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540A - 일회용 개인 용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개인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540A
KR20090017540A KR1020087028918A KR20087028918A KR20090017540A KR 20090017540 A KR20090017540 A KR 20090017540A KR 1020087028918 A KR1020087028918 A KR 1020087028918A KR 20087028918 A KR20087028918 A KR 20087028918A KR 20090017540 A KR20090017540 A KR 2009001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e
starch
absorbent core
personal ca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리슈마 모히니 윅레메싱헤
Original Assignee
세네븐즈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네븐즈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세네븐즈 인터내셔널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8702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540A/ko
Publication of KR200900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2Cellulose xanthate
    • C08L1/24Visc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코스 플러프(34)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32)들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20)를 포함하는 기저귀(10)와 같은 일회용 개인 용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는 흡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적은 백분율의 수퍼 흡수성 폴리머(SAP)를 포함한다. 개인 용품은 외측 커버(36), 소수성 층(26), 생물 분해성 필름(24) 및 친수성 층(38)을 더 포함한다.
Figure P1020087028918
일회용, 위생 용품, 기저귀, 패드, 흡수 용품, 친환경

Description

일회용 개인 용품{DISPOSABLE PERSONAL PRODUCT}
본 발명은 일회용 개인 용품 및 그러한 개인 용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흡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신체 폐기 배출물(body waste discharges)을 흡수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착안된 것이고, 통상적으로 유아용 기저귀, 여성용 생리 용품 및 실금(incontinence) 용품과 같은 일회성 사용 제품을 포함한다.
소변과 같은 배출 체액을 흡수하는데 사용되는 물품은 세계적으로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물품들은 현대의 편리용품 및 필수품으로서 점점 더 대중적이 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 형태를 가진다.
다량의 일회용 유아용 기저귀들이 매년 사용되고 있고 이들 제품의 폐기가 문제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일회용 기저귀는 주로 주변환경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폴리머 화학물질 제품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와 관련한 또 다른 문제점은, 이들 제품 내의 다량의 화학물질로 인해서, 사용자들에게 발진이나 피부 알러지 등이 종종 발생된다는 것이다. 이들 제품의 흡수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요구사항으로 인해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와 같은 첨가 화학물질의 양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관련 문제점들을 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수 많은 종래 기술의 기저귀들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그에 따라 피부에 대한 연질(soft) 표면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이들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귀는 피부로의 자연적인 공기 유동을 차단한다.
효과적인 흡수성 레벨을 가지고, 친환경적이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일회용 개인 용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극복,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회용"이라는 용어는 세탁이나 다른 재생을 위한 의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 또는 흡수용 물품으로서 재사용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용어이다. 그러한 물품들은 일회의 사용 후에 폐기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 방식으로 처리될 것이다.
"개인 용품" 이라는 표현은 신체 배출 유체 또는 다른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는데 이용되는 용품 또는 물품을 포함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저귀(diapers), 기저귀(nappies), 흡수용 언더팬츠, 트레이닝 팬츠(training pants), 성인용 실금 용품, 여성용 위생 용품 및 가슴용 패드(breast pads)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표현은 신체 배출물과 접촉할 수 있는 침대, 의자 및 유아용 침대를 위한 보호 용품(protectors)으로서 사용되는 제품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종래 기술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에 따른 것이지, 그러한 종래 기술이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기타 지역에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비스코스(viscose)로 이루어진 흡수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미련한다. 바람직하게, 비스코스는 표백처리되지 않은 비스코스와 같이 처리지 않은(untreated) 비스코스이다. 바람직하게, 비스코스는 비스코스 플러프(fluff; 보풀) 형태이다. 비스코스는 압축된(compressed) 비스코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수 층은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분(starch)을 더 포함한다. 비스코스는 전분으로 코팅되어 흡수성 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안으로서, 전분은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 형태를 가진다. 전분 입자(grain)들은 바람직하게 크기가 분말형 설탕 입자 정도인 작고, 과립형인 미립자(particles)들이다. 흡수성 코어 내의 전분의 상대적인 중량 백분율은 바람직하게 약 7%이다.
흡수성 코어는 폐기 유체 물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서 전분과 혼합된 소량의 수퍼 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염(polyacrylate sal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아 및 영아용 기저귀의 경우에 흡수성 코어의 약 3 중량% 미만의 양으로 SAP가 흡수성 코어 내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성인용 기저귀 및 실금 용품의 경우, SAP는 흡수성 코어의 약 7 내지 20%의 양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흡수성 코어는 비스코스:전분:SAP의 상대적인 중량 백분율이 약 90%:7%:3%인 조성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흡수성 코어는 소변 및 혈액 또는 기타 폐기 물질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용이하게 수집(collect)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형상을 가진다.
