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516A -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516A
KR20090018516A KR1020070083003A KR20070083003A KR20090018516A KR 20090018516 A KR20090018516 A KR 20090018516A KR 1020070083003 A KR1020070083003 A KR 1020070083003A KR 20070083003 A KR20070083003 A KR 20070083003A KR 20090018516 A KR20090018516 A KR 2009001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inting
photo
photographic image
im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285B1 (ko
Inventor
김원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은,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사진 이미지와 인쇄영역의 센터가 서로 정렬되도록 1차적인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인쇄용지상에 여백을 두지 않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여백 없는 인쇄 선택시, 사진 이미지상에 임프린트가 기입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임프린트 기입시,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 및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이 서로 다를 때, 상기 사진 이미지상에 기록된 임프린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과 인쇄용지 규격 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사진 이미지상에 촬영일시 등의 촬영 부대 정보를 기록한 임프린트가 짤린 상태로 인쇄되지 않도록, 임프린트의 기입 위치에 따라 인쇄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Printing method of photographed image and photo-printing system adapt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과 인쇄용지 규격 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사진 이미지상에 촬영일시 등의 촬영 부대 정보를 기록한 임프린트가 짤린 상태로 인쇄되지 않도록, 임프린트의 기입 위치에 따라 인쇄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잉크젯(ink jet) 방식, 열승화(dye sublimation transfer) 방식, 감열(direct thermal) 방식 등의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카메라 등에서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카메라나 PC(Personnel Computer) 등에서는 4:3 화면비율을 갖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포토 프린터는 3:2 비율의 인쇄용지를 지원하고 있어서, 카메라 등에서 촬영한 4:3 화면비율의 사진 화상을 3:2 인쇄용지상에 출력할 경우, 사진 화상과 인쇄용지의 규격 불일치(mismatch)로 인한 짤림이나 과도한 여백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인쇄용지상에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옵션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이른바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이고, 다른 하나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이다. 상기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는 사진 이미지의 가장자리로 여백이 존재하도록 인쇄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인쇄용지보다 조금 작은 사이즈로 축소하여 사진 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사진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여백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에서는 통상 인쇄용지를 초과하는 조금 더 큰 사이즈로 확대하여 사진 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용지상에 여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방식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 간의 규격 불일치로 사진 이미지의 상-하단 또는 좌-우측단으로 상당한 영상 정보가 짤리게 되며, 특히, 사진 이미지상에 촬영일시나,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타이틀 등의 촬영 부대 정보를 기록한 임프린트가 짤리는 것이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과 인쇄용지 규격 간의 불일치로 인하여 사진 이미지상에 촬영일시 등의 촬영 부대 정보를 기록한 임프린트가 짤린 상태로 인쇄되지 않도록, 임프린트의 기입 위치에 따라 인쇄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은,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상기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사진 이미지와 인쇄영역의 센터가 서로 정렬되도록 1차적인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인쇄용지상에 여백을 두지 않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여백 없는 인쇄 선택시, 사진 이미지상에 임프린트가 기입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임프린트 기입시,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 및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이 서로 다를 때, 상기 사진 이미지상에 기록된 임프린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에서는,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는 Exif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임프린트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인쇄영역을 이동시킨다.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는,
상기 사진 이미지의 폭과 높이의 장단을 비교하여, 가로형인지 세로형인지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폭:높이의 형상비를 각기 산출하고, 상호 비교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상기 제1, 제2 판단 결과로부터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판단 결과로부터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는,
가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가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세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세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사진 이미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해당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는 Exif 정보로부터 임프린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임프린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에 앞서,
