개수)을 기억하는 필드이다. 데이터수(623)는, L1 유닛(63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구간 정보)의 수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오프셋(624)은, L1 유닛(63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의 포인터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L1 유닛(630)은, 레코드마다, 구간 정보(631)를 기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간 정보(631)는 체인지점 간격(632) 및 콘텐츠 ID(633)의 각 필드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체인지점 구간에 관한 정보로서, 그 체인지점 구간의 체인지점 간격과, 그 체인지점 구간을 포함하는 동화상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기억한다. 이 구간 정보(631)는, 1개의 레코드에 복수 세트를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할 수 있다. 1 레코드당의 구간 정보(631)의 최대 기억 가능수는, 전체 레코드에서 동일한 고정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레코드에 오프셋(624)을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L1 유닛(630)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각 레코드의 어드레스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L2 인덱스(640)는, L2 유닛(650)에 대한 인덱스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서, 각 레코드에 대해서, 체인지점 간격(641)과, 데이터수(643)와, 오프셋(644)을 기억한 다. 체인지점 간격(641)은, 대응하는 레코드의 체인지점 간격을 기억하는 필드이다. 데이터수(643)는, L2 유닛(65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콘텐츠 ID)의 수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오프셋(644)은, L2 유닛(65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의 포인터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L2 유닛(650)은, 레코드마다, 콘텐츠 ID(651)를 기억하는 것이다. 이 콘텐츠 ID(651)는, 1개의 레코드에 복수개를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1레코드당의 콘텐츠 ID(651)의 최댁 기억 가능수는, 전체 레코드에서 동일한 고정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레코드에 오프셋(644)을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L2 유닛(650)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각 레코드의 어드레스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L2 유닛(650)의 각 레코드에는, 그 레코드를 확장하기 위한 다음 오프셋(652)을 기억할 수 있다. 1레코드당의 콘텐츠 ID(651)의 최댁 기억 가능수를 초과할 때까지는, 다음 오프셋(652)에는 특정한 어드레스를 나타내지 않는 값(널 포인터)이 설정되어 있고, 새로운 레코드가 확장된 경우에는, 그 확장된 레코드에 대한 포인터가 유지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는, 체인지점 간격(641)이 "N+1"인 레코드에 대하여 다음 오프셋(652)에 어드레스 "0x40000"이 유지되어 있고, 레코드가 확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억부 공간을 32비트로 상정하면, DC 사전(600)의 각 필드는 4바이트로 통일할 수 있다.
체인지점 간격은, 프레임을 단위로서 생각하면, 1이상의 모든 정수에 대응하 게 되고, 체인지점 간격에 상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콘텐츠 ID에도 상한이 없다. 따라서, DC 사전(600)의 모두를 1개의 유한 사이즈의 스토리지에 수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C 사전(600)을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의 계층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와 기억부의 아키텍처가 계층적인 스토리지를 갖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제1 레이어의 기억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제2 레이어에 전송된다.
원래 체인지점 간격에 상한은 존재하지 않지만, DC 사전(600)을 구현화함에 있어서는, 체인지점 간격에 상한을 설정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면, 과거의 체인지점 간격의 분포에 의해, 1분 상당 정도의 상한값을 상정하고, 그것을 초과한 경우를 위해 "상한값 이상의 체인지점 간격"의 레코드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대안적으로, 체인지점 간격이 그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1 레이어에 등록하지 않고, 제2 레이어에 직접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상한값을 초과할 가능성이 낮은 경우, 제2 레이어에 바이트 전송으로 등록해도 큰 성능상의 영향은 없다고 생각된다.
이 DC 사전(600)에서는, 일반적으로, 제2 레이어 쪽이 제1 레이어보다도 사이즈가 커진다. 제2 레이어에서는 모든 체인지점 간격에 대하여 개별로 레코드를 갖고 있다(체인지점 간격(641) 참고). 대조적으로, 제1 레이어에서는 1개의 레코드에 복수의 체인지점 간격을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간격 폭(622)), 제1 레이어 쪽이 레코드수를 좀더 잘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제1 레이어에서는 1 레코드당 N개의 체인지점 간격을 기억하고 있고, 개개의 체인지점 간격을 체인지점 간격(632)에 기억하고 있다.
도 11의 예는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의 계층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레이어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2 레이어에서도 L2 유닛(650)의 사이즈는 유한하기 때문에, 허용량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다른 스토리지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CD 사전(700)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CD 사전(700)은, 헤더(710)와, 인덱스(720)와, 유닛(730)을 구비한다.
