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780A - 방역 및 농약분무기 - Google Patents

방역 및 농약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780A
KR20090017780A KR1020070082190A KR20070082190A KR20090017780A KR 20090017780 A KR20090017780 A KR 20090017780A KR 1020070082190 A KR1020070082190 A KR 1020070082190A KR 20070082190 A KR20070082190 A KR 20070082190A KR 20090017780 A KR20090017780 A KR 2009001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uid
tube
spraying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숙
Original Assignee
홍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숙 filed Critical 홍정숙
Priority to KR102007008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780A/ko
Publication of KR2009001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약통)(1)을 형성하는 바닥면(8)의 일측으로 단턱진 배수유도요홈(10)을 형성시킨 구조의 물통(1) 저면부에 압풍통(19)과 송출수모터(17)를 설치하는 기계실(2a)을 형성시킨 구조의 받침통(2)을 착설시켜 결합 구성한 방역 및 농약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송출수모터(17)에 의하여 송출되는 물통(1)의 유체(약물)를 압풍통(19)의 풍압에 의해 작용되는 강력한 분무력을 이용하여 분무량과 분무강도를 조절하면서 유체(약물)가 막히는 일이 없이 적은 힘으로 보다 넓은 지역으로 골고루 신속하게 뿌려지도록 하며, 조립된 결합부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탈이하여 휴대보관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방역 및 농약분무기{An sprayer of agricultural chemicals}
본 발명은 바닥면의 일측으로 단턱진 배수유도요홈을 경사지게 형성시킨 구조의 물통(약통) 저면부에 풍압통과 송출수모터를 설치하는 기계실을 형성시킨 구조의 받침통을 착설시켜 결합 구성한 방역 및 농약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송출수모터에 의하여 송출되는 물통(약통)의 유체(약물)를 풍압통의 풍압에 의해 작동되는 강력한 분무력을 이용하여 분무량과 분무강도를 조절하면서 유체가 막히는 일이 없이 적은 힘으로 보다 넓은 지역으로 골고루 신속하게 뿌려지도록 하며, 조립된 결합부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탈이하여 휴대, 보관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 단일체로 된 물통(약통)의 일측으로 레버식 공기압축배출구조를 설치하여 결합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수동 작동식이므로 힘이 많이 들어 분무작업이 비효율적이었으며, 또한, 물통의 배수구를 별도의 펌핑모터에 연결하여 펌핑모터의 압출력이 별도로 연결 설치하는 분무노즐에 작용되어 분무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넓은 지역을 분무하는 효과는 있으나 사용 및 취급이 불편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부가가치가 적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일측으로 단턱진 배수유도홈을 형성시킨 구조의 물통(약통) 하부에 풍압통 및 미세분무조절구조를 설치한 분무용압풍손잡이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착설하여 결합시킨 구성으로서, 사용시에는 물통 내부의 유체(약물)를 송출수모터와 압풍통에 의하여 분무의 강약 및 속도를 조절하면서 적은 힘으로 유체가 막히는 일이 없이 넓은 지역을 고르고 신속하게 분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후에는 착설 결합되고 연결 조립된 연결관과 손잡이관을 탈이하거나 분리 해체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휴대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체(1a)의 상부로 형성되는 개구부(4)에 걸름망(5)을 재치하여 공기흡입구멍(6)을 개폐하는 역지변(7)을 설치한 구조의 뚜껑(3)이 나착되고, 바닥면(8)의 일측으로는 배출구(9)를 형성하는 단턱진 배수유도요홈(10)을 형성한 구조의 물통(1)의 하방으로 배면부에 통기부(11)를 설치하고, 일측으로 돌출관(12)을 돌설하며, 저면부는 기계실(2a)이 되도록 막음판(13)으로 착설 개폐하는 저면개방 부(14)를 형성한 구조의 받침통(2)을 착설 고정하되, 받침통(2)의 내부에는 유체(배출수)유입구(15) 및 유체송출구(16)가 형성된 송출수모터(17)와 압풍기(도시생략)가 설치되고, 받침통(2)의 돌출관(12)으로 돌출되는 플렉시블호스(18)를 착설시킨 압풍구(19a)가 형성된 구조의 압풍통(19)을 고정대(20)로 고정 설치하여 전원스위치(21)에 의하여 개폐되는 스위치박스(21a)와 가변스위치(22)로 조절되는 가변기(22a)를 전원코드(23)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결선하였으며, 송출수모터(17)의 유체유입구(15)는 단턱진 배수유도요홈(10)의 배출구(9)에 탄성연결구(24)에 의하여 접속 연결하고, 유체송출구(16)에는 송출안내관(25)을 접속연결하여 상기 압풍구(19a)에 착설되는 플렉시블호스(18)의 내부에 내설되도록 결합 구성하였다.