상기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포토 프린팅 시스템은,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쇄용지 상에 출력하는 포토 프린터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는,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여 기록된 Exif 정보 중에서, 임프린트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Exif 정보처리부;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서 입수된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길이를 산출하는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 및
상기 사진 이미지에 대해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Exif 정보처리부와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의 출력정보에 근거하여,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에 의해 정해진 이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 의해 파악되는 임프린트 위치까지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장치와 포토 프린터 사이에는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수단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C 또는 HD TV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포토 프린팅 시스템은,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쇄용지상에 출력하는 포토 프린터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토 프린터는,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부대된 Exif 정보를 입수하여, 임프린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Exif 정보처리부;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서 입수된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길이를 산출하는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 및
상기 사진 이미지에 대해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Exif 정보처리부와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의 출력정보에 근거하여,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린터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에 의해 정해진 이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 의해 파악되는 임프린트 위치까지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는 이동착탈식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상에 촬영일시 등에 관한 부대 정보를 기록한 임프린트가 잘린 상태로 출력되지 않도록 임프린트의 기입 위치에 따라 인쇄영역을 가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의 화 면비율과 인쇄용지 규격 간의 일치 여부나 인쇄 옵션에 무관하게 임프린트의 인쇄가 보장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팅 시스템(100)은 인쇄 출력장치로서의 포토 프린터(110)와,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포토 프린터(110)와 데이터저장장치(120)는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하여,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 케이블 등의 통신수단(130)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포토 프린터(110)와 데이터저장장치(120)의 접속에 대해서는 USB 등의 유선 접속 이외에, Bluetooth, WI-FI, wirelessLAN 등의 무선 접속도 고려하므로, 별도의 통신수단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수단(130)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포토 프린터(110)와 데이터저장장치(12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포토 프린터(110) 및 데이터저장장치(120)의 기능적 구성에 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포토 프린터(110)는 통신제어부(111), 인쇄데이터 저장부(118), 인쇄부(119), 그리고 이들 각부를 제어하기 위해 CPU 등으로 구성되는 프린터 프로세서(115)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통신제어부(111)는 데이터저장장치(120)와의 통신 설정을 초기화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인쇄 모드에서 포토 프린터(110)와 데이터저장장치(120) 사이의 제어명령의 송수신과, 인쇄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영상 데이터의 전달 등을 매개한다. 상기 통신제어부(111)는 데이터저장장치(120)와 연결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USB 포트, 카드 리더기 포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제어부(111)에는 USB 접속을 위한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 및/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인쇄데이터 저장부(118)는 데이터저장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인쇄작업의 진행에 따라 그에 저장되어 있던 인쇄데이터를 인쇄부(119)로 전달해줌으로써 일종의 버퍼링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18)는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DRAM 등의 임시 기억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부(119)는 인쇄명령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18)에 존재하는 예약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쇄용지상의 발색 물질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소정화상을 표현하는 열 전사 화상형성 메커니즘,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전위차를 이용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 메커니즘, 또는 인쇄용지상에 잉크 액적을 토출 분사하는 잉크젯 화상형성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여타의 다른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프린터 프로세서(115)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113)는 프린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 인쇄 작업을 중지하는 인쇄 중지 키, 인쇄조건의 설정에 관한 설정 모드 전환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장치(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3), 사진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화상데이터 저장부(128), 디스플레이 패널(124), 통신제어부(121), Exif 정보처리부(122),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126), 그리고 이들 각부를 제어하기 위해 CPU 등으로 구성되는 메인 프로세서(125)를 포함한다.
