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201A -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 Google Patents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201A
KR20090019201A KR1020070083456A KR20070083456A KR20090019201A KR 20090019201 A KR20090019201 A KR 20090019201A KR 1020070083456 A KR1020070083456 A KR 1020070083456A KR 20070083456 A KR20070083456 A KR 20070083456A KR 20090019201 A KR20090019201 A KR 20090019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pper body
filter
water purifier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원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07008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201A/ko
Priority to PCT/KR2007/004534 priority patent/WO2009025412A1/en
Publication of KR2009001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차단수단의 부품 구성수를 간소화시켜 제조공정수가 간단해질 뿐만 이로 인해 작은 제조시간의 소요와 더불어 저렴한 제조단가를 제공하는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 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동체가 유입되는 유입경로인 인렛포트(110), 정수된 유동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경로인 아웃렛포트(120)로 이루어진 상측몸체(100)와; 상기 상측몸체(100)에 일부가 노출되게 내입고정되되,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손잡이(211)가 형성된 노브(210), 상기 노브(21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관체(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체(220)는 상기 상측몸체(100)의 인렛포트(110)에 대향되는 외측면에 절단면(221)을 형성시켜 유입통로(P)를 만들고,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에 대향되는 다른 측면을 관통시켜 유수구멍(222)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유동체 차단제어구(200)와; 상기 상측몸체(100)와 착탈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몸체(100)의 인렛포트(110)와 상기 유동체 차단제어구(200)의 관체(220) 사이에 형성된 유입통로(P)를 통해 유입된 유동체를 정수한 후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로 전달하는 필터부(310)가 구비된 하측몸체(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means of fluid interception}
본 발명은 종래의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구성보다 간소화 된 구성수로 유동체의 개방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공정수가 간단해질 뿐만 이로 인해 작은 제조시간의 소요와 더불어 저렴한 제조단가를 제공하는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과정을 거쳐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에는 인렛포트(inlet port)와 아웃렛포트(outlet port)가 구비된 정수기 필터가 용도에 따라 고탁도 필터, 침전 필터, 선카본 정수기 필터, 멤브레인 정수기 필터, 후카본 정수기 필터 및 자외선 필터 등이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고탁도 필터는 유동체에 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녹, 머리카락, 진흙 등의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침전 필터는 유동체에 50㎛ 미만의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이물질(모래, 중금속 등등)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선카본 필터는 유동체 내에 용해되어 있는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 및 유기화학물질 등을 흡착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멤브레인 필터는 정수기의 핵심 필터로서 중금속, 바이러스, 박테리아, 유기화학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이물질을 초정밀 반투막을 통한 역삼투압 방식에 의해 최종적으로 필터링을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후카본 필터는 유동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성분과 냄새성분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자외선 필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필터에 U/V램프를 내재하여 정수 후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극히 적은 양의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 정수기 필터들의 인렛포트와 아웃렛포트 간에는 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중 선택에 따라 채택된 첫 번째 필터가 고탁도 필터인 경우 그 고탁도 필터에 구비된 인렛포트는 