헤더(710)는, 콘텐츠 ID 선두값(711)과, 콘텐츠 ID 총수(712)와, 인덱스 선두 어드레스(713)를 기억한다. 콘텐츠 ID 선두값(711)은, CD 사전(700)에 기억되는 콘텐츠 ID의 선두의 값을 기억하는 필드이다. 콘텐츠 ID 총수(712)는, CD 사전(700)에 기억되는 콘텐츠 ID의 총수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인덱스 선두 어드레스(713)는, 인덱스(720)의 선두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인덱스(720)는, 유닛(730)에 대한 인덱스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서, 각 레코드에 대해서, 콘텐츠 ID(721)와, 간격수(722)와, 오프셋(723)을 기억한다. 콘텐츠 ID(721)는, 대응하는 레코드의 콘텐츠 ID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간격수(722)는, 유닛(73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체인지점 간격의 수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오프셋(723)은, 유닛(73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의 포인터를 기억하는 필드이다.
유닛(730)은, 레코드마다(record-by-record), 체인지점 간격(731)을 기억하 는 것이다. 이 체인지점 간격(731)은, 1개의 레코드에 복수 세트를 시계열순으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1레코드당의 체인지점 간격(731)의 최댁 기억 가능수는, 레코드마다 상이해도 된다. 단, 유닛(730) 전체로서는 물리적으로 연속 어드레스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 CD 사전(700)에서는, DC 사전(600)과 같은 레코드 할당이 상이한 계층 구조는 상정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는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통합하여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닛(730) 자체의 사이즈는 유한하기 때문에, 허용량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다른 스토리지에 전송하는 것은 가능이다.
또한, 기억부 공간을 32비트라고 상정하면, CD 사전(700)의 각 필드는 4바이트로 통일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콘텐츠 ID가 "#20"의 동화상 콘텐츠에 관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중 선두의 4개의 노드가 시계열로 도시되어 있다. 각 노드에는 "1"로부터 올림차순으로 노드 ID가 붙여져 있다.
선두의 노드(노드 ID:1)에는 체인지점 간격으로서 "100"이 기억되어 있다. 2번째의 노드(노드 ID:2)에는 체인지점 간격으로서 "30"이 기억되어 있다. 3번째의 노드(노드 ID:3)에는 체인지점 간격으로서 "50"이 기억되어 있다. 4번째의 노드(노드 ID:4)에는 체인지점 간격으로서 "120"이 기억되어 있다.
이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예를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에 등록한 경 우의 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의 제1 레이어에 도 13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간격 폭(622)은 모두 "50"으로 설정되어 있고, 체인지점 간격이 "1" 내지 "50"까지가 제1 번째의 레코드에, 체인지점 간격이 "51" 내지 "100"까지가 제2 번째의 레코드에, 체인지점 간격이 "101" 내지 "150"까지가 제3 번째의 레코드에, 체인지점 간격이 "151" 내지 "200"까지가 제4 번째의 레코드에, 각각 기억된다.
도 13의 예에서는, 콘텐츠 ID가 "#20"인 동화상 콘텐츠에 대해서, 체인지점 간격이 "100", "30", "50" 및 "12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L1 유닛(630)에는, 제1 번째의 레코드에 체인지점 간격(632)으로서 "30" 및 "50"이 기억되고, 이들에 관련지어 콘텐츠 ID(623)로서 "#20"이 각각 기억된다.
L1 유닛(630)의 제2 번째의 레코드에는, 체인지점 간격(632)으로서 "100"이 기억되고, 이것에 관련지어 콘텐츠 ID(623)로서 "#20"이 기억된다. 또한, L1 유닛(630)의 제3 번째의 레코드에는, 체인지점 간격(632)으로서 "120"이 기억되고, 이것에 관련지어 콘텐츠 ID(623)로서 "#20"이 기억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데이터수(623)에는 L1 유닛(630)의 대응하는 레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구간 정보)의 수가 각각 기억된다. 특히, 데이터수(623)의 제1 번째의 레코드에는 "2", 제2 번째의 레코드에는 "1", 제3 번째의 레코드에는 "1"이, 각각 기억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의 제2 레이어에 도 13의 체 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와 같이 DC 사전(600)의 제1 레이어에 등록된 내용은, 이하와 같이 제2 레이어에 전송된다.
DC 사전(600)의 제2 레이어에서는, 체인지점 간격에 대하여 개별로 레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체인지점 간격(641)에는, "1"로부터 순서대로 "1"씩 증가한 값이 기억된다.