흡수성 코어에 사용된 전분은 폴리머 조성물을 옥수수 전분에 부착(grafting)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흡수성 코어는 티슈 페이퍼(tissue paper) 층에 의해서 둘러싸일 것이다.
상기 용품은 외측 커버 형태의 외부 층을 더 포함할 것이다. 외측 커버는 용품의 흡수성 코어 및 다른 성분들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 커버는 바람직하게 목화, 비스코스, 실크 또는 울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커버는 펠트형(felted) 비스코스 직물과 같은 비-직조형(non-woven) 펠트 직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표백처리되지 않거나, 표백처리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표백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펠트형 비스코스 직물은 니들 펠티드(needle felted)될 수 있고, 그리고 랜덤 레이드(random laid), 패러랠 레이드(parallel laid) 또는 크로스 레이드(cross laid)를 포함하여 비-직조형 직물에서 사용되는 형태들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비-직조형 펠티드 비스코스 직물을 이용하면, 연성의 매끄러운 느낌을 피부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액체를 멀리 밀어내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용품은 사용자 피부에 인접하여 소수성(hydrophobic)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흡수성 코어에 의해서 흡수된 폐기 액체가 피부로 다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용품은 상기 소수성 층의 아래쪽에 친수성 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액체 물질을 용품내에서 유지하는 특성 및 방수 특성을 보조하기 위해서, 상기 용품은 생물 분해성 시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외측 커버를 통해서 수분이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생물 분해성 필름은 상기 흡수성 코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제공하며, 상기 흡수성 코어는 비스코스 및 전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은 전분 입자 형태이고, 상기 입자들은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다. 바람직하게, 전분 입자들은 흡수성 코어의 상대적인 중량으로 약 7%의 양으로 존재한다. 흡수성 코어는 마찬가지로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작은 백분율의 S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커버,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한 소수성 층 및 상기 외측 커버와 소수성 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전분은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 형태를 가진다. 용품은 소수성 층의 아래쪽에 배치된 내측의 친수성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백처리되지 않은 비스코스로 이루어진 흡수성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위한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흡수성 층이 전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분은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입자 형태를 가진다.
명세서를 통해서, 다른 언급이 없다면, "포함" 또는 그와 유사한 다른 표현들은 언급된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포함하면서도 다른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유사하게, "바람직한" 또는 그와 유사한 표현들도 언급된 정수 또는 정수 그룹들이 바람직한 것이나 그러한 것이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저귀를 통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를 평평한 상태로 놓고 외측에서 관찰한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기저귀를 평평한 상태로 놓고 내측에서 관찰한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 쌍의 성형된 다리부(12) 및 신축성 있는 커프(cuff)부(14)를 구비하는 유아용 기저귀(10)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프부(14)는 기저귀(1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3개 열(row)의 탄성부(15)를 가짐으로써, 상기 커프부(14)의 에지(edges)들이 유아의 다리에 확실하게 안착(sit)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가 다리의 정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하기 위해서, 두 개의 추가적인 탄성부(15) 열들이 기저귀(10)의 커프부(14)의 연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기저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측부의 상부 엣지를 넘어서 연장하는 밴드부(17)를 구비한다. 밴드부(17)는 사용중에 기저귀를 고정하기 위해서 테이프부(18)에 고정되는 접착성 탭부(16)를 구비한다.
사용 중에, 유아(도시 하지 않음)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로 놓여진 기저귀(10) 상에 위치되며, 이때 유아의 다리는 다리부(12) 내에 위치되고, 등은 기저귀(10)의 내측 상부(28) 상에 놓여 진다. 기저귀(10)의 내측 하부(30)가 유아의 복부를 향해서 위쪽으로 접혀지고, 밴드부(17)가 기저귀의 전방 둘레로 잡아 당겨져서, 밴드부(17) 상의 제 1 탭(16)이 테이프부(18)와 일치(matching)되게 만든다. 기저귀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 1 탭(16)이 테이프부(18)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부(도시 하지 않음) 구비하며,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중에 기저귀(10)가 확실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기저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코스 플러프(viscose fluff,34)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32)로 이루어진 흡수성 코어(20)를 구비한다. 전분 입자(32)들은 통상적인 설탕 입자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작은 과립형 미립자들이다. 흡수성 코어는 또한 수퍼 흡수성 폴리머(SAP)(도시 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20) 내의 비스코스:전분:SAP의 상대적인 중량 백분율은 약 90%:7%:3% 이다. SAP가 존재하면 용품의 흡수도가 높아지나, 그러한 SAP는 비교적 적은 양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기저귀에서 발견되는 SAP의 일반적인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다. 종래 기술에서의 SAP의 일반적인 레벨은 약 40% 이다. 많은 양의 SAP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 및 환경상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용품의 경우, SAP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3%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사용된 SAP의 양은 유체 흡수를 충분히 도울 수 있는 레벨이면서도 신체 수분의 탈수를 유발할 정도의 레벨 만큼 높지 않다.