유수관을 통하여 급수전과 연결되어 있는데, 그 연결된 정수기 필터의 인렛포트와 급수전 사이의 유수관에는 원수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채택된 마지막 필터가 자외선 필터인 경우 그 자외선 필터에 구비된 아웃렛포트에 연결된 유수관에는 정수탱크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정수기 필터는 사용 중 소정주기마다 정수기 필터 내부 청소 또는 각 정수기 필터 내에 구비된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원수차단밸브를 조작하여 원수가 유동하지 않도록 잠금을 한 후 개개의 정수기 필터를 분리하고, 내부 세척 또는 필터를 교환한 후 분리된 정수기 필터를 결합한 후 원수차단밸브를 조작하여 차단해제한 후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정수기의 설치는 실내공간의 활용을 위해 통상적으로 벽면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정수기와 급수전을 연결된 유수관에 연결된 원수차단밸브의 경우 미관상을 이유로 사람의 눈에 띄지 않게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구성물(예를 들어, 싱크대, 수납장 등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구성물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설치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수기 필터 내부 청소 또는 각 정수기 필터 내에 구비된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원수를 차단하기 위해 구성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수차단밸브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대표자로 있는 '(주)마이크로필터'에서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것으로 종래의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유체차단수단(특허등록번호; 제 0521117호)은 정수기 필터의 내부 청소 또는 정수기 필터 내에 구비된 필터 교체 시 정수기 내부에 별도의 원수차단밸브가 구비되지 않아도 원수차단을 제공함으로써 미관상의 유려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유체차단수단은 정수기 필터 내에 그 구성이 안내통로, 돌출턱, 고정홈, 유입공, 유동체 안내봉, 개폐용 몸체, 오링, 개폐용 돌기, 탄성스프링 등으로 매우 복잡하여, 제조공정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많은 제조시간의 소요와 더불어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차단수단을 간소화시킴으로서 제조공정수가 간단해질 뿐만 이로 인해 작은 제조시간의 소요와 더불어 제조단가가 저렴해진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는 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동체가 유입되는 유입경로인 인렛포트, 정수된 유동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경로인 아웃렛포트로 이루어진 상측몸체와; 상기 상측몸체에 일부가 노출되게 내입고정되되,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노브, 상기 노브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관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체는 상기 상측몸체의 인렛포트에 대향되는 외측면에 절단면을 형성시켜 유입통로를 만들고, 상기 상측몸체의 아웃렛포트에 대향되는 다른 측면을 관통시켜 유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유동체 차단제어구와; 상기 상측몸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몸체의 인렛포트와 상기 유동체 차단제어구의 관체 사이에 형성된 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된 유동체를 정수한 후 상기 상측몸체의 아웃렛포트로 전달하는 필터부가 구비된 하측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를 회동시켜 관체의 절단면이 인렛포트를 벗어나 원수차단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관체의 외측면이 상기 인렛포트 및 상기 아웃렛포트인 유출경로를 막되, 그 유출경로에 접한 상기 관체의 외측면에는 그 유출경로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측몸체의 아웃렛포트에 대향되는 상기 관체에 형성된 유수구멍의 외측면에는 그 유수구멍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구성보다 간소화 된 구성수로 유동체의 개방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어 제조공정수가 간단해질 뿐만 이로 인해 작은 제조시간의 소요와 더불어 저렴한 제조단가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분해상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유동체 차단제어구의 전방부분을 세세하게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유동체 차단제어구의 후방부분을 세세하게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개방 때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폐쇄 때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는 크게 상측몸체(100), 유동체 차단제어구(200) 및 하측몸체(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측몸체(100)는 측단에는 원수인 유동체의 입수 및 출수의 경로로서 인렛포트(110) 및 아웃렛포트(120)가 대칭되게 구비되어진다.