상기 플렉시블호스(18)의 선단부에는 연결관(26)을 착설고정하여 손잡이관(27)을 조립 연결하되, 손잡이관(27)의 내부에는 송출안내관(25)을 연결하는 원터치형호스연결부(28)와 물량조절변(29)에 의하여 선단부에 노즐(30a)을 착설한 분무호스(30)를 내설하며, 노즐(30a)의 둘레부에는 슬롯(slot)날개(31)구조의 스윌노즐(swirlnozzle)(32)을 설치하여 소용돌이부(33)를 형성하는 보호캡(34)을 결착하여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5는 멜빵걸이구, 36은 멜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물통(약통)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일측으로 단턱진배수유도요홈을 형성시킨 구조의 저면부에 풍압통과 송출모터를 설치하는 기계 실을 형성시킨 구조의 받침통을 착설한 결합 구성으로서, 물통으로부터 송출되는 유체(약물)를 풍압통의 풍압에 의하여 작용되는 강력한 분무력을 이용하여 분무량과 분무강도를 조절하면서 물통 내의 유체가 막히는 일이 없이 적은 힘으로 보다 많은 지역으로 골고루 신속하게 뿌릴 수 있으며, 조립된 결합부를 분리하고 탈이시키므로써, 휴대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통(1) 내부에 유체(약물)을 넣고 사용자가 멜빵(35)으로 걸어 메고 손잡이관(27)을 잡고 소용돌이부(33)를 분무할 방향으로 위치한 다음, 전원스위치(21)를 온시키면, 송출수모터(17)와 압풍통(19)의 내부에 결합 구성된 압풍기(도시생략)가 가동됨과 동시에 물통(1)내의 유체가 배출구(9)와 유체유입구(15) 및 유체송출구(16)로 송출되어 송출안내관(25)을 따라 안내되어 분무호스(30)의 선단부에 착설된 노즐(30a)로 송출되게 되는데, 이때, 압풍통(19)에서 발생되는 강력한 바람이 압풍구(19a)에 착설한 플렉시블호스(18)와 송출안내관(25) 및 손잡이관(27)의 내부를 바람통로로 하여 스윌노즐(32)을 형성하는 슬롯날개(31)의 구조를 따라 압풍되면서 노즐(30a)로 송출되는 유체를 소용돌이부(33)에 의하여 미세한 분무상태로 압출 분사시킨다.
이와 같이 압출분사된 분무상태는 사용처의 조건에 따라 가변스위치(22)를 조정하면서 분무압을 조절하며, 물량조절변(29)을 조정하면서 유체의 송출량을 조 절하여 적은 힘으로 넓은 지역(반경 15m)으로 골고루 신속하게 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노즐(30a) 구멍이 크더라도 노즐(30a)로 송출되는 유체를 강력한 바람에 의하여 소용돌이 상태로 압출 분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체가 막히는 일이 없으며, 물통(1)의 내부에 강력한 풍압이 작용하더라도 개구부(4)에 설치한 역지변(7)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흡입구멍(6)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분무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물통(1) 내의 유체가 단턱진 배수유도요홈(1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9)로 배출되므로 유체가 물통(1) 내에 잔류되는 일이 없으며, 물통(1)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할 경우에는 개구부(4)에 재치하여 설치한 걸름망(5)에 의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관(27)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사용처에 골고루 분무할 수 있다.
사용 후에는 연결관(26)이나 손잡이관(27)을 용이하게 탈이하고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연결관(26)과 손잡이관(27)의 내부에 설치된 분무호스(30)의 연결부는 공업용 원터치형 호스연결부(28)의 구조에 의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착설하고 탈이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간편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소용돌이부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도4의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통 1a 동체
2 받침통 2a 기계실
3 뚜껑 4 개구부
5 걸름망 6 공기흡입구멍
7 역지변 8 바닥면
9 배출구 10 단턱진배수유도요홈
11 통기부 12 돌출관
13 막음판 14 저면개방부
15 유체유입구 16 유체송출구
17 송출수모터 18 플레시블호스
19 압풍통 19a 압풍구
20 고정대 21 전원스위치
21a 스위치박스 22 가변스위치
22a 가변기 23 전원코드
24 탄성연결구 25 송출안내관
26 연결관 27 손잡이관
28 원터치형호스연결부 29 물량조절변
30 분무호스 30a 노즐
31 슬롯날개 32 스윌노즐
33 소용돌이부 34 보호캡