유아를 위해서 사용되는 기저귀의 경우,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SAP의 백분율은 약 3% 또는 그 미만이다. 성인용 기저귀, 실금용 패드 또는 위생 용품의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할 필요성으로 인해서, 흡수성 코어는 약 7 내지 20%의 SAP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코스 플러프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들의 존재는 용품 내에서 유체를 흡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마련한다. 물 또는 폐기 유체가 전분 입자들로 떨어졌을 때, 분자들 사이의 극성 척력(polar repulsion)이 발생되어 미립자의 팽창(swelling) 및 물 또는 유체의 흡수를 초래한다.
입자 형태의 전분은 수분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기저귀의 흡수 능력의 증대를 돕는다. 전분 입자(32)를 비스코스 플러프(34) 내로 통합하는 것의 효과는 높은 흡수율을 가질 수 있는 스폰지와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이다. 전분은 복합적인 "팽창-수축" 사이클을 지원(sustain)할 수 있다.
비스코스는 재생된 섬유이다. 재생된 형태의 셀룰로즈 섬유를 이용하여 비스코스를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비스코스는 "건조" 상태에서 약 10 퍼센트의 수분을 포함하며, 젖는 느낌(feeling wet)을 받기 전까지 약 21 퍼센트까지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체를 흡수할 필요가 있는 기저귀 및 기타 유사 용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용한 물질을 제공한다.
흡수성 코어의 주요 흡수 성분은 전분 입자 형태의 전분이다. 바람직하게, 흡수성 코어에서 사용된 전분은 폴리머 조성물을 옥수수 전분 분자에 부착(graf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전분의 성질로 인해서, 자체 중량의 300배까지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부가적인 전분은 입자 형태이고, 실질적으로 생물 분해가 가능하고 퇴비화(compostable)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20)는 티슈 페이퍼(22) 층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기저귀(10)는 비-직조형 펠티드 비스코스로 형성된 외측 커버(36)를 구비하나, 다른 물질도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외측 커버는 연성이고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러한 직물의 특성은 사용자의 피부 주위에서 공기가 용이하기 유동할 수 있게 하고 통기성(breathable)을 가진다. 외측 커버(36)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서 매우 매끄러운 느낌을 제공하고 신체에 대한 용이한 이동 및 자연적인 공기 유동을 제공한다. 외측 커버의 자연 섬유 구성은 최대의 건강 및 환경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저귀(10)는 비-직조형 물질로 이루어진 소수성 층(26) 및 내측의 친수성 층(38)을 구비한다. 소수성 층(26)은 사용자 피부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건조한 영역을 제공한다. 소수성 층(26)은 통상적으로 접합된 비-직조형 직물이다. 탄성부(15)도 소수성을 가지며 상기와 동일한 접합된 비-직조형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에 인접하여 건조함을 유지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기저귀(10)는 또한 생물 분해성 시트 필름(2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생물 분해성 시트 필름은 기저귀(10) 내에 흡수된 유체를 유지하고 방수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상적으로, 생물 분해성 필름(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20)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수분이 외측 커버를 통해서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필름(24)은 식물성 오일을 기초로 하는 제품이고,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필름이며, 그에 따라 기저귀(10)의 전체적인 디자인에 유리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필름(24)은 천연 왁스 또는 수성 왁스와 같은 왁스 형태일 수 있다.
일회용 개인 용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그러한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이 가지지 못하는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며, 그러한 이점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것이다.
(ⅰ) 폐기시에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실질적으로 자연적인 또는 재생된/재활용된 물질 또는 섬유들로 이루어진 효과적인 개인 용품을 제공한다.
(ⅱ) 개인 용품은 사용자에게 무해하고 효과적인 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물질 및 섬유들로 형성된다.