이외에, 상기 데이터저장장치(120)로 상정된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광학 렌즈들로 이루어진 광학 유닛과 함께, 그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화된 사진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CCD(Charge Coupled Device), A/D 컨버터, 구동회로, 신호처리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취득부(129)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취득부(129)에서 출력되는 사진 영상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일시 기억장치나, 착탈 가능한 플래시 ROM등의 2차 기억장치로 구현되는 화상데이터 저장부(128)에 기억된다.
이때, 화상취득부(129)에서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촬영시 촬영정보를 기록한 Exif 정보를 파일 헤더에 포함하는 Exif 파일 포멧의 화상데이터로 변환된 후, 데이터 저장부(128)에 기억된다. 상기 Exif 정보는 각각의 화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명도, 채도, 색상 등의 색 공간 정보, 촬영일시, 플래시 작동 여부, 이미지 사이즈 등에 대한 촬영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촬영 일시나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사진 타이틀 등을 화면 일부로 표시해주는 임프린트(imprint)의 위치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Exif 헤더 정보 중에서, 임프린트에 관련된 데이터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Tag No" 및 "Tag Name" 항목은 임프린트에 관련된 데이 터 필드임을 표시하는 식별자이고, "Value"는 화면상에 중첩된 임프린트의 공간적인 배치에 관한 정보를 담은 항목으로서, "X,Y"는 화면상에서 임프린트의 시작점에 해당되는 수평 좌표값 및 수직 좌표값을 의미하고, "W,H"는 상기 임프린트의 시작점(X,Y)으로부터 계산된 임프린트의 폭(width) 및 높이(height)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X,Y,W,H)=(0,0,0,0)이면, 입력 값이 존재하지 않는 NULL상태로서 임프린트 오프(off)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사진 인쇄 절차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데이터 저장부(128)로부터 화상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쇄대상의 선정에 관한 입력을 받고, 인쇄대상으로 선택된 화상데이터를 포토 프린터(110)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 포멧의 인쇄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제어부(121)를 통하여 포토 프린터(1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통상 사진 이미지의 에지에 위치되는 임프린트의 짤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정의 조건하에서 임프린트의 인쇄가 보장되는 새로운 인쇄영역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용지상에 여백을 두지 않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이 선택되었을 때, 포토 프린터(110)로부터 용지규격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사진 이미지의 인쇄영역을 임프린트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통상적인 여백 없는 인쇄 방식에 따라 사진 이미지를 확대한 후 용지 사이즈에 맞게 인쇄영역을 설정하면, 인쇄영역과 사진 이미지의 센터가 서로 일치되게 정렬되고, 임프린트의 전부 또는 그 일부가 짤린 상태로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가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용지의 규격에 맞는 인쇄영역을 설정할 때, 예를 들어,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을 따라 인쇄영역을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인쇄영역에 대한 인쇄데이터를 생성하여 포토 프린터(110)에 제공함으로써, 사진 이미지 하단 부분에 위치한 임프린트가 짤림 없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126)는 사진 이미지의 형상에 관한 정보, 구체적으로 폭 방향의 가로길이와 높이 방향의 세로길이를 산출하여 메인 프로세서(125)로 출력함으로써, 메인 프로세서(125)가 인쇄영역을 설정하는데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126)는, 화면상의 화소 배열에 근거하여 설정된 X-Y 화면 좌표계를 기준으로, 사진 이미지의 시작점과 종단점 간의 좌표값을 인식하고 그 차이를 계산한 결과에 따라, 폭/높이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화상데이터에 부대된 Exif 정보를 이용하면, 정확한 임프린트의 기입 위치 및 사이즈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상기 Exif 정보처리부(122)를 가동하여 이로부터 입수된 임프린트의 기입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진 이미지에 대한 인쇄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Exif 정보처리부(122)는 메인 프로세서(125)의 요청에 따라, 인쇄대상이 되는 화상데이터의 Exif 헤더 정보를 판독하여, 화상 이미지에 임프린트(imprint)가 기입되었는지의 여부와, 임프린트의 위치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메인 프로세서(125)로 출력한다.
한편, 도 4는 인쇄용지(Pa)상에 전사되는 사진 이미지(Im)의 배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진 이미지(Im)에 기입된 임프린트(W) 일부가 인쇄용지(Pa) 밖으로 벗어난 상태를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Exif 정보처리부(122)가 임프린트(W)와 관련된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125)로 제공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입수한 임프린트(W)의 위치에 관한 좌표값(X,Y,W,H)과, 인쇄용지(Pa)에 대응하는 인쇄영역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pX,pY,pW,pH)을 상호 비교하여,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W)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인쇄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표값은, 예를 들어, 화소 배열에 근거한 화면상의 X,Y 좌표를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pX,pY)는 인쇄영역의 시작점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pW,pH)는 상기 인쇄영역의 시작점(pX,pY)으로부터 계산된 인쇄영역의 폭(width) 및 높이(height)에 해당되는 값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23)는 데이터저장장치(120)의 동작 모드(촬영 모드, 재생 모드, 인쇄 모드 등)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선택 키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동이나 