Claims (3)

  1. 동체(1a)에 멜빵(35)이 걸어 설치되는 멜빵걸이구(36)가 형성되고, 상부에 뚜껑(3)으로 개폐되는 개구부(4)가 형성되며, 하부가 바닥면(8)으로 이루어지는 물통(1)에 있어서,
    바닥면(8)의 일측으로 배출구(9)를 형성하는 단턱진 배수유도요홈(10)을 형성시킨 구조와;
    바닥면(8)의 저부로는 돌출관(12)을 돌설하며, 기계실(2a)을 형성한 구조의 받침통(2)을 착탈이 용이하도록 착설 고정하되, 받침통(2)의 내부에는 배출구(9)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약물)를 송출안내관(25)으로 송출 안내하는 송출수모터(17)와, 상기 송출안내관(25)의 타측이 내설되도록 플렉시블호스(18)를 연결고정하는 구성의 압풍구(19a)가 형성된 압풍통(19)을 착설 고정하여 전원코드(23)의 전원선과 전원스위치(21) 및 가변스위치(22)를 전기적으로 결선시킨 구성과;
    상기 플렉시블호스(18)의 선단부에는 내부에 송출안내관(25)과 연결되는 원터치형호스연결부(28)와 물량조절변(29)에 의하여 노즐(30a)이 착설된 분무호스(30)가 내설되도록 고정 설치한 손잡이관(27)을 조립 연결하는 연결관(26)을 착설 고정하며, 상기 손잡이관(27)의 선단부에 설치한 노즐(30a)의 둘레부에는 슬롯날개(31)구조의 스윌노즐(32)을 설치하여 소용돌이부(33)를 형성하는 보호캡(34)을 결착하여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방역 및 농약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에는 걸름망(5)을 재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방역 및 농약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에는 공기흡입구멍(6)을 뚫어 역지변(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방역 및 농약분무기.
KR1020070082190A 2007-08-16 2007-08-16 방역 및 농약분무기 KR20090017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190A KR20090017780A (ko) 2007-08-16 2007-08-16 방역 및 농약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190A KR20090017780A (ko) 2007-08-16 2007-08-16 방역 및 농약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780A true KR20090017780A (ko) 2009-02-19

Family

ID=4068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190A KR20090017780A (ko) 2007-08-16 2007-08-16 방역 및 농약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7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752A (zh) * 2018-06-21 2018-11-06 安徽省中日农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式农药喷洒装置
CN112314576A (zh) * 2020-11-13 2021-02-05 宣晓永 一种安全性高的林木病虫害防治喷药设备
CN114451390A (zh) * 2022-03-04 2022-05-10 郑州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可多方向调节角度的功能型农业喷洒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752A (zh) * 2018-06-21 2018-11-06 安徽省中日农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式农药喷洒装置
CN112314576A (zh) * 2020-11-13 2021-02-05 宣晓永 一种安全性高的林木病虫害防治喷药设备
CN114451390A (zh) * 2022-03-04 2022-05-10 郑州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可多方向调节角度的功能型农业喷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80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분무기
US20120097763A1 (en) Chemical Dispenser
KR101130490B1 (ko) 농약 분무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20090017780A (ko) 방역 및 농약분무기
US20110303244A1 (en) Hydro-Infusion Wet/Dry Debris Containment System Unit and Adapator
CN209076949U (zh) 一种充电式喷枪及喷雾器
US5933883A (en) Pool structure and fountain apparatus
CN111729767A (zh) 一种消毒喷雾器
KR102471169B1 (ko) 농작물용 영양제와 해충방제용 약제와 보습용 물을 안개형으로 분사하는 분무기
CN112191415A (zh) 一种喷嘴可调式液体喷洒器
JP2018083187A (ja) 噴霧装置
KR100822774B1 (ko) 농약분사장치
KR200469289Y1 (ko)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CN108514964A (zh) 一种充电式喷枪及喷雾器
KR20110071346A (ko) 농약 살포용 동력분무기
KR101165930B1 (ko) 농약 회수관이 구비된 취입형 농약 살포기
KR200463866Y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공급장치
CN218073180U (zh) 一种送风雾化系统
KR101207900B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 혼합 분사장치
JP2022514764A (ja) 衣類処理設備
WO2009082256A1 (fr) Dispositif portatif pour la pulvérisation des arbres et pour l'irrigation par brumisation des légumes
CN212759196U (zh) 一种消毒喷雾器
CN215541881U (zh) 一种多功能花洒
CN217694393U (zh) 草坪养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