상기 유동체 차단제어구(200)는 일부가 상기 상측몸체(100)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인렛포트(110)를 통해 입수되는 유동체의 차단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에 손잡이(211)가 돌출된 노브(210)가 구비되고, 그 노브(210)의 하부에는 상기 상측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내입되어 상기 인렛포트(110) 및 아웃렛포트(120)의 유동경로의 개방 및 밀폐를 제어하기 위한 관체(220)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관체(220)는 상기 상측몸체(100)의 인렛포트(110)에 대향되는 외측면에 절단면(221)을 형성시켜 상측몸체(100)의 내측과 관체(220)의 외측 사이에 유입통로(P)가 형성되도록 하여 인렛포트(110) 쪽에서 입수되는 유동체가 그 형성된 유입통로(P)를 통해 후술될 하측몸체(300)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에 대향되는 관체(220)의 다른 측면에 그 아웃렛포트(120)와 연통 되도록 유수구멍(222)을 관통형성하여 후술될 하측몸체(300)로부터 정수된 유동체가 아웃렛포트(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조립되는 상측몸체(100)와 유동체 차단제어구(200) 사이에 오링(226)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상측몸체(100)의 상부에 일부가 삽입된 유동체 차단제어구(200)가 고정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측몸체(100)에 노출된 노부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닿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고정판(400)이 놓여지되, 그 놓여지는 고정판(400)의 4 곳의 가장자리에 삽입공이 형성된 관통편을 형성하고, 그 관통편과 대응되는 상측몸체(100)의 상면의 가장자리 부근의 면에도 체결홈을 형성하여 볼트(410)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측몸체(300)는 상기 상측몸체(100)의 내측과 관체(220)의 외측 사이에 형성된 유입통로(P)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를 정수할 수 있도록 필터부(310)가 탑재되어 상기 상측몸체(100)에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나선결합을 통해 상기 상측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고정된다. 즉, 유입통로(P)를 통해 유동된 유동체는 필터부(310) 쪽으로 유입되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유동체는 필터부(310)에서 관체(220)의 유수구멍(222)을 통해 아웃렛포트(120) 쪽으로 유동되는 유수경로를 가진다. 여기서, 조립되는 상측몸체(100)와 하측몸체(300) 사이에 오링(227)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정수기 필터는 고탁도 필터, 침전 필터, 선카본 정수기 필터, 멤브레인 정수기 필터, 후카본 정수기 필터 및 자외선 필터와 같이 음용을 위해 정수기능을 수행하는 정수기에 장착된 모든 정수기 필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터부(310)는 상술한 각 정수기 필터의 필터성능에 맞는 필터부가 선택채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10)를 회동시켜 관체(220)의 절단면(221)이 인렛포트(110)를 벗어나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관체(220)의 외측면이 상기 인렛포트(110) 및 상기 아웃렛포트(120)인 유출경로를 막되, 그 유출경로에 접한 상기 관체(220)의 외측면에는 그 유출경로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223,224)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유입 및 유출되는 유동체가 원하지 않는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누수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오링(225)은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에 대향되는 상기 관체에 형성된 유수구멍(222)의 외측면에도 설치되어 제공된다.
또한, 원수유동용 호스가 인렛포트(110) 및 아웃렛포트(120)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되는 원수유동용 호스가 각 포트(110,120)에 끼움연결 시 빠지지 않도록 각 포트(110,120)의 유수경로에는 순차적으로 오링, 칼라 및 콜넷이 연결설치되어 제공된다. 이처럼, 제공되는 오링, 칼라 및 콜넷은 상용화된 기술이기 때문에 결합관계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유동체의 개방 및 차단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도 4는 유동체가 정수되어 흐를 수 있도록 인렛포트(110) 및 아웃렛포트(120)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인렛포트(110)에 연결된 원수유동용 호스를 통해 유동체가 입수된 경우 그 입수되는 유동체는 인렛포트(110)를 통과하여 상측몸체(100)의 내측과 관체(220)의 외측 절단면(221) 사이에 형성된 유입통로(P)를 통해 하측몸체(300) 쪽으로 유동된다.
하측몸체(300) 쪽으로 유동된 유동체는 그 하측몸체(300)에 내재된 필터부(310) 내로 유동되면서 필터링되어 정수된다.
정수된 유동체는 유동체 차단 제어구(200)의 관체(220)에 형성된 유수구멍(222)으로 유입되어 상측몸체(200)의 아웃렛포트(1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정수과정의 수행을 완료한다.
이후, 정수기 관리자가 정수기 필터의 내부 세척 도는 필터 교환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위해 유동체인 원수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유동체 차단 제어구(200)의 손잡이(211)를 회동시켜 노브(210)가 유동체인 원수의 차단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회동시키면 인렛포트(110)와 아웃렛포트(120)인 유동체의 유출입 경로는 관체(2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밀폐된다. 이때, 그 밀폐접촉된 관체(220)의 외측면에는 인렛포트(110)와 아웃렛포트(120)인 유출입 경로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223,224)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밀폐성능을 극대화시켜준다.