도 13의 예에서는, 콘텐츠 ID가 "#20"인 동화상 콘텐츠에 대해서, 체인지점 간격이 "100", "30", "50" 및 "12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지점 간격(641)이 "30", "50", "100" 및 "120"을 나타내는 레코드에서 콘텐츠 ID(651)에 "#20"이 기억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CD 사전(700)에 도 13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콘텐츠 ID가 "#20"인 동화상 콘텐츠에 대해서, 체인지점 간격이 "100", "30", "50" 및 "12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ID(721)가 "20"을 나타내는 레코드에서, 체인지점 간격(731)에 "100", "30", "50" 및 "120"이 기억된다. 또한, 콘텐츠 ID(721)가 "20"을 나타내는 레코드에서, 간격수(722)로서 "4"가 기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레이어간의 전송 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의 전송에 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 레이어 기억부(601)와, 제2 레이어 기억부(602)와, 제3 레이어 기억부(603)와, 등록 상태 관리부(691 및 692)와, 소트부(693)와, 전송부(694 및 696)와, 전송 제어부(695 및 697)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레이어 기억부(601)는, 도 11에서 설명한 제1 레이어(620, 630)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2 레이어 기억부(602)는, 도 11에서 설명한 제2 레이어(640, 650)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3 레이어 기억부(603)는, 제2 레이어의 허용량을 초과하였을 때에 제2 레이어로서 기억되어 있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 레이어로서 기억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레이어 기억부(601), 제2 레이어 기억부(602) 및 제3 레이어 기억부(603)의 실현예로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는, 제1 레이어 기억부(601)를 로컬 기억부, 제2 레이어 기억부(602)를 공유의 메인 기억부, 제3 레이어 기억부(603)를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상정된다.
등록 상태 관리부(691)는, 제1 레이어에서의 등록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 등록 상태 관리부(692)는, 제2 레이어에서의 등록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등록 상태로서, 예를 들면, 제1 레이어 또는 제2 레이어에 등록되는 데이터(구간 정보(631) 또는 콘텐츠 ID(651))의 수가 계수된다.
소트부(693)는, 제1 레이어 기억부(601)에 기억되어 있는 구간 정보(631)를 레코드 내에서 소트하는 것이다. L1 유닛(630)에서는 구간 정보(631)가 불규칙하게 축적되어 가는 한편, 제2 레이어에서는 체인지점 간격의 순으로 콘텐츠 ID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레이어로부터 제2 레이어에의 전송 시에는 소트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소트부(693)에서는, 전송 시에 체인지점 간격의 순으로 소트를 행한다. 이 예에서는, 전송 전에 소트를 행하고 있지만, 전송 후에 소 트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2 레이어에서는 이미 체인지점 간격의 순으로 콘텐츠 ID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레이어로부터 제3 레이어에의 전송 시에는 소트를 행할 필요는 없다.
전송부(694)는, 제1 레이어로부터 제2 레이어에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전송부(696)는, 제2 레이어로부터 제3 레이어에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전송 제어부(695)는, 제1 레이어로부터 제2 레이어에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송 제어부(697)는, 제2 레이어로부터 제3 레이어에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들 전송 제어부(695 및 697)는, 각각 등록 상태 관리부(691 및 692)에서 관리되는 등록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부(694 및 696)에서의 전송을 제어한다. 전송의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레코드에서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에 전송 처리를 기동해도 되고, 또한, 전체 레코드를 맞추어 소정수의 데이터가 등록될 때마다 전송 처리를 기동해도 된다. 이 경우, 전자를 채용할 때에는, 통계상, 각 레코드끼리에서 동일한 확률로 전송 처리가 기동되도록, 레코드 사이즈(구간 정보(631)나 콘텐츠 ID(651)의 수)를 미리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L1 유닛(630) 및 L2 유닛(650)에서의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부(694 및 696)에서는 레코드마다 버스트 전송이 가능하여, 전송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버스트 전송을 위해, L1 유닛(630)의 레코드 사이즈(구간 정보(631)의 수)는, 바이트 얼라인먼트에 대응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8바이트의 얼라인먼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체인지점 간격(632) 및 콘텐츠 ID(633)의 사이즈를 각각 4바이트로 하면, L1 유닛(630)의 레코드 사이즈 U는, 
U=128×i/(4+4)
에 의해 부여된다. 단, i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소트부(693)에 의한 소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소트 방법으로서 공지의 분포 계수 소트(distribution counting sort)를 이용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일정한 작업 영역이 필요하게 되지만, 데이터의 대소를 비교할 필요가 없어 고속이며, 또한, 동일한 키가 복수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에도 대응 가능하다. 단, 소트 대상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지점 간격에 상한값을 설정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도 18a는, 소트 대상의 L1 유닛(630)에서의 구간 정보(631)의 데이터 배열이다. 각 데이터에는 "0"으로부터 올림차순으로 인덱스가 붙여져 있다. 각 데이터는, 체인지점 간격 및 콘텐츠 ID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소트가 행하여진다.