커서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4 방향 기능 키와, 활성화된 커서가 지시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확인 키 등 다수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모드에서는 화상데이터 저장부(128)에 기억된 사진 이미지들이 사용자 지정을 받기 위해 메인 프로세서(125)에 의해 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4) 상에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폴더 내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들이 썸 네일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영상들로부터 인쇄대상을 선정하게 되는데, 썸 네일 형식에 따라 매트릭스 배열된 다수의 화면들을 4 방향 기능 키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선택-확인 키를 누름으로써 선택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인쇄대상의 선정은 단일 영상에 대해서는 물론, 복수의 서로 다른 영상들에 대해서도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저장장치(120)는 포토 프린터(11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해 통신제어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제어부(121)는 인쇄 모드에서 데이터저장장치(120)와 포토 프린터(110) 사이의 제어 명령의 송수신과, 인쇄데이터의 전달 등을 매개한다. 상기 통신제어부(121)에는 USB를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USB 디바이스 콘트롤러를 내장하여 포토 프린터(110)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와이어리스(wireless) 무선 통신에 대비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는데,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기술적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진 이미지가 폭을 장변으로 하고, 높이를 단변으로 하는 가로형 이미지일 때, 일반적으로 사진 이미지의 우측 하단부분에 임프린트가 기입된다. 도 5 및 도 6에는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Im)가 가로형 이미지일 때, 인쇄용지(Pa)상에 전사되는 사진 이미지(Im)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이미지-풀 인쇄 옵션(image-full printing)과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사진 이미지(Im)의 화면비율(폭:높이)과, 인쇄용지(Pa)의 규격에 따른 형상비(폭:높이)를 비교하여, 사진 이미지(Im)의 화면비율(예, 4:3) < 인쇄용지(Pa)의 형상비(예, 3:2)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풀 인쇄 옵션(Image-full print)에서는 인쇄용지(Pa)의 상하좌우 측 에지로부터 일정한 여백을 두고 사진 이미지가 전사되므로, 사진 이미지(Im)에 기입된 임프린트(W)가 온전하게 인쇄될 수 있다. 그러나, 용지상에 여백을 두지 않는 여백 없는 인쇄 옵션(Borderless print)에서는 임프린트(W)가 기입된 사진 이미지(Im)의 하단 부분이 짤리게 된다. 이때, 사진 이미지(Im)에 대해 인쇄용지(Pa)의 배치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임프린트(W)에 대한 인쇄가 보장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백 없는 인쇄시, 가로형 사진 이미지(Im)의 화면비율 < 인쇄용지(Pa)의 형상비의 조건에서, 사진 이미지(Im)상에 인쇄용지(Pa)에 대응하는 인쇄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인쇄영역의 위치를 하방으로 조정한다.
이와 반대로, 가로형 이미지(Im)의 화면비율 (예, 16:9) > 인쇄용지(Pa)의 형상비 (예, 3:2)일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시에서는 임프린트(W)의 출력이 보장되지만,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시에는 임프린트(W)가 기입된 사진 이미지(Im)의 우측 부분이 짤리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진 이미지(Im)상에 인쇄용지(Pa)에 대응하는 인쇄영역을 설정할 때,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임프린트의 인쇄를 보장한다.
한편, 사진 이미지가 폭을 단변으로 하고, 높이를 장변으로 하는 세로형 이미지일 때, 사진 이미지의 우측 상단부분에 임프린트가 기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7 및 도 8에는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Im)가 세로형 이미지일 때, 인쇄용 지(Pa)상에 전사되는 사진 이미지(Im)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이미지-풀 인쇄 옵션(image-full print)과 여백 없는 인쇄 옵션(borderless print)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폭:높이)과, 인쇄용지의 규격에 따른 형상비(폭:높이)를 비교하여,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예, 16:9) > 인쇄용지의 형상비(예, 3:2)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풀 인쇄 옵션(Image-full print)에서는 사진 이미지(Im)에 기입된 임프린트(W)가 짤림없이 인쇄될 수 있으나,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에서는 임프린트(W)가 기입된 사진 이미지(Im)의 우측 부분이 짤리게 된다. 이때, 사진 이미지(Im)에 대해 인쇄용지(Pa)의 배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임프린트(W)에 대한 인쇄가 보장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Im)상에 인쇄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반대로, 세로형 이미지의 화면비율 (예, 4:3) < 인쇄용지의 형상비 (예, 3:2)일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에서 임프린트(W)가 기입된 사진 이미지(Im)의 상단 부분이 짤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진 이미지(Im)상에 인쇄영역을 설정할 때, 인쇄영역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임프린트(W)의 인쇄를 보장한다.
한편, 상기 인쇄영역의 이동 변위와 관련하여, 상기 인쇄영역은 Exif 헤더 정보에서 판독한 임프린트의 위치, 예를 들어, 임프린트의 좌표값(X,Y,W,H)으로 파악되는 임프린트 말단까지 또는 임프린트 말단에서 인쇄마진을 포함한 소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2의 포토 프린팅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알고리즘(주로, 프린터 프로세서(115)/데이터저장장치의 메인 프로세서(125)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낸다. 먼저 포토 프린터(11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S10),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초기화를 거쳐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초기화 단계에서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현재 포토 프린터(1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소정의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할 수 있다(S11).