(ⅲ) 자연적인 그리고 재생된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이고 전체적으로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ⅳ) 비-직조된 비스코스로 구성된 연성 외측 커버는 피부에 대해서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직물은 사용자 피부 주변에서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게 하고 통풍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ⅴ) 생물 분해성 필름 층을 이용함으로써, 기저귀 내에 유체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동시에, 자연 환경에 친화적인 용품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위 당업자는, 전술한 설명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개량 및 개선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개인 용품의 외측 커버는 목화, 레이온, 실크 또는 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부드러운 느낌을 용품에 제공할 수 있는 비스코스 이외의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상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5)

  1. 비스코스로 이루어진 흡수성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는 표백처리되지 않은 비스코스인 일회용 개인 용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는 비스코스 플러프 형태인 일회용 개인 용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는 압축된 비스코스인 일회용 개인 용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층은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분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는 전분으로 코팅되어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전분 입자 형태인 일회용 개인 용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입자는 비스코스 내에 분산되는 일회용 개인 용품.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 내의 비스코스:전분의 상대적인 중량 백분율은 약 90%:7%인 일회용 개인 용품.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전분과 혼합된, 수퍼 흡수성 폴리머(SAP),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염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 내의 SAP는 약 3%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AP는 상기 흡수성 코어 내에서 약 7 내지 20%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비스코스:전분:SAP의 상대적인 중량 백분율이 약 90%:7%:3%인 조성을 가지는 일회용 개인 용품.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장방형 형상인 일회용 개인 용품.
  15.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입자는 분말형 설탕 입자의 과립형 미립자들인 일회용 개인 용품.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폴리머 조성물을 옥수수 전분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일회용 개인 용품.
  17.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티슈 페이퍼의 층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일회용 개인 용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외측 커버 형태의 외부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커버는 목화, 비스코스, 실크 또는 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스는 비-직조형 펠티드 직물 형태인 일회용 개인 용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드 직물이 니들 펠티드 직물인 일회용 개인 용품.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한 소수성 층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상기 소수성 층의 아래쪽에 친수성 층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3. 제 5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상기 흡수성 코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생물 분해성 시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4.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비스코스 및 전분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전분 입자 형태이고, 상기 입자는 상기 비스코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일회용 개인 용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입자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약 7%의 상대적인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7. 외측 커버, 사용자의 피부에 인접한 소수성 층 및 상기 외측 커버와 상기 소수성 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비스코스 및 전분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전분 입자들 형태인 일회용 개인 용품.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SAP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상기 소수성 층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친수성 층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
  31. 표백처리되지 않은 비스코스의 흡수성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위한 조성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층은 흡수성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분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개인 용품을 위한 조성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상기 비스코스 내에 분산된 입자 형태인 일회용 개인 용품을 위한 조성물.
  34.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되고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일회용 개인 용품.
  35.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되고 첨부 도면들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조성물.
KR1020087028918A 2008-11-26 2006-05-23 일회용 개인 용품 KR2009001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8918A KR20090017540A (ko) 2008-11-26 2006-05-23 일회용 개인 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8918A KR20090017540A (ko) 2008-11-26 2006-05-23 일회용 개인 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540A true KR20090017540A (ko) 2009-02-18

Family

ID=4068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918A KR20090017540A (ko) 2008-11-26 2006-05-23 일회용 개인 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5249B2 (ja) 生分解性吸収性物品
BRPI0907338B1 (pt)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amigável ao meio ambiente.
RU2636375C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принимающий слой
KR20100101067A (ko) 부직형 생분해성 위생용품
US20110152814A1 (en) Non-woven biodegradable hygiene product
AU2006343881B2 (en) Disposable personal product
JP5236122B1 (ja) 体液受容キャナルを備えた吸収体物品
JP6743335B2 (ja) 吸収性物品
JP4292185B2 (ja) 吸収体物品
WO2006053373A1 (en) Dry-absorbent multilayered fibre construction
JP2866424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90017540A (ko) 일회용 개인 용품
NZ542570A (en) Layered fabr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feather fabric
JP2011000373A (ja) 和紙製ナプキン
JP2021019690A (ja) 吸収性物品
JP202108369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209645238U (zh) 一种用于失禁人群的吸湿去味护理垫
RU190042U1 (ru) Одноразов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прежде всего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или одноразовые непромокаемые штанишки, с легкой, высокогигроскопичной впитывающей сердцевиной
KR102031641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인체 접촉면에 사용한 위생 흡수용품
JP2022065971A (ja) 吸収性物品
KR100728319B1 (ko) 향이 함유된 일회용 흡수제품
JP2001017469A (ja) 吸収性物品
AU2004216538B2 (en) The nature nappy/diaper and material constructions
JP4767337B2 (ja) 吸収性物品
JP2021104221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