도 18b은, 키로 되는 체인지점 간격의 출현 횟수를 기억하는 작업용의 배열이다. 여기서는, 체인지점 간격 "1"의 출현 횟수로서 "1", 체인지점 간격 "3"의 출현 횟수로서 "2", 체인지점 간격 "4"의 출현 횟수로서 "1", 체인지점 간격 "5"의 출현 횟수로서 "1"이 세어져 있다. 또한, 이 출현 횟수는 X에 의해 표현된다.
도 18c는, 키로 되는 체인지점 간격의 출현 횟수의 누적 도수를 기억하는 작업용의 배열이다. 이 예에서는, 체인지점 간격이 작은 순으로 출현 횟수 X의 누적 도수가 세어져 있다. 이 누적 도수는 Y에 의해 표현된다.
도 18d는, 소트 후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소트 방법에서는, 키로 되는 체인지점 간격의 올림차순으로 데이터 배열로 설정된다. 그때의 데이터 배열에서의 인덱스의 값은, 각 체인지점 간격에 대응하는 출현 횟수 X와 누적 도수 Y에 의해, "Y-X"로부터 "Y-1"의 사이로 된다. 예를 들면, 체인지점 간격이 "3"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2개 있지만, 이 경우에는 출현 횟수 X가 "2", 누적 도수 Y가 "3"이기 때문에, 그 인덱스는 "1" 및 "2"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L1 유닛(630)에서의 구간 정보(631)의 데이터는, 전송 시,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소트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CD 사전(700)의 전송에 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 레이어 기억부(701)와, 제2 레이어 기억부(702)와, 등록 상태 관리부(791)와, 전송부(794)와, 전송 제어부(795)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레이어 기억부(701)는, 도 12에서 설명한 인덱스(720) 및 유닛(730)을 제1 레이어로서 기억하는 것이다. 제2 레이어 기억부(702)는, 인덱스(720) 및 유닛(730)의 허용량을 초과하였을 때에 제1 레이어로서 기억되어 있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2 레이어로서 기억하는 것이다. CD 사전(700)은, DC 사전(600)의 경우와 달리, 레코드의 할당을 변경한 계층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할 수 있게 제어된다.
등록 상태 관리부(791)는, 인덱스(720) 및 유닛(730)에서의 등록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등록 상태로서, 예를 들면, 인덱스(720) 및 유닛(730)에 등록 되는 체인지점 간격(731)의 수가 계수된다.
전송부(794)는, 제1 레이어(720, 730)로부터 제2 레이어에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전송 제어부(795)는, 제1 레이어로부터 제2 레이어에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전송 제어부(795)는, 등록 상태 관리부(791)에서 관리되는 등록 상태에 기초하여, 각 레코드에서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에 전송이 기동되도록, 전송부(794)에서의 전송을 제어한다. CD 사전(700)에서의 각 레코드의 체인지점 간격(731)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수를 갖기 때문에, 전송부(794)에서는 레코드마다 버스트 전송이 가능하여, 전송 처리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처리 장치 내의 기억부(400)의 용량이 충분히 큰 경우의 배치예이다. 이 경우, 처리 장치 내의 기억부(400)만으로 동작을 완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은 기억부(400)에만 배치되고, 하드디스크(490)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한편, 도 20b는, 처리 장치 내의 기억부(400)의 용량이 작은 경우의 배치예이다. 이 경우, 처리 장치 내의 기억부(400)만으로는 동작을 완결시킬 수 없기 때문에,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은 기억부(410)에 배치됨과 함께, 그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490)에도 유닛(630, 650, 730)이 배치된다.