키 입력부(113)로부터 설정 모드에 해당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키 입력부(113)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쇄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모드를 수행한다.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쇄용지의 사이즈(A3,A4,A5 등)나 인쇄용지의 종류(일반 플레인 용지, 포토 전용 용지) 등에 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S12). 그리고, 사진 화상 출력과 함께 일반 문서 출력을 지원하는 복합기 형태의 포토 프린터에서는 인쇄대상의 선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설정 모드에 관한 신호 입력이 없으면,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자동으로 기본 설정에 따라 인쇄조건을 셋팅할 수 있으므로, 이상의 인쇄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에,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카드 리더기 포트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데이터저장장치의 접속이 감지되면(S13), 통신제어부(111)는 통신 대기 신호를 생성하고, 프린터 프로세서(115)는 생성된 통신 대기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저장장치(120)와 전송 제어 정보를 교환하고 통신 설정을 초기화한다(S14).
한편, 포토 프린터(110)에 접속된 데이터저장장치(120)는 포토 프린터(110)와의 접속을 전후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쇄 모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로부터 모드 전환에 해당되는 신호 입력이 있으면, 메인 프로세서(125)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인쇄 모드에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화상데이터 저장부(128)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진 영상들 중에서 인쇄대상에 관한 사용자 지정을 입력받게 된다. 사용자는 화상데이터 저장부(128)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영상들을 조회하여 그 전부 또는 그 중 일부를 인쇄대상으로 선정하게 된다(S15,S16).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5)는 사용자 지정에 따라 화상데이터 저장부(128)에 저장된 특정 폴더로부터 사진 영상들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4)에 썸 네일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S15).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23)의 4 방향 이동 키에 대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프로세서(125)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4) 상에 표시된 다수의 사진 이미지들 사이로 활성화된 커서를 이동시키며 사용자 선택을 대기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3)의 선택-확인 키 조작에 의해 인쇄대상 선택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면(S16), 메인 프로세서(125)는 해당되는 사진 영상에 관한 이미지 데이터를 포토 프린터(110) 측으로 전송할 준비를 한다.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23)로부터 설정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들에 따라 인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가 실행된 다(S17). 데이터저장장치의 메인 프로세서(125)는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패널(124)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받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인쇄조건으로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 또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에 대한 옵션 선택지를 메뉴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다음에, 메인 프로세서(125)는 인쇄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이미지에 대한 스케일링 작업에 착수한다(S18).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5)는 포토 프린터(110)에 대해 인쇄용지의 규격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입수된 인쇄용지의 규격에 기초하여 원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폭:높이의 형상비율)을 유지하면서 해당 이미지를 소정배율로 축소/확대한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125)는 이미지-풀 인쇄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축소함으로써, 사진 이미지 밖으로 소정의 여백이 남도록 한다. 그리고, 여백 없는 인쇄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확대함으로써, 확대된 이미지가 인쇄용지에 대해 상하좌우 측으로 소정의 여유마진을 갖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용지 규격에 맞는 인쇄영역을 설정하는데, 사진 이미지와 인쇄영역의 센터가 서로 일치하도록 1차적인 인쇄영역을 설정한다.
이후에는, 사진 이미지상에 잠정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에 대한 확정 또는 재설정 단계들이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단계들이 후행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이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S20), 그 판단 결과에 따 라 서로 다른 흐름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여백 없는 인쇄 옵션(borderless printing)이 아닌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가 선택된 경우라면,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S21 이하의 흐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며, 사용자의 최종적인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Exif 정보처리부(126)를 가동하여 인쇄 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에 임프린트가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2). 예를 들어, 상기 Exif 정보처리부(126)는 화상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Exif 헤더 정보 중에서 임프린트에 해당되는 데이터 필드를 판독하여, 임프린트의 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메인 프로세서(125)로 출력한다. 메인 프로세서(125)는 임프린트의 좌표값을 독출하여 좌표값(X,Y,W,H)=(0,0,0,0)(좌표값에 대한 입력이 없는 NULL 상태)이면, 사진 이미지상에 임프린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S21 이하의 단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이하의 절차에 따라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임프린트 좌표값(X,Y,W,H)에 여하의 입력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임프린트가 기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인쇄 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aspect ratio, 폭:높이의 비율, 이하 형상비)과 포토 프린터로부터 입수된 인쇄용지의 형상비(aspect ratio, 폭:높이의 비율)를 상호 비교하게 된다. 비교 결과, 이들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라면, S21 이하의 단 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로부터 최종적인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서로 다른 경우라면, 예를 들어, 인쇄 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가 4:3이고,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A4 용지에 해당되는 3:2일 경우에는 이하의 흐름에 따라 처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로세서(125)는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의 좌표값(pX,pY,pW,pH)과 Exif 헤더 정보에서 판독한 임프린트의 좌표값(X,Y,W,H)을 상호 비교하여, 임프린트가 인쇄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에 대해 검토하게 된다.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가 위치할 때에는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이하의 절차에 따라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21). 그러나, 상기 인쇄영역을 벗어나 임프린트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영역에 대한 재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임프린트의 인쇄가 확보되는 새로운 인쇄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해당되는 사진 이미지가 폭을 장변으로 하고, 높이를 단변으로 하는 가로형 이미지인지 또는 그 반대 구조의 세로형 이미지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S25). 메인 프로세서(125)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126)는 해당되는 사진 이미지에 대한 화면상의 좌표값(iX,iY,iW,iH)을 파악하고, 사진 이미지의 폭에 해당되는 값(iW)과 높이에 해당되는 값(iH)을 메인 프로세서로 출력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25)는 입수된 정보로부터, 폭과 높이의 값을 대소 비교함으로써, 가로형 또는 세로형인지에 대해 판단하게 된다.