이후, 상측몸체(100)로부터 하측몸체(300)를 나선해제한 후 유지보수를 수행하며, 그 후 역숙으로 하측몸체(300)를 상측몸체(100)에 나선결합 한 후 유동체 차단 제어구(200)의 손잡이(211)를 회동시켜 노브(210)가 유동체인 원수의 개방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회동시킨 후 정수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를 나타낸 분해상태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유동체 차단제어구의 전방부분을 세세하게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유동체 차단제어구의 후방부분을 세세하게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개방 때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체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의 폐쇄 때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상측몸체 110 : 인렛포트
120 : 아웃렛포트 200 : 유동체 차단제어구
210 : 노브 211 : 손잡이
220 : 관체 221 : 절단면
222 : 유수구멍 223,224,224,226,227 : 오링
300 : 하측몸체 310 : 필터부
400 : 고정판 410 : 볼트
P : 유입통로

Claims (3)

  1. 측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동체가 유입되는 유입경로인 인렛포트(110), 정수된 유동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경로인 아웃렛포트(120)로 이루어진 상측몸체(100)와;
    상기 상측몸체(100)에 일부가 노출되게 내입고정되되,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손잡이(211)가 형성된 노브(210), 상기 노브(21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관체(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체(220)는 상기 상측몸체(100)의 인렛포트(110)에 대향되는 외측면에 절단면(221)을 형성시켜 유입통로(P)를 만들고,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에 대향되는 다른 측면을 관통시켜 유수구멍(222)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유동체 차단제어구(200)와;
    상기 상측몸체(100)와 착탈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몸체(100)의 인렛포트(110)와 상기 유동체 차단제어구(200)의 관체(220) 사이에 형성된 유입통로(P)를 통해 유입된 유동체를 정수한 후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로 전달하는 필터부(310)가 구비된 하측몸체(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210)를 회동시켜 관체(220)의 절단면(221)이 인렛포트(110)를 벗 어나 원수차단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관체(220)의 외측면이 상기 인렛포트(110) 및 상기 아웃렛포트(120)인 유출경로를 막되, 그 유출경로에 접한 상기 관체(220)의 외측면에는 그 유출경로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223,224)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몸체(100)의 아웃렛포트(120)에 대향되는 상기 관체에 형성된 유수구멍(222)의 외측면에는 그 유수구멍(222)보다 큰 내경을 갖는 오링(22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KR1020070083456A 2007-08-20 2007-08-20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KR20090019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56A KR20090019201A (ko) 2007-08-20 2007-08-20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PCT/KR2007/004534 WO2009025412A1 (en) 2007-08-20 2007-09-19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means of fluid interce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56A KR20090019201A (ko) 2007-08-20 2007-08-20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01A true KR20090019201A (ko) 2009-02-25

Family

ID=4037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456A KR20090019201A (ko) 2007-08-20 2007-08-20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19201A (ko)
WO (1) WO20090254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643B1 (ko) * 2002-11-12 2005-09-23 주식회사 쿠스한트 정수기용 급수밸브
KR100612426B1 (ko) * 2005-01-17 2006-08-16 앨트웰텍 주식회사 정수기
KR100721327B1 (ko) * 2006-06-23 2007-05-25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5412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003B2 (en) Water filter assembly and refrigerato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JP4648971B2 (ja) 浄水器
KR100909377B1 (ko)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KR101325448B1 (ko) 개량된 필터조립체
KR100521116B1 (ko)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정수 및 원수의 선별유동제어가가능한 유체차단수단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JP5052859B2 (ja) 浄水器用容器
KR200403991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EP1281677A1 (en) Domestic water filtration system
KR20090019201A (ko) 유체차단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필터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CN214233100U (zh) 龙头净水器
KR200450896Y1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JP3779566B2 (ja) 浄水装置及びその設置施工方法
US11571642B2 (en) Self cleaning water filter unit
JPH11253936A (ja) 浄水器
KR101358277B1 (ko) 슬림형 살균 정수기
JP2002364036A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KR101608842B1 (ko) 정수탱크에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596681B1 (ko) 이온수기용 필터
JPH1015540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