도 20c 및 20d는, 2계층의 기억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의 배치예이다. 이 경우, DC 사전(600)은, 제1 레이어(620, 630)가 L1 기억부(410)에 배치되고, 제2 레이어(640, 650)가 L2 기억부(420)에 배치된다. 또한, CD 사전(700)은, L1 기억부(410) 또는 L2 기억부(420)에 배치된다. L2 기억부(420)의 용량이 충분히 크면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은 도 20(c)과 같이 배치되고, 하드디스크(490)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한편, L2 기억부(420)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DC 사전(600) 및 CD 사전(700)은 L1 기억부(410) 및 L2 기억부(420)에 배치됨과 함께, 그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490)에도 L2 유닛(650) 또는 유닛(73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의 계층 구조가 상이한 플랫폼에 대하여, 본 발명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21은, 2계층의 기억부 구성을 갖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은, 복수의 요소 프로세서(510)와, 요소 프로세서(510)의 각각에 대응하는 로컬 기억부(520)와, 관리 프로세서(530)와, 메인 기억부(540)와, 하드디스크(550)와, 관리 프로세서(530) 및 로컬 기억부(520)를 결합하는 버스(590)를 구비하고 있다.
요소 프로세서(510)는, 멀티프로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로세서이다. 이들 요소 프로세서(510)는, 다른 요소 프로세서(510)와 동기를 취하면서 병렬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로컬 기억부(520)는, 요소 프로세서(510)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기억부이며, 그 내용은 대응하는 요소 프로세서(510)에서의 처리를 위해 이용된다.
관리 프로세서(530)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프로세서로서, 버스(590)를 통하여 로컬 기억부(520)와 메인 기억부(54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메인 기억부(540)는, 관리 프로세서(530)에 의해 이용됨과 함께, 모든 요소 프로세서(510)로부터 공유되는 기억부이다.
하드디스크(550)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보조 기억부로서 이용되고, 파일시스템을 제공하는 대용량 스토리지이다.
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은, 2계층의 기억부 구성을 갖고 있고, 로컬 기억부(520)는 도 20에서의 L1 기억부(410)에 상당하며, 메인 기억부(540)는 도 20에서의 L2 기억부(420)에 상당하고, 하드디스크(550)는 도 20에서의 하드디스크(490)에 상당한다. 로컬 기억부(520)의 용량이 작고(예를 들면 256K 바이트), 메인 기억부(540)의 용량이 비교적 큰(예를 들면 1G바이트 이상)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동화상 콘텐츠의 등록 및 대조가 병렬로 처리 가능한 것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22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콘텐츠의 등록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로서 N대(N은 1이상의 정수)의 요소 프로세서(510)가 할당되어 있고, 각각의 출력은 DC 사전 등록부(321) 및 CD 사전 등록부(322)에 공급된다. DC 사전 등록부(321) 및 CD 사전 등록부(322)에서도, 각각 N대의 요소 프로세서(510)가 할당되어 있다.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에서는, N개의 등록 동화상에 대하여, 병렬 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추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DC 사전 등록부(321)에서는, 추출된 N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DC 사전(600)에 등록된다. 이 DC 사전(600)에의 등록 시에는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N대의 요소 프로세서(510) 사이에서 배타 제어가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CD 사전 등록부(322)에서는, 추출된 N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CD 사전(700)에 등록된다. 이 CD 사전(700)에의 등록 시에는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N대의 요소 프로세서(510)의 사이에서 배타 제어가 행하여진다.
도 23은,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콘텐츠의 대조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 및 DC 사전 참조부(323)의 각각에 N대씩의 요소 프로세서(510)가 할당되어 있고, CD 사전 참조부(324) 및 특징량 대조부(340)의 각각에 M대(M은 1이상의 정수)씩의 요소 프로세서(510)가 할당되어 있다.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에서는, N개의 입력 동화상에 대하여, 병렬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추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DC 사전 참조부(323)에서는, 추출된 N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DC 사전(600)이 참조된다. DC 사전(600)에서는, M개의 콘텐츠 ID가 읽어내어진다. CD 사전 참조부(324)에서는, 읽어내어진 M개의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CD 사전(700)이 참조된다. CD 사전(700)에서는, M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읽어내어진다. 특징량 대조부(340)에서는, 읽어내어진 M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입력된 N개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 사이의 대조가 행하여진다.