전 단계의 검토 결과에 따라 사진 이미지가 가로형 이미지인 경우, 메인 프 로세서(125)는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와 인쇄용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 간의 대소관계를 검토하게 된다(S26-1). 그 결과에 따라 인쇄영역의 설정과 관련된 메인 프로세서의 처리는 이하의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고, 이는 메인 프로세서의 CPU 내에 내장 프로그램화되어 기억되어 있을 수 있다.
Figure 112007059662863-PAT00001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가 4:3이고,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3:2이면, S27-1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만일,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메인 프로세서는 S27-2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의 검토 결과에 따라 사진 이미지가 세로형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는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와 인쇄용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 간의 대소관계를 검토하게 되는데(S26-2), 검토결과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S27-3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만일,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메인 프로세서는 S27-4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인쇄영역의 이동 변위와 관련하여, 상기 인쇄영역은 Exif 헤더 정보에서 판독한 임프린트의 위치, 예를 들어, 임프린트의 좌표값(X,Y,W,H)으로 파악되는 임프린트 말단까지 또는 임프린트 말단에서 인쇄마진을 포함한 소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7-1 및 S27-2 단계에서는 각각 인쇄영역을 하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나, 이와 달리, 인쇄영역을 하측이면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유사하게, 상기 S27-3 및 S27-4 단계에서는 각각 사진 이미지의 우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나, 이와 달리, 사진 이미지의 우측이면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프린트를 포함하도록 인쇄영역이 설정되고난 이후, 인쇄대기 모드가 수행되며, 이후의 절차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인쇄대기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로부터 최종적인 사용자의 인쇄명령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면(S28),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대상으로 선택된 사진 이미지 중에서 설정된 인쇄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포토 프린터(110)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 포멧의 인쇄데이터로 변환하여(S29) 통신제어부(121)를 통하여 포토 프린터(110)로 전송한다.
다음에, 인쇄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포토 프린터(110) 측의 인쇄작업이 개시되는데(S30), 구체적으로, 프린터 프로세서(110)는 데이터저장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인쇄데이터 저장부(118)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한편, 인쇄 개시신호를 출력하여 인쇄부(119)를 가동하여, 데이터 저장부(118)에 존재하는 인쇄데이터가 인쇄용지상에 출력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에서는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 는 데이터저장장치(120)가 자체적인 연산제어기능(CPU 기능)을 갖는 메인 프로세서(125)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23)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며, 이러한 데이터저장장치(120)로는 디지털 카메라, 호스트 컴퓨터, 디지털 TV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는 메모리 카드 등의 이동착탈식 메모리처럼, 자체적인 CPU 기능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지 않는 소형 메모리 디바이스가 데이터저장장치로 사용되는 때에도 사실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적용예에 따른 전체 포토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포토 프린팅 시스템(200)은 데이터저장장치(220)로 상정된 메모리 디바이스와, 포토 프린터(21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포토 프린트(210)와 데이터저장장치(220)의 기능적인 구성에 관한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데이터저장장치(220)는 인쇄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를 보관 저장하는 기능을 위주로 구성되며, 포토 프린터(210)와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통신제어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장치(210)와 USB 등의 통신수단(130)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며,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포토 프린터(220)는 통신제어부(221), Exif 정보처리부(217),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216), 인쇄데이터 저장부(218), 인쇄부(219), 그리고 이들 각부를 제어하기 위해 CPU 등으로 구성되는 프린터 프로세서(215)를 포함하며, 데이터저장장치(220)에 보관된 사진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쇄대상에 관한 선정을 입력받기 위해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4)의 구동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1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 프린터(210)는 사용자 입력부로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포토 프린팅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인쇄처리절차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사실상 동일하나, 도시된 대부분의 단계들이 프린터 프로세서(215)에 의해 처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포토 프린터(210)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S10), 프린터 프로세서는 초기화를 거쳐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S11). 다음에,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카드 리더기 포트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데이터저장장치(220)의 접속이 감지되면(S13) 통신제어부는 통신 대기 신호를 생성하고,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발생된 통신 대기 신호에 상응하여 데이터저장장치(220)와의 통신 설정을 초기화한다(S14). 이때,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데이터저장장치(220)에 대응되는 폴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214) 상에 표시하여 접속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13)로부터 데이터저장장치(220)에 대응되는 폴더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데이터저장장치(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들을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4)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쇄대상의 지정을 입력받게 된다(S15,S16).