1개의 입력 동화상에 주목하면, 특징량 추출, DC 사전 참조, CD 사전 참조, 특징량 대조의 4단계의 처리는 축차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지만, 복수의 입력 동화상을 상정한 경우, 입력 동화상끼리 데이터 의존 관계는 없기 때문에, N대의 요소 프로세서(510)에 의한 병렬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임의의 1개의 입력 동화상에 대하여 특징량 추출이 종료한 후, DC 사전 참조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입력 동화상의 특징량 추출을 개시함으로써, 파이프라인적으로(in pipeline manner) 처리를 오버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콘텐츠 검색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의 등록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등록 대상으로 되는 동화상 콘텐츠(등록 동화상)가 입력되면,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에 의해 특징량(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이 추출된다(스텝 S911). 추출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는, DC 사전 등록부(321)에 의해 DC 사전(600)의 제1 레이어에 등록된다(스텝 S912). 이때, L1 유닛(630)의 해당 레코드에서, 구간 정보(631)의 엔트리의 최대 허용수를 초과하게 된 경우에는(스텝 S913), 소트부(693)에 의해 그 레코드 내에서 체인지점 간격(632)을 키로 한 소트가 행하여지고(스텝 S914), 전송부(694)에 의해 제2 레이어에의 전송이 행하여진다(스텝 S915).
또한, 제2 레이어에의 전송(스텝 S915)에 의해 L2 유닛(650)의 해당 레코드에서, 콘텐츠 ID(651)의 엔트리의 최대 허용수를 초과하게 된 경우에는(스텝 S916), L2 유닛(650)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한다(스텝 S917). 또한, 이에 의해, L2 유닛(650) 전체의 사이즈의 허용량을 초과하게 된 경우에는(스텝 S918), 전송부(696)는 제2 레이어로서 기억되어 있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 레이어(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전송한다(스텝 S919).
또한,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10)에 의해 추출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는, CD 사전 등록부(322)에 의해 CD 사전(700)에 등록된다(스텝 S921). 이때, 유닛(730) 전체의 사이즈의 허용량을 초과하게 된 경우에는(스텝 S922), 전송부(794)는 유닛(730)에 기억되어 있던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2 레이어(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전송한다(스텝 S923).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특징량의 대조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검색 대상으로 되는 동화상 콘텐츠(입력 동화상)가 입력되면,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330)에 의해 특징량(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이 추출된다(스텝 S931). 추출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DC 사전 참조부(323)에 의해 DC 사전(600)이 참조된다(스텝 S932). 이에 의해, 콘텐츠 ID가 읽어내어 진다.
그리고, 읽어내어진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CD 사전 참조부(324)에 의해 CD 사전(700)이 참조된다(스텝 S933). 이에 의해,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읽어내어 진다.
그리고, 특징량 대조부(340)에 의해 입력 동화상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등 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가 대조되고, 양자의 일치성이 판정된다(스텝 S93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화상 콘텐츠의 특징량으로서 체인지점 간격을 채용함으로써, 추출할 특징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특징량 데이터베이스(320)에서,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참조하기 위한 CD 사전(700) M외에, 체인지점 간격을 키로 하여 콘텐츠 ID를 참조하기 위한 DC 사전(600)을 구비함으로써,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 포함되는 체인지점 간격에 대하여, 그것과 일치하는 체인지점 간격을 갖는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와 등록 동화상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대조하여, 양자의 일치성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C 사전(600)의 L1 유닛(630)에서 체인지점 간격(632)에 관련지어 콘텐츠 ID(633)를 기억하고 있지만, 이것에 부가하여 이하와 같이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에서의 노드 ID를 기억해도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DC 사전(600)의 L1 유닛(63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L1 유닛(630)의 변형예에서는, 도 11의 L1 유닛(630)과 달리, 구간 정보(631)에서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노드 ID(634)를 더 기억하고 있다.
이 변형예와 같이 노드 ID(634)를 설정함으로써, CD 사전(700)을 참조할 때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체인지점 간격(731))를 모두 읽어 내는 일없이, 필요한 노드 ID의 근방의 체인지점 간격만을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CD 사전(700)에 대하여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어로부터 제2 레이어에 전송할 때에, 노드 ID(634)을 이용하여 소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술된 처리 수순은 수순을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그 균등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인자에 따라서 다양한 수정, 조합, 부조합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해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콘텐츠와 체인지점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지점 판정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특징량 추출부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량 대조부에 의한 대조의 특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대조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량 데이터베이스 및 그 주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조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 및 CD 사전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 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 사전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의 제1 레이어에 도 13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의 제2 레이어에 도 13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 사전에 도 13의 체인지점 간격 리스트를 등록하는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 내에서의 전송에 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트부(sorter)에 의한 소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 사전 내의 전송에 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 내지 도 20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 및 CD 사전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2계층 기억부 구조를 갖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 는 도면.
도 22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콘텐츠를 등록하는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콘텐츠를 등록하는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량 등록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량 대조 처리의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 사전의 L1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텐츠 검색 장치
110 : 동화상 입력부
120 : 비디오 오디오 디멀티플렉서
130 : 비디오 디코드부
140 : 특징량 데이터베이스
150 : 특징량 대조부
160 : 판정 결과 출력부
200 : 특징량 추출부
210 : 컬러 히스토그램 추출부
220 : 연속 프레임간 히스토그램 차분 산출부
230 : 임계값 유지부
240 : 컷트 체인지점 판별부
250 : 체인지점 간격 산출부
310 : 등록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
320 : 특징량 데이터베이스
321 : DC 사전 등록부
322 : CD 사전 등록부
323 : DC 사전 참조부
324 : CD 사전 참조부
330 : 입력 동화상 특징량 추출부
340 : 특징량 대조부
510 : 요소 프로세서
520 : 로컬 기억부
530 : 관리 프로세서
540 : 메인 기억부
550 : 하드디스크
600 : DC 사전 
601 : 제1 레이어 기억부
602 : 제2 레이어 기억부
603 : 제3 레이어 기억부
610 : 헤더
620 : L1 인덱스
630 : L1 유닛
640 : L2 인덱스
650 : L2 유닛
691, 692 : 등록 상태 관리부
693 : 소트부
694, 696 : 전송부
695, 697 : 전송 제어부
700 : CD 사전
701 : 제1 레이어 기억부
702 : 제2 레이어 기억부
710 : 헤더
720 : 인덱스
730 : 유닛
791 : 등록 상태 관리부
794 : 전송부
795 : 전송 제어부

Claims (11)

  1.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a feature)과 관련지어서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특징량을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읽어내는 제1 판독 수단과,
    상기 제1 판독 수단에 의해 읽어낸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특징량을 읽어내는 제2 판독 수단과,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내에 포함된 특징량과 상기 제2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특징량을 대조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특징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와 맞는지(match) 여부를 판정하는 대조 수단(checking means)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은 체인지점(change point)들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체인지점 간격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각각이 소정 범위 내의 상기 체인지점의 간격들 중의 하나에 관련된 식별 정보를 단위로 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제1 레이어 기억 수단과,
    각각이 하나의 체인지점 간격에 관련된 상기 식별 정보를 단위로 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제2 레이어 기억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식별 정보의 수가 허용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정 범위 내의 체인지점 간격에 따라서 식별 정보를 소트하는(sort) 소트 수단과,
    상기 소트 수단에 의해 소트된 식별 정보를 상기 체인지점 간격과 함께 상기 제2 레이어 기억 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 기억 수단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의 소정 수의 단위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유닛 기억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의 어드레스를 각각이 상기 소정 범위 내의 체인지점 간격들 중의 하나에 관련된 식별 정보의 단위로 상기 유닛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인덱스 기억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기억 수단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의 소정 수를 단위로 해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유닛 기억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의 어드레스를 상기 유닛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인덱스 기억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은 상기 체인지점 간격을 시계열 순(a time-series order)으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은,
    상기 체인지점 간격을 시계열 순으로 연속 어드레스에 기억하는 유닛 기억 수단과,
    상기 체인지점 간격의 어드레스를 상기 유닛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인덱스 기억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대상으로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체인지점 간격들 각각과 상기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 방식으로,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 대상으로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등록하는 제1 등록 수단과,
    상기 등록 대상으로서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 정보와 상기 체인지점 간격들을 관련짓는 방식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체인지점 간격들을 등록 대상으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시계열 순으로 등록하는 제2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과 관련지어서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특징량을 기억하는 단계와,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징량을 기억하는 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특징량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과 상기 특징량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특징량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특징량 기억 단계에서 기억된 특징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와 맞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과 관련지어서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부(memory)와,
    비디오 데이터의 식별을 위한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을 기억하는 제2 기억부와,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기와,
    상기 제1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특징량을 판독하는 제2 판독기와,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특징량을 상기 제2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특징량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된 특징량을 갖는 비디오 데이터와 맞는지를 판정하는 대조부(checker)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080080846A 2007-08-20 2008-08-19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19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13221 2007-08-20
JP2007213221A JP4420085B2 (ja) 2007-08-20 2007-08-20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713A true KR20090019713A (ko) 2009-02-25

Family

ID=4038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846A KR20090019713A (ko) 2007-08-20 2008-08-19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7104B2 (ko)
JP (1) JP4420085B2 (ko)
KR (1) KR20090019713A (ko)