다음에,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입력신호에 따라 인쇄 조건들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모드를 수행한다.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패널(214)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받게 된다. 사용자 설정 모드 에서는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 옵션 또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S17).
다음에,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인쇄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이미지에 대한 스케일링 작업에 착수한다(S18).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인쇄용지의 규격에 기초하여 원사진 이미지의 화면비율(폭:높이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해당 이미지를 소정배율로 축소/확대하는데, 구체적으로 이미지-풀 인쇄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축소하고, 여백 없는 인쇄 옵션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확대한다. 다음에, 상기 메인 프로세서(215)는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용지 규격에 맞는 인쇄영역을 설정하는데, 사진 이미지의 센터 상에 인쇄영역의 센터가 위치하도록 1차적인 인쇄영역을 설정한다(S19).
다음에,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사용자 입력신호가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에 해당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S20),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흐름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즉, 여백 없는 인쇄 옵션(borderless printing)이 아닌 이미지-풀 인쇄(image-full printing)가 선택된 경우라면, S21 이하의 단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최종적인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가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프린터 프로세서는 Exif 정보처리부를 가동하여 인쇄 대상이 되는 사진 이미지에 임프린트가 기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22), 판단 결과에 따라, 임프린 트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21 이하의 단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이하의 절차에 따라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하며, 임프린트가 기입된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인쇄용지의 형상비(aspect ratio, 폭:높이의 비율)와, 인쇄 대상으로 선정된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aspect ratio, 폭:높이의 비율)를 상호 비교하게 된다(S23). 비교결과, 이들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라면 S21 이하의 단계에 따라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확정하고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만일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형상비가 서로 다른 경우라면, Exif 정보처리부로부터 입수된 임프린트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가 위치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S24), 검토 결과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가 위치할 때에는 인쇄영역을 확정하며 인쇄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21). 그러나, 상기 인쇄영역을 벗어나 임프린트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쇄영역에 대한 재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임프린트의 인쇄가 보장되는 새로운 인쇄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해당되는 사진 이미지가 가로형인지, 또는 세로형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고(S25), 그 판단결과에 따라,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영역을 재설정하게 된다. 즉, 사진 이미지가 가로형인 경우, 프린터 프로세서(215)는 이미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와 인쇄용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 간의 대소관계를 검토하여(S26-1),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S27-1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S27-2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우측 방향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사진 이미지가 세로형 이미지인 경우, 프린터 프로세서는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와 인쇄용지의 형상비(폭:높이의 비율) 간의 대소관계를 검토하여(S26-2),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S27-3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프린터 프로세서는 S27-4 단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임프린트를 포함하도록 인쇄영역이 설정되고난 이후, 사용자의 인쇄명령에 따라(S28), 프린터 프로세서는 인쇄부를 가동하여 인쇄대상으로 선택된 사진 이미지 중에서 설정된 인쇄영역에 관한 인쇄데이터를 용지상에 출력하게 된다(S29,S3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토 프린팅 시스템의 기능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Exif 헤더 정보에 기입된 임프린트 관련 데이터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4는 사진 이미지가 전사되는 인쇄용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은 가로형 또는 세로형 이미지에서, 이미지의 화면비율과 인쇄용지의 형상비 사이의 대소 관계에 따라,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 프린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포토 프린팅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포토 프린터 120,220 : 데이터저장장치
111,121,211,212,221 : 통신제어부 113 : 키 입력부
115,215 : 프린터 프로세서 117,217 : 인쇄영역 산출부 118,218 : 인쇄데이터 저장부 119,219 : 인쇄부
122, 217 : Exif 정보처리부 123,213 : 사용자 인터페이스
124,214 : 디스플레이 패널 125 : 메인 프로세서
126,216 :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 127,212 :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128 : 화상데이터 저장부 129 : 화상취득부
130 : 통신 수단 225 : 메모리 콘트롤러
228 : 메모리부 Pa : 인쇄용지
Im : 사진 이미지

Claims (11)

  1. 데이터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는 인쇄방법으로서,
    상기 사진 이미지상에 인쇄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사진 이미지와 인쇄영역의 센터가 서로 정렬되도록 1차적인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인쇄용지상에 여백을 두지 않는 여백 없는 인쇄(borderless printing) 옵션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여백 없는 인쇄 선택시, 사진 이미지상에 임프린트가 기입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임프린트 기입시,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 및
    사진 이미지의 규격과 인쇄용지의 규격이 서로 다를 때, 상기 사진 이미지상에 기록된 임프린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에서는,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는 Exif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임프린트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는,
    상기 사진 이미지의 폭과 높이의 장단을 비교하여, 가로형인지 세로형인지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사진 이미지와 인쇄용지의 폭:높이의 형상비를 각기 산출하고, 상호 비교하는 제2 판단 단계; 및