CN (1) CN1013734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3152B2 (ja) * 2010-04-09 2014-07-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22954B2 (en) * 2013-10-01 2015-09-01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Performing a histogram using an array of addressable registers
US9805662B2 (en) * 2015-03-23 2017-10-31 Intel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backlight power saving technology
CN106528800B (zh) * 2016-11-11 2019-10-08 叶一火 一种基于真实场景的影像生成方法及装置
JP7013182B2 (ja) * 2017-09-21 2022-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072A (ja) 1991-12-20 1993-07-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像検索処理方法
JP3200784B2 (ja) 1993-07-29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検索方法及び装置
US6055025A (en) * 1993-12-21 2000-04-2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rupt and gradual scene changes in image sequences
WO1997010673A1 (fr) * 1995-09-11 199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collecte de donnees video/audio utilisant une camera video, et son systeme d'edition
JP3244629B2 (ja) * 1996-08-20 2002-0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ン変化点検出方法
CA2196930C (en) * 1997-02-06 2005-06-21 Nael Hirzalla Video sequence recognition
JP3780623B2 (ja) * 1997-05-16 2006-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の記述方法
JP2001028722A (ja) * 1999-07-13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管理装置及び動画像管理システム
US6675174B1 (en) * 2000-02-02 2004-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a set of known temporal media segments and a one or more temporal media streams
JP2001283216A (ja) * 2000-04-03 2001-10-12 Nec Corp 画像照合装置、画像照合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689890B2 (en) * 2000-05-04 2004-02-10 University Of South Florida Efficient lactam synthesis
US7363278B2 (en) * 2001-04-05 2008-04-22 Audible Magic Corporation Copyright detection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A2664732C (en) * 2002-04-12 2013-07-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n apparatus to edit, reproduce, deliver, search and re-generate condition settings for metadata
JP3844446B2 (ja) 2002-04-19 2006-11-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管理方法、装置、映像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10179B2 (ja) 2002-05-02 2007-11-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識別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234613A (ja) * 2002-12-02 2004-08-19 Nec Corp 映像記述システムおよび方法、映像識別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500176B2 (en) * 2004-04-01 2009-03-03 Pinnacl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movie
US7376274B2 (en) * 2004-08-31 2008-05-20 Sonic Solutions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video searching
KR100652703B1 (ko) * 2004-12-08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검색장치 및 방법
JP4343120B2 (ja) 2005-01-2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301193B2 (ja) 2005-03-31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比較装置及び方法、画像検索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553084B2 (en) * 2005-09-12 2013-10-08 3Vr Security, Inc. Specifying search criteria for searching video data
KR100729660B1 (ko) * 2005-12-09 2007-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면 전환 길이를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3483B (zh) 2012-09-05
JP2009049668A (ja) 2009-03-05
JP4420085B2 (ja) 2010-02-24
US8817104B2 (en) 2014-08-26
US20090051771A1 (en) 2009-02-26
CN101373483A (zh)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487B2 (en) Content-based matching of videos using local spatio-temporal fingerprints
Hosler et al. The video authentication and camera identification database: A new database for video forensics
CN101017507A (zh) 表示图像组的方法和装置
Fadl et al. Frame duplication and shuffling forgery detection technique in surveillance videos based on temporal average and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US20150254342A1 (en) Video dna (vdna)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mensional content matching
Lian et al. Content-based video copy detection–a survey
CN110688524A (zh) 视频检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19713A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46694B1 (ko) 영상 정보 기반의 동영상 파일 중복 검사와 관리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CN111191591A (zh) 一种水印检测、视频处理方法和相关设备
CN110826461A (zh) 视频内容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im et al. Video linkage: group based copied video detection
Bekhet et al. Video matching using DC-image and local features
Su et al. Efficient copy detection for compressed digital videos by spatial and temporal feature extraction
Liu et al. Video copy detection by conducting fast searching of inverted files
CN105989063B (zh) 视频检索方法和装置
Thomas et al. A simple and robust colour based video copy detection on summarized videos
KR100930529B1 (ko) 비디오 식별을 통한 유해 동영상 검열 시스템 및 방법
JP5923744B2 (ja) 画像検索システム、画像検索方法及び検索装置
Na et al. A Frame‐Based Video Signature Method for Very Quick Video Identification and Location
Guzman-Zavaleta et al. towards a video passive content fingerprinting method for Partial-Copy detection robust against Non-Simulated attacks
Chaisorn et al. A hybrid approach for image/video content representation and identification
Konyak et al. Unique hash value based identical video sharing traffic flow optimization across social networks
Corchado et al. Original Content Verification Using Hash-Based Video Analysis
Bayram Applications of multimedia forens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