    상기 제1, 제2 판단 결과로부터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판단 결과로부터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에서는,
    가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가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세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인쇄영역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세로형 사진 이미지이며, 사진 이미지의 형상비 < 인쇄용지의 형상비이면, 사진 이미지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해당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는 Exif 정보로부터 임프린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임프린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영역의 재설정 단계에 앞서,
    상기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 내에 임프린트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7.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쇄용지 상에 출력하는 포토 프린터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는,
    사진 이미지에 부대하여 기록된 Exif 정보 중에서, 임프린트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Exif 정보처리부;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서 입수된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길이를 산출하는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 및
    상기 사진 이미지에 대해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Exif 정보처리부와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의 출력정보에 근거하여,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에 의해 정해진 이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 의해 파악되는 임프린트 위치까지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장치와 포토 프린터 사이에는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10. 사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장치 및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쇄용지상에 출력하는 포토 프린터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토 프린터는,
    상기 데이터저장장치로부터 사진 이미지에 부대된 Exif 정보를 입수하여, 임프린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Exif 정보처리부;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서 입수된 임프린트의 기입 여부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길이를 산출하는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 및
    상기 사진 이미지에 대해 인쇄영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Exif 정보처리부와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의 출력정보에 근거하여, 1차적으로 설정된 인쇄영역을 상, 하, 좌, 우측 중 적어도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린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폭/높이 산출부에 의해 정해진 이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상기 Exif 정보처리부에 의해 파악되는 임프린트 위치까지 인쇄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KR1020070083003A 2007-08-17 2007-08-17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KR10134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003A KR101345285B1 (ko) 2007-08-17 2007-08-17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003A KR101345285B1 (ko) 2007-08-17 2007-08-17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516A true KR20090018516A (ko) 2009-02-20
KR101345285B1 KR101345285B1 (ko) 2013-12-27

Family

ID=4068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003A KR101345285B1 (ko) 2007-08-17 2007-08-17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19B1 (ko) * 2016-11-16 2017-04-11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6312B2 (ja) * 2015-08-27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11021A (pt) 2004-05-12 2007-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de provisão de dados de multimìdia para impressão direta, método de impressão direta, aparelho fornecedor de imagens, e aparelho de impressã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19B1 (ko) * 2016-11-16 2017-04-11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285B1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027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US7224480B2 (en) Imaging apparatus, system having imag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907291B2 (en) Image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inting system
US20060114529A1 (en) Terminal apparatus for transforming print image on a screen by means of print preview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8325380B2 (en) Printing method of printing an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a face area detected on the image, a photo-printing system and digital camera adapted to the method
US7190473B1 (en) Printer apparatus with integr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269988B2 (en) Print terminal, print system,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2006060594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KR20090018514A (ko) 사진화상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
KR101345285B1 (ko) 사진 이미지의 인쇄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시스템
JP492664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58043B1 (ko) 이미지의 인쇄방법과, 그에 적용되는 포토 프린팅 시스템,및 디지털 카메라
JP2007253488A (ja) 印刷装置
JP4343858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
JP2008073882A (ja)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システム
JP456673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618447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US8854681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01203403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用プログラム
JP2006042035A (ja) コンピュータ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
JP20181810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60593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197567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8067019A (ja) 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印刷装置、電子機器、印刷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086588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